KR200167540Y1 -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7540Y1 KR200167540Y1 KR2019950022184U KR19950022184U KR200167540Y1 KR 200167540 Y1 KR200167540 Y1 KR 200167540Y1 KR 2019950022184 U KR2019950022184 U KR 2019950022184U KR 19950022184 U KR19950022184 U KR 19950022184U KR 200167540 Y1 KR200167540 Y1 KR 2001675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spring
- rear coil
- frame
- bracket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6—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an element between the end coil of the spring and the support proper, e.g. an elastomeric annul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현가장치 중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리어 코일 스프링 하단은 콘트롤 로어 암(102)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리어 코일 스프링(100) 상단은 프레임(104) 저면의 지지 브라켓(18)에 의해 결합시켜, 리어 코일 스프링(100)이 압축·팽창되면서 그 상부에서 강철끼리 맞부딪히는 심한 마찰음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3도와 같이 리어 코일 스프링(100)과 코일 스프링 브라켓(106) 사이에 고무 인슐레이터(10)를 삽입·설치시켜 마찰음 발생을 억제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제1(a)도는 종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1(b)도는 종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인슐레이터(insulator)를 나타낸 사시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인슐레이터(insulator)를 나타낸 조립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인슐레이터(insulator)를 삽입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인슐레이터(insulator)를 삽입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 인슐레이터 12 : 환형 고정부
14 : 경사면 16 : 단턱
18 : 관통홀 100 : 리어코일 스프링
102 : 콘트롤 로어암 104 : 프레임
106 :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프링 리어 코일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뒤 현가장치의 스프링 코일 상단에 브라켓과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링을 상설하여 스프링 리어 코일과 지지 브라켓과의 마찰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승차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스프링 리어 코일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 섀시 스프링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현가는 구동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시의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시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서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가에 사용되는 스프링에는 굽힘 탄성을 이용하는 리프 스프링, 비틀림을 이용하는 코일 스프링이나 토션 바 스프링, 고무의 탄성을 이용하는 고무 스프링 및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 스프링 등이 있다.
상기 스프링중 예시도면 제1(a)도와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코일스프링(100)은 스프링강의 둥근막대를 코일 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변화하는 경우에는 리프 스프링은 그것의 힘으로 받는 것에 비해서 코일 스프링은 코일 각부의 비틀림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다.
특히,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코일의 양단면이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그 부분은 스프링의 작용에는 관계없으므로 총감김수에서 양단의 감김 끝 부분을 뺀 것을 유효감김수라고 한다. 코일 스프링은 리프 스프링과 같이 판 사이의 마찰이 없으므로 진동을 감쇠하는 작용은 없으며 횡방향에서의 힘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없으므로 차축을 지지하기 위한 링크 기구나 쇽 업소버를 필요로 하며 구조가 복잡해지지만, 단위중량당 에너지 흡수율이 리프 스프링 보다 크며, 또 부드러운 스프링을 얻을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로어암(102)에 고정되어 프레임(104)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어 코일 스프링(100)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은 재료 비틀림의 탄성을 이용하므로 차량의 상하진동시 압축 팽창되어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상부와 프레임(104)에 형성된 브라켓(106)에서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비틀림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마찰음이 발생되고, 특히 노면이 불규칙한 곳을 주행할 때 차량의 상하진동과 함께 상기 마찰음이 자주 발생되어 탑승자의 불쾌감을 유발시켜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근래에 들어 차량의 소음을 방지하여 고급화를 도모하려고 하는 추세에 있어 이러한 마찰음 등과 같은 소음의 발생은 제품의 질을 떨어 뜨리는 폐단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찰이 심한 리어 코일의 상단과 프레임의 브라켓 사이에 고무 인슐레이터(insulator)를 삽입·설치하여 상술한 상하진동시 강철로 형성된 프레임의 브라켓과 리어 코일 스프링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시키는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무 인슐레이터의 저부에는 환형의 고정부를 형성시키고 측부에는 경사면과 고정턱을 형성시켜 리어 코일 스프링의 상부 끝단을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의 브라켓과 결합시키므로써, 강철의 재질사이에 고무막을 형성시킨 결과가 되어 상술한 강철과 강철이 맞물리는 마찰음을 방지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의 현가장치중 리어 스프링 코일(100)의 상단과 프레임(104)의 브라켓(106)이 결합된 구조에 있어서, 리어 코일 스프링(100) 상단과 프레임(104)의 브라켓(106) 사이에 환형의 고무 인슐레이터(10)를 삽입·설치시키되 상기 고무 인슐레이터(10)는 리어 코일 스프링(104)의 상부 끝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저부에는 돌출된 환형 고정부(12)와 측부에는 리어 코일 스프링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경사면(14)과 단턱(16)을 형성시켜 이루어진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이다.
예시도면 제2(a)도와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인슐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조립도이며, 예시도면 제3(a)도와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슐레이터를 삽입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및 확대도로서, 차량의 현가장치 중 리어 코일 스프링(100)은 차량의 상단 프레임(104)의 브라켓(106)과 컨트롤 로어암(102) 사이에 설치되어 진다.
리어 코일 스프링(100)이 차량의 상하 진동으로 압축·팽창되더라도 고무 인슐레이터(10)가 프레임(104)에 형성된 브라켓(106)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시킴으로써 강철과 강철사이의 마찰음 발생을 억제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어 코일 스프링(100)이 차량의 상하 진동으로 압축·팽창되더라도 고무 인슐레이터(10)가 프레임(104)에 형성된 브라켓(106)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시키고, 특히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단부와 접하는 고무 인슐레이터(10)에는 경사면(14)과 단턱(16)이 형성되어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착이 되며,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상측붕체 고무 인슐레이터(10)의 돌출된 환형 고정부(12)가 삽착되어 차량의 진동으로 압축되는 순간적으로 팽창이 되더라도 고무 인슐레이터(10)는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상측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무 인슐레이터(10)의 저부에는 환형의 고정부(12)를 형성시키고 측부에는 경사면(14)과 고정턱(16)을 형성시켜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상부 끝단을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04)의 브라켓(106)과 결합시키므로써, 강철의 재질사이에 고무막을 형성시킨 결과가 되어 상술한 강철과 강철이 맞물리는 마찰음을 방지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차량의 현가장치중 리어 코일 스프링(100)의 상단과 프레임(104)의 브라켓(106)이 결합된 구조에 있어서, 리어코일 스프링(100)의 상단과 프레임(104)의 브라켓(106)의 사이에 고무 인슐레이터(10)를 삽입설치하되, 상기한 고무 인슐레이터(10)를 중앙에 관통홀(18)이 형성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하고, 상기한 리어코일 스프링(100)의 상부끝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저부에는 돌출된 환형 고정부(12)와 측부에는 경사면(14)과 단턱(16)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2184U KR200167540Y1 (ko) | 1995-08-24 | 1995-08-24 |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2184U KR200167540Y1 (ko) | 1995-08-24 | 1995-08-24 |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8533U KR970008533U (ko) | 1997-03-27 |
KR200167540Y1 true KR200167540Y1 (ko) | 2000-03-02 |
Family
ID=1942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2184U KR200167540Y1 (ko) | 1995-08-24 | 1995-08-24 |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754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167B1 (ko) * | 2020-07-06 | 2022-05-23 | 김범수 | 서스펜션 스프링 보강구조 |
-
1995
- 1995-08-24 KR KR2019950022184U patent/KR2001675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8533U (ko) | 1997-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41397A (en) | Stabilizing device for a suspension of an automotive vehicle | |
GB2300162A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US10703155B2 (en) | Multi-functional suspension bushing | |
KR200167540Y1 (ko) |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 |
KR100316887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JP3701958B2 (ja) |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 |
US4093273A (en) |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 |
KR100217590B1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
KR200362004Y1 (ko) |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 |
KR200153096Y1 (ko) |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 |
KR0139695Y1 (ko) |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 |
KR100522512B1 (ko) |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 |
KR0125067Y1 (ko) |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 |
KR200187356Y1 (ko) | 차량의 리프스프링 장착브라켓 | |
KR19980023700A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 |
KR100211571B1 (ko) | 다이어프램을 갖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 |
KR19980029859U (ko) |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 |
KR19980054331U (ko) | 차축 현가 장치 | |
KR20010063147A (ko) | 리어 코일 스프링 시트 | |
JPS59153664A (ja) | 車輌用キヤビンマウント | |
KR19980054341U (ko) |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 |
KR19980017187U (ko) | 자동차용 댐퍼분리형 서스펜션의 로어 스프링시트 | |
KR19990019816U (ko) | 자동차의 서스펜션 로워아암 부시 | |
KR19980064056U (ko) | 자동차 액슬의 리어코일스프링 이탈방지장치 | |
KR19990059800A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