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859U -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 Google Patents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859U
KR19980029859U KR2019960042938U KR19960042938U KR19980029859U KR 19980029859 U KR19980029859 U KR 19980029859U KR 2019960042938 U KR2019960042938 U KR 2019960042938U KR 19960042938 U KR19960042938 U KR 19960042938U KR 19980029859 U KR19980029859 U KR 199800298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pring
damping rubber
spring
lower damping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2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859U/ko
Publication of KR19980029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85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에 관항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시 리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리어 스프링이 항상 안정되게 작용할 수 있는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로워 암(40) 상에 안착되어 리어 스프링(30)을 지지 안내하는 자동차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는,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하부가 위치되는 안착홈(11)과; 상기 안착홈(11)의 외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이탈 방지턱(13)을 갖는 외주 돌기면(12)과;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내측면 일측에 걸림되는 유동 방지턱(15)을 갖는 내주 돌기면(14)과; 상기 외주 돌기면(12)에서 상기 내주 돌기면(14)에 걸쳐 내재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을 몸체지지하는 탄성심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본 고안은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시 리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리어 스프링이 항상 안정되게 작용할 수 있는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조의 자동차(프런트 엔진 리어 바퀴 드라이브식)에서는 구동바퀴가 뒷부분에 있으므로 뒤차축 및 뒤현가는 전동장치의 일부로서 구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자동차 후부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뒤차축 및 뒤현가에도 각종 형식이 있다.
차축식의 뒤현가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들 중 평행 리프 스프링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평행 리프 스프링형의 뒤현가의 구조는 차축을 스프링의 상부에 장치하는 현수식(underslung suspension)과, 스프링의 하부에 장치하는 오버항식(overhung suspension)이 있으며, 차축의 위치 결정용의 링크나 로드류가 불필요하므로 부분품이 적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선회시의 차체의 기울기가 적은 등의 이점이 있다. 코일 스프링형은, 승용차에서는 코일 스프링만으로는 차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컨트롤 암 및 래터럴 로드(lateral rod)에 의해 차축을 지지하고 있다.
현가장치는 액슬축과 차체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의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이나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주는 중요한 장차로,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조정하여 승차감을 좇게 해주는 쇽 업소버, 자동차의 좌 우진동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차감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스프링 현가장치에 전자력으로 스프링의 진동을 제어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은 액슬축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게 해주는 장치이며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토션 바 스프링 등의 금속제 스프링과 고무 스프링, 공기 스프링 등의 비금속제 스프링이 사용된다.
판 스프링(leaf spring)은 적당히 구부린 띠 모양의 스프링 강을 몇 장 겹쳐 그 중심에서 센터 볼트(center bolt)로 조인 것이며, 주 스프링 판의 양끝에는 스프링 아이(spring eye)를 두어 새클 핀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은 비틀었을 때 탄성에 의해 원위치하려는 성질을 이용한 스프링 강의 막대이다. 스프링의 힘은 바의 길이와 단면적에 따라 결정되며 코일 스프링과 같이 진동의 감쇄작용이 없어 쇽 업소버를 병용해야 된다. 토션 바 스프링은 단위 중량당 에너지 흡수율이 가장 크기 때문에 가볍게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다.
공기 스프링(pneumatic spring or air spring)은 압축공기의 탄성을 이용한 스프링이며, 유연한 탄성을 얻을 수 있고 노면으로부터의 아주 작은 진동도 흡수할 수 있어 승차감이 우수하다.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 강을 코일 모양으로 감아서 제작한 스프링이며, 외력을 받으면 비틀려진다. 코일 스프링은 판 스프링과 같이 판간 마찰작용이 없기 때문에 진동의 감쇄작용을 못하며, 옆방향 작용력에 대한 저항력도 없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을 액슬축에 설치할 때에는 링크기구와 쇽 업소버가 필요하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흡수율이 크고 유연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를 보인 요부발췌 분리 사시도로서, 리어 스프링(30)을 액슬축(50)에 설치한 로워 암(40)상에 위치시키고, 리어 스프링(30)과 로어 암(40) 사이에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a)를 개재시킨다.
이 종래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a)는 차체의 진동시 리어 스프링(30)과 로어 암(40)과의 마찰이나 소음을 없애고 리어 스프링(30)의 상하운동을 지지한다.
그러나 이런, 리어 스프링(30)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a)는 차량의 주행시 또는 비포장도로의 통과시, 리어 스프링(30)의 유동으로 로워 암(40)상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a)에서 리어 스프링(30)이 이탈되어 스프링 고유의 탄성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시 리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리어 스프링이 항상 안정되게 작용할 수 있는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로워 암 상에 안착되어 리어 스프링을 지지 안내하는 자동차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는, 상기 리어 스프링의 하부가 위치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외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이탈 방지턱을 갖는 외주 돌기면과;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의 내측면 일측에 걸림되는 유동 방지턱을 갖는 내주 돌기면과; 상기 외주 돌기면에서 상기 내주 돌기면에 걸쳐 내재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을 몸체지지하는 탄성심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를 보인 요부발췌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11: 안착홈
12: 외주 돌기면 13: 이탈 방지턱
14: 내주 돌기면 15: 유동 방지턱
20: 탄성신재 30: 리어 스프링
40: 로워 암 50: 액슬 축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로워 암(40) 상에 안착되어 리어 스프링(30)을 지지 안내하는 자동차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는,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하부가 위치되는 안착홈(11)과; 상기 안착홈(11)의 외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이탈 방지턱(13)을 갖는 외주 돌기면(12)과;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내측면 일측에 걸림되는 유동 방지턱(15)을 갖는 내주 돌기면(14)과; 상기 외주 돌기면(12)에서 상기 내주 돌기면(14)에 걸쳐 내재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을 몸체지지하는 탄성심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시, 진동이 액슬축(50)을 통해 로워 암(40)상의 리어 스프링(30)에 전달된다.
이때, 로워 암(40)과 리어 스프링(30) 사이에 개재된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에는 리어 스프링(30)이 안착홈(11)에 재치된다.
이런 안착홈(11)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 돌기면(12) 선단의 이탈 방지턱(13)이, 리어 스프링(30)의 외측에 걸쳐져서,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를 리어 스프링(30)의 하측에 완강히 고정결합시킨다.
리어 스프링(30)의 내측면도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 내주 돌기면(14) 선단의 유동 방지턱(15)에 걸쳐짐으로서,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는 리어 스프링(30)과 완강히 결착된다.
이를 더욱 완강히 결합하기 위해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의 외주 돌기면(12)에서 내주 돌기면(14)에 걸쳐 탄성심재(20)를 내재시킴으로서 러버몸체를 완강히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리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리어 스프링이 항상 안정되게 작용할 수 있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로워 암(40) 상에 안착되어 리어 스프링(30)을 지지 안내하는 자동차의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10)는,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하부가 위치되는 안착홈(11);
    상기 안착홈(11)의 외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외측면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이탈 방지턱(13)을 갖는 외주 돌기면(12);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에서 돌기형성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의 내측면 일측에 걸림되는 유동 방지턱(15)을 갖는 내주 돌기면(14);
    상기 외주 돌기면(12)에서 상기 내주 돌기면(14)에 걸쳐 내재되어, 상기 리어 스프링(30)을 몸체지지하는 탄성심재(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KR2019960042938U 1996-11-28 1996-11-28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KR199800298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938U KR19980029859U (ko) 1996-11-28 1996-11-28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938U KR19980029859U (ko) 1996-11-28 1996-11-28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859U true KR19980029859U (ko) 1998-08-17

Family

ID=5398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938U KR19980029859U (ko) 1996-11-28 1996-11-28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8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347A (ko) * 2016-02-03 2017-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347A (ko) * 2016-02-03 2017-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8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80029859U (ko)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로워 댐핑러버
KR200153096Y1 (ko)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167540Y1 (ko)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200362004Y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19980017187U (ko) 자동차용 댐퍼분리형 서스펜션의 로어 스프링시트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KR100452428B1 (ko)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341750B1 (ko) 차량용현가장치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9990012402U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243614B1 (ko) 리이프 스프링의 댐핑장치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87356Y1 (ko) 차량의 리프스프링 장착브라켓
KR980007139U (ko) 자동차의 현가 장치
KR20040110800A (ko) 자동차의 u자형상 스트럿
KR19980034685U (ko)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19990020006A (ko) 볼조인트 리테이너
KR19980033327U (ko) 댐퍼를 장착한 리어 현가장치
KR1999001208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개선된 스트러트 마운트구조
KR19980054331U (ko) 차축 현가 장치
KR19980052266U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가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