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86Y1 -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86Y1
KR910007986Y1 KR2019890011755U KR890011755U KR910007986Y1 KR 910007986 Y1 KR910007986 Y1 KR 910007986Y1 KR 2019890011755 U KR2019890011755 U KR 2019890011755U KR 890011755 U KR890011755 U KR 890011755U KR 910007986 Y1 KR910007986 Y1 KR 910007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ring
support
suspension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205U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986Y1/ko
Publication of KR910004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종래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인슈레이터 구조를 보려 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관 2 : 외향플랜지
3 : 고무링 4 : 대향플랜지
J : 연결관 R : 피스톤로드
S : 스트럿 H : 현가서포오
C : 코일스프링 A : 커버체
E : 고무완충제
본 고안은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현가장치와 차체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되는 자동차의 인슈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맥퍼슨형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사이에 개재되어 차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을 통한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게 이를 흡수하는 현가부품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보수가 쉽고 또 로드홀딩성과 승차감이 양호하면서도 엔진실에 넓은 유효공간을 제 공하여 주는 우수한 현가장치로 평가되고 있다.
상기한 맥펑슨형 헌가장치에서 차체로 노면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하는 인슈레이터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제2도의 도시와 같이 되어 있다.
하측이 조향너클로 연결되는 스트럿(S)과, 이 스트럿(S)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외주에 코일스프링(C)이 장착된 피스톤로드(R), 그리고 이 피스톤로드(R)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차체(F)를 지지해 주는 현가서포오트(H)호 이루어져 있다.
현가 서포오트(H)는 상기 피스톤로드(R)의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관(J)을 중앙에 보유하고, 이 연결관(J)과 외주의 커버체(A) 사이는 고무 완충재(E)로 충전되어 상호 일체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은 스트럿(S)으로 전달되고, 이때 스트럿(S) 코일스프링(C)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피스톤로드(R)를 타고 변위하는 완충작용으로 상기 충격은 일차 흡수되고, 최종적으로는 현가 서포오트(H)의 커버체(A)와 연결관(J)사이의 고무완충제(E)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현가 서포오트(H)로 가해지는 충격은 구조적으로 급격하중이 되는 것이므로 그 영향은 예상밖으로 강해서 상기 고무 완충재(E)가 급격하중을 거듭 받게 되면 어느 시기에서 노쇠 현상을 일으켜 균열되어 버린다.
이렇게 생기는 균열은 급격하중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승차감이 나쁘게 될 뿐만 아니라 현가장치의 다른 마찰 부분이 편마모되는 현상의 원인으로 되어 해당부분의 사용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현가장치의 인슈레이터를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고무 완충재가 쉽게 노쇠현상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승차감의 저하와 현가장치의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한 자동차의 인슈레이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인슈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 중 상술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고 있다.
현가 서포오트(H)를 구성하는 커버체(A)는 그 내측 중심에 고무 환충재(E)를 개재하여 지지관(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1)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R)의 상단을 지지하는 연결관(J)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J)은 하측 가장자리에 외향플랜지(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외향플랜지(2)의 상면에는 고무링(3)이 부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링(3)은 그 단면을 반원형으로 해서 외향플랜지(2)의 상면과 잘 접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연결관(J)의 외향플랜지(2)는 지지관(1)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대향플랜지(4)와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대향플랜지(4)는 실제에 있어서 고무링(3)롸 접촉된 상태로 또는 양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부여된 채로 대치시킨다.
대향플랜지(4)가 고무링(3)과 접촉되는 경우, 이 고무링(3)의 돌출 높이를 비교적 높게 설정해야 소망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향플랜지(4)와 고무링(3)사이에 대치간격을 부여하는 것이며, 이 경우는 고무 완충재(E)에 의해 커버체(A)의 내측으로 지지관(1)이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외향플랜지(2)의 고무링(3)과 대향플랜지(4)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부여되는 상태로 지지관(1)과 연결관(J)사이의 광간에 고무완충재를 충전하여 일체로 연결시키면 된다.
상기 고무링(3)은 대향플랜지(4)의 밑면에 부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다.
연결관(J)의 하단부에는 피스톤로드(R)를 축수하는 스러스트 베어링(5)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또 피스톤로드(R)는 코일스프링(C)을 계지하는 상측시이트(6), 그리고 피스톤로드(R)와 스트럿(S)사이를 피복하는 더스트커버(7)를 소정위치에 보유하고 있으나 이들 부품은 종래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도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노면에서 스트럿(S)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스트럿(S)이 코일스프링(C)에 저항해서 피스톤로드(R)를 타고 변위하여 일차 흡수 완화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피스톤로드(R)의 상단에서 연결관(J)으로 가해지는 진동의 흡수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지지관(1)의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관(J)은 피스톤로드(R)를 타고 스트럿(S)이 변위함에 따르는 급격하중을 받게 되고, 그 결과로 급격하중은 연결관(J)을 변위시키려는 힘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연결관(J)은 지지관(1)의 내주면을 타고 변위하게 되지만 이 경우 급격하중은 고무링(3)의 변형으로 흡수 소멸되거나 또는 현저하게 완화된 충격으로 감쇠된 다음에 지지관(1)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로 커버체(A)에대한 지지관(1)의 변위는 생기지 않거나 또는 생기더라도 그 충격은 상당히 감쇠되기 때문에 이러한 완충작용이 거듭되더라도 커버체(A)와 지지관(1)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고무 완충재(E)가 쉽게 노쇠되는 일은 생기지 않는 것이다.

Claims (2)

  1. 차체(F)의 소정부위에 고정부착되는 커버체(A)의 내부로 피스톤로드(R)의 상단을 축수하는 연결관(J)이 수용 지지된 구조를 포함하는 통상의 맥퍼슨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A)와 연결관(J)사이로 지지관(1)이 개재되어 상기 연결관(J)을 유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있으며, 상호대향 배치되는 연결관(J)의 외향플랜지(2)와 지지관(1)의 대향플린지(4)의 어느 한쪽 대향면에 고무링(3)이 접합 개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슈레이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링(3)은 단면이 반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슈레이터 구조.
KR2019890011755U 1989-08-08 1989-08-08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KR910007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5U KR910007986Y1 (ko) 1989-08-08 1989-08-08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5U KR910007986Y1 (ko) 1989-08-08 1989-08-08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05U KR910004205U (ko) 1991-03-18
KR910007986Y1 true KR910007986Y1 (ko) 1991-10-10

Family

ID=1928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755U KR910007986Y1 (ko) 1989-08-08 1989-08-08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9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205U (ko) 199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401A (en)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with dual path isolation
EP0065235B1 (en) Strut type suspension
US4478396A (en) Elastic support structure of wheel suspension mechanism
US4513990A (en) Bushing structure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4747587A (en) Low profile suspension strut
US4210343A (e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GB2179423A (en) Springs
US2962279A (en) Resilient mounting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896938A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EP0063016A1 (en) Suspension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916282A (en) Motor vehicle suspensions
KR910007986Y1 (ko)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US2999678A (en) Auxiliary spring suspensions
US1560655A (en) Shock absorber
JPH03244844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JPH02326Y2 (ko)
JP293512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マウント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JPS595608Y2 (ja) 緩衝器のバンプクツシヨン
JPS633485Y2 (ko)
JPS5843445Y2 (ja) 車輪懸架装置の防振支持装置
KR100766005B1 (ko)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