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910Y1 -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910Y1
KR200161910Y1 KR2019960060380U KR19960060380U KR200161910Y1 KR 200161910 Y1 KR200161910 Y1 KR 200161910Y1 KR 2019960060380 U KR2019960060380 U KR 2019960060380U KR 19960060380 U KR19960060380 U KR 19960060380U KR 200161910 Y1 KR200161910 Y1 KR 200161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vibration
strut mount
stru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224U (ko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60060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9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7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서 이물질 유입을 막는 스트러트 마운트 캡의 구조를 조립성과 밀폐성을 동시에 증대시키도록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러트 마운트에 형성된 체결요부로 이물질의 유입과 진동감쇠를 위해 끼움 구성되는 방진 캡에 있어서, 상기 방진 캡의 외주에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의 요부 내로의 완전한 면접촉과 차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슬릿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본 고안은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서 이물질 유입을 막는 스트러트 마운트 캡의 구조를 조립성과 밀폐성을 동시에 증대시키도록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러트형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너클(도시안됨)과 일체로 되고,쇽 업소버(12), 상기 쇽 업소버(12)를 내장하는 스트러트(10), 현가암, 스트러트(10) 하부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14) 및 스프링(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러트(10)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16)을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시트(18)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이러한 어셈블리가 장치되고 차체에 설치되었을 경우 진동을 감쇠시키고자 하는 스트러트 마운트(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러트 마운트(20)의 상부에는 현가 어셈블리 특히, 쇽 업소버(12)와 체결되는데 이의 구조는 러버재질의 방진고무(22)의 내,외곽으로 강성을 갖는 내철(24)과 외철(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부분에 상기 쇽 업소버(12)와의 체결을 위한 요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 요부(28)로 도 1 및 도 2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 재질의 방진 캡(30)이 끼워져 마감되는데 이는 상기 요부(28)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캡은 단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버섯모양처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부로 끼우는 과정이 힘들었을 뿐아니라 그 요부로 완전히 면접촉되기 힘들어 차체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서 이물질 유입을 막는 스트러트 마운트 캡의 구조를 조립성과 밀폐성을 동시에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해 캡의 외주에 일정 길이의 진동방지 슬릿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트러트 마운트에 형성된 체결요부로 이물질의 유입과 진동감쇠를 위해 끼움 구성되는 방진 캡에 있어서,
상기 방진 캡의 외주에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의 요부 내로의 완전한 면접촉과 차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슬릿을 형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현가장치의 구성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스트러트 마운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b는 종래의 방진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방진 캡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스트러트 마운트,
28: 체결요부,
30: 방진 캡,
32: 슬릿,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방진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스트러트 마운트(20)에 형성된 체결요부(28)로 이물질의 유입과 진동감쇠를 위해 끼움 구성되는 방진 캡(30)에 있어서,
상기 방진 캡(30)의 외주에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20)의 요부(28) 내로의 완전한 면접촉과 차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슬릿(32)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러트 마운트(20)는 내,외주가 강철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방진을 목적으로 하는 러버 재질의 고무가 충진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방진 캡(30)은 중앙에 형성된 요부(28)에 끼워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방진 캡(30)의 외주 일측에 길이방향의 슬릿(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방진 캡(30) 하부 내경을 슬릿(32)에 의해 인위적으로 줄일 수 있어 그 요부(28)로 간단히 끼울 수 있는 한편, 현가장치로부터 진동이 발생되어 스트러트 마운트(20)로 전달된다 하더라도 상기 슬릿(32)의 형성에 의해 흡수되어 이탈이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간단한 슬릿 형성으로캡의 이탈을 방지하게 될 뿐 아니라 현가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매우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스트러트 마운트(20)에 형성된 체결요부(28)로 이물질의 유입과 진동감쇠를 위해 끼움 구성되는 방진 캡(30)에 있어서,
    상기 방진 캡(30)의 외주에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20)의 요부(28) 내로의 완전한 면접촉과 차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슬릿(3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KR2019960060380U 1996-12-28 1996-12-28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KR200161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80U KR200161910Y1 (ko) 1996-12-28 1996-12-28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80U KR200161910Y1 (ko) 1996-12-28 1996-12-28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24U KR19980047224U (ko) 1998-09-25
KR200161910Y1 true KR200161910Y1 (ko) 1999-12-01

Family

ID=1948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380U KR200161910Y1 (ko) 1996-12-28 1996-12-28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9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2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977A (en) Strut type suspension for a vehicle
KR200161910Y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JPH0442592Y2 (ko)
KR0157831B1 (ko) 서스펜션 서포터의 댐퍼 이탈 및 회전방지구조
KR100211345B1 (ko) 자동차의 스트럿 소음방지 구조
JPH03584Y2 (ko)
KR0183304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의 장착구조
KR100235185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JP2000074126A (ja) バンパーラバー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KR19990025221U (ko) 쇽업쇼바용 더스트커버의 고정구조
KR0150325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충격흡수구조
JPH0338004Y2 (ko)
KR0177488B1 (ko) 쇽 압소버 로드 회전방지구조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041286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체결구조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JPH0238120A (ja) 車両懸架装置
KR0121021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하우징 구조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9990026790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체결부커버 이탈방지구조
KR100229167B1 (ko) 일체형 더스트커버를 가진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마운팅
JP2581703Y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9980044729U (ko) 자동차의 스트럿트 마운트 밀봉구조
KR19980043190U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