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15B1 -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15B1
KR0131315B1 KR1019920004156A KR920004156A KR0131315B1 KR 0131315 B1 KR0131315 B1 KR 0131315B1 KR 1019920004156 A KR1019920004156 A KR 1019920004156A KR 920004156 A KR920004156 A KR 920004156A KR 0131315 B1 KR0131315 B1 KR 013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shock absorber
stopper
impact forc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41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0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15B1/ko
Publication of KR93001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주행중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켜 승차감 및 조정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오일의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측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가 제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이 탄발 설치된 쇽 업소오버의 로드와, 상기한 로드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스프링 시이트와 볼팅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차체와 스토퍼용 에어주머니를 개재하여 안내되도록 스토퍼를 보유하는 가이드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방향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도록 내측 에어주머니가 안착됨은 물론 외측에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 지지대와, 상기한 내측 지지대에 형성된 리브에 횡방향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외측 에어주머니가 개재됨과 아울러 승강되는 내측 지지대를 안내하도록 차체에 고정 설치된 외측 지지대로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되는 에어주머니의 사시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드 11 : 상부 스프링 시이트
12 : 코일 스프링 13 : 내측 지지대
14 : 차체 15 : 스토퍼용 에어주머니
16 : 스토퍼 17 : 가이드
18 : 내측 에어주머니 19 : 리브
20 : 외측 에어주머니 21 : 외측지지대
V1 : 일방향 밸브 V2 : 안전밸브
이 발명은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오버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쇽 업소오버는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스프링의 상하 운동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주로 유압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유압식 쇽 업소오버는 유체에 의한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의 감쇠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안내를 겸한 가늘고 긴 원통을 결합한 구조를 취하며 내부에는 차축과 연결된 실린더와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턴으로 구성되는 원통형 쇽 업소오버와, 실린더 및 피스턴을 미는 앵커레버, 앵커샤프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레버형 쇽 업소어버가 있다.
또한, 쇽 업소오버는 서스펜션 링크의 일부로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맥퍼슨식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방식은 실린더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턴 로드에 피스턴이 결합디고 이 피스턴에는 피스턴 밸브 및 논리터언 밸브가 설치되어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부호(1)은 쇽 업소오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쇽 업소오버(1)는 피스턴 로드(2)의 상단이 고무재질의 댐퍼(3)와 부싱(4)을 개재하여 차체(5)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아래측은 도시되지 않은 차축에 고정 설치되어 오일의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쇽 업소오버(1)는 차체(5)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패드(6)를 보유하는 상부 스프링 시이트(7)와 쇽 업소오버(1)의 소정위치에 제공된 하부 스프링 시이트(도시생략) 사이에 코일 스프링(8)이 탄발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먼지등 이불질이 쇽 업소오버(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는 차량이 주행할때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쇽 업소오버에 내장된 피스턴의 신축작용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이 피스턴 로드(2)의 상단에 제공된 댐퍼(3)와 부싱(4)을 경유하면서 감쇠되어 차체(5)에 전달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8)의 고유 진동이 신속하게 흡수되어 상부 스프링 시이트(7)에 제공된 패드(6)를 통해 차체(5)에 전될됨으로써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피스턴 로드(2)를 통해 차체(5)에 전달되는 충격력이 신충성이 약한 고무재질의 댐퍼(3)와 부싱(4)에 의해 많은 양이 전달되기 때문에 승차감이 저하되고, 횡방향으로 받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노이즈의 발생에 따른 정숙성 및 조정 안정성이 저하되는 제반 문제점이 내재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주행중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켜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오일의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측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가 제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이 탄발 설치된 쇽 업소오버의 로드와, 상기한 로드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스프링 시이트와 볼팅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차체와 스토퍼용 에어주머니를 개재하여 안내되도록 스토퍼를 보유하는 가이드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방향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도록 내측 에어주머니가 안착됨은 물론 외측에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 지지대와, 상기한 내측 지지대에 형성된 리브에 횡방향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외측 에어주머니가 개재됨은 아울러 승강되는 내측 지지대를 안내하도록 차체에 고정 설치된 외측 지지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각각의 에어주머니는 소정의 위치에 공기주입을 위한 일방향 밸브와 과다한 공기압에 의해 터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 이상이면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상의 안전밸브가 장착됨과 아울러 신축성을 구비한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내측 지지대는 내측에 안착된 내측 에어주머니가 상하방향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내측 에어주머니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다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되는 에어주머니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부호(10)은 아래측이 차축(도시생략)에 고정 설치된 쇽 업소오버(도시생략)의 로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쇽 업소오버의 로드(10)는 상단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11)가 제공되어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12)이 탄발 설치됨과 아울러 오일의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도시생략)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스프링 시이트(11)와 볼팅 등으로 내측 지지대(13)가 고정 설치되고, 이 내측 지지대(13)는 중앙에 차체(14)와 스토퍼용 에어주머니(15)가 개재되어 승강 안내되도록 상단에 스토퍼(16)를 보유하는 가이드(17)의 아래측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 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내측 에어주머니(18)가 안착됨은 물론 외축에 리브(19)가 일체로 형성되어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1차적으로 쇽 업소오버의 오일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이 이루어진 이후의 차체(14)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내측 에어주머니(18)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내측 지지대(13)의 높이는 내측 에어주머니(18)의 상하 방향의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 에어주머니(18)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내측 지지대(13)에 형성된 리브(19)에 로드(10)의 승강에 따른 횡방향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외측 에어주머니(20)를 개재함과 아울러 내측 지지대(13)의 승강을 안내하는 외측 지지대(21)가 차체(14)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에어주머니(15)(18)(20)는 소정의 위치에 공기 주입을 위한 일방향 밸브(V1)와 과다한 공기압에 의해 터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 이상이면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상의 안전밸브(V2)가 장착됨은 물론 신축성을 구비한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발명의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는,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쇽 업소오버의 오일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에 따라 피스턴의 알맞는 속도에 의해 그 충격력이 감쇠됨은 물론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차체(14)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감쇠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체(14)에 전달되는 2차적인 충격력은 로드(10)의 승강에 따른 내측 에어주머니(18)가 신축됨으로써 그 충격력을 흡수함과 아울러 내측 지지대(13)에 형성된 리브(19)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공된 외측 에어주머니(20)가 신축됨으로써 외측 지지대(21)를 통해 차체(14)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함은 물론 횡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을 흡수함은 물론 횡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을 보다 신속하고 많은 양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는, 차량이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력이 쇽 업소오버의 오일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에 의해 피스턴의 알맞는 속도에 의해 1차적으로 감쇠됨과 아울러 충격에 따른 고유 진동수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되며, 여분의 충격력이 각각의 에어주머니의 신축작용에 따라 2차적으로 흡수되어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극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이 향상됨은 물론 횡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정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오일의 흐름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피스턴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측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11)가 제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12)이 탄발 설치된 쇽 업소오버의 로드(10)와, 상기한 로드(10)의 상단에 제공된 상부 스프링 시이트(11)와 볼팅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차체(14)와 스토퍼용 에어주머니(15)를 개재하여 안내되도록 스토퍼(16)를 보유하는 가이드(17)가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방향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도록 내측 에어주머니(18)가 안착됨은 물론 외측에 리브(19)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 지지대(13)와, 상기한 내측 지지대(13)에 형성된 리브(19)에 횡방향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충격흡수를 할수 있도록 외측 에어주머니(20)가 개재됨과 아울러 승강되는 내측 지지대(13)를 안내하도록 차체(14)에 고정 설치된 외측 지지대(2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에어주머니(15)(18)(20)는 소정의 위치에 공기 주입을 위한 일방향 밸브(V1)와 과다한 공기압에 의해 터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 이상이면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상의 안전밸브(V2)가 장착됨과 아울러 신축성을 구비한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내측 지지대(13)는 내측에 안착된 내측 에어주머니(18)가 상하방향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내측 에어주머니(18)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1019920004156A 1992-03-13 1992-03-13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013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156A KR0131315B1 (ko) 1992-03-13 1992-03-13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156A KR0131315B1 (ko) 1992-03-13 1992-03-13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41A KR930019441A (ko) 1993-10-18
KR0131315B1 true KR0131315B1 (ko) 1998-04-21

Family

ID=1933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156A KR0131315B1 (ko) 1992-03-13 1992-03-13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41A (ko) 199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786B1 (ko) 유압식 스트럿 마운팅 구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RU20411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CN214928812U (zh) 悬架系统缓冲块组件、悬架系统及汽车
KR970010361B1 (ko) 완충기
KR100245182B1 (ko) 가변 오일 오리피스를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330892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00245740B1 (ko) 쇽 업소버
KR0176356B1 (ko) 자동차의 유압식 쇽 업소버
KR100243614B1 (ko) 리이프 스프링의 댐핑장치
KR0116172Y1 (ko)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0174821B1 (ko) 충격흡수 기능이 보강된 쇽 업소바
KR19990026500U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200178195Y1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KR19980064662U (ko)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CN114458713A (zh) 减震器及汽车
KR19980049060A (ko) 통형 쇽업소버
KR19990012402U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00004631A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