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740B1 -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740B1
KR100245740B1 KR1019970061678A KR19970061678A KR100245740B1 KR 100245740 B1 KR100245740 B1 KR 100245740B1 KR 1019970061678 A KR1019970061678 A KR 1019970061678A KR 19970061678 A KR19970061678 A KR 19970061678A KR 100245740 B1 KR100245740 B1 KR 10024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ner case
lower chamber
shock absorber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124A (ko
Inventor
신영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7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쇽 업소버는, 제한된 쇽 업소버의 크기로서 충분히 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고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측이 타이어의 로워암에 고정 결합되며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아웃터 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아웃터 쳄버를 형성하고 또한 내구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오일이 채워지며 어퍼쳄버와 로워쳄버로 나누며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격벽과, 상기한 격벽의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차체의 일측에 탄지되는 로드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하단에 배치되며 로워쳄버의 유체를 아웃터 쳄버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격벽과,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격벽과 로워쳄버에 설치되며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대충격 흡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쇽 업소버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며 주행중 또는 정차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바퀴를 지지하는 로워아암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조정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쇽 업소버는 유체에 의하여 댐핑 기능을 하는 댐퍼와, 이 댐퍼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댐퍼는, 도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쳄버(101)와 외측 쳄버(103)가 형성되며, 내측 쳄버(101)는 다시 어퍼 쳄버(105)와 로워쳄버(107)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어퍼쳄버(105)와 로워쳄버(107)는 차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로드(109)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격벽(111)에 의하여 나누어지고 있다.
상기한 격벽(111)에는 어퍼쳄버(105) 및 로워쳄버(107)측으로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오리피스(113)(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워쳄버(107)의 저면에는 로워쳄버(107)의 유체가 외측쳄버(10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역시 오리피스(117)(119)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쇽 업소버는, 바퀴측에서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우선적으로 스프링(도시생략)이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댐퍼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바퀴와 차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차체를 지지하는 로드(109)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댐퍼의 어퍼쳄버(105) 및 로워쳄버(107)를 나누는 격벽(111)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격벽(111)이 이동함에 따라 로워쳄버(107)의 유체가 어퍼쳄버(105)측으로 실선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로워쳄버(107)의 유체가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외측쳄버(103)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진동을 충분하게 흡수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댐퍼의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때는 상술한 역방향으로 유체가 각 쳄버를 이동함으로서 역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및 댐퍼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쇽 업소버는, 쇽 업소버의 충격력 흡수의 용량이 제한되어 그 한계치를 넘게 되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충분하기 발휘하지 못하여 차량의 전복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쇽 업소버는 제한된 크기의 범위내에서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외부의 충격에 충분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쇽 업소버의 크기로서 충분히 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고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도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4는 도1에 대응하는 종래의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쇽 업소버는, 일측이 타이어의 로워암에 고정 결합되며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아웃터 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아웃터 쳄버를 형성하고 또한 내구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오일이 채워지며 어퍼쳄버와 로워쳄버로 나누며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격벽과,
상기한 격벽의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차체의 일측에 탄지되는 로드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하단에 배치되며 로워쳄버의 유체를 아웃터 쳄버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격벽과,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격벽과 로워쳄버에 설치되며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대충격 흡수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큰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로워쳄버의 유체의 압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케이스(1),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1)의 내측에 수납되는 인너 케이스(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1)는 로워아암(도시생략)에 저면 일측이 고정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1)의 수납공간에는 인너 케이스(3)가 인입되고 이 인너 케이스(3)의 내부에는 역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1)의 내측에 인너 케이스(3)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유체가 채워지는 아웃터 쳄버(5)를 형성한다.
상기한 인너쳄버(7)는 로워쳄버(9) 및 어퍼쳄버(11)로 나누는 격벽(13)이 형성된다. 상기한 격벽(13)은 인너쳄버(7)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차체에 고정되는 로드(15)가 고정된다.
상기한 격벽(13)에는 어퍼쳄버(11) 및 로워쳄버(9)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오리피스(17)(1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로워쳄버(9)의 하단에는 로워쳄버(9)의 유체가 아웃터 쳄버(5)와 유체가 선택적으로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역시 또 다른 격벽(21)을 설치하여 이 격벽(21)에 오리피스관로(23)(2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로워쳄버(9)의 내측에는 중간부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컨트롤 부재(27)를 설치한다.
상기한 컨트롤 부재(27)는, 도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유체 유통공(29)이 형성되고 이 유체 유통공(29)의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역시 또다른 유체 유통공(31)이 형성된다.
상기한 컨트롤 부재(27)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체 유통공(29)은 주위에 형성되는 유체 유통공(31)에 비하여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워쳄버(9)의 하단부 및 상기한 컨트롤 부재(27)를 탄지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된다.
상기한 탄성부재는 압축코일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지며 컨트롤 부재(27)는 어퍼쳄버(11)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형성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로워쳄버(9)의 저면에는 컨트롤 부재(2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유통공(29)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유체 유통공 차폐부재(35)가 배치된다.
상기한 유체 유통공 차폐부재(35)가 컨트롤 부재(27)와 접촉하는 접촉면은 신축성이 있어 소정의 압력에 의하여 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쇽 업소버는, 차량의 주행중 또는 정차중에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로워쳄버(9)의 유체가 어퍼쳄버(11) 및 아웃터 쳄버(5)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로워쳄버(9)의 유압은 어퍼쳄버(11)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격벽(13)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유통공(17)(19)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아웃터 쳄버(5)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컨트롤 부재(27)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체 유통공(29)을 통과하고 이 유체 유통공(29)을 통과한 유체는 계속해서 로워쳄버(9)의 저면에 형성되는 유체 유통공(23)(25)을 통하여 아웃터쳄버(5)로 인입된다.
그리고 보다 강한 충격이 발생하게되면, 도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워쳄버(9)의 유압은 컨트롤 부재(27)의 상면을 가압하여 컨트롤 부재(27)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유체 유통공 차폐부재(35)에 의하여 컨트롤 부재(27)의 유체 유통공(29)이 차폐된다.
따라서 컨트롤부재(27)의 다른 유통공(31)을 통하여 제한된 유체만이 아웃터 쳄버(3)로 인입되어 로워쳄버(9)는 압력이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쇽 업소버가 급격하게 수축되지 않고 비교적 강한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 차량이 급격하게 롤 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는, 외부에서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워쳄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댐퍼의 수축율이 감소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선회시에 안전성을 확보하여 차량의 전복사고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종안정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일측이 타이어의 로워암에 고정 결합되며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아웃터 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아웃터 쳄버를 형성하고 또한 내구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오일이 채워지며 어퍼쳄버와 로워쳄버로 나누며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격벽과,
    상기한 격벽의 중앙부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차체의 일측에 탄지되는 로드와,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하단에 배치되며 로워쳄버의 유체를 아웃터 쳄버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격벽과,
    상기한 인너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격벽과 로워쳄버에 설치되며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대충격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대충격 흡수수단은 인너 케이스의 로워쳄버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유체 유통공이 형성되며 이 유체 유통공에서 소정의 이격한 거리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또 다른 유체 유통공이 형성되는 컨트롤 부재와,
    상기한 로워쳄버의 저면에 배치되며 컨트롤 부재를 탄지하여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로워쳄버의 저면에 고정 배치되어 컨트롤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유통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체 유통공 차폐부재로 이루어지는 쇽 업소버.
  3. 제2항에 있어서, 컨트롤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체 유통공은 외주에 형성되는 유체 유통공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KR1019970061678A 1997-11-21 1997-11-21 쇽 업소버 KR10024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678A KR100245740B1 (ko) 1997-11-21 1997-11-21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678A KR100245740B1 (ko) 1997-11-21 1997-11-21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124A KR19990041124A (ko) 1999-06-15
KR100245740B1 true KR100245740B1 (ko) 2000-04-01

Family

ID=1952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678A KR100245740B1 (ko) 1997-11-21 1997-11-21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7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12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8154A (en) Pneumatic spring,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KR100245740B1 (ko) 쇽 업소버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H0719643U (ja) 車両用緩衝装置
JPH03535B2 (ko)
KR100245182B1 (ko) 가변 오일 오리피스를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US3727961A (en) Fluid shock absorbing bumper assembly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100246136B1 (ko) 트윈 쇽업소버를 구비한 현가장치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00330893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0024376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930005181Y1 (ko) 자동차용 유압식 쇽업쇼오버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JPS6020618B2 (ja) エアースプリング式シヨツクアブソーバ
KR100330046B1 (ko) 쇽업소버용 오리피스구조
KR20010046595A (ko) 쇽업소버용 오리피스구조
KR20016179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댐퍼구조
KR100330892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9990054277A (ko) 쇽압쇼바의 보디밸브
JPH1163079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9990019839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쇽업소버 완충구조
KR19980064662U (ko)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