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736B1 - 자동차의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736B1
KR100435736B1 KR10-2001-0054025A KR20010054025A KR100435736B1 KR 100435736 B1 KR100435736 B1 KR 100435736B1 KR 20010054025 A KR20010054025 A KR 20010054025A KR 100435736 B1 KR100435736 B1 KR 10043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er
members
coupled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619A (ko
Inventor
우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7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F16F9/303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the damper being of the telescop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7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in twin-tube typ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외통(1)과 내통(2)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3)와, 일단이 상기 외통(1)과 내통(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2)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피스톤(4) 및 피스톤로드(5)와, 상기 내통(2)내에 채워지는 오일(6)과, 상기 외통(1)을 관통한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차체와 결합되는 상단필로우볼 부시(10)와, 상기 내통(2)의 하측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현가아암과 결합되는 하단필로우볼 부시(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외통(1)을 관통한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 상단필로우볼 부시(10)가 결합되면서 내통(2)의 하측 외주면에 하단필로우볼 부시(20)가 결합되어져,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3)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실내공간이 쇽업소버의 짧아진 길이만큼 넓게 확장되면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차체의 바닥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차체 바닥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어조정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서, 그 주요 구성요소로는 차륜의 범프/리바운드(BUMP/REBOUND)시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하는 스프링의 진동을 신속히 감쇄시키며 일정한 차고를 유지하는 쇽업소버가 있는 바, 이들 스프링과 쇽업소버를 일체로 구성하여 너클에 연결하는 스트럿방식이 있고 이들을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의 현가장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쇽업소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 기본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과 내통(2)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3)와, 일단이 상기 외통(1)과 내통(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2)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피스톤(4) 및 피스톤로드(5)와, 상기 내통(2)내에 채워진 오일(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1)의 밖에 위치되는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는 차체쪽으로 결합되는 상부부시(7)가 원통형 케이스(7a)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내통(2)의 하단에는 현가아암(도시않됨)쪽으로 결합되는 하부부시(8)가 원통형 케이스(8a)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쇽업소버의 전체길이(L1)는 피스톤로드(5)의 끝단에서 내통(2)까지의 길이(L1)이며, 상기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2)는 상기 상부부시(7)가 결합된 원통형 케이스(7a)에서부터 상기 하부부시(8)가 결합된 원통형 케이스(8a)까지의 길이(L2)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쇽업소버는 압축(BUMP)시 피스톤로드(5)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피스톤(4) 하부의 공간은 고압이 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4) 하측의 오일(6)은 피스톤(4)에 형성된 오일구멍(4a)을 통해 피스톤(4)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피스톤로드(5)가 이동된 체적분의 오일은 외통(1)과 내통(2) 사이의 공간인 리저버(도시않됨)로 유출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쇽업소버의 신장(REBOUND)에는 피스톤로드(5)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피스톤(4) 상부는 고압이 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4) 상측으로 이동되었던 오일(6)은 피스톤(4)에 형성된 오일구멍(4a)을 통해 피스톤(4)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리저버(도시않됨)로 유출되었던 오일도 피스톤(4)의 하측 공간으로 회수되면서 오일(6)의 유동저항이 감쇠력이 되어 스프링의 진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최근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로서 부각되고 있는 RV(recreational vehicle)차량 이나 또는 SUV(sport utility vehicle)차량은 공간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현가장치)에 할당된 공간을 최소화시켜야 하며, 그 중에서도 쇽업소버에 할당된 공간을 최소화시켜야만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장착길이(L2)가 비교적 큰 종래의 쇽업소버를 RV차량이나 또는 SUV차량에 장착시켰을 경우 상기 쇽업소버가 원활하게 현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더 이상 확장시키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2)를 축소시키게 되면, 상기 쇽업소버의 행정(stroke)이 그만큼 감소되게 되며 이로 인해 승차감이 나빠지면서 조정안정성도 더불어 나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일한 현가기능을 수행하면서 장착길이도 짧은 쇽업소버를 차량에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차체의 바닥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조정안정성 및 탑승자의 승차감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쇽업소버는, 외통과 내통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외통과 내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와, 상기 내통내에 채워지는 오일과, 상기 외통을 관통한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차체와 결합되는 상단필로우볼 부시와, 상기 내통의 하측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현가아암과 결합되는 하단필로우볼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쇽업소버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통 2 - 내통
3 - 실린더 4 - 피스톤
10 - 상단필로우볼 부시 11,21 - 스터드부재
12,22 - 베어링부재 13,23 - 더스트커버부재
14,24 - 윤활부재 15,25 - 내부케이스부재
16,26 - 시이트부재 17,27 - 충격흡수부재
18,28 - 외부파이프부재 20 - 하단필로우볼 부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과 내통(2)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3)와, 일단이 상기 외통(1)과 내통(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2)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피스톤(4;도1에 도시됨) 및 피스톤로드(5)와, 상기 내통(2)내에 채워지는 오일(6;도1에 도시됨)과, 상기 외통(1)을 관통한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차체와 결합되는 상단필로우볼 부시(10)와, 상기 내통(2)의 하측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현가아암과 결합되는 하단필로우볼 부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필로우볼 부시(10)와 하단필로우볼 부시(20)는, 상기 피스톤로드(5)의 일단과 상기 내통(2)의 외주면이 각각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관통구멍(11a,21a)이 형성된 스터드부재(11,21)와, 이 스터드부재(11,21)에 구비된 원형돌기부(11b,21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부재(12,22)와, 이 베어링부재(12,22)와 상기 스터드부재(11,21)를 연결하면서 스터드부재(11,21)의 양끝단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더스트커버부재(13,23)와, 상기 스터드부재(11,21) 및 베어링부재(12,22)와 더스트커버부재(13,23)사이의 틈으로 충진되는 윤활부재(14,24)와, 상기 베어링부재(12,22)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케이스부재(15,25)와, 상기 더스트커버부재(13,23)와 내부케이스부재(15,25)사이의 틈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시이트부재(16,26)와, 상기 내부케이스부재(15,25)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17,27)와, 이 충격흡수부재(17,27)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외부파이프부재(18,28)로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외통(1)을 관통한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 상단필로우볼 부시(10)가 끼워져 결합되면서 내통(2)의 하측 외주면에 하단필로우볼 부시(20)가 끼워져서 결합되게 되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 쇽업소버와 동일한 현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쇽업소버의 전체길이(L3)와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3)도 동일하게 L3의 길이로 같아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3)가 전체길이(L3)와 동일한 길이로 같아지게 되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2)보다 짧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서스펜션(현가장치)에 할당된 공간중 쇽업소버에 할당된 공간이 최소화되면서 실내공간을 그만큼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탑승자의 승차감도 넓어진 공간만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3)가 종래 쇽업소버의 장착길이(L2)보다 짧아지게 되면, 차체의 바닥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면서 운전자는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통을 관통한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상단필로우볼 부시가 결합되면서 내통의 하측 외주면에 하단필로우볼 부시가 결합되어져, 쇽업소버의 장착길이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실내공간이 쇽업소버의 짧아진 길이만큼 넓게 확장되면서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고, 아울러 차체의 바닥도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외통(1)과 내통(2)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3)와, 일단이 상기 외통(1)과 내통(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2)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피스톤(4) 및 피스톤로드(5)와, 상기 내통(2)내에 채워지는 오일(6)과, 상기 외통(1)을 관통한 피스톤로드(5)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차체와 결합되는 상단필로우볼 부시(10)와, 상기 내통(2)의 하측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현가아암과 결합되는 하단필로우볼 부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필로우볼 부시(10)와 하단필로우볼 부시(20)가, 상기 피스톤로드(5)의 일단과 상기 내통(2)의 외주면이 각각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관통구멍(11a,21a)이 형성된 스터드부재(11,21)와, 이 스터드부재(11,21)에 구비된 원형돌기부(11b,21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부재(12,22)와, 이 베어링부재(12,22)와 상기 스터드부재(11,21)를 연결하면서 스터드부재(11,21)의 양끝단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더스트커버부재(13,23)와, 상기 스터드부재(11,21) 및 베어링부재(12,22)와 더스트커버부재(13,23)사이의 틈으로 충진되는 윤활부재(14,24)와, 상기 베어링부재(12,22)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케이스부재(15,25)와, 상기 더스트커버부재(13,23)와 내부케이스부재(15,25)사이의 틈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시이트부재(16,26)와, 상기 내부케이스부재(15,25)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17,27)와, 이충격흡수부재(17,27)의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된 외부파이프부재(18,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2001-0054025A 2001-09-04 2001-09-04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43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25A KR100435736B1 (ko) 2001-09-04 2001-09-04 자동차의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25A KR100435736B1 (ko) 2001-09-04 2001-09-04 자동차의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19A KR20030020619A (ko) 2003-03-10
KR100435736B1 true KR100435736B1 (ko) 2004-06-12

Family

ID=2772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25A KR100435736B1 (ko) 2001-09-04 2001-09-04 자동차의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7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2552A (ja) * 1983-05-16 1984-12-0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H0481807U (ko) * 1990-11-28 1992-07-16
JPH08133133A (ja) * 1994-11-14 1996-05-2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ボデー構造
KR1998004874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쇽업소버의 로어마운팅구조
KR200162029Y1 (ko) * 1997-05-06 1999-12-01 장명길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2552A (ja) * 1983-05-16 1984-12-0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H0481807U (ko) * 1990-11-28 1992-07-16
JPH08133133A (ja) * 1994-11-14 1996-05-2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後部ボデー構造
KR1998004874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쇽업소버의 로어마운팅구조
KR200162029Y1 (ko) * 1997-05-06 1999-12-01 장명길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19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1690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
US7040608B2 (en) Bearing for wheel suspensions in a motor vehicle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US5186439A (en) Friction compensating automotive suspension strut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80008031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245182B1 (ko) 가변 오일 오리피스를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CN215904272U (zh) 一种具有分级减震功能的汽车悬架减震装置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0391602B1 (ko) 차량의 롤링 방지용 스트럿어셈블리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100766005B1 (ko) 현가장치
KR19980054472U (ko) 쇽 업소버의 아이부 장착구조
KR0176356B1 (ko) 자동차의 유압식 쇽 업소버
KR0116172Y1 (ko)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20050076859A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어셈블리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19990050310A (ko) 자동차 쇽 업소버 구조
CN117162720A (zh) 一种双减振器悬架结构及车辆
KR20000004631A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