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631A -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631A
KR20000004631A KR1019980026090A KR19980026090A KR20000004631A KR 20000004631 A KR20000004631 A KR 20000004631A KR 1019980026090 A KR1019980026090 A KR 1019980026090A KR 19980026090 A KR19980026090 A KR 19980026090A KR 20000004631 A KR20000004631 A KR 2000000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sheet
shock absorber
rub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낙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8002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631A/ko
Publication of KR2000000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3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쇽업소버의 스프링이 압축 및 인장될 경우, 스프링 시트의 내면에 설치된 러버가 스프링 시트의 밖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여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이 직접 닿으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100)의 플랜지(110) 선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11)를 구성하되 내측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스프링 시트(100)의 내면에 러버(200)를 설치한 후, 스프링 시트(100)의 플랜지(110)에 형성된 연장부(111)를 내측으로 구부려 연장부(111)에 의해 러버(20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스프링(300)의 인장 및 압축에 의해 스프링 시트(100)에 설치된 러버(200)가 스프링 시트(100)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여 쇽업소버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본 발명은 차체의 상,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진동을 억제해주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쇽업소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지지해주는 시트 스프링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의 내면과 스프링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하여 시트 스프링 내면에 설치되는 러버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 시트의 밖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완충기구는 현가 스프링과 쇽업소버가 있으며 상기 현가 스프링에는 겹침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토션바, 공기 스프링 등이 있고 이들 현가 스프링은 차체를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오는 진동이나 충격하중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쇽업소버는 차체의 상하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의 향상, 적재된 화물의 보호, 차체 각부의 동적응력 저감에 따른 수명의 증가를 꾀함과 동시에 스프링 상하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하고 또한 관성력에 의한 자세변화를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성능 향상을 꾀하는 것이며 이 진동력을 통상 감쇠력이라고 한다.
또한 쇽업소버의 종류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형과 레버(lever)형, 그리고 가스주입식 및 스터러트형 쇽업소버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텔레스코픽형은 가이드를 겸한 긴 원통을 조합하여 내부에는 액슬축과 연결하는 실린더와 차체축에 연결된 피스톤이 있고 실린더 내에는 오일로 충만되어 있으며 단동식에는 리바운드(늘어날 때)할 때 통과하는 오일의 저항으로 진동을 조정하고 바운드할 때(압축할 때)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는 밸브가 열러 오일에 저항없이 통과한다.
그리고 복동식은 늘어날 때나 압축될 때 모두 저항이 생기게 되어 있어 출발할 때나 제동할 때의 노스업(nose-up)이나 노스다운(nose-down)을 방지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구멍이나 밸브기구가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형식에서는 링크나 로드는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과 함께 직접 설치할 수 있어 링크기구 등에 의한 마찰손실이 적고 실린더 내에 발생되는 유압도 비교적 낮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다량 생산이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피스톤행정이 길고 실린더 동작 등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어 주로 소형이나 중형차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레버형에는 피스톤식, 회전 날개식이 있으며 상기 피스톤식은 링크와 레버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그내부는 피스톤, 피스톤을 밀어주는 앵커레버, 실린더와 앵커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유밀을 지지하기 쉽고 낮은 점도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성능적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성능의 영향을 덜 받고 레버나 링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체에 설치하기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 날개식은 날개바퀴, 압력실, 칸막이벽 및 오일구멍과 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날개바퀴가 회전축의 일부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오일이 새기 쉽기 때문에 정밀하게 다듬질 하여야 하고 높은 점도의 오일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가스주입식은 유압식의 일종으로 실린더 내부에 프리 피스톤을 두고 그 밑에 고압의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있어 내부압력이 걸려있고 하나의 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할 때 오일에 기포가 쉽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작동되어도 감쇠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실린더가 하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스트러트형 쇽업소버는 스트러트형 첨가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 현가장치는 중공인 스트러트와 코일 스프링이 조합되어 현가암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러트내의 피스톤로드가 쇽업소버와 연결되어 있어 압축의 경우는 피스톤 로드 끝의 메인밸브는 닫히고 논 리턴 밸브가 열려서 피스톤 하부의 작용유는 실린더 상부에 유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하부의 저 밸브로부터 감쇠력이 발생하여 실린더 외측의 스트러트 튜브 내로 들어간다. 신장의 경우는 피스톤 상부의 작동유가 메인밸브 스프링의 힘을 이겨서 메인밸브를 열어서 감쇠력을 발생한다.
한편, 도 1 은 스트러트형 쇽업소버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러트형 쇽업소버는 상부에 쇽업소버 스트러트 마운트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그 하단으로 상측 스프링 시트(10b), 스프링 로케이터(90), 스프링 인슐레이팅(80), 홀로우 범퍼(70), 스프링 인슐레이팅 링(60) 스레디드 링(50), 쇽업소버 카트리지(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으로는 하측 스프링 시트(이하 스프링 시트라 칭함)(10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측 스프링 시트(10b)와 스프링 시트(10a)의 사이에는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이 상측 스프링 시트(10b) 및 스프링 시트(10a)에 직접 닿게되면 스프링(30)이 압축되거나 인장될 경우,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상측 스프링 시트(10b)와 스프링 시트(10a)의 내면에 각각 러버(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프링(30)이 압축 및 인장이 반복될 경우, 상측 스프링 시트(10b)에 설치된 러버(도면중 미도시)는 구조상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나, 스프링 시트(10a)와 같은 경우에는 스프링(30)의 작용에 따라 러버(20)가 스프링 시트(10a)의 밖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여 스프링(30)과 스프링 시트(10a)가 직접 닿으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시트의 내면에 설치된 러버가 스프링의 압축 및 인장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 시트의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쇽업소버가 작동될 때,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의 플랜지 상단에 다수개의 연장부를 구성하되, 각각의 연장부는 내측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프링 시트의 내면에 러버를 설치한 후, 스프링 시트의 플랜지에 형성된 연장부를 내측으로 구부려 연장부에 의해 러버가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에 의해 스프링 시트에 설치된 러버가 스프링 시트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프링 시트 110 : 플랜지
111 : 연장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스프링과 러버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100)의 플랜지(110)에 다수개의 연장부(111)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111)는 내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스프링 시트(100)의 내면에 설치되는 러버이며 (300)은 스프링 시트(100)에 안착되는 스프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스프링(300)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 시트(100)에 러버(200)가 설치된 후, 스프링(300)의 반복된 압축 및 인장으로 인하여 상기 러버(200)가 스프링 시트(100)의 밖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스프링 시트(100)와 스프링(300)이 직접 닿으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2 및 도 3 을 통해 자세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즉, 스프링 시트(100)의 플랜지(110) 상단을 상방으로 연장시키되, 그 연장된 부위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4 개의 돌출된 연장부(111)를 형성한 후, 상기 스프링 시트(100)의 내면에 러버(20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각각의 연장부(111)를 내측으로 구부려 연장부(111)에 의해 러버(200)가 스프링 시트(100)의 내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종래의 러버(20)와 같은 경우에는 러버(20)의 플랜지 길이가 짧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러버(200)의 플랜지와 같은 경우에는 스프링 시트(100)의 연장부(111)가 내측으로 구부려졌을 경우, 구부러진 연장부(111)가 러버(200)의 플랜지를 견고히 잡아주어야 하므로 러버(200)의 플랜지 길이는 스프링 시트(100)의 플랜지(110) 길이 만큼 연장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스프링 시트(100)에 설치된 스프링(300)이 인장 및 압축을 장시간 동안 계속 하더라도 스프링(300)에 의해 스프링 시트(100)에 설치된 러버(200)가 스프링 시트(100)의 밖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스프링 시트(100)와 스프링(300)이 직접 닿으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에 안착되는 스프링이 스프링 시트와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러버가 스프링의 반복되는 인장 및 압축으로 인하여 스프링 시트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시트의 플랜지에 형성된 연장부로 하여금 러버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으로 인하여 러버가 유동되거나, 스프링 시트 밖으로 이탈되어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가 직적 닿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300)과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소음방지를 위해 상면에 러버(200)가 부착되는 스프링 시트(100);
    상기 러버(200)가 스프링 시트(10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시트(100)의 상면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러버(200)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연장부(11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KR1019980026090A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KR20000004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090A KR20000004631A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090A KR20000004631A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31A true KR20000004631A (ko) 2000-01-25

Family

ID=1954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090A KR20000004631A (ko) 1998-06-30 1998-06-30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6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37A (ko) * 2001-09-24 200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러트의 스프링 시트 구조
KR100423312B1 (ko) * 2001-08-14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312B1 (ko) * 2001-08-14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어셈블리
KR20030025737A (ko) * 2001-09-24 200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러트의 스프링 시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213B1 (ko) 공기 스프링 현가 장치
JPH1182590A (ja) 油圧緩衝器
KR20000004631A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CN115388125A (zh) 一种多级缓冲减震器
KR100235446B1 (ko) 이중실린더 형충격흡수장치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1372115B1 (ko) 자동차용 ctba 타입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102067373B1 (ko) 쇼크 업소버
KR100398208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현가장치
KR200178172Y1 (ko) 이륜차용 후방 쇽 업소오버의 구조
JPH0874910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200150435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스트러트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200149038Y1 (ko) 댐퍼볼트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JPS6221154Y2 (ko)
KR0176214B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KR10020011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가스 쇽업소오버
JPH0625726Y2 (ja) 油圧緩衝器
JPS6127637B2 (ko)
KR20010081532A (ko) 쇼크업소버용 로드 가이드
KR20050092516A (ko) 쇽업소버 일체형 에어스프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