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252Y1 - 자동차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252Y1
KR0120252Y1 KR92025291U KR920025291U KR0120252Y1 KR 0120252 Y1 KR0120252 Y1 KR 0120252Y1 KR 92025291 U KR92025291 U KR 92025291U KR 920025291 U KR920025291 U KR 920025291U KR 0120252 Y1 KR0120252 Y1 KR 0120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ston
suspension
cylind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193U (ko
Inventor
오성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25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252Y1/ko
Publication of KR940015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16F9/435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via opening in cylinde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체(1)와 연결되는 실린더(14)와, 이 실린더(14)내측에 위치하며 하측단이 차륜(11)과 연결되는 피스톤(13)과, 상기한 피스톤(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에어챔버(15)측으로 대기를 유입시키는 체크밸브(17)와, 피스톤(13)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진공챔버(16)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현가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공기 현가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차륜
13 : 피스톤 14 : 실린더
15 : 에어챔버 16 : 진공챔버
17, 18 : 체크밸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쇽 업소오버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이빌라이저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차축 현가식과, 승용차와 같이 소형차량에 적용되는 독립현가식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쇽 업소오버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제 2 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기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차체(1)에 가이드 링크(2)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차륜(3)은 그 상측에 벨로즈(4)를 설치하여 차체(1)와 유기적인 연결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벨로즈(4)는 레벨링 밸브(5)와 연결되어 공기탱크(도시생략)로 부터 서지탱크(6)를 통하여 보충받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공기 현가장치는, 하중이 감소하여 차체(1)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레벨링 밸브(5)가 작동하여 벨로즈(4)내의 공기가 방출되고 하중이 증가하여 차체(1)의 높이가 낮아지면 공기탱크에서 공기를 보충받아 차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벨로즈내로 공기를 보충하거나 벨로즈내의 공기를 배출시켜 차의 자세를 안정시키게 되므로 공기 공급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쇽 업소오버 및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현가장치는, 차체가 상하로 진동할 때 스프링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 공급장치와 스프링의 사용없이 차체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와 연결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내측에 위치하며 하측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상측에 형성되는 에어챔버측으로 대기를 유입시키는 체크밸브와, 피스톤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진공챔버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차체(10)와 차륜(11)은 댐핑수단(12)을 개재하여 연결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댐핑수단(12)은 차륜(11)과 하측단이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13)과 이 피스톤(13)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측단이 차체(11)와 연결되는 실린더(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실린더(14)는 피스톤(13)을 중심으로 상측이 에어챔버(15)로 되고 하측이 진공챔버(16)로 이루어지는데, 에어챔버(15)는 대기를 유입할 수 있는 체크밸브(17)가 설치되고, 진공챔버(16)는 챔버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체크밸브(18)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20은 각각 피스톤(13)과 실린더(14) 내면에 부착된 고무재질의 스톱퍼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현가장치는, 피스톤(13)을 실린더(14)의 상측부위에 내장되도록 한 후, 차륜(11)을 연결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 피스톤(13)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체크밸브(17)를 통하여 에어챔버(15)내로 대기가 유입되고, 또다른 체크밸브(18)를 통하여 진공챔버(16)내의 공기가 대기로 배출된다.
본 고안의 현가장치는 이러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차륜(11)이 노면의 돌출물 등에 의해 상승을 하게 되면 피스톤(13)이 상승력을 받는데 비하여 차체(10)는 큰 하중을 하측으로 가하게 되므로 피스톤(13)은 실린더(14)내에서 상승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실린더(14)의 에어챔버(15)내 공기는 체크밸브(17)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압축을 하게 된다.
이때 진공챔버(16)는 체적용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진공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것은 체크밸브(18)를 통하여 대기가 유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륜(11)이 상승을 하게 되면 진공챔버(16)는 더욱 큰 진공상태가 되고 에어챔버(15)내의 공기는 압축을 하게 되므로 노면의 진동이 에어챔버(15)내의 공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거의 소멸되고, 극히 미세한 진동만이 차체(1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승된 차륜(11)이 하강하게 되면 피스톤(13)이 실린더(14)내에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진공챔버(16)내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있고 체크밸브(17)를 통하여 에어챔버(15)내에는 대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피스톤(13)이 빠른 속도로 하강하여 차륜(11)이 노면에 접지된 후, 차체(10)의 자중이 실린더(14)로 전달되기 때문에 에어챔버(15)내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는, 유입방향이 반대로 설치되는 2개의 체크밸브를 실린더의 에어챔버 및 진공챔버와 각각 연결하여 차륜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이를 챔버내가 진공과 압축작용이 교번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1)와 연결되는 실린더(14)와, 이 실린더(14)내측에 위치하며 하측단이 차륜(11)과 연결되는 피스톤(13)과, 상기한 피스톤(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에어챔버(15)측으로 대기를 유입시키는 체크밸브(17)와, 피스톤(13)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진공챔버(16)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현가장치.
KR92025291U 1992-12-12 1992-12-12 자동차용 현가장치 KR0120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291U KR0120252Y1 (ko) 1992-12-12 1992-12-12 자동차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291U KR0120252Y1 (ko) 1992-12-12 1992-12-12 자동차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93U KR940015193U (ko) 1994-07-19
KR0120252Y1 true KR0120252Y1 (ko) 1998-07-15

Family

ID=1934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291U KR0120252Y1 (ko) 1992-12-12 1992-12-12 자동차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2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93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bound control
KR100503272B1 (ko) 차량의 현가장치
US4248447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CN210027010U (zh) 一种悬置装置及车辆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CN212555725U (zh) 一种集成变刚度气动阻尼半挂车空气悬架
KR101816219B1 (ko)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20060040554A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JPH03535B2 (ko)
KR100235446B1 (ko) 이중실린더 형충격흡수장치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40934Y1 (ko) 거친도로에 적합한 현가장치
KR19990012553A (ko) 일체형 에어 스프링과 쇽 업소버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20030006347A (ko) 버스의 현가장치용 공기 스프링
KR1998002370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970010361B1 (ko) 완충기
KR19990026500U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KR19980044919U (ko) 범퍼 스톱퍼구조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KR19990059230A (ko) 쇼크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