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219B1 -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 Google Patents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219B1
KR101816219B1 KR1020160019321A KR20160019321A KR101816219B1 KR 101816219 B1 KR101816219 B1 KR 101816219B1 KR 1020160019321 A KR1020160019321 A KR 1020160019321A KR 20160019321 A KR20160019321 A KR 20160019321A KR 101816219 B1 KR101816219 B1 KR 10181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unt
canister
pist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491A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16001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2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 B60G15/1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5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method or by the mounting arrangement, e.g. mounting of the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5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the flexible wall being of the rolling diaphragm type
    • F16F9/057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the flexible wall being of the rolling diaphragm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60G2202/314The spring being a 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로드홀더를 구비하는 쇼크업소버;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로드홀더를 둘러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마운트러버;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마운트러버로 둘러싸인 로드홀더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캐니스터; 상단이 상기 캐니스터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쇼크업소버의 몸체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스프링;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격리시키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에어피스톤;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 중 상기 에어피스톤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마운트 에어주입구가 구비되는 마운트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Buffer power controllable air mount of air suspention}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에 포함되는 에어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축공기 공급량 조절을 통해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서스펜션은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쇼크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 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스펜션이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승용차의 고급화로 에어 스프링을 형성하는 벨로우즈의 체적을 변화시켜 스프링 상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에어의 양을 변화시켜 자동으로 차고를 유지시켜 주는 에어 서스펜션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에 포함되는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은,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2; Wheel Carrier)의 하측 부분을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워 컨트롤 아암(4)을 개재시켜 차체에 연결하고, 상기 휠 캐리어(2)의 상측 부분을 연장하는 연장부(6)의 상단 부분을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어퍼 컨트롤 아암(8)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하며, 상기 휠 캐리어(2)의 하부 전측부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레일링 아암(10)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한다.
그리고 로워 컨트롤 아암(4) 상에는 에어 스트럿(12; Air Strut)이 세워져 그 상단이 차체에 현가 지지되는데, 상기 에어 스트럿(12)은 쇼크업소버(14)와, 상기 쇼크업소버(14)의 상단에 배치되는 에어 스프링(16)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쇼크업소버(14)의 하단부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4)의 휠측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마운트(18)를 개재시켜 미도시한 차체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노면 조건이나 선회등에 의하여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이 입력되면 휠 캐리어는 휠과 함께 로워 및 어퍼 컨트롤 아암(4)(8)과 트레일링 아암(10)의 운동 궤적에 따라 상하 거동하면서 일부 진동 및 충격이 이들 아암의 연결부에 적용되는 고무부시 등에 의하여 흡수 감쇠됨과 동시에 상기 쇼크업소버(14)와 에어 스프링(16) 내의 에어 압에 의하여 흡수 감쇠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스트럿(12)의 상단에 적용되는 종래 마운트(18)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스프링(14)의 캐니스터(20)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 스프링(16)과 쇼크업소버(14)를 차체에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마운트 브라켓(22), 마운트 러버(24), 마운트 컵(26) 등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 브라켓(22)은 볼트 등에 의한 고정수단에 의해 차체에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의 저면에는 상기 마운트 러버(24)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마운트 러버(24)는 상기 캐니스터(20)의 상부면에 항상 접해 있도록 상기 마운트 브라켓(22)과 상기 캐니스터(20)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18)는 상기 캐니스터(20)에 직접 고정되는 마운트 홀더(2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홀더(28)의 상부에는 상기 마운트 컵(26)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고정수단 즉, 볼트(30)와 너트(32)가 구비되어 마운트(18)를 형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이 상기 캐니스터(20)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트(18)는, 에어 스트럿(12)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마운트 러버(24)에서 완충되는데, 탑승객 또는 화물 적재에 의해, CVW(Curb Vehicle Weight) 이상, 더 나아가서는, GVW(Gross Vehicle Weight) 상태로 차량 중량이 증가되면, 마운트 러버(24)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차고가 낮아지는 현상과 고주파 감쇠력이 저하하는 현상을 야기한다. 이는 완충 또는 진동의 감쇠를 위해 마운트 러버(24)가 작은 강성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설계상의 제한에 기인하다.
즉, 에어 서스펜션의 완충력 즉, 차량의 승차감이 하드해 지거나 소프트해 지는 것은 마운트 러버(24)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마운트 러버(24)는 마운트(18)를 분해하지 아니하는 한 교체가 불가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완충력을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은 수직방향 충격력은 흡수할 수 있지만 비틀림 응력을 흡수하는 기능은 미미하다는 단점도 있다.
KR 10-2012-003085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완충력을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고, 비틀림 응력까지도 흡수할 수 있어 완충성능이 더욱 향상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로드홀더를 구비하는 쇼크업소버;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로드홀더를 둘러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마운트러버;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마운트러버로 둘러싸인 로드홀더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가 삽입되는 캐니스터;
상단이 상기 캐니스터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쇼크업소버의 몸체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스프링;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격리시키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에어피스톤;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 중 상기 에어피스톤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마운트 에어주입구가 구비되는 마운트캡;
을 포함하여,
상기 에어피스톤은, 상기 마운트 에어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마운트러버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러버는, 상기 로드홀더의 상면과 측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피스톤은, 상기 삽입공간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러버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단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공간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캐니스터를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충격흡수 고무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은 평면 형상이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의 외측단은 상기 캐니스터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의 내측단은 상기 캐니스트의 저면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의 완충력을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어 에어 서스펜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상하방향 충격력뿐만 아니라 비틀림 응력까지도 흡수할 수 있어 에어 서스펜션의 완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에 포함되는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공기의 압축탄성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어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차체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마운트러버(200)를 구비하되, 상기 마운트러버(200)를 압축시키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마운트러버(200)의 진동 흡수 성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10)와 상기 피스톤로드(110)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로드홀더(120)를 구비하는 쇼크업소버(100)와,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로드홀더(120)를 둘러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마운트러버(200)와,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310)을 구비하되 상기 피스톤로드(110)의 끝단측이 인입되는 삽입공간(320)이 내부공간(310) 바닥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캐니스터(300)와, 상단이 상기 캐니스터(300)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쇼크업소버(100)의 몸체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채워지는 합성고무 재질의 에어스프링(400)과, 상기 캐니스터(300)의 내부공간(310)을 상하로 격리시키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에어피스톤(500)과, 상기 캐니스터(30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마운트캡(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캡(600)은 차체고정볼트(700)에 의해 캐니스터(300)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캐니스터(300) 상단과 마운트캡(600) 저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이 구비된다.
상기 캐니스터(300)에 형성되는 삽입공간(320)은 내부공간(310)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며, 마운트러버(200)로 둘러싸인 로드홀더(120)가 일정 수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300)에는, 에어스프링(400)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스프링 에어주입구(330)와, 내부공간(310) 중 에어피스톤(500)의 하측 공간이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35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운트캡(6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캐니스터(300)의 내부공간(310) 중 상기 에어피스톤(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더 명확하게는 에어피스톤(500)과 마운트캡(600)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마운트 에어주입구(610)가 마련된다.
상기 에어피스톤(500) 중 내부공간(310)의 내벽과 접촉되는 지점에는 오링이 구비되므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마운트 에어주입구(610)를 통해 에어피스톤(500)과 마운트캡(600) 사이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에어피스톤(500)은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러버(20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마운트러버(200)가 에어피스톤(500)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마운트러버(200)의 탄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량의 승차감이 하드해지는 결과가 도출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에어피스톤(500)과 마운트캡(600)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에어피스톤(500)을 하향 가압하던 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에어피스톤(500)은 마운트러버(200)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마운트러버(200)가 에어피스톤(500)에 의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가 되면, 상기 마운트러버(200)의 탄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량의 승차감이 소프트해지는 결과가 도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마운트 에어주입구(610)를 통한 압축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의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서스펜션을 교체하지 아니하고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로드홀더(120)가 캐니스터(300)나 에어피스톤(500)과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마운트러버(200)는 로드홀더(120)의 외측면 전체 즉, 로드홀더(120)의 상면과 측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이때, 마운트러버(200)로 둘러싸인 로드홀더(12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20)은 내부공간(31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바, 에어피스톤(500)이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에어피스톤(500)이 하강하더라도 마운트러버(200)를 정상적으로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피스톤(500)은, 상기 삽입공간(32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러버(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단(510)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단(510)은 삽입공간(32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되, 마운트러버(200)의 상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에어피스톤(500) 하강 시 마운트러버(200)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단(510)의 형상은, 마운트러버(200)의 상면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바, 상기 가압단(510)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에어스프링(400) 내의 압축공기가 가압단(510)과 캐니스터(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가압단(510)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공간(320)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피스톤(500)의 저면 전체가 마운트러버(200)를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하향으로 돌출된 가압단(510) 끝단이 마운트러버(20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면, 에어피스톤(500)의 상면으로 인가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가압단(510)의 끝단으로 집중되므로, 마운트러버(200)를 압축시키는 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에어 마운트는 상하방향 진동 및 충격력만 흡수할 수 있고 비틀림 응력을 흡수하는 기능은 없으므로, 쇼크업소버(100)의 상하 운동 시 발생되는 비틀림응력은 그대로 에어 마운트의 각 부로 전달되어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 진동이나 충격력을 흡수함은 물론, 캐니스터(300)로 전달되는 비틀림응력까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상기 캐니스터(300)를 가로지르도록 충격흡수 고무층(340)이 삽입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평면 형상이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의 외측단은 상기 캐니스터(30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의 내측단은 상기 캐니스트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캐니스터(300) 일부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때 캐니스터(300)의 외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이 상기 삽입홈에 단순히 삽입되는 구조로만 장착되면,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캐니스터(300)로 전달되는 비틀림응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캐니스터(30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이 캐니스터(300)의 중단을 가로지르도록 하나의 평판형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의 내측단이 삽입공간(320)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마운트러버(200)와 간섭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이 하향으로 절곡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충격흡수 고무층(340)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는, 쇼크업소버(100)의 상하 운동 시 발생되는 비틀림응력까지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각 부품들의 파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승차감도 일정 수준 개선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비틀림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되,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이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면 응력 흡수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면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되는바,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마운트의 용도 및 특성에 따라 적절한 재질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쇼크업소버 110 : 피스톤로드
120 : 로드홀더 200 : 마운트러버
300 : 캐니스터 310 : 내부공간
320 : 삽입공간 330 : 스프링 에어주입구
340 : 충격흡수 고무층 350 : 통기공
400 : 에어스프링 500 : 에어피스톤
510 : 가압단 600 : 마운트캡
700 : 차체고정볼트

Claims (5)

  1.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110)와, 상기 피스톤로드(110)의 끝단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로드홀더(120)를 구비하는 쇼크업소버(100);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로드홀더(120)를 둘러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마운트러버(200);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310)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310)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삽입공간(320)이 마련되며, 상기 마운트러버(200)로 둘러싸인 로드홀더(120)가 상기 삽입공간(320)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110)가 삽입되는 캐니스터(300);
    상단이 상기 캐니스터(300)의 하측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쇼크업소버(100)의 몸체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스프링(400);
    평면 형상이 원반 형상을 갖고 상기 캐니스터(300)를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충격흡수 고무층(340);
    상기 캐니스터(300)의 내부공간(310)을 상하로 격리시키되,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에어피스톤(500); 및
    상기 캐니스터(30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캐니스터(300)의 내부공간(310) 중 상기 에어피스톤(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마운트 에어주입구(610)가 구비되는 마운트캡(600); 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은,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의 외측단이 상기 캐니스터(30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충격흡수 고무층(340)의 내측단이 상기 캐니스터(300)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측단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단이 하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에어피스톤(500)은, 상기 마운트 에어주입구(610)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마운트러버(200)를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러버(200)는, 상기 로드홀더(120)의 상면과 측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에어피스톤(500)은, 상기 삽입공간(32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러버(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단(5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운트.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510)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공간(320) 내벽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마운트.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9321A 2016-02-18 2016-02-18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10181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21A KR101816219B1 (ko) 2016-02-18 2016-02-18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21A KR101816219B1 (ko) 2016-02-18 2016-02-18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91A KR20170097491A (ko) 2017-08-28
KR101816219B1 true KR101816219B1 (ko) 2018-01-08

Family

ID=5975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321A KR101816219B1 (ko) 2016-02-18 2016-02-18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52B1 (ko) * 2017-12-12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장치
KR102524200B1 (ko) * 2022-12-19 2023-04-21 김종원 자동차용 에어쇼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2101A (zh) * 2015-10-10 2015-12-30 唐哲敏 一种双向等弹性等变阻尼气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2101A (zh) * 2015-10-10 2015-12-30 唐哲敏 一种双向等弹性等变阻尼气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91A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451B2 (en) Air spring and jounce shock assembly
US6830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bound control
KR101218834B1 (ko) 차체 거동 감응형 에어 스프링
US91869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r having an insert
KR101816219B1 (ko)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100488786B1 (ko) 유압식 스트럿 마운팅 구조
US20070164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bound control
US8733745B2 (en) Load mount jounce rate cup
CN107654558B (zh) 一种汽车减振器
CN107627802B (zh) 用于车辆的悬架系统缓冲装置及具有其的车辆
KR10250722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19905B1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20060040554A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JPS6113786Y2 (ko)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0599477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어퍼 스프링 시트 장착구조
KR100391367B1 (ko) 차량용 에어스프링
CA2267553C (en) Progressive air spring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559847B1 (ko) 쇽업소버를 이용한 차량의 거동제어장치
KR100808421B1 (ko) 쇽업소버 밸브 구조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20130052791A (ko) 자동차용 공기스프링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