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62U -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62U
KR19980064662U KR2019970009361U KR19970009361U KR19980064662U KR 19980064662 U KR19980064662 U KR 19980064662U KR 2019970009361 U KR2019970009361 U KR 2019970009361U KR 19970009361 U KR19970009361 U KR 19970009361U KR 19980064662 U KR19980064662 U KR 199800646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bump stopper
shock absorber
compress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9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662U/ko
Publication of KR19980064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62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1)가 압축됨과 동시에 범프스토퍼(4)도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이 범프스토퍼(4)의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4a)를 통해 범프스토퍼(4) 사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이음의 발생이 줄어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댐퍼의 상부에 설치되는 범프스토퍼의 양측에 반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범프스토퍼가 압축되었을 때 발생되는 이음을 방지하도록 된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체의 상하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진동을 억제하고 승차감의 향상, 적재한 짐의 보호,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저감에 의한 수명의 증가를 도모함과 동시에, 스프링 아래 운동을 제어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하고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차량의 운전성능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 제진력을 통상 감쇠력이라 한다.
한편, 상기 감쇠력 발생기구를 살펴보면, 고체마찰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체압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자동차의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쇽업소버는 경량 소형으로 비교적 큰 흡수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작동속도에 대한 감쇠력 특성을 임의로 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에서 유체의 유동 점성 저항을 이용한 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쇽업소버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감쇠력이 발생되도록 작동유체가 충만된 쇽업소버가 설치되고, 이 쇽업소버의 상부에 다수개의 범프스토퍼가 층상을 이루며 설치되며, 이 범프스토퍼의 상부에 지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범프스토퍼(1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내부에 중공부(11a)가 형성된 단면형상으로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에 상기 쇽업소버가 압축되고, 이 쇽업소버의 압축으로 범프스토퍼(11)가 압축되면서 각각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범프스토퍼는 다수개의 범프스토퍼가 층상으로 설치되어, 이 범프스토퍼가 압축될 때 범프스토퍼와 범프스토퍼 사이에서 공기가 압축되어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범프스토퍼의 양측에 반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범프스토퍼의 압축시 이 오목부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이음발생을 줄이도록 된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범프스토퍼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평면도,
도 3은 종래구조로서 도 2의 대응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쇽업소버2:지지부재
3:완충부4:범프스토퍼
4a:오목부4b:중공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쇽업소버의 상단에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범프스토퍼가 층상으로 설치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범프스토퍼가 압축되면서 상기 오목부를 통해 압축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범프스토퍼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은 충격완화를 위해 작동유체가 내부에 충만된 막대형상의 쇽업소버(1), 이 쇽업소버(1)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범프스토퍼(4)가 층상으로 형성된 완충부(3), 이 완충부(3)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정형상의 지지부재(2)로 구성되되, 상기 범프스토퍼(4)는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4b)가 형성되고 양측에 반원형의 오목부(4a)가 형성된다.
따라서, 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으로 상기 쇽업소버(1)가 압축되고, 이 쇽업소버(1)의 압축과 동시에 상기 범프스토퍼(4)도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이 범프스토퍼(4)의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4a)를 통해 범프스토퍼(4) 사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이음의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쇽업소버의 상단에 설치되는 범프스토퍼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차체의 충격으로 상기 쇽업소버가 압축됨과 동시에 범프스토퍼도 압축되면서 각각 충격을 완화시키고 범프스토퍼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오목부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되어 이음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만된 쇽업소버(1)가 설치되고, 이 쇽업소버(1)의 상부에 다수개의 범프스토퍼(4)가 층상을 이루며 설치되며, 이 범프스토퍼(4)의 상부에 지지부재(2)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프스토퍼(4)의 양측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반원형의 오목부(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KR2019970009361U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KR199800646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61U KR19980064662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61U KR19980064662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62U true KR19980064662U (ko) 1998-11-25

Family

ID=6968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361U KR19980064662U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6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80B1 (ko) * 2004-12-06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챔버 샘플투입구의 패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80B1 (ko) * 2004-12-06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챔버 샘플투입구의 패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1492A (zh) 一种具有多重缓冲机构的汽车减震器
KR19980064662U (ko)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KR200178195Y1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CN215890913U (zh) 一种减振器装置
KR0174821B1 (ko) 충격흡수 기능이 보강된 쇽 업소바
KR100245182B1 (ko) 가변 오일 오리피스를 갖는 차량용 쇽 업소버
KR19980029769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쿠션러버
KR0179479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200160615Y1 (ko) 쇽업소버의 댐퍼스프링구조
KR100808421B1 (ko) 쇽업소버 밸브 구조
KR20020044700A (ko) 범프스토퍼를 구비한 완충장치
KR102497036B1 (ko)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KR20220087729A (ko)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20220057912A (ko) 차량의 쇼크업소버
KR100330892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20050076865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KR100589189B1 (ko) 현가 장치의 범퍼 스토퍼 구조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930001308Y1 (ko)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KR200185233Y1 (ko) 로워 암 리어 수직 부싱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JPH06221361A (ja) 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