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308Y1 -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308Y1
KR930001308Y1 KR2019900012510U KR900012510U KR930001308Y1 KR 930001308 Y1 KR930001308 Y1 KR 930001308Y1 KR 2019900012510 U KR2019900012510 U KR 2019900012510U KR 900012510 U KR900012510 U KR 900012510U KR 930001308 Y1 KR930001308 Y1 KR 930001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ll
hydraulic cylinder
cylinder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239U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308Y1/ko
Publication of KR920004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40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2Roll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가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의 작용상태롤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차량의 오른쪽 회전시 차량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종래기술의 스토퍼 범퍼가 부착된 쇽 업소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실멍
1 : 스토퍼 범퍼 3 : 유압실린더
4 : 상측튜브 5 : 하측튜브
8 : 파워 스터어링 기어 박스 실린더(Power Streering Gear Box Cylinder)
9 : 오른쪽 챔버 12 : 왼쪽챔버
A : 피스톤 로드 B : 상부스프링 시이트
D : 하부 스프링 시이트
본 고안은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시 발생되는 차량의 롤크기 및 발생속도를 감소시켜 타이어의 그립(Grip)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유지됨은 물론 직진주행시 차량에 전달되는 작은 진동을 감쇠시키는 보조 쇽 업소오버 역할을 함으로서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롤 댐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행할때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신속히 감쇠시킴으로서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해 쇽 업소오버가 설치된다.
즉, 쇽 업소오버는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새시스프링의 상하 운동 에너지롤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방법에 따라 고체마찰식과 유압식이 있으며, 작동에 따라 신장할때만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과 신장할때와 압축될때에 다같이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이 있다.
상기한 쇽 업소오버 중에서 유체식은 유체에 의한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의 감쇠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안내를 겸한 가늘고 긴 원통을 서로 결합한 구조롤 갖으며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고 차축쪽과 연결되는 실린더와 차체쪽에 연결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통형 쇽 업소오버, 그리고 피스톤 실린더 및 피스톤을 미는 앵커레버,앵커샤프트로 구성되는 레버형 쇽 업소오버가 있다.
또한 쇽 업소오버가 서스펜션 링크의 일부로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맥퍼어슨식 쇽 업소오버가 있는데, 이 방식은 실린더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로드에 피스톤에 결합되고 피스톤에는 피스톤 밸브 빛 논리터언밸브가 설치되어 신축작용으로 피스톤의 속도에 알맞는 감쇠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종래기술의 스토피 범퍼가 부착된 쇽업소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피스톤로드(A)의 상단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B)가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C)의 외주에 하부 스프링 시이트(D)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상,하부 스프링 시이트(B)(D)는 스프링(E)이 개재되어 탄발 지지되고, 상부 스프링 시이트(B)의 하단부 및 피스톤 로드(A)외주에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스토퍼 범퍼(F)가 고청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이 향상됨은 물론 스티어링 휘일을 조타하였을 때 일어나는 롤에 대한 조정 안정성을 높여 주는것이 주된 목적으로서 롤 양이 커지게 되면 즉, 심한 회전을 하게 되면 스토퍼 범퍼(F)의 하단부가 실린더(C)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스토퍼 범퍼(F)는 서서히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E) 상수가 증가하게 되어 롤의 더 큰 발생은 억제하게 되나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하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시 발생되는 차량의 롤 크기 및 발생속도롤 감소시켜 타이어의 그립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차량의 조정 안정성이 유지됨은 물론 직진 주행시 차량에 전달되는 작은 진동을 감쇠시키는 보조 쇽 업소오버 역할을 함으로서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롤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 스프링 시이트 하단 및 피스톤 로드 외주에 고정설치된 스토퍼 범퍼의 길이방향 크기를 줄이고, 유압실린더를 쇽업소오버의 상하 스프링 시이트에 고정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유압실린더의 상하측 튜브는 스티어링 휘일 조타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파워 스티어링 기어 박스 실린더의 양쪽 챔버와 연통 설치 구성됨으로서 롤의 크기 및 발생속도롤 감소시켜 차량의 조정 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롤 댐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롤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가 적용된 상태롤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인 장착 상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피스톤로드(A)의 상단에 상부 스프링 시이트(B)가 고정되고, 실린더(C)의 외주에 하부 스프링 시이트(D)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상, 하부 스프링 시이트(B)(D)는 스프링(E)이 게재되어 탄발 지지되고, 상부 스프링 시이트(B) 하단부 및 피스톤 로드(A)외주에 스토퍼 범퍼(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A) 외주에는 길이방향으토 벨로즈타입의 신축 가능한 더스트 커버(2)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상,하부 스프링 시이트(B)(D)에는 유압실린더(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유압 실린더(3)는 상,하에 각각 상,하측 튜브(4)(5)가 연통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롤 댐퍼는 스티어링 휘일(도시생략)을 오른쪽으로 조타하면 제3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밸브(6)가 작동하여 오일펌프(7)로 부터 가압된 오일이 튜브(8')를 따라 스풀밸브(6)를 거쳐 파워 스티어링 기어 박스 실린더(8)의 오른쪽 챔버(9)를 가압하므로 피스톤(10)을 왼쪽으로 작동시켜 타이로드(11)를 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은 오른쪽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파워스티어링 기어 박스 실린더(8)의 오른쪽 챔버(9)에 연통설치된 튜브(8')에 연결 설치된 하측 튜브(5)를 따라 유압이 좌측 유압실린더(3a)의 하측에 작용됨과 아울러 우측유압 실린더(3b)의 상측에 작용되기 때문에 좌측 유압실린더(3a)는 팽창되고 우측 유압 실린더(3b)는 압축되어 서로 반대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롤 모우션을 억제한다.
그리고 파위 스티어링 기어 박스 실린더(8)의 왼쪽챔버(12)의 오일, 좌측 유압 실린더(3a)의 상측오일 및 우측 유압 실린더(3b)의 하측 오일은 스풀밸브(6)를 거쳐 리턴튜브(13)을 따라 오일 탱크(14)에 저장된다.
이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면, 차체는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롤이 발생되지만 롤 댐퍼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롤이 발생되어 θ각도만큼의 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스티어링 휘일을 왼쪽으로 조타할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의 반대 작용이 된다.
또한 차량이 직진주행시에는 스풀밸브(6)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일펌프(7)로부터 가압오일이 스풀밸브(6)를 거쳐 리턴 튜브(13)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유압실린더(3)의 길이변화는 없고 보조 쇽 업소오버 역할로 더욱 향상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스토퍼 범퍼(1)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직진주행시 보조 속 업소오버 역할로 더욱 향상된 승차감은 물론 작은 회전시에는유압실린더(3)가 작용하고, 큰 회전시에는 스토퍼범프(1)까지 작용하여 롤의 크기 및 발생속도롤 감소시켜 주행 안정성을 유지함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부 스프링 시이트(B)하단 및 피스톤 로드(A)외주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 범프(1)의 길이방향 크기룰 줄이고, 유압실린더(3)를 속 업소오버의 상, 하부 스프링 시이트(B)(D)에 고정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유압실린더(3)의 상하측 튜브(4)(5)는 스티어링 휘일 조타시 파워 스터어링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기위하여 파위 스티어링 기어 박스 실린터(8)의 오른쪽 및 왼쪽 챔버(9)(12)와 연통 설치 구성됨으로서 롤의 크기 및 발생속도를 감소시켜 차량의 주행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특정으로 하는 자동차용롤 댐퍼
KR2019900012510U 1990-08-20 1990-08-20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KR930001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510U KR930001308Y1 (ko) 1990-08-20 1990-08-20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510U KR930001308Y1 (ko) 1990-08-20 1990-08-20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39U KR920004239U (ko) 1992-03-25
KR930001308Y1 true KR930001308Y1 (ko) 1993-03-22

Family

ID=1930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510U KR930001308Y1 (ko) 1990-08-20 1990-08-20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3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39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0287A1 (en) A hydro-pneumatic spring suspension strut for motor vehicles
KR930001308Y1 (ko)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US5186439A (en) Friction compensating automotive suspension strut
KR100370408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CN113251095A (zh) 带高压气囊的筒式液压减震器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RU20411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RU20889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CN214945987U (zh) 带高压气囊的筒式液压减震器
KR0174821B1 (ko) 충격흡수 기능이 보강된 쇽 업소바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100440323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기밀구조
KR10020011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가스 쇽업소오버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US1971957A (en) Stabilizing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1971958A (en) Method of stabilizing automobiles while in motion
KR20000012750U (ko) 쇽업소버
KR200147467Y1 (ko) 가스쇽업소오버
KR0176214B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JPS598884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41132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강성연결장치
KR100243614B1 (ko) 리이프 스프링의 댐핑장치
KR19980064662U (ko)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KR19980046753U (ko) 자동차 시트의 평형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