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750U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750U
KR20000012750U KR2019980025809U KR19980025809U KR20000012750U KR 20000012750 U KR20000012750 U KR 20000012750U KR 2019980025809 U KR2019980025809 U KR 2019980025809U KR 19980025809 U KR19980025809 U KR 19980025809U KR 20000012750 U KR20000012750 U KR 200000127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coil spring
piston rod
vehicle
damp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국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2019980025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750U/ko
Publication of KR20000012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50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의 구조 개량을 통해 차량이 회전시에만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지나치게 높게 설정함으로써 일반도로 주행시 최적승차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쇽업소버(100)의 내부에 리바운드행정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30)의 신장측을 제어하도록 된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에 의한 감쇠력과 코일스프링의 반력을 이용하여 차량이 선회할 때의 효과적으로 롤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하고, 일반도로 주행시에는 최적의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임.

Description

쇽업소버
본 고안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회시의 효과적인 롤 제어를 위해 감쇠력을 높게 설정하더라도 일반도로 주행에는 최적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차량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양단부가 차체와 바퀴에 고정되어 주행중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어지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재빨리 흡수하여 차체에는 이들 진동이 전달되는 일이 없게함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100)는 가늘고 긴 두 개의 원통형의 튜브(10)(20)의 내측에는 공기와 오일이 충진되어 상기 쇽업소버(100)가 리바운드(Rebound) 행정을 하면 피스톤밸브(40)의 상부측에 위치한 리바운드챔버(50)측에 장입된 오일은 피스톤밸브(40)에 형성된 오리피스(리바운드유로)를 통해 콤프레션챔버(60)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콤프레션(Compression) 행정시에는 피스톤밸브(40)의 하부측에 위치한 콤프레션챔버(60)의 오일은 다시 피스톤밸브(40)의 오리피스(콤프레션유로)를 통해 리바운드챔버(50)로 이동하는 반복된 동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쇽업소버(100)는 차체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30)가 상,하로 신장/이완되는 리바운드/콤프레션 행정시 피스톤밸브(40)의 양쪽 챔버에 주입된 오일을 피스톤밸브(40)의 상,하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필요로 하는 감쇠력 특성을 얻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쇽업소버(100)는 차량의 회전에 따른 롤(Roll)강성 제어와 일반 도로 주행시에 있어서의 최적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이 선회하려 할 때의 회전 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다한 감쇠력특성을 가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속에서 감쇠력이 크게되어 일반도로 주행시에 과다한 감쇠로 인해 승차감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크다.
또한, 과다한 감쇠로 인해 쇽업소버의 안정된 내구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방열면적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고, 더욱기 저속 감쇠력을 크게 하여 롤제어 효과를 높이면 상대적으로 저속감쇠력이 높게되어 오일의 흐름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쇽업소버의 구조 개량을 통해 차량 회전시에는 롤강성은 크게 하면서도 일반도로에서는 최적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 쇽업소버(100)의 내부에 리바운드행정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30)의 신장측을 제어하도록 된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에 의한 감쇠력과 코일스프링의 반력을 이용하여 차량이 선회할 때의 효과적으로 롤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하고, 일반도로 주행시에는 최적의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쇽업소버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쇽업소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통 20: 외통
30; 피스톤로드 40; 피스톤밸브
50: 리바운드챔버 60:콤프레션 챔버
70: 코일스프링 80: 큐션러버
90; 스토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단부가 차체와 바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쇽업소버(100)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100)의 내통(10)을 따라 상,하 운동하도록 된 피스톤로드(30)에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리바운드행정시 코일스프링(70)이 신장되는 피스톤로드(30)를 제어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70)은 차량의 롤(Roll)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K"값(스프링상수)을 가도록 되고, 초기 충격량의 최소화로 내부 부품 보호 및 스프링의 자유장과 압축장 축소를 위해 k1+ k2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K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30)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70)의 일측에는 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터 소재로 되는 소음방지용 큐션러버(80)가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하였다.
또한, 큐션러버(80)는 그 외주면이 파도 형상으로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음을 흡수하도록 되고, 상기 큐션러버(80)는 코일스프링(70)과의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일이 없도록 그 내,외측면을 강제 압입방식을 통해 끼워지도록 조립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70)의 반대쪽에는 피스톤로드(30)에 강제 압입되는 스토퍼(90)가 부설되어 코일스프링(70)이 내부에서 주행중에 자의적으로 움직이는 것과 코일스프링(70)에 의한 간접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쇽업소버(100) 피스톤로드(30)의 신장측을 제어하도록 된 코일스프링(70)이 부설됨으로써 차량이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완화를 위해 리바운드 행정시 피스톤로드(30)는 그 외주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70)에 당접될 때까지는 종래와 동일한 감쇠력을 보이게 된다.
그렇지만 피스톤로드(30)가 더 이상 신장되게 되는 경우 피스톤로드(30)는 그 외주면에 끼워진 코일스프링(70)을 서서히 압축하는 감쇠효과를 얻게 되어 일반 도로주행에 필요한 최적의 감쇠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이 선회를 하려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선회시의 롤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쇽업소버(100)의 피스톤로드(30)에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종래보다 과다한 감쇠력이 작용하게 하는 한편 코일스프링(70)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피스톤로드(30)가 상부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선회시의 롤특성이 아주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주행시에는 최적의 감쇠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감쇠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오일의 흐름 소음감소 및 사이즈 축소 효과를 동시에 꾀할 수 있게 등 아주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차체와 바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및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 및 주행 안전성을 높이도록 된 쇽업소버(100)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100)의 내통(10)을 따라 상,하 운동하도록 된 피스톤로드(30)에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0)이 신장되는 피스톤로드(30)를 제어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70)의 양쪽에는 소음방지용 큐션러버(80)와 스토퍼(9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2019980025809U 1998-12-21 1998-12-21 쇽업소버 KR200000127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09U KR20000012750U (ko) 1998-12-21 1998-12-21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09U KR20000012750U (ko) 1998-12-21 1998-12-21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50U true KR20000012750U (ko) 2000-07-15

Family

ID=6971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09U KR20000012750U (ko) 1998-12-21 1998-12-21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7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72A (ko) 2019-11-27 2021-06-04 이융구 다용도 일회용 음용체 발열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72A (ko) 2019-11-27 2021-06-04 이융구 다용도 일회용 음용체 발열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786B1 (ko) 유압식 스트럿 마운팅 구조
KR20000012750U (ko) 쇽업소버
KR20230021339A (ko) 유압 스토핑 댐퍼
KR19980029769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쿠션러버
KR20210140994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CN215890913U (zh) 一种减振器装置
KR100996866B1 (ko) 쇽업소버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20020045772A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장치
KR100251372B1 (ko) 쇼크업소버
KR100330893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00832496B1 (ko) 쇽 업소버
KR100489369B1 (ko) 쇽 업소버의 노이즈 방지장치
KR100330892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776220B1 (ko) 쇽업소버의 스톱러버
KR20050092516A (ko) 쇽업소버 일체형 에어스프링 시스템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100330894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200181042Y1 (ko) 차량용현가장치의쇽업소버
KR100246136B1 (ko) 트윈 쇽업소버를 구비한 현가장치
KR930001308Y1 (ko) 자동차용 롤 댐퍼(roll damper)
KR20050031519A (ko)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프링 설치 구조
KR19990003151U (ko) 차량용 리어 쇽압쇼바의 어퍼 및 로워범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