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67Y1 - 가스쇽업소오버 - Google Patents

가스쇽업소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67Y1
KR200147467Y1 KR2019940038753U KR19940038753U KR200147467Y1 KR 200147467 Y1 KR200147467 Y1 KR 200147467Y1 KR 2019940038753 U KR2019940038753 U KR 2019940038753U KR 19940038753 U KR19940038753 U KR 19940038753U KR 200147467 Y1 KR200147467 Y1 KR 200147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uffer
gas
outer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619U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8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67Y1/ko
Publication of KR960023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축과 차체 사이에 개설되는 가스 속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에 고정된 주 피스톤축롸 슬라이드 결합되며, 2중의 오일실과 압축.가스실이 형성되어 각각 오일과 압축가스가 채워지는 외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의 오일실의 오일이 서로 유통가능하게 설치하여 완충력을 발하는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1 완충부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주 피스톤축과 결합되어 별도의 2중 오일공간을 형성하여 이에 오일을 채우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작은 완충력을 발하는 제 2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와 부피스톤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실린더내의 압축가스실내에서 압축가스의 압축성으로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제 2 완층부 보다 작은 완충력을 발하는 제 3 완충부로 구성하여, 진동흡수의 범위를 넓게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상태에 따를 다양한 진등을 흡수하고, 이로인한 차량의 승차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스 속업소오버.

Description

가스 쇽업소오버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제 2도는 종래의 가스 쇽업소오버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피스톤축 3 : 외부실린더
5 : 부 피스톤축 7 :주피스톤
7',11' : 뻘브 9 : 내부 실린더
11 :내부 오일 피스론 13 :프리 피스톤
A,A', B,B':오일실 C : 압축가스실
[사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시 노면 상태에 따라 그 진동및 차체의 요동을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가스 콕업소오버에 판한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쇽업소오버는 새시 스프링의 진동을 흠수하여 빨리 감쇄하게 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에는 내부에 유압을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유압식 슥업소오버와, 압축가스의 압축성을 이응하여 이루여지는 가스 쇽업소오버가 있다.
그러나 통상 가스 쇽업소오버는 유압과 압축가스를 함% 이응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가스 쇽업소오버의 대표적인 것으로 드가르 봉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제 2 도는 종래의 가스 쇽업소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일측은 차축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은 차체에 지지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하단에 고정되는 먼지 멀개(53)와, 상기 먼지 떨게(53)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또)과, 상기 스프링(55)이 다른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대(5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먼지 멀개(53)의 때측에 고정되는 로드(58)와, 상기 로드(59)의 다른 일측이 고정되는 피스톤(61)과, 상기 피스론(61)의 일측방에 설지되는 밸브(63)와, 상기 밸브(63)가 설치된 피스톤(61)과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설치되는 프리 피스톤(65)과, 상기 프리 피스톤(65)의 하방향에 소경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프리 피스톤(65)과, 피스톤(61)의 외주에 설치되는 실린더(07)로 구성된다.
한편, 실린더(67)내의 로드(59)측 공간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오일이 채워져 있고, 피스톤(61)과 프리 피스톤(65) 사이에도 상기 오일과 동일하게 체위지게 된다.
그리고, 프리 피스론(65)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에는 압축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시 노면상태에 따라 진동이 발싱하게 되면 지지대(51)에 의하여 상기 진동을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1)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59)를 통하여 피스톤(61)까지 전달 하게 된다.
이때 퍼스톤(61)은 순간적으로 피스톤(61)과 프리 피스톤(65) 사이에 밀폐되어 있는 오일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오일은 비압축성이므로 다시 프리 피스톤(65)애 가압을 하게 된다.
그러면 프리 피스톤(65)의 하측에 층진되어 있는 압축가스가 압축을 하게 되고, 이며 가스의 압축성질로 인하여 미세한 진동은 흡수된다.
그리고, 가스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진동은 다시 압축된 가스에 의해 반발력이 생겨 프리 피스톤(65)을 밀어 올리게 된다.
그러면 퍼스론(61)과 프리 피스톤(65)사이의 오일의 압력이 더욱 높아져 피스톤(6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63)를 통하여 로드(59)측의 오일실로 동하게 된다.
이에 피스톤(61)에서 주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용에 의해 감쇄되지 못한 진동은 스프링(55)에 의해 흡수된다.
상기 작용의 반복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을 차체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술한 가스 쇽업소오버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면 상태에 따른 진동을 감쇠할 수는 있지만, 오일이 밸브를 통하여 필요이상으로 유동되어 작은 진동에도 차체와 이에 결합된 주 피스톤 축및 피스톤이 상하 이동되어 자동차의 승차감을 나쁘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적정값의 탄성력을 갖도륵 설계된 스프링에 의해 차측과 차체사이에 완충이 이루어 지도륵 하고 있기는 하지만, 제한된 크기의 속업소오거는 진동 흡수범위가 작아 스프링의 탄성간을 넘어가는 큰 진동은 그대로 차체에 전달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차량의 장착에 있어서는 주행시 노면 상태에 따른 큰 진동및 차체의 충격을 표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는 압쇼버의 크기를 늘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가스 쇽업소오버가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진동흡수의 범위를 넙게하여 차량의 주행시 노면상태에 따른 다양한 진동을 흡수하고, 이로인한 차량의 승차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가스 쇽업소오버를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본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측과 차체 사이에 개설되는 가스 쇽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에 고정된 주 피스톤축과 슬라이드 결합되며, 2중의 오일실과 압축 가스실이 형성되어 각각 오일과 압축가스가 채워지는 외부 실린더와, 상기 외부 실린더의 오일실의 오일이 서로 유통가능하게 설치하여 완충력을 발하는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1 완충부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주 피스톤축과 결합되어 별도의 2중 오일공간을 형성하여 이에 오일을 채우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작은 완충력을 발하는 재 2 완충부와, 상기 계 2 완충부와 부피스톤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실린더내의 압축가스실내에서 압축가스의 압축성으로 진동을 습수하고, 상기 제 2 완충부 보다 작은 완충력을 발하는 제 3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쇽업소오버를 제공한다.
[작 용]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쇽업소오버는, 미소한 진동은 가스의 압축성을 이응하여 흡수되고, 큰 진동은 오일실을 다중 실린더 구조로 설치하여 오일의 면압이 다르게 발생하여 진동을 흡수하고, 2차·진동및 리바운드시 순간적인 복원력을 갖는 작용을 한다.
[실 시 예]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쇽업소오버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일측은 차체에 다른 일측은 차축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대(51)와, 상기 차체측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51)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는 먼지덮개(53)와, 상기 먼지덮개(53)의 내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55)과, 상기 스프링(55)의 다른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대(57)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체측의 지지대(51)에 고정된 주 피스톤축(1)과, 상기 주 피스톤축(1)과 슬라이드 전항되는 외부 실린더(3)와, 상기 외부 실린더(3)내의 상부에 외부 오일실(B)(B')이 이중으로 설치된 제 1 완충쑤와, 상기 제 1 완충부 내부owl 설치되며 일측은 주 피스톤축(1)과 결합되어 별도의 2중 내부 오일실(A)(Ar)을 형성한 제 2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와 부틱스톤 축(5)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실린더(3)내의 압축가스실(C)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 3 완충부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완충부는 상기 외부 실린더(3)내 오일실(B)(B')의 중간부에 상,하 오밀실(B)(Bi)이 구분되도록 고정 형성된 주피스론(7)과, 상기 주피스톤(7)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 오일실(B)(B')의 오일이 유통 가능하도쪽 설치된 밸브(7 ')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 2 완충부는 외부 실린더(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피스톤(7)과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내부 실린더(9)와, 삼기 내부 실린더(9)의 내벽과 슬라이드가 가능하도쪽 중간부에 설치되는 내부 오일 피스톤(11)과, 상기 내부 오일 피스톤(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오일이 유통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11')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3 완충부는 외부 실린더(3) 하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륵 설치되며 부 피스톤 축(5)으로 연결되고, 외부 실린더(3)내 오일실(B')과 압축가스실(C)의 정계가 되도록 설치된 프리 피스톤(13)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은 자동차의 주행중 바퀴나 프레임이 노면의 굴곡 및 정사, 가속이나 제동 또는 선회에 따라 여러방향의 요동이 발생하게 되면 스프링(55)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5)에 의한 진동은 주 피스톤 축(1)을 통하여 내부 실린더(9)에 전달된다.
상기 내부 실린더(9)는 순간적으로 주펴스론(7)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부피스론 축(5)에 전달되어 프리 피스론(13)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프리 피스톤(13)에 의해 압축가스실(C)의 가스가 압축성질로 인하여 압축되면서 1차 완충작용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가스실(C)의 가스가 충분히 압축되면 프리 피스톤(13)이 다시 압축가스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다시 부 피스톤 축(5)에 의하여 내부 실린더(9)의 내부 오일 피스톤(11)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내부 오일 피스톤(11)의 일측에 설치된 밸브(11')에 의하여 오일의 유통이 일어나게 되어 2차로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2차 완충작용이 내부 실린더(9)에서 우선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은 제 1 완층부에 작용하는 면압보다 내부 쏘일 피스론(11)에 작용하는 면압이 작게 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부 실린더(9)의 하강과, 프리 피스톤(13)의 상승으로 인해서 순간적으로 외부 실린더(3)의 중간부분의 오일실(B')의 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는 오일실(B')의 오일이 밸브(7')를 통하여 상부 오일실(B)로 이동하게 되어 3차 완충작용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3차 완충작용이 완료되기전에 내부 실린더(9)의 행정길이보다 프리 피스톤(13)의 행정 길이가 짧아 프리 피스톤(13)이 리바운드 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반복작용으로 인해 스프링(55)에 의한 충격을 감쇄하게 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쇽업소오버는, 주 피스톤과 프리 피스톤의 상호 보완적인 댐퍼 역할로 충격 하중의 다양한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일실이 2중구조로 작동하며 이는 서로의 면압을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이를 대형차량에 장착시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소형으로 큰 힘의 댐핑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축과 차체 사이에 개설되는 가스 쇽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힌지 결함되는 지지대(51)에 고정된 주 피스톤축(1)과 슬라이드 결합되며, 2중의 오일실(B)(B')롸 압축 가스실(C)이 형성되어 각각 오일과 압축가스가 채워지는 외부 실린더(3)와; 상기 외부 실린더(3)의 오일실(B)(B')의 오일이 서로 유통가능하게 설치하여 완층력을 발하는 제 1 완충부와: 상기 제 1 완충부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주 피스톤축(1)과 결합되어 별도의 2중 오일공간을 형성하여 이에 오일을 채우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작은 완충력을 발하는 제 2 완충부와; 상기 제 2 완충부와 부피스톤 축(5)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실린더(3)내의 압축가스실(C)내에서 압축가스의 압축성으로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제 2완충부 보다 작은 완충력솔 발하는 제 3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쇽업소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완충부는 상기 외부 실린더(3)내 오일실(B)(B')의 중간부에 상,하 오일실(B)(B')이 구분되도륵 고정 형성된 주피스톤(7)과; 상기 주피스톤(7)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 오일실(B)(B')의 오일이 유통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쇽압소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완층부는 외부 실린더(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피스톤(7)과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내부 실린더(9)와; 상기 내부 실린더(9)의 내벽과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중간부에 설치되는 내부 오일 피스톤(11)과: 상기 내부 오일 피스톤(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오일이 유통 가능하도를 설치된 밸브(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속압포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완충부는 외부 실린더(3) 하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 피스톤 축(5)으로 연결되며, 외부 실린더(3)내 오일실(B')과 압축가스실(C)의 경계가 되도록 설치된 프리 피스톤(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목청으로 하는 가스 쇽업소오버.
KR2019940038753U 1994-12-30 1994-12-30 가스쇽업소오버 KR200147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53U KR200147467Y1 (ko) 1994-12-30 1994-12-30 가스쇽업소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53U KR200147467Y1 (ko) 1994-12-30 1994-12-30 가스쇽업소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619U KR960023619U (ko) 1996-07-22
KR200147467Y1 true KR200147467Y1 (ko) 1999-06-15

Family

ID=1940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753U KR200147467Y1 (ko) 1994-12-30 1994-12-30 가스쇽업소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619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343B1 (en) Shock absorber
US7451860B2 (en) Shock absorber with amplitude damping
AU8274998A (en) Adjustable suspension system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springs
CN108999911B (zh) 具有组合的气体弹簧和阻尼器的支杆组件
CN1867469A (zh) 将空气弹簧压力用于与负载相关的减振器的具有弹簧的增压器
CN203248591U (zh) 载重汽车减振器
CN101629611A (zh) 振幅选择减震器的浮动活塞阀
US2774447A (en) Shock absorber
KR100488786B1 (ko) 유압식 스트럿 마운팅 구조
US3194355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initial impact damping
KR200147467Y1 (ko) 가스쇽업소오버
JP5456597B2 (ja) 油圧緩衝器
JP3609964B2 (ja) ダンパ
KR100235446B1 (ko) 이중실린더 형충격흡수장치
KR10020011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가스 쇽업소오버
CN218408299U (zh) 一种新型减震保护罩
CN215890913U (zh) 一种减振器装置
KR19980029769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쿠션러버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CN209067748U (zh) 一种印刷机减震装置
JPH0874910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80054456A (ko) 상용차용 쇽업소버
JPS6221154Y2 (ko)
JPH05321970A (ja) 油圧緩衝器
KR200181042Y1 (ko) 차량용현가장치의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