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865A -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865A
KR20050076865A KR1020040004611A KR20040004611A KR20050076865A KR 20050076865 A KR20050076865 A KR 20050076865A KR 1020040004611 A KR1020040004611 A KR 1020040004611A KR 20040004611 A KR20040004611 A KR 20040004611A KR 20050076865 A KR20050076865 A KR 2005007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topper
shock absorber
vehicle
shock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865A/ko
Publication of KR2005007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3Dampers characterised by having pressure absorbing means other than gas,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쇽업소버의 완충 작용시 범퍼 스토퍼에 전달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여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Dual bumper stopper provided a shock absorber o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쇽업소버의 범퍼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업소버의 충격에 따른 범퍼 스토퍼의 완충 효과를 높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는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져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통상적으로 오일이 충진된 유압식 쇽 업소버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쇽업소버의 상단에는 서스펜션(suspension)이 가동범위의 한계에 가깝게 휘었을때 작용하여 차량의 휠(wheel)로부터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범퍼 스토퍼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범퍼 스토퍼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쇽업소버(도시안됨)의 상단과 연결된 피스톤 로드(20)가 관통 삽입되고, 상부에는 차체 프레임(도시안됨)의 저면부에 취부되는 하우징 브래킷(30)이 고정된 후, 피스톤 로드(20)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40)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쇽 업소버의 범퍼 스토퍼(10)는 차량의 범프시 쇽 업소버 상단부의 충격으로 완충 변형되는 과정에서 최종의 순간에는 범퍼 스토퍼(10) 자체의 압축에 의한 강성증대로 인하여 변형이 선형적으로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탑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됨과 동시에 범퍼 스토퍼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 스토퍼 내에 보조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 범퍼 스토퍼를 내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쇽업소버의 충격에 따른 범퍼 스토퍼의 변형시 이중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승차감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범퍼 스토퍼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쇽업소버 상단에 배치되는 메인 범퍼 스토퍼;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래킷;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중앙부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과 상기 하우징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내에는 이차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 범퍼 스토퍼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쇽업소버용 범퍼 스토퍼는 메인 범퍼 스토퍼(100)와,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100) 내부에 설치되며 완충 작용을 보조해 주는 보조 범퍼 스토퍼(200)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범퍼 스토퍼(100)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 범퍼 스토퍼(2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보조 범퍼 스토퍼 수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범퍼 스토퍼(200) 중앙에는 쇽업소버(도시안됨)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3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부(2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조 범퍼 스토퍼(200)는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10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범퍼 스토퍼(200)의 하단부 형상은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100) 및 보조 범퍼 스토퍼(200)는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브래킷(400)의 저면부에 취부되어 소정의 접착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300) 상단에 너트(500)를 체결하여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범퍼 스토퍼 적용시 완충 증대 효과를 예시한 것으로, 쇽업소버의 충격량(힘)에 따른 이중 범퍼 스토퍼의 변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 범퍼 스토퍼는 차량의 주행중 쇽업소버 상단부 충격으로 메인 범퍼 스토퍼(100)가 압축 변형되는 과정에서 일정구간(S1) 동안에는 충격량에 따른 변위의 관계가 선형적인 형태를 이루며 정상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된 후, 일정 시점에 이르러 메인 범퍼 스토퍼(100) 자체 강성으로 충격력에 따른 탄성 변형이 한계에 다다르게 되면 충격력에 대한 탄성 변형량이 점차 줄어 들게 되어 완충작용이 저하되는데, 이 때,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100)에 내장된 보조 범퍼 스토퍼(200)를 통해 이차적인 충격 완충작용이 수행되기 때문에 (S1) 이후의 구간인 (S2)구간에서는 점섬으로 표시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충격량에 대한 탄성 변형량이 증가된 형태를 이루며 (S1)구간에서와 거의 같은 완충 효과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범퍼 스토퍼(100)에서 보조 범퍼 스토퍼(200)로 충격이 전달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범퍼 스토퍼(200)의 하단부 형상 구조로 인하여 서로 맞닿아 있는 두 부재 간의 탄성 변형량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지 않고서 부드럽게 흡수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조의 이중 범퍼 스토퍼를 차량에 적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범퍼 스토퍼가 일정시점에 이르러서 완충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범퍼 스토퍼의 최종적인 범프 후 보조 범퍼 스토퍼가 이차적으로 범프 하여 충격을 거의 선형적으로 가깝게 완충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범퍼 스토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범퍼 스토퍼를 메인 범퍼 스토퍼에 내장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보조 범퍼 스토퍼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추가 설치공간이 필요 없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보조 범퍼 스토퍼의 하단부 형상을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두 부재 상호 간의 탄성 변형량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지 않고서 부드럽게 흡수 전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범퍼 스토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토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범퍼 스토퍼 적용시 충격량과 변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범퍼 스토퍼 120 : (보조 범퍼 스토퍼) 수용부
200 : 보조 범퍼 스토퍼 220 : 중공부
300 : 피스톤 로드 400 : 하우징 브래킷
500 : 너트

Claims (1)

  1. 쇽업소버 상단에 배치되는 메인 범퍼 스토퍼;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래킷;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중앙부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과 상기 하우징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범퍼 스토퍼 내에는 이차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 범퍼 스토퍼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KR1020040004611A 2004-01-26 2004-01-26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KR20050076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611A KR20050076865A (ko) 2004-01-26 2004-01-26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611A KR20050076865A (ko) 2004-01-26 2004-01-26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865A true KR20050076865A (ko) 2005-07-29

Family

ID=3726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611A KR20050076865A (ko) 2004-01-26 2004-01-26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75B1 (ko) * 2013-11-20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재질 범프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75B1 (ko) * 2013-11-20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재질 범프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651B2 (ja) 防振装置
JP4841923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S62292512A (ja) サスペンション部材
US9200695B2 (en) Spring and damper system, in particular for an assembly mount in a motor vehicle
KR101816219B1 (ko)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20050076865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KR102019905B1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200160615Y1 (ko) 쇽업소버의 댐퍼스프링구조
CN214928812U (zh) 悬架系统缓冲块组件、悬架系统及汽车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KR100599477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어퍼 스프링 시트 장착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787398B1 (ko) 쇽 업소버
KR10053508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0507182B1 (ko) 자동차 쇽업소버의 상부 장착구조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200535147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転車
KR20050031519A (ko)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프링 설치 구조
KR20050051252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64662U (ko) 자동차용 범프스토퍼의 구조
JPH06262924A (ja) 懸架装置
KR19990035378A (ko) 현가장치의 쇽업소오바와 상 콘트롤 아암의 결합부 완충 부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