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085B1 -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085B1
KR100535085B1 KR10-1999-0068391A KR19990068391A KR100535085B1 KR 100535085 B1 KR100535085 B1 KR 100535085B1 KR 19990068391 A KR19990068391 A KR 19990068391A KR 100535085 B1 KR100535085 B1 KR 10053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ing
spring cover
vibration
quarter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539A (ko
Inventor
백성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0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틀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휠 하우징이 노면에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비틀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비틀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휠 하우징 및 스프링 커버가 스트러트 어셈블리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등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 하우징(52)의 상단에 결합된 스프링 커버(55)에 스트러트 어셈블리(52)가 결합되어 노면에서의 진동이 전달되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진동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커버(55) 상면과 쿼터 패널(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보강 챔버(3)를 형성하는 제1보강재(1)와, 상기한 스프링 커버(55) 저면과 쿼터 패널(51) 사이에 사이에 설치되어 제2보강 챔버(4)를 형성하는 제2보강재(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TORSION PROTECTING STRUCTURE OF WHEEL HOUS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비틀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휠 하우징이 노면에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비틀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비틀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안정성 및 승차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현가 장치에서 스트러트 어셈블리는 휠 하우징과 너클 사이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워(50)에 연결됨과 아울러 쿼터 패널(51)에 연결되어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휠 하우징(52)과, 상기한 휠 하우징(52)에 직립 설치됨과 아울러 타이어(T)가 설치된 스트러트 어셈블리(5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휠 하우징(52)은 플로워(50)와 직립 결합되는 수직부(54)와, 상기한 수직부(54)의 상면에 결합되고 쿼터 패널(51)에 결합되며 상기한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상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커버(5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스프링 커버(55)는 강성 향상을 위해 보강 밴드(56)로 쿼터 패널(5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상기한 타이어(T)가 노면의 굴곡에 따라 승강하게 되는 바, 상기한 타이어(T)의 승강에 따라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쇽 업소버가 압축/신장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쇽 업소버가 압축/신장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한 쇽 업소버(스트러트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휠 하우징(52)에 하중이 인가되고, 특히, 상기한 하중은 휠 하우징(52)의 스프링 커버(55)에 인가된다.
스프링 커버(55)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등이 인가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커버(55) 및 이와 결합된 휠 하우징(52)이 변형되면서 도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반복 진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휠 하우징(52) 및 스프링 커버(55)의 승강 및 진동은 비교적 작은 진폭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러트 어셈블리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등에 의해 상기한 휠 하우징 및 스프링 커버가 진동/변형/승강 운동하게 되면, 상기한 진동이 차체에 전달됨으로써, 승객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휠 하우징 및 스프링 커버의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한 노면에서의 충격등에 의해 과다하게 진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휠 하우징 및 스프링 커버가 스트러트 어셈블리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등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된 스프링 커버에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노면에서의 진동이 전달되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진동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커버 상면과 쿼터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보강 챔버를 형성하는 제1보강재와, 상기한 스프링 커버 저면과 쿼터 패널 사이에 사이에 설치되어 제2보강 챔버를 형성하는 제2보강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휠 하우징(52)의 스프링 커버(55)와 쿼터 패널(51)의 사이에 배치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스트러트 어셈블리(53)에 의한 스프링 커버(55)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제1, 2보강재(1, 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보강재(1)는 스프링 커버(55) 상면에 일측이 볼팅되어 있고 타측이 쿼터 패널(51)에 소정 각도를 갖고 볼팅되어 있으며, 제2보강재(2)는 스프링 커버(55) 저면에 일측이 볼팅되어 있고 타측이 쿼터 패널(51)측에 볼팅되어 있는 바, 상기한 쿼터 패널(51)과의 사이에 제1, 2보강 챔버(3, 4)를 형성하고 있다.
즉, 스트러트 어셈블리(53)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스프링 커버(55)의 쿼터 패널(51)측이 승강 운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한 제1, 2보강재(1, 2) 및 제1, 2보강 챔버(3, 4)가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1, 2 보강재(1, 2)에는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강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절개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차량 주행중 노면의 굴곡등에 의해 타이어(T)가 승강 운동하게 되면, 상기한 타이어(T)가 설치된 스트러트 어셈블리(53)의 쇽 업소버가 수축/인장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쇽 업소버가 수축/인장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한 휠 하우징(52)에 하중이 인가되는 바, 특히 상기한 스트러트 어셈블리(53)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커버(55)에 하중이 집중된다.
스프링 커버(55)에 집중된 하중은 상기한 힘P 방향으로 스프링 커버(55)에 인가되는 바, 상기한 스프링 커버(55)를 지지하고 있는 제1, 2보강재(1, 2)에 의해 억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제1, 2보강재(1, 2)의 설치 각도가 약 45도 정도가 되면 상기한 힘 P에 저항하는 강성이 최적인 상태인 바, 제2보강재(2)는 스프링 커버(55)가 상승할 때 이를 억제하고, 제1보강재(1)는 스프링 커버(55)가 하강할 때 이를 억제하여, 스프링 커버(55)의 진동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제1, 2보강재(1, 2)와 쿼터 패널(51) 사이에 형성된 제1, 2보강 챔버(3, 4)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스프링 커버(55)로 인가된 하중의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스프링 커버(55)의 변형 및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제1, 2보강재(1, 2)를 설치하여도 변형 및 진동은 일어나지만, 변형 시 쿼터 패널(51)이 동시에 변형 및 진동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하중이 휠 하우징(52) 및 쿼터 패널(51)을 동시에 변형시키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한 휠 하우징(52) 즉, 스프링 커버(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 커버(55)의 변형 및 진동이 상기한 제1, 2보강재(1, 2)에 의해 감쇄되면, 실질적으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량이 감소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승차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휠 하우징의 스프링 커버와 쿼터 패널의 사이에 보강 챔버를 형성하도록 제1, 2보강재를 부착하여, 스프링 커버의 과다한 진동 및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 선 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현가 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3에서 휠 하우징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에 따른 휠 하우징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보강재 2: 제2보강재
3: 제1보강 챔버 4: 제2보강 챔버
5: 절개부 52: 휠 하우징
55: 스프링 커버

Claims (1)

  1. 휠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된 스프링 커버에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노면에서의 진동이 전달되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진동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 커버 상면과 쿼터 패널의 사이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제1보강 챔버를 형성하는 제1보강재와, 상기한 스프링 커버 저면과 쿼터 패널 사이 모서리 부분에 사이에 설치되어 제2보강 챔버를 형성하는 제2보강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휠 하우징 진동 방지 구조.
KR10-1999-0068391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10053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91A KR100535085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91A KR100535085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9A KR20010066539A (ko) 2001-07-11
KR100535085B1 true KR100535085B1 (ko) 2005-12-07

Family

ID=1963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91A KR100535085B1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6347A (zh) * 2016-07-21 2019-03-1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前部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539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8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102019905B1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20030041247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KR100361296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KR20240002484A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9980017187U (ko) 자동차용 댐퍼분리형 서스펜션의 로어 스프링시트
KR0118277Y1 (ko) 웨건차량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100410847B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고정 브래킷의 고정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836392B1 (ko) 후륜 서스펜션의 쇼크업소버 설치구조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200373588Y1 (ko) 자동차 쇽업쇼버용 가스 실린더 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KR20010066506A (ko) 해치백형 자동차의 후방 비틀림 방지 구조
KR20010059832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구조
KR20050076865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이중 범퍼 스토퍼 구조.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