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327B1 -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327B1
KR102647327B1 KR1020190021084A KR20190021084A KR102647327B1 KR 102647327 B1 KR102647327 B1 KR 102647327B1 KR 1020190021084 A KR1020190021084 A KR 1020190021084A KR 20190021084 A KR20190021084 A KR 20190021084A KR 102647327 B1 KR102647327 B1 KR 10264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uspension
support bracket
mou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35A (ko
Inventor
박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9002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3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6Mounting of vehicle body on chassis
    • B60G2204/162Cabins, e.g. for trucks,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Abstract

캐빈 작업차에서 캐빈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흡수/완화를 위해 상기 캐빈과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는, 뒷차축 케이스 브라켓 장착대에 장착 고정되고 하단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와, 캐빈의 측후방 하단의 캐빈 프레임에 부착되고 하단 지지 브라켓과 대향되는 상단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와,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과 상단 지지 브라켓에 연결되는 쇽업소버와 쇽업소버의 외면부를 에워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서스펜션부 및 서스펜션부 인접 측부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와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뒷차축 케이스에 대한 상기 캐빈의 상하 요동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면서 수평방향 좌우 요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Suspension type cabin mount assembly and Cabin type work vehicl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캐빈 작업차에서 캐빈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흡수/완화를 위해 캐빈과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 라 불리우는 농업용 작업차는 일반 자동차와 구동원리는 비슷하지만, 작업 조건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경작에 전천후 활용이 목적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즉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작업에 유리한 구조와 동력 출력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작업차가 점차 대형화되고 고사양화 되는 최근의 추세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전석을 보호하고 정숙성을 향상시켜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운전환경을 보장하기 위하여,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cabin)이 운전석을 보호하는 구조가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캐빈 구조를 갖는 작업차를 통상적으로 '캐빈 작업차'라 한다.
작업차의 캐빈은 일반적으로 차체에 탑재되되, 캐빈과 차체 사이에는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완화시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절연을 위해 방진 마운트가 설치된다. 캐빈 작업차에 주로 사용되는 방진 마운트는 그 구조 및 형상이 기종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은 고무 방식의 방진 마운트를 사용한다.
진동절연을 위한 소재로서 고무(Rubber)를 이용하는 경우 그 재질 특성상 경도(hardness)가 낮을수록 진동과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무의 경도가 낮아질수록 엔진 구동에 따른 자체 떨림이나 주행 또는 작업 시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작은 충격에도 캐빈이 심하게 흔들려 승차감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대형 트랙터의 경우 고무 방식의 방진 마운트로는 만족할만한 수준의 진동 및 충격 흡수/완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대형 트랙터에 진동 절연율이 우수한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를 적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캐빈의 마운트 방식을 고무방식(방진 마운트)에서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Shock absorber)으로 변경할 경우, 작업차의 구조적인 특성상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설치에 어려움이 수반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설치에 적합한 형태로의 일부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6643호(공개일자 2015. 03. 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향상된 진동절연 특성이 발휘되어 주행 안전성과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고무방식에서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으로 변경함에 있어 수반되는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고 공간 제약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빈 작업차에서 캐빈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흡수/완화를 위해 상기 캐빈과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뒷차축 케이스 브라켓 장착대에 장착 고정되고 뒷차축 케이스의 후면부를 따라 하향 연장되며 하단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
상기 캐빈의 측후방 하단의 캐빈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과 대향되는 상단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과 상단 지지 브라켓에 연결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면부를 에워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서스펜션부; 및
상기 서스펜션부 인접 측부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와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뒷차축 케이스에 대한 상기 캐빈의 상하 요동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면서 수평방향 좌우 요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에 적용된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 장착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뒷차축 케이스의 후면부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브라켓 장착면이 형성된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의 브라켓 장착면에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는, 상기 캐빈 프레임이 장착 고정되는 캐빈 마운트와, 상기 캐빈 마운트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브라켓 장착면이 형성된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의 브라켓 장착면에 상기 상단 지지 브라켓이 설치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과 상단 지지 브라켓은 측면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되, 하단 지지 브라켓은 차체 측에 대해 일부가 개방되고 상단 지지 브라켓은 하단 지지 브라켓과 반대로 일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에 적용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에 고정되고 하단에 회전운동을 하는 고무 로울러가 구비된 가동 브라켓과,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에 고정되고 서스펜션부가 신축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로울러를 수용하는 슬로트가 형성된 안내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울러가 안내 브라켓의 슬로트를 따라 제한된 높이 구간 안에서 캐빈 진동에 따른 서스펜션부의 신축 작용에 따라 상하로 요동하면서 상기 슬로트에 의해 수평방향 좌우 요동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캐빈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환경에 운전석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박스형 구조물인 캐빈을 탑재하고,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와 상기 캐빈 사이에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캐빈 작업차로서,
캐빈과 좌측 뒷차축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구성의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캐빈과 우측 뒷차축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구성의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롤링 억제를 위해 상기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와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바;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 측에 상기 스테빌라이져바의 일단이 힌지 구조로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져바의 타단은 상기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 측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기존 고무방식의 캐빈 마운트에 비해 진동절연 특성이 현저히 우수하다. 이에 따라 차체에 대한 캐빈의 진동 및 충격 흡수/완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대형 작업차의 주행 안전성을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는, 캐빈 후측방 하단과 뒷차축 케이스 사이의 여유 공간에 장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고무방식의 캐빈 마운트를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으로 변경함에 있어 수반되는 작업차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고 공간 제약으로 인한 종래의 설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스토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캐빈 작업차의 주요부(뒷차축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는 도 1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의 스토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는, 캐빈 작업차에서 캐빈(10)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 흡수/완화를 위해 상기 캐빈(10)과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35) 사이에 설치되는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충격흡수장치로서, 상하 대향 배치되는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와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 이들 체결부(22, 24) 사이에 설치되는 서스펜션부(23) 및 스토퍼부(26)를 포함한다.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는 차체로부터 캐빈(10)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상기 서스펜션부(23)의 하단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는 상기 뒷차축 케이스(35)에 형성되는 브라켓 장착대(350)에 용접 또는 볼팅을 통해 장착 고정되어 뒷차축 케이스(35)의 후면부를 따라 하향 연장되며, 상기 서스펜션부(23)의 하단이 연결되는 하단 지지 브라켓(224)을 구비한다.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는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 장착대(350)에 용접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2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뒷차축 케이스(35)의 후면부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브라켓 장착면(223)이 형성된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를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220)와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에 걸쳐 덧대어지는 보강 리브(221)를 구비한다.
브라켓 장착면(223)은 뒷차축 케이스(35)의 후면부 측면에 인접 배치되며, 여기에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이 설치된다. 또한 서스펜션부(23)를 통해 전달되는 캐빈(20)의 하중을 실질적으로 뒷차축 케이스(35)가 떠받칠 수 있도록,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의 최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뒷차축 케이스(35) 후면부에는 상기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를 지지하는 지지부(352)가 형성된다.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는 상기 서스펜션 체결부 상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서스펜션부(23)의 상단이 핀(부호 생략)으로 연결된다. 캐빈(10)의 측후방 하단에서 차체 측으로 연장되는 캐빈 프레임(12)이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에 용접 또는 볼트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의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대향되는 상단 지지 브라켓(244)을 구비한다.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는 구체적으로, 캐빈(10)의 측후방 하단에서 뒷차축 측으로 연장된 상기 캐빈 프레임(12)이 장착 고정되는 캐빈 마운트(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빈 마운트(240)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브라켓 장착면(243)이 형성된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242)를 구비한다. 브라켓 장착면(243)은 전술한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의 브라켓 장착면(223)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여기에 상기 상단 지지 브라켓(244)이 설치된다.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에 서스펜션부(2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핀으로 연결되어 구속되고, 이때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은 그 측면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되, 하단 지지 브라켓(224)은 차체 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뒷차동부 케이스를 향해 있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단 지지 브라켓(244)은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반대로 일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하단 지지 브라켓(224) 중 차체 측을 향해 있는 부분이 개방되고 상단 지지 브라켓(244)이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반대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면, 상단 지지 브라켓(244)과 하단 지지 브라켓(224) 각각이 서스펜션부(23) 상단과 하단에 대해 캐빈(10)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을 억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기 상단 지지 브라켓(244)에는 앞서 언급했듯이, 상기 서스펜션부(23)의 상단과 하단이 핀을 통해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서스펜션부(23)는 바람직하게, 일단(하단)과 타단(상단)이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에 각각 핀으로 연결되는 쇽업소버(230)와, 쇽업소버(230)의 외면부를 에워싸는 코일 스프링(23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232)은 압축/복원되는 탄성 작용을 통해 차체에서 캐빈(1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완화하며, 쇽업소버(230, Shock absorber)는 상기 코일 스프링(232)의 자유 진동(압축/복원)을 억제하여 안전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쇽업소버(230)는 공지의 가스식이나 오일식 어떤 방식이든 무방하고, 캐빈(10)의 무게에 맞춰 적절한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스토퍼부(26)의 주된 역할은 캐빈(10)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차폭 방향 요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뒷차축 케이스(35)에 대한 상기 캐빈(10)의 상하 요동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는 역할도 겸한다. 스토퍼부(26)는 전술한 서스펜션부(23)의 인접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와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의 사이에 구비된다.
스토퍼부(26)는 구체적으로, 가동 브라켓(260)과 안내 브라켓(264)으로 구성된다. 가동 브라켓(260)은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에 고정되고 하단에 회전운동을 하는 고무 로울러(261)를 구비하며, 안내 브라켓(264)은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에 고정되고 상기 로울러(261)를 수용하는 슬로트(265)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슬로트(265)의 형성 방향은 상기 서스펜션부(23) 신축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토퍼부(26)에 의하면, 충격 흡수/완화를 위한 서스펜션부(23) 신축 작용 시 그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로울러(261)가 안내 브라켓(264)의 슬로트(265)를 따라 제한된 높이 구간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서스펜션부(23)의 안정적인 신축 작용을 가이드하며, 동시에 로울러(261)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이 상기 슬로트(265)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캐빈(10)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캐빈 작업차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캐빈 작업차의 주요부(뒷차축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과 앞선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캐빈 작업차는, 외부 환경에 운전석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박스형 구조물인 캐빈(10)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를 구성하는 좌측과 우측 뒷차축 케이스(35L, 35R)와 상기 캐빈(1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로부터 캐빈(10)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저감시키는 좌측과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 20R)를 포함한다.
좌측과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 20R)는 바람직하게, 뒷차동부 케이스(30)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좌측과 우측 뒷차축 케이스(35L, 35R)와 캐빈(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빈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시 노면 충격이나 정차 시 차체 진동이 캐빈(10)에 전달되는 흡수/감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전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캐빈(10)과 좌우측 뒷차축 케이스(35L, 35R)의 사이에서 서스펜션 역할을 하는 상기 좌측과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 20R)는 스테빌라이져바(29)로 상호 연결된다. 스테빌라이져바(29)는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와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뒷차동부 케이스(30)와 좌우측 뒷차축 케이스(35L, 35R)로 이루어진 뒷차축 조합(부호 생략)에 대한 상기 캐빈(10)의 롤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빌라이져바(29)의 일단과 타단은 구체적으로,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과 상기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의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의 베이스(220)와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의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의 캐빈 마운트(240)에는 스테빌라이져바 연결 브라켓(280L, 280R)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고무방식의 캐빈 마운트에 비해 진동절연 특성이 현저히 우수한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차체에 대한 캐빈의 진동 및 충격 흡수/완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대형 작업차의 주행 안전성을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는, 캐빈 후측방 하단과 뒷차축 케이스 사이의 여유 공간에 장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고무방식의 캐빈 마운트를 기계식 서스펜션 방식으로 변경함에 있어 수반되는 작업차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고 공간 제약으로 인한 종래의 설치 문제 등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캐빈 12 : 캐빈 프레임
20 :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22 :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
23 : 서스펜션부 24 :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
26 : 스토퍼부
29 : 스테빌라이져바 30 : 뒷차동부 케이스
35 : 뒷차축 케이스 220 : 베이스
222 :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 223 : 브라켓 장착면
224 : 하단 지지 브라켓 230 : 쇽업소버
232 : 코일 스프링 240 : 캐빈 마운트
242 :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 243 : 브라켓 장착면
244 : 상단 지지 브라켓 260 : 가동 브라켓
261 : 로울러 264 : 안내 브라켓
266 : 슬로트 280 : 스테빌라이져바 연결 브라켓

Claims (7)

  1. 캐빈 작업차에서 캐빈(10)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흡수/완화를 위해 상기 캐빈(10)과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35)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뒷차축 케이스(35)의 브라켓 장착대(350)에 장착 고정되고 뒷차축 케이스(35)의 후면부를 따라 하향 연장되며 하단 지지 브라켓(224)을 구비하는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
    상기 캐빈(10)의 측후방 하단의 캐빈 프레임(12)에 부착되고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대향되는 상단 지지 브라켓(244)을 구비하는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에 연결되는 쇽업소버(230)와, 상기 쇽업소버(230)의 외면부를 에워싸는 코일 스프링(232)으로 구성된 서스펜션부(23); 및
    상기 서스펜션부(23) 인접 측부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와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의 사이에 설치되며, 뒷차축 케이스(35)에 대한 상기 캐빈(10)의 상하 요동을 일정 높이로 제한하면서 수평방향 좌우 요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26);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은 측면 일부가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상단 지지 브라켓(244) 각각이 서스펜션부(23)의 하단과 상단에 대해 캐빈(10)의 수평방향 좌우 요동을 억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상기 하단 지지 브라켓(224)은 차체 측을 향하여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단 지지 브라켓(244)은 하단 지지 브라켓(224)과 반대방향으로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는,
    상기 브라켓 장착대(350)에 고정되는 베이스(220)와;
    상기 베이스(2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뒷차축 케이스(35) 후면부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고 브라켓 장착면이 형성된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서스펜션 마운트(222)의 상기 브라켓 장착면에 하단 지지 브라켓(2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는,
    상기 캐빈 프레임(12)에 장착 고정되는 캐빈 마운트(240)와;
    상기 캐빈 마운트(240)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브라켓 장착면이 형성된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24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서스펜션 마운트(242)의 브라켓 장착면에 상기 상단 지지 브라켓(2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26)는,
    상기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에 고정되고 하단에 회전운동을 하는 고무 로울러(261)가 구비된 가동 브라켓(260)과;
    상기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에 고정되고 서스펜션부(23)가 신축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로울러(261)를 수용하는 슬로트(265)가 형성된 안내 브라켓(264);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울러(261)가 안내 브라켓(264)의 슬로트(265)를 따라 제한된 높이 구간 안에서 상하로 요동하는 한편, 상기 슬로트(265)에 의해 수평방향 좌우 요동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6. 외부 환경에 운전석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박스형 구조물인 캐빈(10)을 탑재하고, 차체를 구성하는 뒷차축 케이스(35)와 상기 캐빈(10) 사이에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캐빈 작업차로서,
    캐빈(10)과 좌측 뒷차축 케이스(35L)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구성의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
    캐빈(10)과 우측 뒷차축 케이스(35R)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구성의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 및
    롤링 억제를 위해 상기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와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바(29);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L)의 하부 서스펜션 체결부(22)에 상기 스테빌라이져바(29)의 일단이 힌지 구조로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져바(29)의 타단은 상기 우측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20R)의 상부 서스펜션 체결부(24)에 힌지 구조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작업차.
KR1020190021084A 2019-02-22 2019-02-22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10264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84A KR102647327B1 (ko) 2019-02-22 2019-02-22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84A KR102647327B1 (ko) 2019-02-22 2019-02-22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35A KR20200102735A (ko) 2020-09-01
KR102647327B1 true KR102647327B1 (ko) 2024-03-13

Family

ID=7246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84A KR102647327B1 (ko) 2019-02-22 2019-02-22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3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08B1 (ko) 2013-09-03 2020-07-09 대동공업주식회사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NL2012013C2 (en) * 2013-12-20 2015-06-26 Daf Trucks Nv Cabin leveling device, and a truck or tractor fitted with the cabin leveling device.
KR102143043B1 (ko) * 2015-01-07 2020-08-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35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112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11298999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7203896A (ja) 車両の車体用補強装置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JP7276226B2 (ja) キャブ支持体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20030077134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JP4735189B2 (ja) 車両の底部車体構造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101338429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313799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100527741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053508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20240002065A (ko) 차량의 독립현가 스프링식 쇽업소버 댐퍼 연결힌지 구조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CN115783067A (zh) 一种轻型货车驾驶室前悬置装置及轻型货车
KR100836392B1 (ko) 후륜 서스펜션의 쇼크업소버 설치구조
KR20060056483A (ko)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20220108599A (ko)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JP2895384B2 (ja) チルトキャブトラックのキャブマウント装置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