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43B1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43B1
KR102143043B1 KR1020150046080A KR20150046080A KR102143043B1 KR 102143043 B1 KR102143043 B1 KR 102143043B1 KR 1020150046080 A KR1020150046080 A KR 1020150046080A KR 20150046080 A KR20150046080 A KR 20150046080A KR 102143043 B1 KR102143043 B1 KR 10214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bin
transmission
tra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188A (ko
Inventor
윤지원
황지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8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6Mounting of vehicle body on chassis
    • B60G2204/162Cabins, e.g. for trucks,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8Agricultural vehicles
    • B60G2300/082Tr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100), 엔진(20)과 변속장치(30)로 구성되는 차체(200) 및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장치(17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170)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바(171) 및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바(172)를 포함하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Tractor}
본 발명은 차체로부터 캐빈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트랙터의 구동시 차체로부터 탑승 운전부를 구성하는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에는 동력 발생을 위한 디젤엔진이 장착된다. 상기 트랙터는 상기 디젤엔진에서 공급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써레, 쟁기 등의 작업기를 일측에 장착하여 농업에서 이뤄지는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한다.
트랙터는 라지에이터, 배터리 등을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연결되는 엔진, 그리고 상기 엔진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엔진과 연결되는 변속장치로 구성되는 차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에는 앞차축을 통해 조향용 전륜이 장착이 되며, 상기 변속장치에는 차량의 주행을 담당하는 구동용 후륜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탑승 운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탑승 운전부는 복수의 프레임과 유리로 구성되는 캐빈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된다.
상기 엔진에서 동력이 발생하여 상기 트랙터에 시동이 걸리게 되면, 상기 트랙터는 주행이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트랙터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정지되어 소정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랙터에 의해 특정 작업이 수행될 때,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진동과 주행 중의 도로상태에 따른 충격 및 작업 중 작업지 상태에 따른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전후방향,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등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상기 트랙터의 차체를 통해 상기 캐빈으로 전달되고, 상기 캐빈으로 전달된 진동은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승차감, 안락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차체와 캐빈의 연결 방식은 상기 변속장치와 상기 캐빈 각각에 홈을 가지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홈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변속장치와 상기 캐빈을 결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캐빈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도록 고무 등의 탄성체를 설치하였다.
다만, 이러한 기술에 따르더라도, 상기 변속장치로부터 상기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단순히 고무 등의 탄성체가 상기 캐빈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7701호에서는, 상기 캐빈으로 전달된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문헌은 트럭의 캐빈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캐빈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오일이 상기 캐빈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빈의 진동이 오일의 자유 이동에 따라 저감이 가능한 것이다.
다만, 본 문헌에 따른 기술을 트랙터에 적용하더라도, 단순히 오일의 자유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캐빈의 진동을 저감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고, 본 기술에 따르면 상기 캐빈의 진동이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기가 어려우므로 여러 방향에서 상기 캐빈에 전달되는 진동 완화를 위한 적절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7701호(2002. 01. 29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체로부터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여 사용자의 승차감, 안락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 엔진과 변속장치로 구성되는 차체 및 상기 캐빈과 상기 변속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장치로부터 상기 캐빈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캐빈으로부터 상기 변속장치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 바 및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2 바를 포함하는 트랙터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빈과 변속장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압축 또는 인장이 가능한 탄성 실린더가 결합하므로, 상기 변속장치에서 상기 캐빈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캐빈과 상기 변속장치 각각의 후방에는 외면에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가 설치되므로 상기 상하 방향에서 발생하는 캐빈의 진동을 적절히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캐빈과 상기 변속장치 각각의 후방에는 고정 브라켓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롤러가 가이드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완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를 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8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변속장치에 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변속장치에 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완충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10)는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용 전륜(11)과, 차량의 주행을 담당하는 구동용 후륜(12)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용 전륜(11)은 차축을 통해 가이드 바(13)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트랙터(1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엔진(20)과, 변속 장치(30)가 순차적으로 탑재된다. 상기 가이드 바(13)와, 상기 엔진(20)과, 상기 변속장치(30)는 통칭하여 차체(200)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20)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바(13)의 상부에는 탑승 운전부(14)가 탑재되고, 상기 변속 장치(30)에는 후륜(12)의 구동을 위한 후방 차축(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속 장치(30)의 PTO 변속부에는 PTO축(41)이 후방로 연장되어 상기 트랙터(10) 후미부의 리프트 장치(50)와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10)는 내부에 상기 탑승 운전부(14)가 탑재되는 캐빈(100) 및 상기 캐빈(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200)는 상기 캐빈(100)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바(13), 상기 가이드 바(13)에 연결되는 엔진(20) 및 상기 엔진(2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엔진(20)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2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변속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빈(100)은 복수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트랙터를 작동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탑승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트랙터의 시동을 걸면, 상기 엔진(20)이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체(20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200)의 진동은 상기 트랙터(10)의 도로 주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트랙터(10)의 작업지 상태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차체(200)의 진동은 상기 트랙터(10)의 논밭 작업시 상기 논밭의 상태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엔진(20)에서 발생하는 진동, 상기 트랙터(10)의 도로 주행에 따른 진동 및 상기 트랙터(10)의 논밭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차체(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캐빈(100) 내에 탑승한 사용자는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된 진동으로 인하여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상기 캐빈(100)의 진동을 완화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한 완충 장치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빈(100)과 상기 차체(도 1의 도면부호 200 참조)를 구성하는 변속 장치(30) 각각의 전방에는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변속 장치 전방 브라켓(2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캐빈(100)의 전방에는 캐빈 전방 브라켓(101)이 설치되고, 상기 차체(200)를 구성하는 상기 변속장치(30)의 전방 측면에는 변속 장치 전방 브라켓(210)이 설치된다.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은 전후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변속 장치 전방 브라켓(210)과 고정되게 결합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 방향은 후륜(도 1의 도면부호 12 참조)으로부터 전륜(도 1의 도면부호 11 참조)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방향은 이에 대한 역방향을 의미한다(도 2 참조).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은 소정의 체결부재(102)에 의해 양 구성이 결합한다. 상기 체결부재(102)는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의 중앙 부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의 구성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 사이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댐퍼(205)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205)는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좌우 방향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좌 방향이란 우측에 배치된 전륜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된 전륜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우 방향이란 이에 대한 역방향을 의미한다(도 2 참조).
도 4a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완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 사이에는 상기 차체(200)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하기 위한 완충장치(17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장치(170)는 상기 캐빈(100)의 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트(160),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바(171) 및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바(17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은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은 상기 제2 바(172)의 일단과 결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은 상기 제1 바(171)의 상측 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은 상기 제2 바(172)의 상측 부분과 결합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바(171) 또는 상기 제2 바(172)의 일단은 상기 제1 바(171) 또는 상기 제2 바(172)의 상측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1 바(171) 또는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은 상기 제1 바(171) 또는 상기 제2 바(172)의 하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바(171)는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172)는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교차 지점에는 양 구성을 결합하기 위한 중심 핀(17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1 바(171)는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바(172)는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결합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일단에는 슬라이딩 부재(230, 231)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171)의 전방에는 상기 캐빈(100)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23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바(172)의 전방에는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1)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마운트(160)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바(171)의 상부와 결합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230) 및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바(172)의 하부와 결합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2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범퍼(235)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의 하면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의 상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범퍼(235)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장치(170)의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171)의 일단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바(171)의 타단은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바(172)의 일단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은 상기 마운트(160)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에는 상기 제1 바(171)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롤러(230b)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장 홀(230a)이 설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에는 상기 제2 바(172)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 롤러(231b)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장 홀(231a)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장 홀(230a)과 상기 제2 장 홀(231a)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롤러(230b)와 상기 제2 롤러(231b)는 각각 상기 제1 장 홀(230a)과 상기 제2 장 홀(231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변속장치(30)에 진동이 발생시,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를 연결하는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 중 상하 방향의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 방향의 진동이 상기 캐빈(100)에 가해지면, 상기 제1 롤러(230b)와 상기 제2 롤러(231b)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하 방향의 진동이 상기 캐빈(100)에 가해지면, 상기 제1 롤러(230b)와 상기 제2 롤러(231b)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231b)의 일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외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23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32)은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재(265)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26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장치(30)에 진동이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전후 방향 압축 또는 인장에 따라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전후 방향의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장치(30)에서 상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롤러(230b, 231b)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력은 상기 롤러(230b, 231b)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상호 이동에 따라 완충된 진동을 상기 캐빈(1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속장치(30)에서 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롤러(230b, 231b)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인장력은 상기 롤러(230b, 231b)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상호 이동에 따라 완충된 진동을 상기 캐빈(100)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완충장치(170)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가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부에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재(265)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장치(170)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는 각각 상기 다리부재(265)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260) 상에 설치된다.
도 6a는 도 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빈(100)의 후방에는 캐빈 후방 브라켓(151)이 설치되고, 상기 변속장치(30)의 후방에는 상기 변속장치(30)의 차축 케이스(250)와 결합된 변속장치 후방 브라켓(220)이 설치된다. 상기 캐빈 후방 브라켓(151)과 상기 변속장치 후방 브라켓(220)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는 외면에 스프링, 코일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장치(30)에 진동이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의 상하 방향 압축 또는 인장에 따라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 중 상하 방향의 진동이 효율적으로 완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체(200)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좌우 방향의 진동은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 사이에 배치되는 댐퍼(205)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30)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 중 전후 방향의 진동은 완충장치(170)에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30)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은 상기 완충장치(170)와, 상기 캐빈 후방 브라켓(151)과 상기 변속장치 후방 브라켓(22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 사이 공간의 중앙 부근에 상기 완충장치(170)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완충장치(17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완충장치(170)가 상기 트랙터(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를 후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8에서 변속장치가 제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변속장치(30)의 차축 케이스(250) 상면에는 받침부(251)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251)의 상면에는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장치(17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251)의 상면에 제1 바(171)의 하부와 제2 바(172)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2 안내부재(179b)가 설치되고, 캐빈(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안내부재(179b) 보다 상대적으로 상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171)의 상부와 상기 제2 바(172)의 상부가 안착되는 제1 안내부재(179a)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바(171)의 상부와 상기 제2 바(172)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 영역이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바(171)의 하부와 상기 제2 바(172)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상기 함몰 영역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171)의 하부는 제2 고정부재(178b)에 의하여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바(172)의 상부는 제1 고정부재(178a)에 의하여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바(171)의 상부와 상기 제2 바(172)의 하부 각각 에는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회전부재(177a)와 제2 회전부재(177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177a)와 제2 회전부재(177b)는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가 상기 함몰 영역을 따라 원활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171)의 전후 방향 이동은 상기 제1 바(171)의 하부가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177a)가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의 함몰 영역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바(172)의 전후 방향 이동은 상기 제2 바(172)의 상부가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부재(177b)가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의 함몰 영역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X자 형태로 교차한 상태에서, 상기 교차 부분에 중심 핀(173)이 결합하므로,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 중 어느 하나의 바가 일 방향, 예를 들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바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각각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와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이 제한될뿐 아니라 마찰로 인하여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속장치(30)의 상하 방향 진동은, 상기 완충장치(170) 및 상기 제1 안내부재(179a)와 상기 제2 안내부재(179b)에 의해 완화된 상태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일단 각각에 탄성 실린더를 추가하여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이동을 제한하여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 진동을 완화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의 고정위치를 위에서 설명한 반대편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의 전방 측 각각에는, 상기 캐빈(100)의 상하 진동 및 좌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3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은 상기 받침부(251)의 상부에 결합하고, 후방에서 바라볼 때 역'U'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312)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캐빈(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31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311)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상기 롤러(312)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312)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에 의해 외면이 감싸지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의 내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롤러(312)는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좌우 방향의 이동은 구속된다. 또한, 상기 롤러(312)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과 상기 받침부(25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이 제한되므로, 상기 변속장치(30)의 좌우 및 상하 진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에 의하여 완화된 상태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완충장치(170)의 동작에 따라 완화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변속장치에 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랙터(10)가 일 예로 오르막길이 형성된 도로를 주행(예를 들어, 과속 방지 턱을 따라 상 방향 주행하는 경우)시, 상기 트랙터의 전륜(11)과 후륜(12)이 오르막길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변속장치(30)는 상기 전륜(11)과 후륜(12)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기 캐빈(100)에는 이러한 힘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승차감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축 케이스(250)의 상부에 완충장치(17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변속장치(30)의 상 방향의 힘은 상기 완충장치(170)를 거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장치(30)의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바(171)의 상단과 상기 제2 바(172)의 하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X자 형상의 바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형태). 즉, 상기 제1 바(171)의 하단과 상기 제2 바(172)의 상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실린더(150)는 상기 변속장치(30)의 상 방향 이동에 따라 압축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력에 의해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1에서는, 상기 변속장치(30)에 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완충장치(170)의 동작이 도시된다. 일 예로, 상기 트랙터(10)가 내리막길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예를 들어, 과속 방지 턱으로 따라 하 방향 주행하는 경우)할 때, 상기 트랙터의 전륜(11)과 후륜(12)이 상기 내리막길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변속장치(30)는 하 방향의 힘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변속장치(30)에 가해지는 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은 상기 완충장치(170)를 거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변속장치(30)의 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바(171)의 상단과 상기 제2 바(172)의 하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X자 형상의 바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난 형태). 즉, 상기 제1 바(171)의 하단과 상기 제2 바(172)의 상단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실린더(150)는 상기 변속장치(30)의 하 방향 이동에 따라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트랙터(10)가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트랙터(10)가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캐빈(100)에 상 또는 하 방향 충격을 가하는 경우라면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는 상기 차체(20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여러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완충 장치의 각 구성이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방향을 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가 여러 방향에서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상기 완충 장치와 다른 구성 간의 결합 위치, 결합 강도 또는 진동의 강도에 따라 다른 예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트랙터 30: 변속장치
100: 캐빈 101: 캐빈 전방 브라켓
150: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 159: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
170: 완충장치 171: 제1 바
172: 제2 바 230, 231: 슬라이딩 부재

Claims (15)

  1.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100);
    엔진(20) 및 변속장치(30)로 구성되는 차체(200); 및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장치(17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170)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바(171) 및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바(172)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장치(30)의 차축 케이스(25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251)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장치(170)는 상기 받침부(25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서로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중심 핀(17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17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 홀(230a, 231a)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230, 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230) 및 상기 제2 바(172)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230)에는 제1 롤러(230b)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장 홀(23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에는 제2 롤러(231b)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장 홀(2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170)는 상기 캐빈(100)에 결합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운트(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160)의 일측은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마운트(160)의 타측은 상기 제2 바(172)의 일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완충장치(170)와 결합하고, 상기 완충장치(170)의 이동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하는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일측은 상기 장 홀(230a, 231a)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230b, 231b)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변속장치(3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상향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재(265); 및
    하면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재(265)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의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32)이 설치되는 받침판(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231)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260)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장치(30)에 상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30, 23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상기 변속장치(30)에 하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30, 23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탄성 실린더(159)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상기 제2 바(172)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안내부재(179a)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51)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바(171)의 타단과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2 안내부재(179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171)의 타단과 상기 제2 안내부재(179b)는 제2 고정부재(178b)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제2 바(172)의 일단과 상기 제1 안내부재(179a)는 제1 고정부재(178a)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171)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바(171)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회전부재(177a)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바(17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회전부재(177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장치(30)에 상 방향의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이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변속장치(30)에 하 방향의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바(171)와 상기 제2 바(172)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171)의 일단과 상기 제2 바(172)의 타단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변속장치(30)로부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 브라켓(311) 및 제2 고정 브라켓(31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는 롤러(312)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312)는 상기 변속장치(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310)에 의해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00)의 전방과 상기 변속장치(30)의 전방에는 각각 상기 캐빈(100)과 상기 변속장치(3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 전방 브라켓(101)과 상기 변속장치 전방 브라켓(210) 사이에는 상기 변속장치(30)에서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좌우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10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캐빈 후방 브라켓(151);
    상기 캐빈 후방 브라켓(15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장치(3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변속장치 후방 브라켓(220); 및
    일단이 상기 캐빈 후방 브라켓(151)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변속장치 후방 브라켓(220)에 결합하며 상기 캐빈(100)으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탄성 실린더(1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150046080A 2015-01-07 2015-04-01 트랙터 KR102143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06 2015-01-07
KR20150001906 2015-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88A KR20160085188A (ko) 2016-07-15
KR102143043B1 true KR102143043B1 (ko) 2020-08-11

Family

ID=5650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080A KR102143043B1 (ko) 2015-01-07 2015-04-01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27B1 (ko) * 2019-02-22 2024-03-13 주식회사 대동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6547A (ja) * 2010-09-13 2012-03-22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885A (ko) * 1995-03-13 1996-10-22 김무 차량용 시트현가장치
KR100227362B1 (ko) * 1995-12-11 1999-11-01 정몽규 차량의 트랜스미션 마운트
JP3400341B2 (ja) * 1998-03-23 2003-04-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KR100350886B1 (ko) 2000-07-18 2002-09-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캐빈 진동흡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6547A (ja) * 2010-09-13 2012-03-22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88A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576B1 (ko)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CN110709278A (zh) 悬架机构
KR102143043B1 (ko) 트랙터
CN102923202B (zh) 重型载重汽车驾驶室悬挂装置
US20180201086A1 (en) Connecting structure which reduces vibration effect of power system on vehicle body
CN204821017U (zh) 一种汽车三角形可调高度防前倾充气式减振器
KR102146079B1 (ko) 트랙터
CN110723227B (zh) 弹簧减震结构以及履带车
KR102144925B1 (ko) 트랙터
CN201544746U (zh) 汽车后桥驱动非独立悬架
CN102381372B (zh) 一种双向减振型汽车驾驶室后悬置装置
KR101637260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CN102166975B (zh) 一种三自由度减振座椅
CN219707151U (zh) 一种驾驶室后限位支架机构
CN202272081U (zh) 一种减振型驾驶室液压锁
JP2006087552A (ja) 電動車椅子の防振構造
KR102608816B1 (ko) 전동 킥보드 후방 서스펜션 장치
KR20140066407A (ko) 서스펜션 장치
KR102097015B1 (ko) 인-휠 모터 시스템의 현가장치
JP2005112228A (ja) 自動車車両
KR0140529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KR102263724B1 (ko) 차량의 서스펜션
KR100316046B1 (ko) 자전거의 충격 완화장치
CN202728378U (zh) 一种矿用自卸车的驾驶室后悬置机构
JPH11303080A (ja) ガイド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振動杭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