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407A -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407A
KR20140066407A KR1020120133594A KR20120133594A KR20140066407A KR 20140066407 A KR20140066407 A KR 20140066407A KR 1020120133594 A KR1020120133594 A KR 1020120133594A KR 20120133594 A KR20120133594 A KR 20120133594A KR 20140066407 A KR20140066407 A KR 2014006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upper plate
extension
hi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407A/ko
Publication of KR2014006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 상기 가변기구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와 수직운동을 하고, 일측으로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과는 회전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가변기구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장치 {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은 러버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스펜션은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중요한 구성품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차체에 결합되는 방식이나 완충방법에 따라 쇽업소버, 코일스프링, 토션바스프링 및 판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되는데, 판스프링은 대형버스나 덤프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차량의 구조 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이 많이 적용되는 대형버스나 덤프트럭의 경우 큰 하중의 하물을 적재할 수 있고,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후륜에는 2개의 축이 적용되어 큰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서스펜션 장치의 도면으로서, 판스프링 구조는 차체프레임의 액슬 하우징상에 트러니언 베이스(10)를 중심으로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진 리프스프링(20)이 연결되고, 리프스프링(20)의 중앙이 U볼트(30)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이러한 리프스프링(20)의 양끝단부에는 하측으로 전방 액슬하우징(40)과 후방 액슬하우징(50)이 구비되고 각각의 액슬하우징에는 러버스프링(60)이 연결고정된다. 여기서, 전방 액슬하우징(40)과 후방 액슬하우징(50)은 대형트럭 및 대형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후륜 2축을 기준으로 전/후 액슬하우징으로 구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스프링(6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의 러버스프링(6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플레이트(61)와 하부플레이트(62) 사이에 러버(63)가 결합되고, 러버(63)의 강성을 위해 다수의 스틸 판(64)이 러버(63) 사이에 결합되며, 러버(63)의 과도한 변형을 제지하는 볼트(65)가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러버스프링(60)은 주행중 도로노면에 따라 액슬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거나 리프스프링(20)의 회전운동시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하중을 지지한다.
하지만, 주행중 도로상태에 따라 전방의 액슬하우징(40)과 후방의 액슬하우징(50) 중 어느 하나만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전방의 액슬하우징(40)과 후방의 액슬하우징(50)의 높이편차가 발생되면 리프스프링(20)이 회전되면서 한쪽의 러버스프링은 압축되고 반대쪽의 러버프스링은 인장됨이 반복되는 바, 러버스프링(60)의 내구문제가 발생되어 러버(63)와 스틸 판(64) 사이가 파단될 수 있었다. 더욱이,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거나 제동시 러버스프링(60)이 전후방향으로 밀림으로써 러버스프링(60)의 내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러버스프링(6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경우 내부에 마련된 볼트(65)가 파손되는 내구문제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 노면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리프스프링(20)의 회전으로 인해, 러버스프링(6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 리프스프링의 회전으로 인해 러버스프링의 회전되거나 밀림으로서 내구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는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 상기 가변기구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와 수직운동을 하고, 일측으로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과는 회전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가변기구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기구는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부플레이트의 하단에서 제1연장부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 또는 제2연장부는 일측이 타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서 수직운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제1연장부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의 제2연장부는 로드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장부가 제1연장부에 삽입되어 수직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도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에는 각각 힌지핀 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힌지핀은 상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고, 힌지홀은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에는 하방으로 힌지홀이 형성된 설치부가 마련되고, 상부플레이트의 상단이 힌지핀을 통해 설치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 상기 가변기구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와 수직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 일측으로 리프스프링이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이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가변기구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을 포함할 수있다.
상기 회전브라켓의 하측 또는 상부플레이트에는 각각 힌지핀 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은 상부플레이트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단에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의 상단이 힌지핀을 통해 회전브라켓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서스펜션 장치는 러버스프링의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를 연결하고, 리프스프링의 끝단부와 러버스프링의 일측에는 각각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러버스피링의 변형을 제한하여 내구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서스펜션 장치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스펜셩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는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200); 상기 가변기구(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100)와 수직운동을 하고,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500)과는 회전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3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사이에서 가변기구(200)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200)가 마련되고, 상기 가변기구(200)의 상단에 상부플레이트(300)가 연결된다. 여기서, 가변기구(200)는 러버스프링(400)이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작용력을 완충작용시 상부플레이트(300)와 하부플레이트(100)가 수직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러버스프링(500)은 상부플레이트(300)와 하부플레이트(100)가 가변기구(200)에 의해 수직운동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지만, 차량의 출발 및 제동 등 다양한 운행조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도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러버스프링(500)은 차량에 하중이 작용되거나 다양한 운행조건에서 발생되는 수평운동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변기구(200)에 의해 러버스프링(500)이 수직운동을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플레이트(300)에는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전후 액슬하우징의 높이 편차가 발생되면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리프스프링(500)은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지기에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를 상부파트(520)와 하부파트(540)가 감싼 후 체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 체결되는 하부파트(540)와 상부플레이트(300) 사이를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완충작용시 리프스프링(500)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주행중 노면과의 충격이 발생되면 리프스프링(500)이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되되 러버스프링(400)에 연결된 상부플레이트(300)는 수평상태를 이룸으로써 완충작용시 러버스프링(400)이 변형되지 않고 수직으로 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러버스프링(400) 상측으로 힌지구조를 통해 리프스프링(500)과 연결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충격이 발생되어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되는 경우 러버스프링(400)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러버스프링(400)에 볼트가 없어도 내구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위와 같은 구조의 러버스프링(400)은 편측으로 회전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러버스프링(400)의 변형에 의해 러버와 스틸 판 사이가 파단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변기구(200)는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하단에서 제1연장부(220)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240)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220) 또는 제2연장부(240)는 일측이 타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서 완충작용시 상부플레이트(300)가 수직운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변기구(200)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제1연장부(220)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제2연장부(240)는 로드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장부(240)가 제1연장부(220)에 삽입되어 수직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러버스프링(400)은 노면상태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되더라도 수직운동을 해야 하는바, 러버스프링(400) 내부에는 가변기구(200)가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300) 사이에 연결설치된다. 상기의 가변기구(200)는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하단에서 제1연장부(220)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240)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220) 또는 제2연장부(240)는 일측이 타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는 서로 수직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러버스프링(400)의 완충작용시 상부플레이트(300)와 하부플레이트(100)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러버스프링(400)의 편측변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00)의 제1연장부(220)는 상방에 위치된 각종 구성품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바, 가변기구(200)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제1연장부(220)는 폭이 넓은 실린더로 형성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제2연장부(240)는 폭이 작은 로드로 형성함으로써 제1연장부(220)의 강성이 강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는 러버스프링(400)의 상부플레이트(300)와 하부플레이트(100)가 수직운동되도록 유도만 하면 되기 때문에 하부플레이트(100)의 제1연장부(220)가 로드로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제2연장부(240)는 피스톤으로 형성하여도 무관하다.
위와 같은 구조의 상기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도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상태는 차량이 구동되지 않는 정지상태 또는 차량에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서, 차량에 물리적인 작용이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러버스프링(400)의 상부플레이트(300)와 하부플레이트(100)가 수평상태를 이루어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되더라도 러버스프링(400)이 수직운동되도록 구성된다. 만약,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가 서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면, 리프스프링(500)의 회전에 의해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의 수직운동시 서로 걸리거나 이탈되어 러버스프링(400)이 수직으로 탄성변형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는 차량의 하중에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도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러버스프링(400)이 항상 수직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는 각각 힌지핀(320)과 힌지홀(544)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54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노면상태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되어도 러버스프링(400)이 수직으로 변형되도록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544)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544)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 중 각각 어디에 형성하여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단, 힌지홀(54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프스프링(500)의 회전시 러버스프링(400)이 수직운동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및 제동시 리프스프링(500)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리프스프링(500)이 장공으로 형성된 힌지홀(544)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러버스프링(4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러버스프링(40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와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은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544)로 형성된 힌지구조를 이루되, 힌지홀(54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또는 제동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의 밀림량을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버스프링(400)과 연결된 상부플레이트(300)는 리프스프링(500)의 밀림에 따라 전후?향으로 유동되지 않기에 러버스프링(400)의 편측변형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를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하되 힌지홀(544)을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리프스프링(500)의 회전시 힌지핀(320)을 중심으로 단순히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장공으로 형성된 힌지홀(544)을 따라 리프스프링(500)이 유동적으로 이동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에 높은 하중이 작용되거나 전방의 러버스프링(400)과 후방의 러버스프링(400)의 높이편차가 발생되는 경우 리프스프링(500)이 장공의 힌지홀(544)을 따라 유동적으로 이동되어 회전함으로써 리프스프링(500)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리프스프링(500)이 유연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힌지구조에 따른 힌지핀(320)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에 설치되고, 힌지홀(544)은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는 하방으로 힌지홀(544)이 형성된 설치부(542)가 마련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이 힌지핀(320)을 통해 설치부(542)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플레이트(300)와 리프스프링(500)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하여 리프스프링(500)은 회전운동을 하고 러버스프링(400)은 수직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힌지핀(320)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에 설치되고, 힌지홀(544)은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의 하방에 마련된 설치부(542)에 형성함으로써 리프스프링(500)과 상부플레이트(300) 간의 안정적인 설치 및 작동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리프스프링(500)의 설치부(542)와 러버스프링(400)은 장공으로 형성된 힌지홀(544)과 힌지핀(320)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되는 경우 리프스프링(500)이 유연하게 회전됨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의 변형량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장치의 러버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200); 상기 가변기구(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100)와 수직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300);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이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500)이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6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사이에서 가변기구(200)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가변기구(200)에 의해 수직운동만을 수행하는 러버스프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플레이트(300)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5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되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이 고정되고 하부가 상부플레이트(300)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회전브라켓(600)을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브라켓(600)은 상측에 연결되는 리프스프링(500)을 직접 감싸면서 체결되는 구조로서, 별물로 구성되는 회전브라켓(600)의 상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힌지구조를 통해 러버스프링(400)과 연결된 상부플레이트(300)와 연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브라켓(600)의 하측 또는 상부플레이트(300)에는 각각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620)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620)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600)의 하단에 힌지홀(620)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이 힌지핀(320)을 통해 회전브라켓(60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회전브라켓(600)은 상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를 감싸면서 체결되고, 하단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인 힌지홀(620)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브라켓(600)의 힌지홀(620)에 대응되도록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에는 힌지핀(320)이 설치되어 회전브라켓(600)의 하단과 연결됨으로써 차량에 하중작용시 리프스프링(500)과 연결된 회전브라켓(600)이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리프스프링(500)과 체결된 회전브라켓(600)과 상부플레이트(300)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홀(620)과 힌지핀(320)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또는 제동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의 밀림량을 흡수할 수 있고, 리프스프링(500)의 회전시 러버스프링(400)이 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함으로써 러버스프링(400)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버스프링(400)이 변형되어 내구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러버스프링(400)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에 작용되는 하중에 따라 리프스프링(500)이 장공으로 형성된 힌지홀(620)을 따라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회전됨으로써 리프스프링(500)의 과도한 회전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부플레이트 200:가변기구
220:제1연장부 240:제2연장부
300:상부플레이트 400:러버스프링
500:리프스프링 600:회전브라켓

Claims (10)

  1.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200);
    상기 가변기구(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100)와 수직운동을 하고,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500)과는 회전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3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사이에서 가변기구(200)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400);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기구(200)는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22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하단에서 제1연장부(220)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240)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220) 또는 제2연장부(240)는 일측이 타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서 수직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제1연장부(220)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제2연장부(240)는 로드로 형성됨으로써 제2연장부(240)가 제1연장부(220)에 삽입되어 수직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220)와 제2연장부(240)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도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는 각각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544)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54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320)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에 설치되고, 힌지홀(544)은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스프링(500)의 끝단부에는 하방으로 힌지홀(544)이 형성된 설치부(542)가 마련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이 힌지핀(320)을 통해 설치부(54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8. 액슬 하우징상에 고정된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압축/신장되는 가변기구(200);
    상기 가변기구(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100)와 수직운동을 하는 상부플레이트(300);
    일측으로 리프스프링(500)이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와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리프스프링(500)이 힌지구조를 통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브라켓(6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300)의 사이에서 가변기구(200)를 감싸도록 마련된 러버스프링(400);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600)의 하측 또는 상부플레이트(300)에는 각각 힌지핀(320) 또는 힌지홀(620)이 형성되어 힌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힌지홀(620)은 상부플레이트(30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600)의 하단에 힌지홀(620)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이 힌지핀(320)을 통해 회전브라켓(6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장치.
KR1020120133594A 2012-11-23 2012-11-23 서스펜션 장치 KR20140066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94A KR20140066407A (ko) 2012-11-23 2012-11-23 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94A KR20140066407A (ko) 2012-11-23 2012-11-23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07A true KR20140066407A (ko) 2014-06-02

Family

ID=5112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594A KR20140066407A (ko) 2012-11-23 2012-11-23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4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69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스프링 서스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69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 스프링 서스펜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93117B (zh) 载重汽车驾驶室后悬置装置
CN201604704U (zh) 一种汽车全浮后悬置装置
CN107031322B (zh) 主动驱动装置
CN101774402A (zh) 一种汽车全浮前悬置装置
CN102514634A (zh) 汽车驾驶室后悬置组件及装置
CN204821017U (zh) 一种汽车三角形可调高度防前倾充气式减振器
CN201900954U (zh) 下压弹簧式减震装置
KR20140066407A (ko) 서스펜션 장치
CN104875571A (zh) 一种车辆用减振缓冲机构
KR20120137129A (ko) 대형트럭용 캡 현가장치
CN201172433Y (zh) 翻转驾驶室悬置筒式支撑减振装置
CN205553836U (zh) 车辆用悬架总成
KR20080024675A (ko)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의 보조 스프링 고정 브라켓
CN210174563U (zh) 一种汽车悬挂装置
CN201105770Y (zh) 翻转驾驶室前悬置支撑减振装置
KR100883251B1 (ko) 상용차량의 리프스프링 조립체
KR20100084793A (ko)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JP5686500B2 (ja) 搬送台車
KR20100059564A (ko) 차량의 캡 서스펜션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CN201405943Y (zh) 驾驶室后悬减震装置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KR102143043B1 (ko) 트랙터
KR100762970B1 (ko) 화물차량의 피동바퀴축 승강장치
KR100836392B1 (ko) 후륜 서스펜션의 쇼크업소버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