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793A -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793A
KR20100084793A KR1020090004122A KR20090004122A KR20100084793A KR 20100084793 A KR20100084793 A KR 20100084793A KR 1020090004122 A KR1020090004122 A KR 1020090004122A KR 20090004122 A KR20090004122 A KR 20090004122A KR 20100084793 A KR20100084793 A KR 2010008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control
leaf spring
rear susp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793A/ko
Publication of KR2010008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차축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 상부는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활형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 타이어와 도로표면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이다.
현가장치, 로워 컨트롤 암, 판스프링, 후방 차축하우징

Description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REAR SUSPEN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면서도 노면 및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는 충분한 완충력이 확보되도록 한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차량의 차체 또는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이 거친 노면을 주행할 때 차체의 상하운동 및 선회시의 롤을 최소로 하여 타이어와 도로표면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완충작용을 제공하는 장치로, 타이어가 도로상의 요철과 만났을 때의 상하운동으로 발생하는 도로의 충격이나 진동이 흡수되어 차량내의 승객에게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차량의 무게와 그 외의 하중을 지지하며 도로 충격을 흡수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이하, '코일 스프링'이라 한다.)과 스프링 작용의 제어 및 감쇠를 도와 코일 스프링의 진동을 방지하는 쇽 업소버가 차체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타이어와 도로표면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코일 스프링을 장착할 경우에는 차체 및 로워 컨트롤 암에 별도의 브래킷을 장착해야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이 포함된 현가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차량 내에 많은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현가장치의 제조 및 설치시 많은 비용이 들게 됨은 물론 현가장치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코너링을 할 때에 차량 후방에 위치한 후방 차축하우징의 횡력을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커브길 주행시 차체가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중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도, 타이어와 도로표면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링시 후방 차축하우징의 횡력을 잡아주어 코너링시 승차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다수의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판 스프링의 완충 효과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진동이 보다 빠르게 완화될 수 있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 차축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 상부는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활형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이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 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워 컨트롤 암의 후방과 차체의 사이에는 쇽 업소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판스프링의 휘어짐을 통하여 도로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완충력이 확보됨은 물론, 현가장치가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과, 판스프링만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차량 설계시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그 구성요소가 단순하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판스프링의 양단이 각각의 로워 컨트롤 암에 고정되어 로워 컨트롤 암이 보다 견고하게 차체에 고정되어 코너링시 후방 차축하우징의 횡력을 잡아주어 직진 주행은 물론, 커브 주행시에도 차체가 바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의 들뜸을 막아주기 때문에 차량 주행의 안정감이 향상되고, 승차감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판스프링이 휘어질 때 각각의 판재에서 일어나는 굽힘 변형과 이에 따른 판간의 미끄러짐 발생을 통해 노면과의 충격 흡수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쇽 업소버를 통해 판스프링의 상하 왕복 운동을 조기에 수습하여 순간 충격을 상쇄시킴으로써 타이어가 항상 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승차감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후방 차축하우징(1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 상부는 차체(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활형의 판스프링(40);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 차축하우징(10)은 양단에 휠(11)이 구비되어 타이어(12)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는 차체(30)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양측에는 휠(11)의 안쪽으로 브래킷(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워 컨트롤 암(20)은 휠(11)의 움직임을 컨트롤 하는 부재로, 후방 차축하우징(10)의 상·하 운동을 허용하여 휠(11)의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전·후방 운동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휠(11)의 전·후방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로워 컨트롤 암(20)은 전방 측부가 차체(30)의 측부와 핀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후방 측부는 후방 차축하우징(10)에 구비된 브래 킷(13)의 핀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40)은 띠형상의 유연한 강판이나 FRP제 판이 활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차량의 무게와 그 외의 하중을 지지하며, 판의 휘어짐을 통하여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판스프링(40)은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의 상부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중앙 상부가 차체(30)의 크로스멤버(31) 하부에 핀으로 고정되어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40)은 차체(30)와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20) 부위와 후방 차축하우징(10)이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20) 부위의 사이에 양단이 핀이나 용접 등을 통하여 각 로워 컨트롤 암(20)에 고정되며, 그 중앙 상부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 크로스멤버(31)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판스프링(40)은 그 양단이 로워 컨트롤 암(20)에 각각 고정되어로워 컨트롤 암(20)이 보다 견고하게 차체(30)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후방 차축하우징(10)의 옆방향 움직임 또한 방지되도록 하며, 코너링시 차체(30) 후방의 후방 차축하우징(10)이 횡력으로 인하여 바깥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판스프링(40)이 로워 컨트롤 암(20)을 보다 견고하게 잡아주고, 상기 로워 컨트롤 암(20)과 연결된 후방 차축 우징(10)의 횡력 또한 잡아주도록 하여 차체(30)가 바깥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판스프링(40)의 휘어짐을 통하여 도로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완충력이 확보됨 은 물론,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과, 판스프링(40)만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차량 설계시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그 구성요소가 단순하므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40)의 양단이 각각의 로워 컨트롤 암(20)에 고정되어 로워 컨트롤 암(20)이 보다 견고하게 차체(30)에 고정되어 직진 주행은 물론, 커브 주행시에도 차체(30)가 바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12)의 들뜸을 막아주기 때문에 차량 주행의 안정감이 향상되고, 승차감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40)은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점차 길이차를 갖는 여러 장 즉, 둘 이상의 유연한 강판을 겹겹이 쌓아 클립(41)에 의해 하나로 고정하여 적층시킨 것으로, 노면 충격흡수를 위하여 판스프링(40)이 휘어질 때 각각의 판재에서 일어나는 굽힘 변형과 이에 따른 판간의 미끄러짐 발생을 통해 노면과의 충격 흡수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는, 상기 로워 컨트롤 암(20)의 후방과 차체의 사이에는 쇽 업소버(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쇽 업소버(50)는 로드의 상단이 힌지축을 통해 차체(30)에 고정되고, 하부 실린더부는 힌지축으로 통해 로워 컨트롤 암(20)의 후방에 고정되어 판스프링(40)의 진동을 제어 또는 감쇠하는 튜브형의 유압장치로, 오일로 채워진 실린더 부에 피스톤을 포함하는 로드가 상하운동을 하는 것이다.
즉 쇽업소버(50)는, 실린더부에 채워진 오일이 피스톤의 작은 유로 또는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면서 발생하는 유체마찰로 판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순간 충격을 부드럽게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쇽 업소버(50)는 판스프링(4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서 판스프링(40)의 상·하 왕복 운동을 조기에 수습하여 순간 충격을 상쇄시킴으로써 타이어(12)가 항상 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승차감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후방 차축하우징
11: 휠
12: 타이어
13: 브래킷
20: 로워 컨트롤 암
30: 차체
31: 크로스멤버
40: 판스프링
41: 클립
50: 쇽 업소버

Claims (3)

  1. 후방 차축하우징(1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로워 컨트롤 암(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 상부는 차체(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활형의 판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40)은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3.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컨트롤 암(20)의 후방과 차체의 사이에는, 쇽 업소버(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KR1020090004122A 2009-01-19 2009-01-19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KR20100084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122A KR20100084793A (ko) 2009-01-19 2009-01-19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122A KR20100084793A (ko) 2009-01-19 2009-01-19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93A true KR20100084793A (ko) 2010-07-28

Family

ID=4264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122A KR20100084793A (ko) 2009-01-19 2009-01-19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47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071A (ko) * 2017-03-14 2018-09-27 포마 감쇠형 시브들에 의해 공중 반송-홀링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디바이스
CN110529534A (zh) * 2019-08-15 2019-12-03 哈尔滨北方防务装备股份有限公司 双节履带车支撑减振元件
WO2022069287A1 (de) * 2020-10-01 2022-04-07 Edag Engineering Gmbh Fahrzeugachse und fahrzeu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071A (ko) * 2017-03-14 2018-09-27 포마 감쇠형 시브들에 의해 공중 반송-홀링 케이블을 지지 및 안내하는 디바이스
CN110529534A (zh) * 2019-08-15 2019-12-03 哈尔滨北方防务装备股份有限公司 双节履带车支撑减振元件
WO2022069287A1 (de) * 2020-10-01 2022-04-07 Edag Engineering Gmbh Fahrzeugachse und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60B2 (en)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00084793A (ko)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CN211308172U (zh) 一种汽车减震底盘悬架装置
CN204821017U (zh) 一种汽车三角形可调高度防前倾充气式减振器
CN106347060B (zh) 一种平衡悬架和汽车
JP4187240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2294136U (zh) 汽车的非独立悬架系统和汽车
CN105216884A (zh) 一种滑块导向型驾驶室后悬置装置
KR20100035876A (ko)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
RU46716U1 (ru) Передняя подвеска автомобиля
KR102238055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KR100883251B1 (ko) 상용차량의 리프스프링 조립체
JP200631543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CN213892085U (zh) 一种多连杆式后悬架和车辆
CN215663691U (zh) 一种前悬置总成工艺合件
CN220639435U (zh) 一种无人驾驶货车用前独立悬架
CN219927402U (zh) 后桥总成及全地形车
RU104519U1 (ru) Торсионная балансирная подвеска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CN207241345U (zh) 一种可伸缩汽车底盘悬架
KR20110108457A (ko) 트럭용 프런트 서스펜션장치
KR100936986B1 (ko) 현가장치용 롤 억제유닛
RU106212U1 (ru) Подвеска кабины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