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483A -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 Google Patents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83A
KR20060056483A KR1020040095587A KR20040095587A KR20060056483A KR 20060056483 A KR20060056483 A KR 20060056483A KR 1020040095587 A KR1020040095587 A KR 1020040095587A KR 20040095587 A KR20040095587 A KR 20040095587A KR 20060056483 A KR20060056483 A KR 2006005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od
cap
truck
le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483A/ko
Publication of KR2006005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중 캡의 상하 운동에 의한 캡의 높이 변화시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일축을 서로 공유하면서 연계 작동하는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를 통해 구동되는 레벨링 밸브에 있어서, 전후 수평방향에서의 외력에 의한 상기 밸브 레버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 사이에 복원탄성체를 두어 외력 작용시 상기 복원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서스펜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 저해 요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럭, 레벨링 밸브, 밸브 로드, 밸브 레버, 지지로드, 지지핀, 복원탄성체

Description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Operation connecting structure of leveling valve for tru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윗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는 일반적인 트럭용 캡 서스펜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일반적인 트럭용 캡 서스펜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벨링 밸브 20 : 밸브 로드
21 : 로드바 22 : 지지로드
23 : 지지핀 30 : 밸브 레버
31 : 가이드홈 40 : 복원탄성체
R : 리어 캡 마운팅 시스템
본 발명은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를 통해 구동되는 레벨링 밸브에 있어서, 전후 수평방향에서의 외력에 의한 상기 밸브 레버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 사이에 복원탄성체를 두어 외력 작용시 상기 복원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서스펜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 저해 요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전방에 캐빈(CABIN, 일명 캡)이라 불리는 운전실이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캡(100)은 주행시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안락한 주행을 목적으로 하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0)을 지지하는 마운팅구조와 캡 서스펜션 시스템이 필요하다.
상기 캡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리어 캡 마운팅 시스템(R)은 캡(100)의 백패널에 위치한 플로팅바(floating bar)(110)에 장착된 유압 랫치(120)에 록킹되 어 있고, 좌우에 위치한 버퍼 러버(buffer rubber)(130)에 의해 캡(100)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바(110)와 캡 브릿지(cab bridge)(140) 사이에는 좌우에 각각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내장된 에어 스프링(150)이 장착되어 있어 각부의 진동 흡수 및 감쇄력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로팅바(110)의 기능은 캡 브릿지(140) 상에 위치하여 코일 스프링 및 쇽 업소버의 감쇄를 통하여 각부의 진동을 흡수한 후 캡(100)에 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팅바(110)의 중앙부에 위치한 유압 랫치(120)에서는 스트라이커(striker)와 캡(100)이 록킹되는 구조이며, 이때 버퍼 러버(130)는 좌우 양쪽에서 캡(100)을 안착시키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 상기 캡(10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캡(100)의 높이 변화시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일축을 서로 공유하면서 연계 작동하는 밸브 로드(210) 및 밸브 레버(220)를 통해 구동되는 밸브 장치인 레벨링 밸브(200)는 주행시 전후 수평방향에서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레벨링 밸브(200)의 밸브 레버(22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밸브 레버(220)가 휘기도 하고, 레벨링 밸브 마운팅 브라켓의 좌면이 틀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레벨링 밸브(200)의 밸브 레버(220)가 상하방향으로의 정상적인 각도 변동이 불가하여 캡(100)의 자세 제어에 영향을 미쳐 차량의 승차감을 저 해시키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주행중 캡의 상하 운동에 의한 캡의 높이 변화시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일축을 서로 공유하면서 연계 작동하는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를 통해 구동되는 레벨링 밸브에 있어서, 전후 수평방향에서의 외력에 의한 상기 밸브 레버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 사이에 복원탄성체를 두어 외력 작용시 상기 복원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서스펜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 저해 요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팅바 및 캡 브릿지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로 이루어진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있어서,
하단부에 튜브 형상의 로드바가 수평 형태를 이루고, 그 로드바를 상대로 축 고정되어 밸브 로드 쪽으로 일체 연장된 지지로드 및 지지핀을 구비한 밸브 로드와;
상기 지지로드 및 지지핀의 경계부위까지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밸브 레버와;
상기 지지핀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밸브 레버의 주변부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복원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밸브 레버는 상기 밸브 로드의 지지로드를 수직으로 지지하여 그 밸브 로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끝단부가 수직으로 일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를 윗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기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20) 및 밸브 레버(30)로 이루어져 트럭의 주행중 캡(10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캡(100)의 높이 변화시 공기의 흡입 배출로 인한 상기 캡(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부의 진동 흡수 및 감쇄력으로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각각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내장된 에어 스프링(150)이 연결된 플로팅바(110) 및 캡 브릿지(cab bridge)(140)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레벨링 밸브(10)에 대한 연계 구조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그 상단이 상기 플로팅바(110)의 소정부위에 장착되어 하방향으로 수직 형성된 밸브 로드(20)와, 상기 밸브 로드(20)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하여 레벨링 밸브(10)를 개폐시키는 밸브 레버(3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밸브 로드(20)는 그 하단부에 튜브 형상의 로드바(21)가 수평 형태를 이루고, 그 로드바(21)를 상대로 축고정되어 밸브 로드(20) 쪽으로 일체 연장된 지지로드(22) 및 지지핀(2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밸브 레버(30)가 상기 지지로드(22) 및 지지핀(23)의 경계부위까지 삽입되어 가이드홈(31)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핀(23) 및 상기 가이드홈(31)이 형성된 밸브 레버(30)의 주변부 사이에는 복원탄성체(4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 레버(30)의 끝단부는 수직으로 일체 연장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밸브 로드(20)가 상하 유동시 그 밸브 로드(20)의 지지로드(22)를 수직으로 지지하게 되어 밸브 로드(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의 작동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레벨링 밸브(10)는 주행중 상기 캡(10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캡(100)의 높이 변화시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1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바, 플로팅바(110)가 각부의 진동을 에어 스프링(150)을 통해 흡수할 경우, 이와 같은 진동은 상기 플로팅바(110)와 연결된 밸브 로드(20)를 상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하 작동에 의해 밸브 로드(20)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하는 밸브 레버(30)는 레벨링 밸브(10)를 개폐시켜 공기를 흡,배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밸브 레버(30)에 전후 수평방향에서의 외력이 발생할 경우, 밸브 레버(30)는 지지로드(22) 및 지지핀(23)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1)을 따라 일측으로 변형되나, 복원탄성체(4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밸브 로드(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100)이 항상 동일한 서스펜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의하면, 상기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 사이에 복원탄성체를 두어 외력 작용시 상기 복원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서스펜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승차감 저해 요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로팅바 및 캡 브릿지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캡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밸브 로드 및 밸브 레버로 이루어진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에 있어서,
    하단부에 튜브 형상의 로드바가 수평 형태를 이루고, 그 로드바를 상대로 축고정되어 밸브 로드 쪽으로 일체 연장된 지지로드 및 지지핀을 구비한 밸브 로드와;
    상기 지지로드 및 지지핀의 경계부위까지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밸브 레버와;
    상기 지지핀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밸브 레버의 주변부 사이에 장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복원탄성체로 이루어진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레버는 상기 밸브 로드의 지지로드를 수직으로 지지하여 그 밸브 로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끝단부가 수직으로 일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1020040095587A 2004-11-22 2004-11-22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2006005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87A KR20060056483A (ko) 2004-11-22 2004-11-22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87A KR20060056483A (ko) 2004-11-22 2004-11-22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83A true KR20060056483A (ko) 2006-05-25

Family

ID=3715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587A KR20060056483A (ko) 2004-11-22 2004-11-22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8078A (zh) * 2010-03-10 2010-07-28 李立进 防球锈钢结构进水控制阀
KR20170068662A (ko) 2015-12-09 2017-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8078A (zh) * 2010-03-10 2010-07-28 李立进 防球锈钢结构进水控制阀
KR20170068662A (ko) 2015-12-09 2017-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의 캡 서스펜션용 레벨링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272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5337021B2 (ja) 防振装置
KR1999004112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60056483A (ko)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100616010B1 (ko)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CN205059766U (zh) 全浮式商用车驾驶室前悬置系统
KR10255910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647831B1 (ko) 차량용 쇼크업소버
CN111284374B (zh) 车辆座椅减震器和车辆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JP4356442B2 (ja) 車輪独立懸架装置
KR100501385B1 (ko)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KR100313799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100836392B1 (ko) 후륜 서스펜션의 쇼크업소버 설치구조
JP2001122161A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70100465A (ko) 자동차의 프런트 현가장치
JP2009023371A (ja) キャブマウント用ラバーブッシュ
JPS6329675B2 (ko)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080029166A (ko) 스프링 피로 저감형 로어암
JPH0121908Y2 (ko)
KR100599477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어퍼 스프링 시트 장착구조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