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109B1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109B1
KR102559109B1 KR1020210127815A KR20210127815A KR102559109B1 KR 102559109 B1 KR102559109 B1 KR 102559109B1 KR 1020210127815 A KR1020210127815 A KR 1020210127815A KR 20210127815 A KR20210127815 A KR 20210127815A KR 102559109 B1 KR102559109 B1 KR 10255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vehicle
moving
suspension devi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221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1012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Abstract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마운팅을 구비하는 프론트멤버; 프론트멤버의 측면에 장착되는 로어암; 및 차체마운팅과 로어암을 연결하고, 로어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해 오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 프레임의 측면 상/하부에 각각의 전/후 부시를 매개로 어퍼암과 로어암이 장착되고, 어퍼암과 로어암의 사이에 너클이 상/하 볼조인트로 연결되며, 너클에는 드라이브샤프트가 관통 지지되고, 로어암에는 차체를 지지하는 쇽업소버가 설치되며, 쇽업소버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프론트 로어암에 상하 진동 및 충격 발생시 프론트 멤버 부시와 로어암의 부시만으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지만 그 수준이 미미하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2635호(2008.12.01 등록, 발명의 명칭: 승용차의 프론트 서스펜션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해 오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마운팅을 구비하는 프론트멤버; 상기 프론트멤버의 측면에 장착되는 로어암; 및 상기 차체마운팅과 상기 로어암을 연결하고, 상기 로어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차체마운팅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로어암과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체결부에 배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일측이 상기 로어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어암의 진동을 상기 이동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차체마운팅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몸체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 이격된 한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와 접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몸체부; 상기 이동몸체부의 양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탄성수용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이동브래킷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브래킷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유동 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로어암에 장착된 바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바브래킷은 상기 연결부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와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로어암에서 상기 이동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상하 충격 및 진동을 완충부에서 감쇄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상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프론트멤버(100), 로어암(200),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프론트멤버(100)는 차량의 하부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로어암(200)과 어퍼암(미도시)과 연결된다. 프론트멤버(100)는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마운팅(110)을 구비한다.
로어암(200)은 프론트멤버(100)의 측면에 장착된다. 로어암(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완충부(300)를 통해 감쇄하여 프론트멤버(100)의 차체마운팅(110)으로 전달된다.
로어암(200)은 바브래킷(210)을 구비한다. 바브래킷(210)은 로어암(200)의 외측면을 감싸게 장착되고, 완충부(300)의 연결부(3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로어암(200)의 바브래킷(210)과 완충부(300)의 연결부(340)를 힌지 결합된다.
완충부(300)는 프론트멤버(100)의 차체마운팅(110)과 로어암(200)의 바브래킷(210)을 연결하는 것으로, 로어암(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킨다. 완충부(300)에서 로어암(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프론트멤버(100)로 전달하여,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 부터 전해오는 상하 충격 및 진동을 감쇄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상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완충부(300)는 체결부(310), 이동부(320), 탄성부(330),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체결부(310)는 차체마운팅(110)을 관통하여, 차체마운팅(110)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체결부(310)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차체마운팅(110)의 내측면에 나사 체결된다.
체결부(310)는 체결몸체부(311)와 플레이트부(313)를 포함한다. 체결몸체부(311)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차체마운팅(110)의 내측면에 나사 체결된다. 체결몸체부(311)의 단부(도 2 기준 상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차체마운팅(110)에서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플레이트부(313)는 체결몸체부(311)의 외측면에 이격된 한 쌍으로 장착되고, 탄성부(330)와 접한다. 한 쌍의 플레이트부(313)는 이동부(3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부(320)의 이동을 제한한다(도 3 참조).
플레이트부(31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부(31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부(313)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접촉되는 탄성부(330) 또는 이동몸체부(321)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탄성부(330) 또는 이동몸체부(3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320)는 로어암(200)의 바브래킷(210)과 연결되고, 체결부(310)의 길이방향(도 3 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부(310)에 배치된다. 이동부(320)는 이동몸체부(321), 탄성수용부(323), 이동브래킷부(325)를 포함한다.
이동몸체부(32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몸체부(311)의 외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몸체부(321)의 내측면은 체결몸체부(311)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이동몸체부(321)의 체결몸체부(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탄성수용부(323)는 이동몸체부(321)의 양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탄성부(330)를 수용한다. 탄성수용부(323)는 이동몸체부(321)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탄성수용부(323)는 탄성부(330)를 수용하여, 탄성부(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브래킷부(325)는 이동몸체부(3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연결부(340)와 연결된다. 이동브래킷부(325)에는 연결부(340)의 단부(도 4 기준 상단부)가 유동 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된다. 연결부(340)의 단부는 이동브래킷부(325)의 장공을 따라 유동되어, 연결부(3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330)는 이동부(320)와 접촉되고, 이동부(3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33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탄성부(330) 각각은 탄성수용부(323)에 수용되고, 플레이트부(313)와 접촉한다.
연결부(340)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이 로어암(200)의 바브래킷(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이 이동부(320)의 이동브래킷부(325)에 연결된다. 연결부(340)는 로어암(200)의 진동을 이동부(320)로 전달한다.
연결부(340)를 통해 이동부(320)로 전달되는 로어암(200)의 진동은, 탄성부(330)에 의해 감쇄된다. 따라서 프론트멤버(100)로 전달되는 상하 충격 및 진동이 완충부(300)의 탄성부(330)에서 감쇄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상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340)는 로어암(200)에 장착된 바브래킷(210)에 연결되고, 바브래킷(210)은 연결부(34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부(340)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340)는 로어암(200)으로부터 충격을 이동부(320)로 전달하면서 회전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340)는 로어암(200)에서 이동부(320)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340)를 따라 로어암(200)의 진동이 이동부(320)로 집중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상하 충격 및 진동이 로어암(200)의 바브래킷(210)에 힌지 연결된 연결부(340)로 전달된다.
연결부(340)로 전달된 진동은 이동부(320)를 체결부(310)의 상하로 이동시키고, 이동부(320)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330)가 탄성 변형되면서 그 진동을 감쇄시킨다.
본 발명에서 로어암(200)의 진동이 완충부(300)에서 감쇄되어 프론트멤버(1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차량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전해오는 상하 충격 및 진동을 완충부에서 감쇄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상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쇄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프론트멤버 110: 차체마운팅
200: 로어암 210: 바브래킷
300: 완충부 310: 체결부
311: 체결몸체 313: 플레이트부
320: 이동부 321: 이동몸체부
323: 탄성수용부 325: 이동브래킷부
330: 탄성부 340: 연결부

Claims (8)

  1.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마운팅을 구비하는 프론트멤버;
    상기 프론트멤버의 측면에 장착되는 로어암; 및
    상기 차체마운팅과 상기 로어암을 연결하고, 상기 로어암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차체마운팅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로어암과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체결부에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일측이 상기 로어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어암의 진동을 상기 이동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차체마운팅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몸체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 이격된 한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와 접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몸체부;
    상기 이동몸체부의 양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탄성수용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이동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래킷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유동 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로어암에 장착된 바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바브래킷은 상기 연결부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로어암에서 상기 이동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210127815A 2021-09-28 2021-09-28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5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5A KR102559109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5A KR102559109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1A KR20230045221A (ko) 2023-04-04
KR102559109B1 true KR102559109B1 (ko) 2023-07-25

Family

ID=8592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15A KR102559109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53Y1 (ko) 2004-05-22 2004-08-11 장규철 전압용 방진 스프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672B1 (ko) * 1997-11-21 2001-07-12 이계안 자동차의현가장치
KR20060058223A (ko) * 2004-11-24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서브 프레임 장치
KR101272753B1 (ko) * 2009-03-18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53Y1 (ko) 2004-05-22 2004-08-11 장규철 전압용 방진 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1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903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230009654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255910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61602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US10065700B2 (en) Arrangement for the vibration decoupling of a motor for motorized two-wheelers, having an engine-mount swing arm
KR20050038139A (ko) 자동차의 로어암 부시 장치
JPH0323101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98196B1 (ko) 토션빔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1998002912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KR20040042384A (ko) 차량의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댐퍼의 결합구조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80056278A (ko) 차량의 운전실용 서스펜션 구조
KR20060056483A (ko) 트럭용 레벨링 밸브의 작동 연계구조
KR19990020410A (ko)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암 부싱
KR1998004017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20020055049A (ko)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KR19990026780U (ko) 차량의 볼 조인트 일체형 스테빌라이저 바
KR20040032187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어퍼암 및 조향너클의 결합구조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