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329U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329U
KR19990024329U KR2019970036784U KR19970036784U KR19990024329U KR 19990024329 U KR19990024329 U KR 19990024329U KR 2019970036784 U KR2019970036784 U KR 2019970036784U KR 19970036784 U KR19970036784 U KR 19970036784U KR 19990024329 U KR19990024329 U KR 199900243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cross member
rebound
bump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329U/ko
Publication of KR19990024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329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이 장착되는 부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범프 및 리바운드 스트로크를 제어하여 승차감 및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그 일측이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너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로워 아암,
상기 로워 아암이 장착되는 너클의 상단에 그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차체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어퍼 아암;
상기 어퍼 아암과 로워 아암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이 장착되는 로워 아암이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할 때,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크로스 멤버와 로워 아암간에 설치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공간 확보와 서스펜션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를 바퀴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노면과 접촉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락한 차실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특히 승용 차량의 경우앞 현가장치로 맥퍼스 타입과 위시본 타입을 많이 사용한다.
상기 위시본 타입의 현가장치는 맥퍼슨 타입의 현가장치와 달리 바퀴를 차체에 장착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51)의 일단에 로워 아암(53)을 힌지로 장착하고, 크로스 멤버(51)의 상단 차체의 일측에 어퍼 아암(55)을 힌지로 장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 아암(53)과 어퍼 아암(55)사이에는 쇽 업소버(57)가 개재되고, 이들의 끝단에는 너클(59)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의 로워 아암(53)과 어퍼 아암(55)은 너클(59)에 장착되는 바퀴의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게 되는 데, 이 때 로워 아암(53)과 어퍼 아암(55)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범프 스토퍼(61)와 리바운드 스토퍼(63)가 각각 로워 아암(53)의 상단과 브라켓트(65)를 개재하여 어퍼 아암(55)의 하단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는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측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스토퍼로 인하여 이 부분의 공간 제약을 초래하고, 범프와 리바운드의 스트로크 한계에 따른 승차감 및 차량의 안정성에 한계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이 장착되는 부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범프 및 리바운드 스트로크를 제어하여 승차감 및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워 아암이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관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로워 아암 3:어퍼 아암 5:너클 7:크로스 멤버 9:쇽 업소버 11:범프 와이어 13:리바운 와이어 19:신축부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그 일측이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너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로워 아암,
상기 로워 아암이 장착되는 너클의 상단에 그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차체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어퍼 아암;
상기 어퍼 아암과 로워 아암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이 장착되는 로워 아암이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할 때,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크로스 멤버와 로워 아암간에 설치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량 주행시 너클을 통하여 전달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력이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으로 전달될 때,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가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면서 그 작용력을 감쇠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도로서, 로워 아암(1)과 어퍼 아암(3)을 개재하여 바퀴가 장착되는 너클(5)을 크로스 멤버(7)를 비롯한 차체(미도시)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즉, 크로스 멤버(7)는 차체의 하측 전방을 형성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부재이다. 통상적으로 이 크로스 멤버(7)의 전방은 엔진 룸을 형성하고 후방은 차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크로스 멤버(7)의 양측에는 조향륜이 앞바퀴가 상기와 같이 장착된다.
따라서 앞바퀴가 장착되는 너클(5)은 바퀴의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에 의하여 크로스 멤버(7)의 양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이하에서는 일측만을 설명한다).
상기 로워 아암(1)은 힌지 구조로 그 일단이 크로스 멤버(7)의 일측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한 너클(5)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어퍼 아암(3)은 로워 아암(1)과 대향하도록 너클(5)의 상단에 그 일단으로 고정 장착되고, 다른 일단은 차체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 이러한 로워 아암(1)과 어퍼 아암(5)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쇽 업소버(9)에 의하여 연결된다.
특히, 상기 쇽 업소버(9)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워 아암(1)은 바퀴에 따라 너클(5)이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할 때, 그 작용력을 흡수 완화시키도록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11,13)를 개재하여 크로스 멤버(7)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11,13)는 로워 아암(1)이 크로스 멤버(7)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할 때,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크로스 멤버(7)와 로워 아암(1)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1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7)와 로워 아암(1)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부(15,17)와,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으로 일정치 이상의 작용력이 가해질 때에만 신축되어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신축부(29)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이 신축부(29)는 상기 제1,2고정부(15,17)사이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에 형성된다.
한편, 범프 와이어(11)는 너클(5)의 범프 작용력을 용이하게 흡수 완화시키도록, 이의 제1고정부(15)는 크로스 멤버(7)의 상면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17)는 로워 아암(1)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리바운드 와이어(13)는 너클(5)의 리바운드 작용력을 용이하게 흡수 완화시키도록, 이의 제1고정부(15)는 크로스 멤버(7)의 하면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17)는 로워 아암(1)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너클(5)로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력이 전달되면, 그 작용력은 로워 아암(1)과 어퍼 아암(3) 그리고 쇽 업소버(9)를 흡수 완화되면서, 크로스 멤버(7)와 차체로 전달되면서 감쇠된다.
이 때 로워 아암(1)과 크로스 멤버(7)를 연결하는 범프 와이어(11)는 범프 작용력에 의하여 상향 선회하는 너클(5)에 하향 작용력을 가하여 너클(5)의 상승 작용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로워 아암(1)과 크로스 멤버(7)를 연결하는 리바운 와이어(13)는 리바운드 작용력에 의하여 하향 선회하는 너클(5)에 상향 작용력을 가하여 너클(5)의 하강 작용을 감소시킨다.
또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1,13)에 각각 구비된 신축부(19)는 일정치 이상의 작용력에 의해서만 신축되면서 상기 범프 및 리바운드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현가장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11,13)가 너클(5)의 상향 및 하강 작용을 제한하면서, 신축부(19)로 범프 및 리바운드의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를 로워 아암과 크로스 멤버 사이에 설치하므로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이 장착되는 부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량 주행시 너클을 통하여 전달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력이 로워 아암과 어퍼 아암으로 전달될 때, 로워 아암과 크로스 멤버간에 설치된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가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면서 그 작용력을 감쇠시키므로 승차감 및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그 일측이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너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로워 아암,
    상기 로워 아암이 장착되는 너클의 상단에 그 일측에 고정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차체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어퍼 아암;
    상기 어퍼 아암과 로워 아암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워 아암이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할 때,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크로스 멤버와 로워 아암간에 설치되는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범프 및 리바운드 와이어는 크로스 멤버와 로워 아암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부;
    상기 제1,2고정부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 상에, 범프 및 리바운드 작용으로 일정치 이상의 작용력이 가해질 때에만 신축되어 그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범프 와이어는 제1고정부가 크로스 멤버의 상면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가 로워 아암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리바운드 와이어는 제1고정부가 크로스 멤버의 하면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가 로워 아암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KR2019970036784U 1997-12-12 1997-12-12 차량용 현가장치 KR199900243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84U KR19990024329U (ko) 1997-12-12 1997-12-12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84U KR19990024329U (ko) 1997-12-12 1997-12-12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29U true KR19990024329U (ko) 1999-07-05

Family

ID=6969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784U KR19990024329U (ko) 1997-12-12 1997-12-12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3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68B1 (ko) * 2005-07-01 2006-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캡 서스펜션
KR100916794B1 (ko) * 2008-07-10 2009-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68B1 (ko) * 2005-07-01 2006-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캡 서스펜션
KR100916794B1 (ko) * 2008-07-10 2009-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293672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20120036810A (ko) 통합된 스프링부 및 댐핑부를 포함하는 와트 링키지 서스펜션 장치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US5558361A (en)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heels of a low-body bus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0180374B1 (ko)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200150838Y1 (ko) 자동차의 2차축 공기 현가장치
KR100313789B1 (ko) 자동차의후륜현가장치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KR0139750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4189612A (ja) ダブルリンク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200274549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JPS62178476A (ja) キヤビン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