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374B1 -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374B1
KR0180374B1 KR1019930006590A KR930006590A KR0180374B1 KR 0180374 B1 KR0180374 B1 KR 0180374B1 KR 1019930006590 A KR1019930006590 A KR 1019930006590A KR 930006590 A KR930006590 A KR 930006590A KR 0180374 B1 KR0180374 B1 KR 018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m
shock absorber
low
front wheel
independen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0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374B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플로워의 높이를 낮추어 승하차성을 높히고, 플로우의 폭을 증대시켜 거주성을 향상시키고자 차체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오버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기 쇽 업소오버와 휠 지지체에 각각 연결되어 휠의 승강 운동에 따라 회전 변위를 갖는 컨트롤 아암과: 상기 컨트롤 아암의 중간 힌지부와 연결되어 탄성작용을 하는 토오션 바아와: 상기 부품들이 차량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트러트 바아를 포함하는 구성한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Description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종래 현가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쇽 업소오버 2 : 프레임 또는 차체
3,3 : 프레임 또는 차체 10,10' :컨트롤 아암
11,11' : 힌지부 12,12' :수평부
13,13' : 수직부 14,14',42,42' :탄성체
20,20' : 토오션 바아 30,30' :휠 지지체
40,40' : 스트러트 바아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도시형 버스로 이용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워의 높이를 낮추어 승하차성을 높히고, 플로워 폭을 증대시켜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며,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을 이겨낼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연결이 견고하여야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는 버스 화물 자동차등과 같은 대형차량과 승용차 뒤차축에 적용되는 일체 차축 현가장치와, 차축을 분할하여 양 휠이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독립 현가장치가 있는데, 최근에는 저상버스 및 고속버스등과 같은 대형 승합차량의 전륜에도 독립 현가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상버스에 적용되는 전륜 독립 현가장치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탄성부재(51)를 개재시켜 차체(52)에 현가되는 지지부재(50)와: 외측으로 휠(5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내측단이 상기 지지부재(50)의 하측부에 고정되는 휠 지지체(54)와: 상기 지지부재(50)의 상하측부를 프레임(55)에 연결하여 주는 어퍼 및 로워 컨트롤아암(56)(57)과; 상기 지지부재(50)의 하측과 플로워(58)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감쇠시켜 주는 완충기(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는 탄성부재(51)는 코일 스프링 또는 공기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50)는 휠(53)로 부터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상기 탄성부재(51)로 전달하여 주는 부재로서 대개 원기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 휠(53)이 승강할 때에는 어퍼 및 로워 컨트롤 아암(56)(57)의 차체측 연결부를 힌지로한 운동궤적에 의하여 승강하게 되고, 그의 진동과 충격은 탄성부재(51)와 완충기(59)에 의하여 감쇠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완충기가 휠과 차체 사이에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바, 그의 점유 공간이 커지게 되어 승객의 거주공간이 되는 플로워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거주성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완충기의 높이에 의하여 플로워의 높이를 낮출 수 없게 되는 바, 이에 따른 지상고가 높아지게 되어 승하차시 불편하여 승하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워의 높이를 낮추어 승하차성을 높이고, 플로워의 폭을 증대시켜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오버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기 쇽 업 소오버와 휠 지지체에 각각 연결되어 휠의 승강 운동에 따라 회전 변위를 갖는 컨트롤 아암과; 상기 컨트롤 아암의 중간 힌지부와 연결되어 탄성작용을 하는 토오션 바아와; 상기 부품들이 차량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트러트 바아를 포함하여 구성은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쇽 업소오버는 전후측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1개 또는 2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드롤 아암은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과 상측으로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쇽 업소오버의 양단에 연결되고, 수평부의 선단에는 휠 지지체와 연결되어지며, 상기의 수직부와 수평부는 예각의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쇽 업소오버와 컨트롤 아암의 수직부는 탄성체인 고무와셔를 개재시켜 연결하고, 컨트롤 아암의 수직, 수평부 레버비(a:b)는 a b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토오션 바아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홀더에 의하여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의 일측단이 컨트롤 아암의 힌지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앵커에 의하여 고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스트러트 바아는 후측단이 컨트롤 아암의 수평부 외측단에 연결되고, 전측단이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브라켓에 탄성체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작용]
이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휠이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휠이 컨트롤 아암의 수평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의 승강운용은 컨트롤 아암의 수평부의 외측단을 승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컨트롤 아암은 상기 휠이 승강 동작에 의하여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그의 힌지부가 토오션 바아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의 토오션 바아에 의하여 흡수됨과 동시에 수직부의 상단으로 연결된 쇽 업소오버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없이 쇽 업소오버 차체 하부로 횡치되고 탄성부재를 점유공간이 아주 작은 토오션 바아를 적용함으로써, 현가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플로워의 높이를 낮추고, 그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정면도 및 그의 평면도로서, 부호 1과 1'는 완충기인 쇽 업소오버를 지칭한다.
상기 쇽 업소오버(1)(1')는 차체(2)의 하측에 전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1개 내지는 2개로 배치되며, 차체(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양프레임(3)(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쇽 업소오버(1)(1')는 차체(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이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쇽 업소오버(1)(1')의 양측단으로는 좌,우측 컨트롤 아암(10)(10')이 연결되는데, 상기 컨트롤 아암(10)(10')은 일측으로 힌지부(11)(11')를 두고 일측과 상측으로 수평부(12)(12')와 수직부(13)(13')를 갖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상기 수직부(13)(13')의 상단부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쇽 업소오버(1)(1')의 양단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수평부(12)(12')와 수직부(13)(13')는 직각의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예각의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직부(13)(13')의 회전시 거의 수평의 상태로 쇽 업소오버(1)(1')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쇽 업소오버(1)(1')의 양단에 컨트롤 아암(10)(10')의 수직부(13)(13')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는 나사 체결에 의한 완전 고정방식으로 택하되, 수직부(13)(13')의 상단 좌우측으로 각각 탄성체(14)(14')를 개재시켜 체결하였다.
상기에서 컨트롤 아암(10)(10')의 수직부 상단은 전후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쇽 업소오버(1)(1')의 거리를 고려하여 넓게 형성하여야 하며, 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4)(14')는 탄성력이 뛰어난 고무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아암(10)(10')의 힌지부(11)(11')에는 양프레임(3)(3')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홀더(2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오션 바아(20)(20')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이의 토오션 바아(20)(20')가 컨트롤 아암(10)(10')의 회전에 대한 힌지를 겸하여 탄성부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토오션 바아(20)(20')가 탄성부재를 역할을 수행케 하기 위하여 그의 일측단은 컨트롤 아암(10)(11')의 힌지부(11)(11')와 완전 고착되고 그의 타측단은 프레임(3)(3')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앵커(22)(22')에 의하여 고착되어 컨트롤 아암(10)(10')의 회동시 그의 일측단이 함께 비틀려지면서 토오션 바아(20)(20')가 가지고 있는 자체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 아암(10)(10')의 수평부(12)(12')의 자유단에는 휠(31)(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휠 지지체(30)(30')가 장착되어지며, 이의 연결은 휠(31)(31')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관절 연결된다.
또한, 상기 휠 지지체(30)(30')에는 조향을 위한 조향징차의 일부가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이의 조향장치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휠(31)(31')이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휠(31)(31')이 컨트롤 아암(10)(10')의 수평부(12)(12')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의 승강운동은 컨트롤 아암(10)(10')의 수평부(12)(12')의 외측단을 승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컨트롤 아암(10)(10')은 상기 휠(31)(31')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힌지부(11)(11')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을 하게되는데, 이때 그의 힌지부(11)(11')가 토오션 바아(20)(20')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의 토오션 바아(20)(20')에 의하여 흡수됨과 동시에 수직부(13)(13')의 상단으로 연결된 쇽 업소오버(1)(1')에 의하여 감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휠(31)(31')의 승강에 따른 컨트롤 아암(10)(10')의 회전 변위에 따라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는 바, 컨트롤 아암(10)(10')의 수직부(12)(12')와 수평부(12)(12')의 레버비(a:b)에 의하여 휠(31)(31')의 승강에 따른 쇽 업소오버(1)(1')의 압축량이 결정되므로 이의 레버비(a:b)는 당해 차량의 현가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 아암(10)(10')의 수직, 수평부(13)(13'), (12)(12') 레버비(a:b)는 a b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비를 a b로 하는 것은 수평부(12)(12')의 회전 범위가 크더라도 수직부(13)(13')의 회전범위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므로 쇽 업소오버(1)(1')의 압축 및 신장량을 적게 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가부품들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받는 전후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트러트 바아(40)(40')는 후측단이 컨트롤 아암(10)(10')의 수평부(12)(12') 외측단에 연결되고, 전측단이 프레임(3)(3')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브라켓(41)(41')에 탄성체(42)(42')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트러트 바아(40)(40')의 설치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전측단이 내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탄성체(42)(42')는 고무와셔로서, 스트러트 바아(40)(40')에 전후력이 가해질 때 고유의 탄성력으로 유연하게 수용하게 된다.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쇽 업소오버를 횡치하고, 탄성부재인 스프링을 토오션 바아를 채용함으로써, 이의 현가부품들이 휠과 차체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차체 하부에 뉘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바, 플로워의 높이를 낮추고 그의 폭을 증대시켜 승하차성과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차체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쇽 업소오버와;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기 쇽 업소오버와 휠 지지체에 각각 연결되어 휠의 승강 운동에 따라 회전 변위를 갖는 컨트롤 아암과; 상기 컨트롤 아암의 중간 힌지부와 연결되어 탄성작용을 하는 토오션바아와; 상기 부품들이 차량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트러트 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쇽 업소오버는 전후측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독립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컨트롤 아암은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과 상측으로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쇽 업소오버의 양단에 연결되고, 수평부의 선단에는 휠 지지체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쇽 업소오버와 컨트롤 아암의 수직부는 탄성체를 개재시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컨트롤 아암의 수직, 수평부 레버비(a:b)는 a b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토오션 바아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홀더에 의하여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의 일측단이 컨트롤 아암의 힌지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앵커에 의하여 고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스트러트 바아는 후측단이 컨트롤 아암의 수평부 외측단에 연결되고, 전측단이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는 브라켓에 탄성체를 개재시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1019930006590A 1993-04-19 1993-04-19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018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90A KR0180374B1 (ko) 1993-04-19 1993-04-19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590A KR0180374B1 (ko) 1993-04-19 1993-04-19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0374B1 true KR0180374B1 (ko) 1999-03-20

Family

ID=1935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590A KR0180374B1 (ko) 1993-04-19 1993-04-19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46B1 (ko) * 2006-11-01 2007-10-10 (주)다사로봇 이동로봇 완충장치
KR100881288B1 (ko) * 2007-08-31 2009-02-03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다족 보행기구의 견골장치
KR100881287B1 (ko) * 2007-08-31 2009-02-03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4족 보행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46B1 (ko) * 2006-11-01 2007-10-10 (주)다사로봇 이동로봇 완충장치
KR100881288B1 (ko) * 2007-08-31 2009-02-03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다족 보행기구의 견골장치
KR100881287B1 (ko) * 2007-08-31 2009-02-03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4족 보행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6719313B2 (en) Steering controlled anti-roll automobile suspension
KR018037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US6676160B2 (en)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US5558361A (en)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heels of a low-body bus
KR0180374B1 (ko)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0136259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EP0275407A1 (en) Unit for elastically suspending the wheels from the frame of a motor vehicle
KR100313789B1 (ko) 자동차의후륜현가장치
KR200150838Y1 (ko) 자동차의 2차축 공기 현가장치
KR0180373B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KR0114408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3619472B2 (ja) 低床車用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267653B1 (ko) 자동차의 롤억제수단
KR0185451B1 (ko) 화물차량의 현가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100667427B1 (ko) 자동차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153165Y1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