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049A -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049A
KR20020055049A KR1020000084402A KR20000084402A KR20020055049A KR 20020055049 A KR20020055049 A KR 20020055049A KR 1020000084402 A KR1020000084402 A KR 1020000084402A KR 20000084402 A KR20000084402 A KR 20000084402A KR 20020055049 A KR20020055049 A KR 20020055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cap
vehicle
spring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049A/ko
Publication of KR2002005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60G11/2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는, 캡을 상하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에어 스프링의 상단을 캡의 좌우 진동 즉, 횡력에 대하여 부드럽게 지지되도록 차량의 횡방향으로 고무스프링을 가압부재와 체결부재로 가압되도록 개재함으로써, 자동차의 캡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흡수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front cab air spr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캡을 지지하는 에어 스프링(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힌지 결합되어 틸팅되는 캡의 후방을 탄성 지지하는 장치중의 하나로 불규칙한 노면이나, 충격하중에 차체(1)를 통하여 캡으로 전해지는 것을 차단 및 완충시켜 승차감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 에어 스프링(10)은 차체(1)에 고정된 캡 브리지(2)의 플레이트(3)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 캡을 지지하는 플로팅 바(4)가 결합되어 상기 캡 브리지(2)와 플로팅 바(4)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캡 브리지(2)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에어 스프링(10)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스프링(10)의 완충 작용에 따른 공기의 저장과 공급이 이루어지는 서지탱크(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브리지(2)와 플로팅 바(4)의 사이에는 차량의 리바운드시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버퍼러버(5)가 상기 플로팅 바(4)에 어퍼 스톱퍼 브라켓(6)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캡 브리지(2)의 로워 스톱퍼 브라켓(7)에 부딪혀 충격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스프링(10)은 그 하단은 상기 플레이트(3)에 볼트(11)와 너트(12)로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에어스프링(10)의 하단 장착부(13) 내에 러버부시(14)가 삽입되고, 상기 하단 장착부(13)와 상기 플레이트(3)와의 사이 양측 공간에 칼러(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스프링(10)의 상단은 상기 플로팅 바(4)에 고정되는 바, 에어 스프링(10)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플로팅 바(4)의 상하면에 어퍼 사이드 러버부시(16)가 그 상하 외측에 어퍼 사이드 와셔(17)와 함께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링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작은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이나 차량의 수명이 길어지고, 하중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차고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이 에어 스프링은 그 상단은 상기 플로팅 바(4)의 상하면에 어퍼 사이드 러버부시(16)가 그 상하 외측에 어퍼 사이드 와셔(17)와 함께 체결되어 있고, 그 하단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볼트(11)를 매개로 체결되어 그 하단 장착부(13)내에 러버부시(14)가 삽입되어 있어 상하 진동을 다소나마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 스프링(10)의 체결구조는 캡의 상하 진동은 흡수하도록 되어 있지만, 그 상단과 하단이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없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캡의 횡방향의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여 캡의 횡방향 지지가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횡방향의 캡 지지를 소프트하게 하여 승차감을 개선하도록 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는, 하단은 차체에 고정된 캡 브리지의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캡을 지지하는 플로팅 바에 결합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에어 스프링의 상단이 상기 플로팅 바에 횡방향으로 고무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마운팅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종래의 에어 스프링의 마운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마운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캡 브리지 3 : 플레이트
4 : 플로팅 바 10 : 에어 스프링
20 : 고무스프링 21 : 가압부재
99 : 체결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에어 스프링(10)은 그 하단이 차체에 고정된 캡 브리지(2)의 플레이트(3)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은 캡을 지지하는 플로팅 바(4)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에어 스프링(10)의 상단이 상기 플로팅 바(4)에 횡방향으로 고무스프링(20)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에어스프링(10)의 축의 양측에 상기 고무스프링(20)을 개재하고, 상기 플로팅 바(4)의 지지플랜지(4a)에 결합된 체결부재(99)에 의해 이 고무스프링(20)을 양측에서 가압하는 가압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에어 스프링(10)은 그 하단은 캡 브리지(2)의 플레이트(3)에 결합되고, 그 상단은 그 축 주면에 고무스프링(20)을 개재하고, 이 고무스프링(20)을 상기 축을 향하여 체결부재(99)를 매개로 가압부재(21)로 가압하여 장착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스프링(10)의 상단은 상기 플로팅 바(4)의 길이 방향 즉,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의 체결되어 차량의 좌우 진동에 대한 흡수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캡을 상하 진동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에어 스프링의 상단을 캡의좌우 진동 즉, 횡력에 대하여 부드럽게 지지되도록 차량의 횡방향으로 고무스프링을 가압부재와 체결부재로 가압되도록 개재함으로써, 자동차의 캡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흡수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Claims (2)

  1. 하단은 차체에 고정된 캡 브리지의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캡을 지지하는 플로팅 바에 결합된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에어 스프링의 상단이 상기 플로팅 바에 횡방향으로 고무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프링의 축의 양측에 상기 고무스프링을 개재하고, 상기 플로팅 바의 지지플랜지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의해 이 고무스프링을 양측에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KR1020000084402A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KR20020055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02A KR20020055049A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02A KR20020055049A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49A true KR20020055049A (ko) 2002-07-08

Family

ID=276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402A KR20020055049A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04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034U (ja) * 1982-12-27 1984-07-0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プレ−ト
JPS6073677U (ja) * 1983-10-27 1985-05-23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キヤブチルト装置
JPS61182379U (ko) * 1985-05-03 1986-11-13
US4807713A (en) * 1987-09-08 1989-02-28 Ottawa Truck Corporation Suspension system for truck cab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034U (ja) * 1982-12-27 1984-07-0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クツシヨンプレ−ト
JPS6073677U (ja) * 1983-10-27 1985-05-23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キヤブチルト装置
JPS61182379U (ko) * 1985-05-03 1986-11-13
US4807713A (en) * 1987-09-08 1989-02-28 Ottawa Truck Corporation Suspension system for truck cab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8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20020055049A (ko)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KR20070094182A (ko)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
CN214928812U (zh) 悬架系统缓冲块组件、悬架系统及汽车
KR10255910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10108457A (ko) 트럭용 프런트 서스펜션장치
CN108706055B (zh) 一种重卡驾驶室前悬置装置及汽车
KR20080021408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KR100599477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어퍼 스프링 시트 장착구조
KR19980050559U (ko) 에어 스프링의 스토퍼 완충 장치
KR19980043190U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
KR100380467B1 (ko) 차량용 캐브 마운팅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32795U (ko)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톱퍼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20200106614A (ko) 자동차용 고무범퍼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19990004732U (ko) 화물차량의 캡 충격흡수장치
KR19980044919U (ko) 범퍼 스톱퍼구조
KR20040042384A (ko) 차량의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댐퍼의 결합구조
KR1998006127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