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45A -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45A
KR20090062245A KR1020070129380A KR20070129380A KR20090062245A KR 20090062245 A KR20090062245 A KR 20090062245A KR 1020070129380 A KR1020070129380 A KR 1020070129380A KR 20070129380 A KR20070129380 A KR 20070129380A KR 20090062245 A KR20090062245 A KR 2009006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stopper
bump
bracket
elastic bod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245A/ko
Publication of KR2009006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와 범프스토퍼가 분리된 현가장치에 있어서, 범프스토퍼에 탄성체를 구성하여, 범프스토퍼와 범프스토퍼 시트의 접촉 시 각도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조정되는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과 일측면 및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노출된 상부면을 덮도록 하단면 일측은 단차진 영역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범프스토퍼 브라켓과,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의 측면 둘레를 테두리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를 통해, 현가장치의 거동에 따른 휠스트로크의 차이와 상관없이 차량 운행 중 계속적으로 최적의 범프스토핑 작용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범프스토퍼, 탄성체, 범스프토퍼 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Bump Stopper of Automobile Suspension}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프스토퍼와 범프스토퍼 시트의 접촉이 최적화 되도록 각도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구동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 시 각 바퀴의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 시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서 올바른 위치에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크게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 그리고 범프스토퍼(Bump stopper)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쇽업소버는 차체 및 차륜에 각각 체결된 피스톤로드와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범프스토퍼는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의 중단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 상단과 접촉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축에 체결된 쇽업소버의 실린더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실린더 내에 충진된 오일 등의작동유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가 체결된 차체에 충격 전달을 완화시키게 되고, 동시에 상기 쇽업소버에 짧은 시간에 큰충격이 전달되었을 때에는 상기 피스톤로드 중단에 체결된 상기 범프스토퍼가 상기 쇽업소버의 실린더 상단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서 현가장치의 거동에 따른 범프스토퍼와 범프스토퍼 시트의 위치변화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도 1a는 휠스트로크가 0인 경우, 도 1b는 휠스트로크가 65인 경우, 도 1c는 휠스트로크가 80인 경우 범프스토퍼와범프스토퍼 시트의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범프스토핑(Bump stopping)을 위해서는 범프스토퍼(10)와 범프스토퍼 시트(20) 좌면의 각도 α가 0이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쇽업소버와 범프스토퍼가 분리된 현가장치에서는 상기 범프스토퍼가 차체 쪽에 어느 한 각도로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현가장치의 거동에 따른 휠스트로크(Wheel stroke)의 차이로 인해 범프스토퍼 시트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면서 상기 α 값도 변하게 되어 최적의 범프스토핑 작용을 구현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쇽업소버와 범프스토퍼가 분리된 현가장치에 있어서, 범프스토퍼에 탄성체를 구성하여, 범프스토퍼와범프스토퍼 시트의 접촉 시 각도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는 상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각도가 조정되는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과 일측면 및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노출된 상부면을 덮도록 하단면 일측은 단차진 영역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범프스토퍼 브라켓과,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의 측면 둘레를 테두리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고무(Rubb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는 범핑 발생시 하부에 구비되는 범프스토퍼 시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 것이며,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과는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를 통해, 현가장치의 거동에 따른 휠스트로크의 차이와 상관없이 차량 운행 중 계속적으로 최적의 범프스토핑 작용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가능한 하지 않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측면과 후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가 조정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100)는 범프스토퍼 몸체(110)와, 탄성체(140), 범프스토퍼 브라켓(150) 및 가이드 브라켓(180)을 구비한다.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는 차량 운행중 범핑이 발생할 경우 하부에 구비되는 범프스토퍼 시트(미도시)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후술되는 탄성체(140)가 압 축되는 정도에 따라 중심축(C)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상단 측면에는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가 회전할 경우 중심축(C)의 역할을 하며, 볼트 및 너트(190)가 결합되는 통로인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상부면(130) 일측으로는 탄성체(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체(140)는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범프스토퍼(100)가 차체 쪽에 어느 한 각도로 고정되어 구성된 현가장치(미도시) 즉, 쇽업소버(미도시)와 범프스토퍼(100)가 분리된 현가장치(미도시)를 구비한차량 운행 중 범핑이 발생하여 상기 현가장치(미도시)가 거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140)가 압축되어 상기 범프스토퍼(100)의 각도를 조정하고, 상기 현가장치(미도시)의 거동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14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범프스토퍼(100)의 각도를 재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은 상기 탄성체(140)의 상부면과 일측면을 덮고 상기범프스토퍼 몸체(110)의 노출되어 있는 상기 상부면(130)을 덮기 위해 하단면 일측은 단차진 영역(160)으로 구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의 상부면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70)의 기울어진 정도는 상기 탄성체(140)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은 하부의 구조물 즉, 범프스토퍼 몸체(110) 및 탄성체(140) 등을 상부에서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와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의 측면 둘레에는 가이드 브라켓(1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80)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와 범프스토퍼 브라켓(180)을 테두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와는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20)을 통해 볼트및 너트(190) 결합을 하고,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150)과는 용접을 통해 접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각도가 조정되는 형상을 도 3a 내지 도 3c에 단계별로 예시하였다.
먼저, 도 3a는 차량 운행 중 범핑이 발생되기 전 단계로, 탄성체가 압축되기 전 범프스토퍼의 형상 및 중심축에 대한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범핑 발생 전 범프스토퍼(100)는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상부면(130)과, 탄성체(140)의 상부면 및일측면 그리고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의 단차진 영역(160)과 경사면(170)이 모두 맞물려 구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상기 경사면(170)에 의해 중심축(C)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3b는 범핑 발생 초기 단계로, 상기 탄성체가 일부 압축된 상기 범프스토퍼의 형상 및 중심축에 대한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범핑 발생 초기에는 현가장치(미도시) 쪽의 범프스토퍼 시트(미도시)가 상향되면서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하단면과 접촉이 일어나게 되고, 접촉된 힘에 의해 상기 탄성체(140)가 압축되어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 또한 중심축(C)을 기준으로 각도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의 상부면(130)과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150)의 경사면(170)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110)가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한 만큼 끝단의 각도가 벌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c는 범핑이 충분히 발생된 단계로, 상기 탄성체가 완전히 압축된 상기 범프스토퍼의 형상 및 중심축에 대한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범핑이 충분히 발생되면, 상기 도 3b의 범핑 초기 단계보다 상기 탄성체(140)는 더 압축되고, 상기 탄성체(140)가 압축되는 정도에 따라 중심축(C)에 대한 상기범프스토퍼 몸체(11)의 각도가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체(140)의 변형 및 복원 특성을 이용한 범프스토퍼(100)를 구성하면 범핑 발생시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최적의 범핑 스토핑 작용을 구현할 수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서 현가장치의 거동에 따른 범프스토퍼와 범프스토퍼 시트의 위치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측면과 후면 구조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프스토퍼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가 조정되는 형상을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범프스토퍼 110 ; 범프스토퍼 몸체
120 ; 결합공 140 ; 탄성체
150 ; 범프 브라켓 170 ; 경사면
180 ; 가이드 브라켓 190 ; 볼트 및 너트

Claims (4)

  1. 상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조정되는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과 일측면 및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의 노출된 상부면을 덮도록 하단면 일측은 단차진 영역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범프스토퍼 브라켓과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의 측면 둘레를 테두리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Rubb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는 범핑 발생시 하부에 구비되는 범프스토퍼 시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범프스토퍼 몸체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 것이며, 상기 범프스토퍼 브라켓과는 용접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1020070129380A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20090062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80A KR20090062245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80A KR20090062245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45A true KR20090062245A (ko) 2009-06-17

Family

ID=4099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80A KR20090062245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2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21A (ko) * 2018-12-03 2020-06-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Romo1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또는 감수성 예측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493790Y1 (ko) * 2020-04-14 2021-06-03 김광석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21A (ko) * 2018-12-03 2020-06-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Romo1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또는 감수성 예측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493790Y1 (ko) * 2020-04-14 2021-06-03 김광석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918B1 (ko)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JP200710088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0072036A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90062245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102554919B1 (ko) 차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JP2006306247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828788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KR100764986B1 (ko) 차량의 스트러트 현가장치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2019905B1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KR101372115B1 (ko) 자동차용 ctba 타입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US11685212B2 (en) Hydraulic jounce bumper with improved installation
KR100507122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찰 저감장치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00008980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유닛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70017642A (ko)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KR20100040574A (ko) 쇽 업소버용 스트라이커 캡
JP486612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バウンドストッパ構造
KR20080010490A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KR1999005986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