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490A -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490A
KR20080010490A KR1020060070499A KR20060070499A KR20080010490A KR 20080010490 A KR20080010490 A KR 20080010490A KR 1020060070499 A KR1020060070499 A KR 1020060070499A KR 20060070499 A KR20060070499 A KR 20060070499A KR 20080010490 A KR20080010490 A KR 2008001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eat
type suspension
nut
mcpherson stru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490A/ko
Publication of KR2008001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에 있어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의 실린더(2a) 외주연에 장착되는 제 1 로워 시트(1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의 일측에 힌지(30)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로워 시트(2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에 일측에 설치되는 너트(40), 상기 너트(4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50), 상기 구동축(5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M)로 구성된다.
차량, 현가 장치, 스프링 로워 시트

Description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A lower seat structure in macperson type suspension in vehicle}
도 1은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사이드 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 로워 시트 20 : 제 2 로워 시트
30 : 힌지 40 : 너트
50 : 구동축 60 : 고무 패드
M : 모터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선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독립 현가장치와 일체식 현가장치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전자의 독립 현가장치에 주로 적용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에 관계한다.
통상,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에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와, 쇽 업소버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충격 완화 작용을 하는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며,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 어퍼 시트와 스프링 로워 시트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축(미도시)과 차체 사이에 장착되는 쇽 업소버(1)와, 쇽 업소버(1)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충격 완화 작용을 하는 코일 스프링(4)을 포함한다.
상기한 쇽 업소버(1)는 차축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2a)와, 차체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4)은 피스톤 로드(2b)의 상부 외주연에 장착되는 스프링 어퍼 시트(5a)와, 실린더(2a)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스프링 로워 시트(5b)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는 쇽 업소버(1;즉, 댐퍼)의 굽힘 강성을 높게 하여 암의 역할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경량이며 원가저하를 달성하기에 적합하다.
현가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현가 장치에 하중(L)이 인가되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댐퍼 사이드 로드(SL)가 필연적으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주어야 할 경우에도 스프링 작용축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에 있어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의 실린더(2a) 외주연에 장착되는 제 1 로워 시트(1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의 일측에 힌지(30)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로워 시트(2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에 일측에 설치되는 너트(40), 상기 너트(4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50), 상기 구동축(5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M)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와 제 2 로워 시트(20)를 연결하는 힌지(30)는 너트(40)와 180°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50)의 단부에는 롤러(55)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로워 시트(20)의 상부면에는 고무 패드(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현가 장치를 구성하는 스프링 로워 시트는 제 1 로워 시트(10)와 제 2 로워 시트(20)로 구성되고, 제 1 로워 시트(10)와 제 2 로워 시트(20)는 일측에 설치되어있는 힌지(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로워 시트(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힌지(30)와 180° 간격의 간격을 두고 너트(40)를 설치하고, 너트(40)에는 구동축(5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구동축(50)은 모터(M)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자신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축(50)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3b에 의하면 모터(M)는 구동축(50)과 직교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모터(M)와 구동축(50)은 동축상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구동축(50)의 단부는 제 2 로워 시트(20)의 하부면에 맞닿아 있어, 모터(M)에 의해 구동축(50)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서, 제 2 로워 시트(20)가 힌지(30)를 기준으로 상하 동작하게 된다.
이때, 구동축(50)과 제 2 로워 시트(20) 하부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제 2 로워 시트(20)의 회전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구동축(50)의 단부에는 롤러(5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로워 시트의 설정 각도를 a 만큼 증가시키면, 스프링 작용선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가 증가하면서 좌우로 눕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상적인 라인에 근접시킬 수 있고, 스프링 작용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해서 차량의 주행 도중 현가 장치의 스프링 로워 시트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터(M)를 동작시켜 구동축(50)이 회전되도록 한다.
구동축(50)은 너트(40)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축(50)이 회전하면서 구동축(50)의 상하 높이가 변화되고, 구동축(50)의 단부에 맞닿아 있는 제 2 로워 시트(20)는 도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한다.
제 2 로워 시트(20)의 기울기 변화에 의해 현가 장치의 스프링 작용축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드 포스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제 2 로워 시트(20)의 상부면 즉, 스프링이 닿는 부분에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무 패드(60)를 설치하여 외부의 급격한 충격이 인가될 때 제 2 로워 시트(2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상황에 따른 사이드 포스 저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에 있어서,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 장치의 실린더(2a) 외주연에 장착되는 제 1 로워 시트(1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의 일측에 힌지(30)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로워 시트(20),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에 일측에 설치되는 너트(40), 상기 너트(4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50), 상기 구동축(5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워 시트(10)와 제 2 로워 시트(20)를 연결하는 힌지(30)는 너트(40)와 180°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0)의 단부에는 롤러(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워 시트(20)의 상부면에는 고무 패드(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KR1020060070499A 2006-07-27 2006-07-27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KR20080010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99A KR20080010490A (ko) 2006-07-27 2006-07-27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99A KR20080010490A (ko) 2006-07-27 2006-07-27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490A true KR20080010490A (ko) 2008-01-31

Family

ID=3922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499A KR20080010490A (ko) 2006-07-27 2006-07-27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09B1 (ko) * 2008-05-21 2009-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09B1 (ko) * 2008-05-21 2009-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15699B (zh) 能够调节车辆高度的车辆悬架装置
KR20080010490A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로워 시트 구조
CN103568756A (zh) 一种用于汽车底盘的悬架结构
KR20080029164A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KR101339218B1 (ko)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
KR20140073134A (ko) 차체 자세 제어장치
KR1004228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100667424B1 (ko) 보조 풀 범프 구속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20120030850A (ko) 에어 서스펜션의 탑 마운트
KR101317572B1 (ko) 측 하중 저감 타입 맥퍼슨 스트러트 현가장치
KR100416516B1 (ko) 편심조절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캠버와 캐스터 조절장치
KR101526710B1 (ko) 차량 현가장치의 휠센터 조정장치
KR20090062245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20060008486A (ko) 차량의 쇽업소버 높이 조절장치
KR100962203B1 (ko) 스트럿형 현가장치
KR20090006346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차고 조절형 베어링
KR20010057648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0150322B1 (ko) 자동차의 쇽업소우버 스트러트 마운트 취부구조
JP2009255720A (ja) ダンパ取り付け構造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20110054471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CN201559494U (zh) 一种车辆的独立悬架和包括该独立悬架的车辆
KR20080054887A (ko)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