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067B1 -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067B1
KR101766067B1 KR1020150168612A KR20150168612A KR101766067B1 KR 101766067 B1 KR101766067 B1 KR 101766067B1 KR 1020150168612 A KR1020150168612 A KR 1020150168612A KR 20150168612 A KR20150168612 A KR 20150168612A KR 101766067 B1 KR101766067 B1 KR 10176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spring
starting point
rigid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878A (ko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0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mechanically, e.g. having frictionally-engaging springs as dam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로어암과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부를 가지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되되 경사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을 감싸 고정하는 걸림부가 돌출된 탄성 몸체; 및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몸체에 결합되어 탄성 몸체를 지지하는 강성 몸체;로 구성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SPRING PAD OF SUSPEN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쇽업소버 측에 적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업쇼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노면의 불규칙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차량의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은 그 하단이 로워 컨트롤 아암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너클의 상단은 너클 마운팅유닛을 통하여 쇽 업소버와 더불어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는 차체에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며, 스트럿 어셈블리의 중간부 내측에는 스테빌라이저가 연결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채용되어 휠의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하는 스프링은 로워암을 통해 안착되고, 리어암과 스프링의 접촉부위는 고무 재질의 스프링 패드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 패드는 리어암에 대한 스프링의 안착과 조립성이 중요하므로, 그 형상도 이를 고려해 조립상태에서 스프링의 안착부위를 잘 감 쌀수 있도록 수평형상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프링 패드는 차량 주행중 다양한 방향으로 하중에 부여됨에 따라 스프링과 스프링 패드 간의 접촉으로 인해 이음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스프링 패드에 이물질 퇴적시 이를 방출할 수 없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프링의 치핑 및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54223 A (2008. 06. 1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프링과 스프링 패드 간의 간섭에 의해 스프링 패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배출을 통해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는 로어암과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부를 가지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되되 경사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을 감싸 고정하는 걸림부가 돌출된 탄성 몸체; 및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몸체에 결합되어 탄성 몸체를 지지하는 강성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몸체의 중앙부는 상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는 중앙부의 일측으로 시작점을 가지며, 시작점에서 중앙부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을 가지고 소정 거리 연장되어 끝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성 몸체는 탄성 몸체의 시작점에서부터 끝점까지 경사면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두께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성 몸체는 하단 둘레에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키홈의 넓이도 동일하게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의 하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변형홈이 형성되되 강성 몸체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홈의 넓이도 동일하게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의 시작점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중앙부에 연결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의 끝단에 매칭되는 스타터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에는 시작점에 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강성 몸체에는 탄성 몸체의 슬릿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물질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와 강성 몸체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탄성 몸체의 끝점이 위치된 부분의 측방향 폭이 시작점의 측방향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는 끝점이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돌출되되 중앙부에서 급격한 경사를 가진 후 외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의 걸림부는 경사면의 테두리에서 시작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1걸림단, 끝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2걸림단, 제1걸림단과 제2걸림단 사이에 위치되는 제3걸림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의 제1걸림단, 제2걸림단, 제3걸림단은 경사면의 테두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스프링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의 제3걸림단은 제1걸림단 및 제2걸림단이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강성 몸체에는 제3걸림단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보강부가 돌출되어 제3걸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성 몸체는 하단 둘레를 따라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몸체의 하단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조립돌기를 통해 로어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따르면, 스프링과 스프링 패드 간의 간섭에 의해 스프링 패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배출을 통해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성능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가 적용된 로어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가 적용된 로어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암(10)과 스프링(20)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20)을 지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1000)에 있어서, 스프링 패드(10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부(120)를 가지며, 중앙부(120)를 중심으로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140)을 가지도록 연장되되 경사면(14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20)을 감싸 고정하는 걸림부(160)가 돌출된 탄성 몸체(100); 및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몸체(100)에 결합되어 탄성 몸체(100)를 지지하는 강성 몸체(2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스프링 패드(1000)에 관한 것으로, 탄성 몸체(100)에는 중앙부(120)와 경사면(140)을 통해 스프링(20)의 하단이 안착되고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프링(2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탄성 몸체(100)에 강성 소재가 결합되어 탄성 몸체(100)를 지지함에 따라 스프링(20)의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탄성 몸체(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탄성 몸체(100)는 고무 재질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성 몸체(200)는 플라스틱 재질의 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10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는 상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는 상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중앙부(120)가 개방됨에 따라 중앙부(120)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퇴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에 닿는 이물질들은 중앙부(120)의 둘레를 타고 내려가 외측으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는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룸에 따라 탄성 몸체(100)에 안착된 스프링(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 몸체(100)는 중앙부(120)의 일측으로 시작점(102)을 가지며, 시작점(102)에서 중앙부(12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140)을 가지고 소정 거리 연장되어 끝점(104)을 가질 수 있다.
즉, 탄성 몸체(100)는 시작점(102)으로부터 끝점(104)까지 나선형의 경사면(140)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경사면(140) 상에 스프링(2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시작점(102)과 끝점(104) 간의 원주 거리는 스프링(20)의 하단 권부에 맞추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몸체(100)의 상면은 경사면(140)의 테두리 상에 걸림부(160)를 제외하고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외측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성 몸체(200)는 탄성 몸체(100)의 시작점(102)에서부터 끝점(104)까지 경사면(140)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두께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몸체(100)는 시작점(102)에서 끝점(104)까지 경사면(140)을 가지고 높이가 변화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탄성 몸체(100)만으로 경사면(140)의 높이를 변경할 경우 높이가 큰 곳에 탄성 재질의 고무가 많이 집중되고, 높이가 작은 곳에 고무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20)이 안착되는 탄성 몸체(100)의 변형이 균형있게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스프링(20) 지지 성능이 저하되고, 어느 한쪽에만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바, 탄성 몸체(100)가 경사면(140)을 가지고 높이 변화되더라도,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강성 몸체(200)의 두께를 경사면(140)의 높이 변화량에 대응되도록 점차 두껍게 형성해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 몸체(100)는 시작점(102)에서 끝점(104)까지 경사면(140)을 가지고 연장되더라도,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스프링 패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몸체(200)는 하단 둘레에 다수의 키홈(220)이 형성되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키홈(220)의 넓이도 동일하게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 몸체(200)는 탄성 몸체(100)의 두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경사면(140)의 높이 변화량에 비례하도록 두께도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강성 몸체(200)의 경우 강성 재질의 플락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출 성형되는데, 강성 몸체(200)를 사출시 두께의 차이가 발생되도록 형성해주어야 함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는 냉각시 냉각이 늦어지고, 두께가 얇은 부분에는 냉각이 빨게 진행되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몸체(200)의 하단 둘레에는 두께에 따라 넓이가 다른 키홈(220)을 형성해줌으로써 둘레 방향을 따라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사출시 냉각 변형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제품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몸체(100)의 하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변형홈(180)이 형성되되 강성 몸체(200)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홈(180)의 넓이도 동일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 몸체(100)의 하단면에는 강성 몸체(200)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홈(180)을 형성해줌으로써 스프링(20)의 하중 작용시 강성 몸체(200)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따라 탄성 몸체(100)의 변형량이 상이한 것을 넓이가 상이한 변형홈(180)에 의해 흡수되어 탄성 몸체(100)의 하단면이 균일하게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몸체(100)의 시작점(102)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중앙부(120)에 연결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20)의 끝단에 매칭되는 스타터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타터돌출부(130)는 안착된 스프링(20)의 끝단이 매칭되는 것으로 스프링(20)이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볼 있듯이, 상기 탄성 몸체(100)에는 시작점(102)에 슬릿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강성 몸체(200)에는 탄성 몸체(100)의 슬릿홀(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물질배출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 몸체(100)의 시작점(102)에 형성된 슬릿홀(150)과 강성 몸체(200)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홀을 통해 탄성 몸체(100) 측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경사면(140)을 타고 내려와 슬릿홀(150)과 이물질배출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몸체(100)와 강성 몸체(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탄성 몸체(100)의 끝점(104)이 위치된 부분의 측방향 폭이 시작점(102)의 측방향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몸체(100)와 강성 몸체(200)는 끝점(104)이 위치된 부분에 대해 측방향 폭(a)이 시작점(102)의 측방향 폭(b)보다 더 넓게 형성해줌으로써 차량 중행중 구동륜에 충격 발생후 로어암(1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리바운드 동작시 소정량 이동되는 스프링(20)이 강성 몸체(200)에 간섭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차량 주행시 스프링(20)이 다소 이동되더라도, 스프링(20)이 탄성 몸체(100)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강성 몸체(200)에 간섭되어 강성 몸체(200)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몸체(100)는 끝점(104)이 중앙부(120)에서 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돌출되되 중앙부(120)에서 급격한 경사를 가진 후 외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몸체(100)의 끝점(104)이 중앙부(120)에서 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해줌으로써 차량 주행중 스프링(20)이 압축됨에 따라 스프링(20)의 최하단 권부와 다음 권부 간의 간격 축소시 스프링(20)과 탄성 몸체(100)의 중앙부(120)에 간섭을 억제하여 스프링(20)이 원활히 축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몸체(100)의 걸림부(160)는 경사면(140)의 테두리에서 시작점(10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1걸림단(162), 끝점(104)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2걸림단(164), 제1걸림단(162)과 제2걸림단(164) 사이에 위치되는 제3걸림단(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60)의 제1걸림단(162), 제2걸림단(164), 제3걸림단(166)은 경사면(140)의 테두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스프링(20)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몸체(100)에는 시작점(10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걸림단(162)을 통해 스프링(20)의 하단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끝점(104)과 소정거리 이격된 제2걸림단(164)을 통해 스프링(20)의 하단을 감싸 스프링(20)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제1걸림단(162)과 제2걸림단(164) 사이에 위치된 제3걸림단(166)을 통해 최종적으로 스프링(2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 몸체(100)에는 스프링(20)이 안착되는데, 시작점(102)에서부터 제1걸림단(162), 제2걸림단(164), 제3걸림단(166)을 통해 스프링(20)의 하단이 안착되어 경사면(140)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성 몸체(100)의 끝점(104)부터는 스프링(20)이 코일 형태를 유지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바, 별도의 걸림수단이 불필요하며, 스프링(20)이 탄성 몸체(100)의 경사면(140)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스프링(20)이 탄성 몸체(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걸림부(160)의 제3걸림단(166)은 제1걸림단(162) 및 제2걸림단(164)이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강성 몸체(200)에는 제3걸림단(166)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보강부(260)가 돌출되어 제3걸림단(166)을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제3걸림단(166)의 경우 강성 몸체(200)에서 돌출된 보강부(260)가 지지해줌으로써 탄성 몸체(100)에 안착된 스프링(20)이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 몸체(1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바, 제3걸림단(166)이 스프링(20)을 지지하더라도 스프링(20)의 이동시 변형에 의해 스프링(20)이 밀려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몸체(200)에서 보강부(260)가 돌출되어 제3걸림단(166)의 외측을 지지해줌으로써 스프링(20)의 밀림을 더욱 강건히 방지하여 스프링(20)이 안정적으로 탄성 몸체(100)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몸체(200)는 하단 둘레를 따라 챔퍼(280)가 형성되어 무게를 저감함과 동시에 챔퍼(280)를 통해 하중이 분산되어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몸체(100)의 하단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돌기(170)가 돌출되어, 조립돌기(170)를 통해 로어암(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어암(10)측에는 조립돌기(170)가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조립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몸체(100)에 형성된 조립돌기(170)를 조립홀(미도시)에 끼워 맞춤으로써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 패드는 차량 주행 중 스프링(20)에 횡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되어 스프링(20)의 과도한 변위 발생시 탄성 몸체(100) 및 강성 몸체(200)의 끝점(104)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하여 비대칭 형상을 이룸에 따라 탄성 몸체(100)에 안착된 스프링(20)을 강건히 구속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몸체(100)의 하단면에 형성된 조립돌기(170)를 통해 조립성이 향상되며, 중앙부(120)가 돌출된 형상을 이룸에 따라 스프링(20)이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몸체(100)의 슬릿홀(150)과 강성 몸체(200)의 이물질배출홀(240)을 통해 스프링(20)을 통해 탄성 몸체(100)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이물질에 의한 치핑 및 부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몸체(100)에는 강성 몸체(200)가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의 스프링 부가 하중 및 패드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로어암 20:스프링
100:탄성 몸체 102:시작점
104:끝점 120:중앙부
130:스타터돌출부 140:경사면
150:슬릿홀 160:걸림부
162:제1걸림단 164:제2걸림단
166:제3걸림단 170:조립돌기
180:변형홈 200:강성 몸체
220:키홈 240:이물질배출홀
260:보강부 280:챔퍼

Claims (15)

  1. 로어암과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부를 가지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연장되되 경사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을 감싸 고정하는 걸림부가 돌출된 탄성 몸체; 및
    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몸체에 결합되어 탄성 몸체를 지지하는 강성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몸체는 중앙부의 일측으로 시작점을 가지고, 시작점에서 중앙부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며 소정 거리 연장되어 끝점을 가지고,
    상기 탄성 몸체는 끝점이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돌출되되 중앙부에서 급격한 경사를 가진 후 외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프링의 압축시 스프링과 탄성 몸체의 중앙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의 중앙부는 상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몸체는 탄성 몸체의 시작점에서부터 끝점까지 경사면의 높이 변화량에 따라 두께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성 몸체는 하단 둘레에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키홈의 넓이도 동일하게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의 하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변형홈이 형성되되 강성 몸체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홈의 넓이도 동일하게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의 시작점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중앙부에 연결됨으로써 안착된 스프링의 끝단에 매칭되는 스타터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에는 시작점에 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강성 몸체에는 탄성 몸체의 슬릿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물질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와 강성 몸체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탄성 몸체의 끝점이 위치된 부분의 측방향 폭이 시작점의 측방향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의 걸림부는 경사면의 테두리에서 시작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1걸림단, 끝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2걸림단, 제1걸림단과 제2걸림단 사이에 위치되는 제3걸림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제1걸림단, 제2걸림단, 제3걸림단은 경사면의 테두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스프링의 하단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제3걸림단은 제1걸림단 및 제2걸림단이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강성 몸체에는 제3걸림단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보강부가 돌출되어 제3걸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몸체는 하단 둘레를 따라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의 하단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조립돌기를 통해 로어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20150168612A 2015-11-30 2015-11-3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176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12A KR101766067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12A KR101766067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78A KR20170062878A (ko) 2017-06-08
KR101766067B1 true KR101766067B1 (ko) 2017-08-07

Family

ID=5922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612A KR101766067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30B1 (ko) * 2017-06-12 2020-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616972B1 (ko) * 2019-07-26 2023-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772A (ja) * 2008-06-27 2010-01-14 Tokai Rubber Ind Ltd スプリングシート
JP2014181776A (ja) * 2013-03-21 2014-09-29 Kayaba Ind Co Ltd スプリングラバーシート及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772A (ja) * 2008-06-27 2010-01-14 Tokai Rubber Ind Ltd スプリングシート
JP2014181776A (ja) * 2013-03-21 2014-09-29 Kayaba Ind Co Ltd スプリングラバーシート及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78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A2798639C (en) Spring seat
KR20160116708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US10465761B2 (en) Coil 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JP200014205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1490736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이물질 방지 스프링 패드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20170092347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639787B1 (ko) 차량용 에어스프링 설치 구조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KR102235838B1 (ko) 자동차용 토션빔 스프링 설치구조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CN204253700U (zh) 一种带防护结构的汽车悬架螺旋弹簧隔振垫
KR102406074B1 (ko) 인서트형 스프링 시트
JP2005349967A (ja) 予備タイヤの取付方法及び予備タイヤ付車輌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KR20140077277A (ko) 서스펜선 범퍼스토퍼의 소음 저감 구조
KR102258480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