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72B1 -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72B1
KR102616972B1 KR1020190090779A KR20190090779A KR102616972B1 KR 102616972 B1 KR102616972 B1 KR 102616972B1 KR 1020190090779 A KR1020190090779 A KR 1020190090779A KR 20190090779 A KR20190090779 A KR 20190090779A KR 102616972 B1 KR102616972 B1 KR 10261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ad
spring
pad body
suspen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665A (ko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패드몸체부; 패드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 및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를 포함하고, 스프링수용부는,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가 구비되는 스프링수용몸체부; 및 스프링수용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UPPER PAD OF SUSPEN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현가장치에서 마찰 이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용 현가장치에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로어패드(Lower Pad)와 어퍼패드(Upper Pad)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로어패드와 어퍼패드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과 로어패드 사이, 코일 스프링과 어퍼패드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서 어퍼패드는 스프링의 접촉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스프링의 접촉을 막아주는 어퍼패드에서 마찰 이음이 발생된다. 특히 어퍼패드가 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저온에서는 고무 경도가 증가되어 이음 크기도 증가되고, 물방울이 맺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현가장치에서 마찰 이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패드몸체부; 상기 패드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수용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가 구비되는 스프링수용몸체부; 및 상기 스프링수용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기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이웃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패드 몸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수용부는, 상기 스프링수용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돌기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패드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패드변형방지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시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마찰감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몸체부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차체 매칭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과 패드몸체부 간에 접속시 발생되는 이음을 감소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수용부의 스프링수용홈부에 코일 스프링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몸체부에 형성되는 패드변형방지홈부에 의해 패드몸체부의 변형이 방지되어 코일 스프링의 정상 작동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패드몸체부(100), 이탈방지부(200), 스프링수용부(300)를 포함한다.
패드몸체부(100)는 코일 스프링(10)이 장착된다. 이탈방지부(200)는 패드몸체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이탈을 차단한다. 이탈방지부(200)에는 단면의 형상인 원형인 코일 스프링(10)에 대응되게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이탈을 차단한다.
스프링수용부(300)는 패드몸체부(100)에 이탈방지부(200)가 형성되는 않은 면에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단부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부(200)와 스프링수용부(300)는 패드몸체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0)의 이탈을 차단하다. 도 2에서 이탈방지부(200)는 3개, 스프링수용부(300)는 1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수용부(300)는 스프링수용몸체부(310)와 제1돌기부(320)를 포함한다. 스프링수용몸체부(310)는 패드몸체부(100)의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코일 스프링(1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311)를 구비한다.
수용홈부(311)는 스프링수용몸체부(310)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0)의 단부를 수용한다. 수용홈부(311)는 단면의 형상인 원형인 코일 스프링(10)에 대응되게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이탈을 차단한다.
제1돌기부(320)는 스프링수용몸체부(310)의 외측면(도 2 기준 하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제1돌기부(320)가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10)은, 수용홈부(311)에서 시작되어 패드몸체부(100)를 한번 회전한 코일 스프링(10)을 의미한다.
제1돌기부(320)는 스프링수용몸체부(310)의 외측면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돌기부(320)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시 뽀족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비해 코일 스프링(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코일 스프링(10)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320)는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패드몸체부(100)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0)과 패드몸체부(100)와의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돌기부(320)는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시 탄성 변형되면서 코일 스프링(10)의 충격과 이음을 흡수할 수 있다.
제1돌기부(320)는 스프링수용몸체부(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된 코일 스프링(10)이 직접 스프링수용몸체부(310)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한다.
제1돌기부(320)는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과 이웃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패드 몸체부(100)에 형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하로 꼬인 코일 스프링(10)에서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의 하측과, 이 코일 스프링(10)에 하측으로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패드 몸체부(100)에 제1돌기부(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돌기부(320)는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과의 접촉시 코일 스프링(10)의 충격과 이음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수용부(300)는 제2돌기부(330)를 더 포함한다. 제2돌기부(330)는 수용홈부(311)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제2돌기부(330)는 수용홈부(311)의 내측면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돌기부(330)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시 뽀족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비해 코일 스프링(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코일 스프링(10)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돌기부(330)는 수용홈부(311)에 코일 스프링(10)의 단부(도 1 기준 우측단부)를 고정하고, 코일 스프링(10)의 단부 외측면과 접촉되며 패드몸체부(100) 내측면과 사이에서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부(330)는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시 탄성 변형되면서 코일 스프링(10)의 충격과 이음을 흡수할 수 있다.
제2돌기부(330)는 수용홈부(311)의 내측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돌기부(330)는 수용홈부(311)의 내측면에 제1돌기부(320) 측을 향해 배치된다.
제2돌기부(330)는 불필요하게 패드몸체부(100)의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수용홈부(311)의 내측면의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제작 비용을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패드변형방지홈부(400)를 더 포함한다. 패드변형방지홈부(400)는 패드몸체부(100)의 일면(도 1 기준 상측면, 도 5 기준 전면)에 패드몸체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패드변형방지홈부(400)는 패드몸체부(100)에 복수개로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0)의 압력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탄성과 강성이 부여되고, 수축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패드변형방지홈부(400)는 수용홈부(311)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10)의 단부를 기준으로 패드몸체부(100)에 반원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패드변형방지홈부(400)는 코일 스프링(10)로부터 압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0)의 압력이 집중되지 않는 패드몸체부(100)의 부분에 패드변형방지홈부(400)가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제작 비용을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마찰감소부(500)를 더 포함한다. 마찰감소부(500)는 패드몸체부(100)의 타면(도 2 기준 좌측면)에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시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마찰감소부(500)는 패드몸체부(100)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코일 스프링(10)을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10)과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는 차체 매칭 돌기부(600)를 더 포함한다.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패드몸체부(100)의 내측면에 패드몸체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패드몸체부(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차체(미도시)와 접촉되어, 차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패드몸체부(100)의 내측면에 균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차체 매칭 돌기부(600)가 균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패드몸체부(100)에 삽입되는 차체에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드몸체부(100), 이탈방지부(200), 스프링수용부(300), 패드변형방지홈부(400), 마찰감소부(500),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몸체부(100), 이탈방지부(200), 스프링수용부(300), 패드변형방지홈부(400), 마찰감소부(500),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코일 스프링(10) 등과의 접촉시 변형을 방지하고, 이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드몸체부(100), 이탈방지부(200), 스프링수용부(300), 패드변형방지홈부(400), 마찰감소부(500), 차체 매칭 돌기부(600)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 재질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제작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U), 아라마이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A)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한다.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의 변성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의 변성체,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의 변성체,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U)의 변성체, 아라마이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A)의 변성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 일 수도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Rubber)의 특성을 나타내며, 고온에서는 열가소성(Plastic)의 특성을 나타내어 간단한 공정(Processing)으로 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기존의 고무(Rubber)재질 보다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성형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되고,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품을 재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이 줄어드는 친환경적인 재료이다. 또한, 기존의 강재(Steel core)(20)가 불필요함으로 중량이 절감되어 차량의 중량을 절감하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10)과 패드몸체부(100) 간에 접속시 발생되는 이음을 감소시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수용부(300)의 스프링수용홈부(320)에 코일 스프링(10)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코일 스프링(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작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몸체부(100)에 형성되는 패드변형방지홈부(400)에 의해 패드몸체부(100)의 변형이 방지되어 코일 스프링(10)의 정상 작동 유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코일 스프링 100: 패드몸체부
200: 이탈방지부 300: 스프링수용부
310: 스프링수용몸체부 311: 수용홈부
320: 제1돌기부 330: 제2돌기부
400: 패드변형방지홈부 500: 마찰감소부
600: 차체 매칭 돌기부

Claims (8)

  1.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패드몸체부;
    상기 패드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부;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 및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패드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패드변형방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수용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가 구비되는 스프링수용몸체부; 및
    상기 스프링수용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변형방지홈부는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패드몸체부에 반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이웃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패드 몸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용부는,
    상기 스프링수용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시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마찰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부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차체 매칭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KR1020190090779A 2019-07-26 2019-07-26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KR10261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79A KR10261697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79A KR10261697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65A KR20210012665A (ko) 2021-02-03
KR102616972B1 true KR102616972B1 (ko) 2023-12-26

Family

ID=7457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779A KR10261697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620A (ja) * 2000-03-17 2001-09-26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023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코일스프링조립체
KR101766067B1 (ko) * 2015-11-30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20170056428A (ko) * 2016-10-28 2017-05-23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620A (ja) * 2000-03-17 2001-09-26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65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015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839537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293060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432837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6043181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91132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JP5461303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3079037A (ja) 非空気圧タイヤ
WO2000040427A1 (en) Vehicle tire
JP6173903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US20210138830A1 (en) Non-pneumatic tire
JP6226734B2 (ja) 非空気圧タイヤ
US20200207150A1 (en) Non-pneumatic tire
KR102616972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JP2012240525A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6107751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6754686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5401156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WO2020110722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CN113165421A (zh) 非充气轮胎
JP2008089127A (ja) 防振ブッシュ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20240001732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패드
CN214928800U (zh) 一种缓冲块和车辆
KR102519881B1 (ko) 차량용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