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023A - 코일스프링조립체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023A
KR20020055023A KR1020000084358A KR20000084358A KR20020055023A KR 20020055023 A KR20020055023 A KR 20020055023A KR 1020000084358 A KR1020000084358 A KR 1020000084358A KR 20000084358 A KR20000084358 A KR 20000084358A KR 20020055023 A KR20020055023 A KR 20020055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pring assembly
assembly
assembling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원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023A/ko
Publication of KR2002005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02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3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inserts and spacers between the windings for changing the mechanical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4Covers or coa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코일스프링(21)의 양단과 결합되는 상하부버커(22,23)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21)의 양끝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나선형의 조립홈(22a,23a)이 형성되고, 이 조립홈(22a,23a)에는 상기 코일스프링(21)이 조립홈(22a,23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립돌기(22b,23b)가 형성되어져, 코일스프링조립체(20)의 작동소음이 감소되고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상기 코일스프링(21)로부터 상하부커버(22,23)가 쉽게 결합해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트럿타입(strut type)이외의 다양한 부위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폭이 확대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스프링조립체{COIL SPRING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소음이 감소되면서 내구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된 코일스프링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은 스프링강의 환봉을 원통형으로 감아서 만들어진 스프링으로써 힘이 가해지면 각 부분이 비틀려져서 탄성이 생기고 이탄성은 환봉의 굵기와 감은 수 및 지름에 의해 컨트롤되며,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주된 작용은 충격력의 흡수이지만 자동차의 조정성과 안정성과 승차감이나 진동소음 특성등 기본적인 특성을 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된 나선형 모양의 코일스프링(11)과, 이 코일스프링(11)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커버(12)와, 이 상부커버(12)와 반대되는 위치인 상기 코일스프링(11)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커버(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커버(12,13)는 전체적인 모양이 소정의 두께를 갖춘 도우넛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안쪽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1)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추면서 일정깊이로 파여진 원형의 결합홈(1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2)에 형성된 결합홈은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형상은 도 1b에 도시된 상기 하부커버(13)의 결합홈(13a)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기 코일스프링(11)의 양단이 상기 상하부커버(12,13)의 결합홈(13a)에 각각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한 개의 코일스프링조립체(10)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코일스프링조립체(10)는 작동소음이 적어야 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을 갖추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스프링조립체(10)는 압축작용시 상기 상하부커버(12,13)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1)이 양끝단 열(11a)이 상하부커버(12,13)와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두번째열(11b)과 직접적으로 선접촉됨으로 인해 작동소음도 심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빈번한 작동으로 인해 코일스프링(11)의 내구성도 감소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상기 상하부커버(12,13)와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1)의 양끝단열(11a)과 그 두 번째열(11b)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진 보호튜브(14)를 결합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10)의 작동시 상기 코일스프링(11)이 양끝단 열(11a)과 두 번째열(11b)이 직접적으로 선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소음을 감소시키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나,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11)에 보호튜브(14)가 감싸여진 코일스프링조립체(10)는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스프링조립체(10)는, 상기 상하부커버(12,13)가 각각의 결합홈(13a)을 매개로 코일스프링(11)의 양끝단에 단순히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코일스프링(11)로부터 상하부커버(12,13)가 쉽게 결합해체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10)의 설치위치가 스트럿타입(strut type)이외에는 설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부커버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조립홈을 형성하면서 이 조립홈을 따라 다수개의 조립돌기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상기 조립홈으로 끼우면서 조립돌기를 매개로 코일스프링과 상하부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조립체의 작동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끝단 열과 두 번째열이 직접적으로 선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소음을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의 작동소음을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에 감싸여지는 보호커버가 삭제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끝단이 상하부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하부커버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로부터 상하부커버가 쉽게 결합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스트럿타입(strut type)이외의 다양한 부위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폭이 확대될 수 있도록 된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일스프링조립체의 상부커버와 하부버커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의 양끝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이 조립홈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조립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립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및 부분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좌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코일스프링조립체 21 - 코일스프링
22 - 상부커버 22a,23a - 조립홈
22b,23b - 조립돌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조립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된 나선형 모양의 코일스프링(21)과, 이 코일스프링(21)의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커버(22)와, 이 상부커버(22)와 반대되는 위치인 상기 코일스프링(21)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커버(2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커버(22,23)는 전체적인 모양이 소정의 두께를 갖춘 도우넛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21)의 양끝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조립홈(22a,23a)이 형성되고, 이 조립홈(22a,23a)에는 상기 코일스프링(21)이 조립홈(22a,23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립돌기(22b,2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22a,23a)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커버(22,23)의 외주면 아랫쪽에서부터 상부쪽으로 감겨져 올라가는 나선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돌기(22b,23b)는, 상기 조립홈(22a,23a)의 아랫면 바깥쪽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10)의 압축작용시에는 상기 상하부커버(22,23)와 인접된 코일스프링(21)이 다른층(열)의 코일스프링(21)과 선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부커버(22,23)와 접촉을 하게 되므로, 작동소음이 감소되게 되며 이로인해 코일스프링(21)의 내구성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조립체(20)의 코일스프링(21)에는 도 1c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튜브(14)가 감사여 있지 않음으로 인해 전체적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21)의 양끝단이 상하부커버(22,23)에 형성된조립홈(22a,23a)으로 삽입되면서 상하부커버(22,23)의 외주면을 감싸 조립돌기(22b,23b)에 걸려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21)로부터 상하부커버(22,23)가 쉽게 결합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코일스프링조립체(20)를 스트럿타입(strut type)이외의 다양한 부위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폭이 확대됨은 물론 실용적인 면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스프링의 양단과 결합되는 상하부버커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의 양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나선형의 조립홈이 형성되면서 이 조립홈에는 다수개의 조립돌기가 형성되어져, 코일스프링조립체의 작동소음이 감소되고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상기 코일스프링로부터 상하부커버가 쉽게 결합해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트럿타입(strut type)이외의 다양한 부위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폭이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된 나선형 모양의 코일스프링과, 이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버커(22,23)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21)의 양끝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조립홈(22a,23a)이 형성되고, 이 조립홈(22a,23a)에는 상기 코일스프링(21)이 조립홈(22a,23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립돌기(22b,2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22a,23a)이, 상기 상하부커버(22,23)의 외주면 아랫쪽에서부터 상부쪽으로 감겨져 올라가는 나선형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조립체.
KR1020000084358A 2000-12-28 2000-12-28 코일스프링조립체 KR20020055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58A KR20020055023A (ko) 2000-12-28 2000-12-28 코일스프링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58A KR20020055023A (ko) 2000-12-28 2000-12-28 코일스프링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23A true KR20020055023A (ko) 2002-07-08

Family

ID=2768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358A KR20020055023A (ko) 2000-12-28 2000-12-28 코일스프링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0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77B1 (ko) * 2013-10-25 2014-11-07 대원강업주식회사 중공형 코일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20210012665A (ko) * 2019-07-26 2021-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507A (ja) * 1981-10-09 1983-04-15 Nissan Motor Co Ltd 車両懸架装置
KR19980067934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JPH11125293A (ja) * 1997-10-22 1999-05-11 Toyota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507A (ja) * 1981-10-09 1983-04-15 Nissan Motor Co Ltd 車両懸架装置
KR19980067934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JPH11125293A (ja) * 1997-10-22 1999-05-11 Toyota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277B1 (ko) * 2013-10-25 2014-11-07 대원강업주식회사 중공형 코일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20210012665A (ko) * 2019-07-26 2021-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어퍼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231A (en) Flat optical fiber cable
KR20100082789A (ko) 트랜스
US20110303046A1 (en) Damper Element for Springs and Vehicle Pedal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KR20020055023A (ko) 코일스프링조립체
JPH022463B2 (ko)
JP2009534861A (ja) 特に自動車の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US4646803A (en) Case for protecting a magnetic core
CA1251691A (en)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in mechanical springs in a railway car
CA1211234A (en) Seat cushion spring assembly
US8063523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RU2215458C2 (ru) Пружинный матрац
US4278904A (en) Electromagnetic devices
US4659093A (en) Three-piece oil-ring with an inward protrusion
JP399612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900004971B1 (ko) 매트리스 및 가구용 스프링코어 조립체
JPH05102691A (ja) 信号弁別器
KR100405454B1 (ko) 라디에이터용 방진고무
US5046153A (en) Coil terminal connection
JPS5922352Y2 (ja) コイルばね
JP7214515B2 (ja) コイル装置
KR200235657Y1 (ko) 케이블의 외면층 보강용 철심구조
JP4051691B2 (ja) 点火コイル
JP2596830Y2 (ja) 磁 芯
KR0166678B1 (ko) 회전저항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KR200224395Y1 (ko) 네온관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