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232A -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232A
KR20180121232A KR1020170055676A KR20170055676A KR20180121232A KR 20180121232 A KR20180121232 A KR 20180121232A KR 1020170055676 A KR1020170055676 A KR 1020170055676A KR 20170055676 A KR20170055676 A KR 20170055676A KR 20180121232 A KR20180121232 A KR 2018012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lower housing
housing
elastic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410B1 (ko
Inventor
정세웅
권익진
윤영인
김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7005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10B1/ko
Priority to PCT/KR2018/005006 priority patent/WO2018199711A1/ko
Publication of KR2018012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10B1/ko
Priority to US16/665,356 priority patent/US202000620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0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 F16C33/781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for tapered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차체와 스트럿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탄성체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은 탄성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베어링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홈을 가진다. 탄성 돌기는 홈에 삽입되어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Description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개시는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 장치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고 휠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개선하고, 충격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며 각 부품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독립 현가식의 전방 현가 장치로는 위시본 타입과 맥퍼슨 타입이 있다. 맥퍼슨 타입의 경우는 위시본 타입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승용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맥퍼슨 타입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내장되고 외부에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는 스트럿이 사용된다. 스트럿은 상단이 탑 마운트 조립체를 통해 차체에 결합되고, 하단은 너클에 결합된다. 스트럿은 휠의 조향에 따라 차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탑 마운트 조립체는 외면이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끼움장착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는 스트럿 베어링이 인슐레이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매립되는 스틸 인서트를 포함한다. 스트럿 베어링은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스트럿 베어링은 먼지나 물과 같은 이물질이 베어링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서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시일(seal) 부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탑 마운트 조립체는 스트럿 베어링에 시일 부재가 설치된 후, 스트럿 베어링이 인슐레이터에 끼워져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낮아진다. 또한, 인슐레이터가 스틸 인서트를 포함하므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중량이 커진다.
본 개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생산성이 높은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차체와 스트럿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탄성체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은 탄성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베어링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홈을 가진다. 탄성 돌기는 홈에 삽입되어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은 상부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고, 탄성체는 인서트와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는 인서트 가류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은,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 플랜지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는 하부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프링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는 스프링 시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베어링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패드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외측에 스프링의 상단이 위치하는 플랜지와, 플랜지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시일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돌기와 홈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돌기는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는, 차체와 스트럿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과, 홈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하고, 인슐레이터는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돌기는 홈에 삽입되어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는 인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인서트와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는 인서트 가류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은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 플랜지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은 2개의 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와 상기 홈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기는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구멍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와,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를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와, 탄성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와, 홈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베어링을 배치하는 단계와, 탄성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탄성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탄성체는 탄성 돌기가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인서트와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하부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스프링 시트를 가류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스프링 시트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스프링 패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슐레이터의 제작과 인슐레이터 및 상부 하우징의 결합이 탄성체 형성을 통해 동시에 달성될 수 있으므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의 탄성 돌기는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시일 성능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일 부재를 설치하는 공정도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공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통해 인슐레이터와 상부 하우징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므로, 스트럿 베어링을 인슐레이터 내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스틸 인서트가 필요 없다. 따라서, 탑 마운트 조립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럿 베어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보인 흐름도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인슐레이터가 스트럿 베어링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인슐레이터와 스트럿 베어링은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100)는 인슐레이터(200)와 스트럿 베어링(300)을 포함한다. 탑 마운트 조립체(100)는 스트럿(50)(도 10 및 도 11 참조)의 상단에 결합되고, 스트럿(50)과 차체 사이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슐레이터(200)는 인서트(210)와 탄성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200)는 중앙부가 스트럿(50)에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부가 복수개의 볼트(201)에 의해 차체에 결합된다.
인서트(210)는 인슐레이터(200)의 골격을 이루며 인슐레이터(20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인서트(210)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장력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210)는 탄성체(220)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체(220)는 인서트(210)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서트(2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멍(211)을 포함하고, 탄성체(220)는 구멍(21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210)와 탄성체(22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탄성체(220)는 인서트(210)와 스트럿 베어링(300)의 상부 하우징(31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도 한다. 탄성체(220)는 차체와 인서트(2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인서트(210)와 차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탄성체(220)는 스트럿(5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예컨대, 탄성체(220)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220)는 가류 성형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200)는 인서트(210)와 상부 하우징(310)이 서로 이격되도록 금형에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체(220)를 가류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가류(cure 또는 vulcanization)는 생고무에 황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탄성에 변화를 주는 조작을 말하지만, 오늘날에는 그 의미를 확대하여 가소성 물질(즉, 플라스틱)을 탄성 물질로 변화시키는 조작을 총칭한다. "가류"라는 용어는 "가황"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220)는 탄성 돌기(230)와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돌기(230)는 상부 하우징(310)의 구멍(31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링 형상을 가진다. 탄성 돌기(230)는 하부 하우징(320)의 홈(321)에 삽입되어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를 실링한다. 탄성 돌기(230)는 하부 하우징(320)의 홈(321)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240)는 탄성체(220)로부터 연장하여 탄성 돌기(230)를 탄성체(220)에 연결한다. 복수개의 연결부(240)는 상부 하우징(310)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멍(314)에 충진되어 형성된다. 연결부(240)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240)는 상부 하우징(310)의 구멍(314)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각형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탄성 돌기(230)와 연결부(240)는 탄성체(220)의 성형시 함께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 돌기(230)는 탄성체(220)의 성형시에 사용되는 금형과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돌기용 공간에 탄성체(220)의 재료를 충진함으로써 탄성체(220)와 함께 제작될 수 있다. 탄성체(220)의 재료가 상부 하우징(310)의 구멍(314)을 관통하여 탄성 돌기용 공간에 완전히 충진된 후, 탄성체(220)의 재료가 구멍(314)에 충진되어 연결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240)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나의 탄성 돌기(230)는 복수개의 연결부(240)의 하단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40)와 탄성 돌기(230)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하우징(310)은 탄성체(2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레이터(200)는 스트럿 베어링(300)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스틸 인서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0)의 제작과 인슐레이터(200) 및 상부 하우징(310)의 결합이 하나의 공정, 예컨대 인서트(210)와 상부 하우징(310)을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탄성체(220)를 가류 성형함으로써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조로 탄성체(220)를 형성함으로써, 탄성체(220)는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 사이(320)의 실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220)의 형성을 통해 인슐레이터(200)의 제작과 인슐레이터(200) 및 상부 하우징(310)의 결합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실링 부재를 스트럿 베어링에 설치하는 공정도 제거되므로,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제조 공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슐레이터(200)는 하부 컵(250)과 상부 컵(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컵(250) 및 상부 컵(260)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컵(250) 및 상부 컵(260)은 각각 그 중앙에 형성된 하부 개구(251)와 상부 개구(261)를 포함한다. 하부 컵(250)에는 스트럿(50)의 상단이 수용된다. 스트럿(50)의 상단에 구비되는 볼트(51)가 하부 개구(251)와 상부 개구(261)를 관통하고, 상부 개구(261)를 관통하는 볼트(51)에 너트(52)가 나사결합된다. 스트럿(50)은 하부 하우징(320)과 함께 인슐레이터(200) 및 상부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럿 베어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인슐레이터와 도 5에 도시된 상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하우징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럿 베어링(300)은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과, 베어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 베어링(300)은 인슐레이터(200)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은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즉,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이 복수개의 오목부(311)를 포함하므로, 탄성체(220)가 상부 하우징(3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오목부(311)가 복수열로 형성되어,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은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 플랜지(312)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플랜지(3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은 내측 플랜지(312)와 외측 플랜지(313)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내측 플랜지(312)와 외측 플랜지(31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310)이 내측 플랜지(312)와 외측 플랜지(313)를 구비하므로, 탄성체(220)가 상부 하우징(3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10)은 탄성체(220)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멍(314)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구멍(314)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탄성 돌기(230)는 복수개의 구멍(31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구멍(314)에는 탄성체(220)의 일부가 충진되어 복수개의 연결부(240)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0)와 상부 하우징(310)이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240)는 구멍(314)에 충진되어 있으므로, 연결부(240)는 보이지 않고, 탄성 돌기(230)가 상부 하우징(3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240)와 하나의 탄성 돌기(230)가 서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부(240)와 탄성 돌기(230) 사이 및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보유 지지력이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10)은 베어링(330)의 상측에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5)는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330)을 하부 하우징(320)을 향해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베어링(330)은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0)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보유 지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10)은 하부 하우징(320)과 결합하기 위한 상부 후크(3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후크(317)는 상부 하우징(3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원통부(31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복수개의 상부 후크(317)가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후크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320)은 탄성 돌기(230)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321)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321)과 탄성 돌기(230)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돌기(230)는 홈(321)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성 돌기(230)는 대략 사각형 종단면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홈(321)은 사각형 종단면을 가지도록 하부 하우징(32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탄성 돌기(230)가 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 돌기(230)와 홈(321)의 사이에는 미리 결정된 공간 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 또는 간극은 하부 하우징(320)의 상단으로부터 탄성 돌기(230)의 볼록 부분 또는 홈(321)의 오목 부분을 따라 U자형 유로를 형성한다. 탄성 돌기(230)와 홈(321)이 없는 경우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탄성 돌기(230)를 가로지르는 직선형 유로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유로는 탄성 돌기(230)의 반경방향 폭이며, U자형 유로는 직선형 유로의 대략 3배 이상이다. 따라서,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로 침투할 수 있는 먼지나 물과 같은 이물질이 베어링(33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320)은 상부 하우징(310)의 상부 후크(317)와 결합하기 위한 하부 후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후크(322)는 하부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복수개의 하부 후크(322)가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후크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부 후크(317)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부 후크(322)가 서로 맞물려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320)은 베어링(330)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시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시트(323)는 하부 하우징(3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30)은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에 배치되고 홈(321)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홈(321)은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330)은 내륜(331)과, 외륜(332)과, 리테이너(333)와, 복수개의 볼(33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륜(331)은 베어링 시트(323) 상에 놓인다. 외륜(332)은 내륜(331)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륜(3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상부 하우징(310)의 연장부(315)의 하단이 외륜(332)의 상단에는 놓인다. 리테이너(333)는 내륜(331)과 베어링 시트(323)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333)는 복수개의 볼(334)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볼(334)은 리테이너(333)와 내륜(331)에 의해 지지된다. 볼(334)은 리테이너(333)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100)는 하부 하우징(320)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프링 시트(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시트(340)는 하부 하우징(32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스프링 시트(340)는 하부 하우징(320)의 강성을 보강하고 하방에 배치되는 스프링(60)의 상단을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스프링 시트(340)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시트(340)는 하부 하우징(320)의 성형시 스프링 시트(340)를 금형에 고정한 상태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하부 하우징(320)과 일체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340)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복수개의 볼록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330)이 스프링 시트(340)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하부 하우징(330)과 스프링 시트(34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340)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멍(34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구멍(342)은 각각 복수개의 볼록부(3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20)의 플라스틱 사출물이 복수개의 구멍(342)에 충진되므로, 하부 하우징(320)과 스프링 시트(34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볼록부와 구멍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탑 마운트 조립체(100)는 스프링 시트(340)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패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패드(350)의 적어도 일부는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를 실링한다. 스프링 패드(350)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패드(350)는 접착제를 통해 스프링 시트(340)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무 재료를 가류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패드(350)는 플랜지(351)와 시일 립(35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51)와 시일 립(352)은 스프링 패드(350)를 스프링 시트(340)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무 재료를 가류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5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외측 또는 외주면에 스프링(60)의 상단이 위치한다. 플랜지(351)는 하부 하우징(320)(또는 스프링 시트(340))과 스프링(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스프링(60)으로부터 하부 하우징(320)(또는 스프링 시트(340))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시일 립(352)은 플랜지(351)의 상방에 형성되고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를 실링한다. 복수개의 시일 립(352)이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400)는 인슐레이터(200)와 스트럿 베어링(300)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200)는 인서트(210)와 탄성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 베어링(300)은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과, 베어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400)에서도 다양하게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탄성체(220)는 인서트(210)와 상부 하우징(31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체(22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돌기(230)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탄성체(220)는 상부 하우징(310)과의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결부(240)를 구비할 수는 있다. 이 경우에, 탄성체(220)는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310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은 하면(310a)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414)을 가질 수 있다. 홈(414)은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3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320)은 홈(414)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돌기(421)를 가질 수 있다. 돌기(421)는 홈(414)에 삽입되어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를 실링한다. 돌기(421)는 하부 하우징(3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고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421)와 홈(414)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421)는 홈(414)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른 돌기(421)와 홈(414)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돌기(230) 및 홈(321)의 구성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421)와 홈(414)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500)는 인슐레이터(200)와 스트럿 베어링(300)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200)는 인서트(210)와 탄성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 베어링(300)은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과, 베어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4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500)에서도 다양하게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은 하면(310a)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514)을 가질 수 있다. 홈(514)은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3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홈(514)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414) 보다 반경방향에 있어서 긴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홈(514)의 반경 방향 길이는 돌기(421)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은, 하부 하우징(320)의 돌기(421)가 상부 하우징(310)의 홈(514)에 삽입되도록,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10)은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외측 플랜지(513a, 5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외측 플랜지(513a, 513b)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플랜지(513a, 513b)의 반경방향 길이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플랜지(313)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체(220)와 상부 하우징(310)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보인 흐름도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S100)은,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1)와,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S102)와,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3)와, 베어링을 배치하는 단계(S104)와,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탑 마운트 조립체(100)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 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1)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은 탄성체(220)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멍(314)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1)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은 하면(310a)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하면(310)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414, 514)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S102)에 있어서, 인슐레이터(200)는 구멍(31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230)를 가지는 탄성체(220)를 포함하도록 제작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돌기(23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220)는 탄성 돌기(230)가 구멍(31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인서트(210)와 상부 하우징(31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3)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320)은 탄성 돌기(230)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321)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3)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320)은 홈(414, 514)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돌기(421)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3)는 스프링 패드를 가류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패드를 가류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340)는 금형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320)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가류 성형된다.
베어링을 배치하는 단계(S104)에 있어서, 베어링(330)은 홈(32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하부 하우징(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S105)에 있어서, 탄성 돌기(230)는 홈(321)에 삽입되어 베어링(33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 사이를 실링한다.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S105)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20)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S100)은 스프링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스프링 패드(350)는 스프링 시트(340)의 외측 또는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제작된다. 스프링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S103)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50: 스트럿, 51: 볼트, 52: 너트, 60: 스프링, 100: 탑 마운트 조립체, 200: 인슐레이터, 201: 볼트, 210: 인서트, 220: 탄성체, 230: 탄성 돌기, 240: 연결부, 250: 하부 컵, 260: 상부 컵, 300: 스트럿 베어링, 310: 상부 하우징, 311: 오목부, 312: 내측 플랜지, 313: 외측 플랜지, 314: 구멍, 315: 연장부, 316: 원통부, 317: 상부 후크, 320: 하부 하우징, 321: 홈, 322: 하부 후크, 323: 베어링 시트, 330: 베어링, 331: 내륜, 332: 외륜, 333: 리테이너, 334: 볼, 340: 스프링 시트, 341: 구멍, 350: 스프링 패드, 351: 플랜지, 352: 시일 립

Claims (26)

  1. 탄성체를 포함하고 차체와 스트럿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탄성체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베어링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홈을 가지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지는, 탑 마운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인서트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탑 마운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인서트 가류 성형으로 제작되는, 탑 마운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 플랜지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는 스프링 시트를 더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어링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외측에 스프링의 상단이 위치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시일 립을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와 상기 홈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탑 마운트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3. 차체와 스트럿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돌기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지는, 탑 마운트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인서트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탑 마운트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인서트 가류 성형으로 제작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 플랜지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2개의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탑 마운트 조립체.
  21. 구멍을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기를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하부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홈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베어링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는 링 형상을 가지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인서트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스프링 시트를 가류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스프링 패드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스냅핏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탑 마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0170055676A 2017-04-28 2017-04-28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76A KR101935410B1 (ko) 2017-04-28 2017-04-28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8/005006 WO2018199711A1 (ko) 2017-04-28 2018-04-30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16/665,356 US20200062062A1 (en) 2017-04-28 2019-10-28 Top mou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76A KR101935410B1 (ko) 2017-04-28 2017-04-28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232A true KR20180121232A (ko) 2018-11-07
KR101935410B1 KR101935410B1 (ko) 2019-01-07

Family

ID=6391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676A KR101935410B1 (ko) 2017-04-28 2017-04-28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62062A1 (ko)
KR (1) KR101935410B1 (ko)
WO (1) WO201819971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24B1 (ko) * 2018-12-27 2020-02-07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러스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114960B1 (ko) * 2019-05-17 2020-05-25 주식회사 일진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2188A (ko) * 2018-12-12 2020-06-22 에스케이에프코리아(주)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서스펜션 스트럿
KR102146897B1 (ko) * 2019-04-03 2020-08-21 평화산업주식회사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KR20210155553A (ko) * 2020-06-16 2021-12-23 에스티엠(주)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240026931A1 (en) * 2022-07-19 2024-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for strut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2745B4 (de) * 2018-02-07 2020-07-09 Vibracoustic Gmbh Lagerungssystem zur elastischen Lagerung eines Federbeins oder eines Schwingungsdämpfers sowie ein Federbein oder ein Schwingungsdämpfer
FR3084290B1 (fr) * 2018-07-25 2020-10-30 Ntn Snr Roulements Butee de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KR102185337B1 (ko) 2020-02-05 2020-12-01 주식회사 제이엠특장자동차 차량용 현가장치
KR20210118599A (ko) * 2020-03-23 2021-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FR3112101B1 (fr) * 2020-07-02 2022-06-10 Ntn Snr Roulements Assemblage de butée supérieure d’une jambe de suspension de véhicule automobile, et jambe de suspension associée
DE202020104632U1 (de) 2020-08-11 2021-11-15 Rollax Gmbh & Co. Kg Federbeinlager
JP2022059388A (ja) * 2020-10-01 2022-04-13 倉敷化工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マウント
EP4313637A1 (en) * 2021-03-31 2024-02-07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End member assemblies as well as gas spring and damper assemblies including same
WO2023157225A1 (ja) * 2022-02-18 2023-08-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トラットベアリング、及び車両の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3660B2 (ja) * 2007-03-29 2012-01-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トラット用軸受ユニット
KR20140120452A (ko) * 2013-04-03 2014-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JP6303239B2 (ja) * 2014-08-12 2018-04-0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KR20160089223A (ko) * 2015-01-19 2016-07-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101779786B1 (ko) * 2015-08-31 2017-09-19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88A (ko) * 2018-12-12 2020-06-22 에스케이에프코리아(주)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서스펜션 스트럿
KR102074724B1 (ko) * 2018-12-27 2020-02-07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러스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146897B1 (ko) * 2019-04-03 2020-08-21 평화산업주식회사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KR102114960B1 (ko) * 2019-05-17 2020-05-25 주식회사 일진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0235903A1 (ko) * 2019-05-17 2020-11-26 주식회사 일진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5553A (ko) * 2020-06-16 2021-12-23 에스티엠(주)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240026931A1 (en) * 2022-07-19 2024-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for strut arrangement
WO2024019989A1 (en) * 2022-07-19 2024-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for strut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711A1 (ko) 2018-11-01
KR101935410B1 (ko) 2019-01-07
US20200062062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410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9010741B2 (en) Suspension bump stop and strut device
US9545830B2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trut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63682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7464919B2 (en) Elastic insertion bearing
KR101459277B1 (ko) 중공형 코일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US20160089947A1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8185155A (ja) ダストカバー及びその組付構造
KR101782073B1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JP2015172413A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05003A1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KR102131754B1 (ko) 마이크로 전단 허브 이중 링 아이솔레이터
US10532622B2 (en) Suspension device
US20220332160A1 (en) 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557514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O2014045533A1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10518598B1 (en) Strut bearing integration
CN205220273U (zh) 横向稳定杆和衬套安装结构、横向稳定杆衬套模块和车辆
CN102458931A (zh) 组件和气囊模块
WO2019027777A1 (en) HYDRAULIC BODY MOUNT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146897B1 (ko)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KR102298364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