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786B1 -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786B1
KR101779786B1 KR1020150122955A KR20150122955A KR101779786B1 KR 101779786 B1 KR101779786 B1 KR 101779786B1 KR 1020150122955 A KR1020150122955 A KR 1020150122955A KR 20150122955 A KR20150122955 A KR 20150122955A KR 101779786 B1 KR101779786 B1 KR 10177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housing
insulator
coupling groov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879A (ko
Inventor
정효진
윤석홍
고성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to KR102015012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7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61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specifically for bearings with purely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42Housings for rolling element bearings for rota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 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는 차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개구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베어링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베어링 공간에 구비되는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류 성형을 통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과,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STRUT BEARING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럿 베어링이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과 인슐레이터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인슐레이터로부터 스트럿 베어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체와의 결합방식이나 진동제어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전방 차축의 형식에 따라 구분되는 전방 현가장치는 차체 프레임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차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조향 장치가 일부 설치된다.
상기 전방 현가장치는 차축 현가식과 독립 현가식으로 나누어지며, 승차감이나 조종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서는 독립 현가식을, 버스나 트럭과 상용 자동차에서는 차축 현가식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독립 현가식의 전방 현가장치로는 위시본 타입(Wishbone type)과 맥퍼슨 타입(Macpherson type)이 있고, 이중 맥퍼슨 타입의 경우는 위시본 타입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승차감이 우수하여 승용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는 어퍼 아암이 없으며, 그 대신 쇽 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의 하단이 조향 너클을 통해 로워 아암과 일체로 연결되어 조향시 상기 조향 너클과 스트럿이 일체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스트럿이 조향 너클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스트럿의 상부는 차체나 섀시에 대해 스트럿 베어링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차륜(10)을 조향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조향장치가 연결되는 너클(20)이 휠 베어링을 통해 차륜(10)에 장착되고, 너클(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너클 암(22) 중에 한쪽 너클 암(22)에는 스트럿(30)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스트럿(30)의 상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인슐레이터(40)를 매개로 장착된다.
상기 스트럿(30)은 상기 너클 암(22)에 하단부가 끼워져 장착되어 지지되는 쇽 업소버(32)와, 이 쇽 업소버(32)의 외주면에 감긴 형태로 설치된 코일 스프링(34)을 포함하여, 상기 쇽 업소버(32)와 코일 스프링(34)은 차륜(10)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향장치의 작동에 따라 너클(20)이 회동되면서 차륜이 조향될 때에, 상기 스트럿(30)도 너클(20)과 함께 회전하는 데, 스트럿(30)의 상단부는 차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스트럿(30)은 차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스트럿(30)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스트럿(30)의 상단부는 미도시된 차체에 스트럿 베어링과 인슐레이터(40)를 매개로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럿 베어링은 인슐레이터(40)의 하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데, 이 때, 스트럿 베어링의 안착 불량으로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인슐레이터(40)로부터 스트럿 베어링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품질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트럿 베어링이 인슐레이터(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할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외부 충격력에 의해서도 인슐레이터로부터 스트럿 베어링이 쉽게 이탈됨에 따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필드 클레임을 발생시키는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슐레이터와 스트럿 베어링이 내부에 구비된 상부 하우징과의 접합 시에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인슐레이터로부터 상부 하우징의 분리로 인해 스트럿 베어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면적 증대를 통하여 이종 소재간의 체결력 증대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는, 차체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재가 구비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소정 부재와 별도로 구비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에 장착되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개구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베어링 공간에 구비되며, 아웃터 레이스, 인너 레이스,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체 볼을 구비하는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들뜸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부 사이의 가류 성형에 의한 결합 시에, 이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또한 가류 성형 시에, 상기 인슐레이터를 구성하는 고무소재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가류 성형을 통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7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결합홈;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내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측 중앙과 상기 제2 결합홈의 외측 중앙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에는 중앙에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되, 단면의 형상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에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가류 성형 시,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가는 결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럿 베어링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아웃터 레이스;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인너 레이스; 및 상기 아웃터 레이스와 상기 인너 레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시일 프레임; 및 상기 시일 프레임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측벽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를 시일하여 상기 베어링 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서브 시일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시일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 내주면에 장착되는 서브 시일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시일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서브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하면, 인슐레이터와 내부에 스트럿 베어링이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과의 접합 시에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인슐레이터로부터 상부 하우징의 분리로 인해 스트럿 베어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와 상부 하우징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이종 소재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부 하우징의 강성을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가류 성형을 통하여 인슐레이터에 상부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장착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외부 충격력에 의해 인슐레이터로부터 상부 하우징이 분리되면서 스트럿 베어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필드 클레임을 줄이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맥퍼슨형 스트럿이 차륜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상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서 인슐레이터와 스트럿 베어링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상부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에서 인슐레이터와 스트럿 베어링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차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110)와, 차량의 높이방향(스트럿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슐레이터(110)에 장착되고,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개구된 상부 하우징(120)과, 이 상부 하우징(120)의 개구된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0)에 대하여 베어링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3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미도시된 스트럿의 쇽 업소버와 같은 댐핑 부재가 조립홀을 관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20)은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류 성형을 통하여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1)과,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류 성형이란 일정시간 동안 압력과 열을 가하여 두 개의 소재를 상호 접착시키는 성형방법 중의 하나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하부에 상기 상부 하우징(120)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압력과 열을 가함으로써, 고무소재로 형성된 인슐레이터(110)의 일부가 녹아서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부 하우징(120)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로 냉각을 통해 상기 인슐레이터(110)와 상부 하우징(120)을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류 성형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소재의 접합 방법 중, 하나로써 이하 그 작업공정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상부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12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결합홈(121)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7 개가 설정각도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은(121)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결합홈(121a)과,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홈(121a)으로부터 내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결합홈(121b)과, 상기 제1 결합홈(121a)과 상기 제2 결합홈(121b)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홈(121a)과 상기 제2 결합홈(121b)은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121c)은 상기 제1 결합홈(121a)의 내측 중앙과 상기 제2 결합홈(121b)의 외측 중앙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홈(121c)에는 중앙에 상기 상부 하우징(120)을 관통하는 관통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결합홈(121)은 상기 인슐레이터(110)와 상부 하우징(120)의 가류 성형 시에 발생된 열과 압력에 의해 인슐레이터(110)의 일부가 녹아서 상기 제1, 제2 결합홈(121a, 121b)과 연결홀(121c)로 흘러 들어가고, 상기 관통홀(125)로 유입된 상태에서 냉각된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110)는 상부 하우징(120) 상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리브(123)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되, 단면의 형상이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측면 상부에서 하부에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123)는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123)의 사이에는 상기 인슐레이터(110)와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가류 성형 시,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유입되는 결합공간(12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리브(123)들은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인슐레이터(110)와의 가류 성형 시에 각각의 결합리브(123)들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간(127)으로 인슐레이터(110)의 일부가 녹아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110)와 상부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홈(121)들과 각각의 결합리브(123), 관통홀(125), 및 각각의 결합공간(127)으로 녹아서 유입되는 인슐레이터(110)에 의해 접촉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상부 하우징(120)의 안착불량 발생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3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하는 상기 베어링 공간에는 스트럿 베어링(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 베어링(1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아웃터 레이스(141)와, 상기 하부 하우징(130)에 대응하여 내측에 배치된 인너 레이스(143), 및 아웃터 레이스(141)와 인너 레이스(143)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 볼(145)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체 볼(145)은 원주 방향을 따라 케이지(147)를 매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배치되어 전동체 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30)은 그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131)가 그 내부에 심어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선단부에는 베어링 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공간을 밀폐하도록 시일부재(150)가 장착된다.
상기 시일부재(150)는 상기 하부 하우징(130)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시일 프레임(151)과 상기 시일 프레임(15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1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일 프레임(151)은 예를 들면 강성이 높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립(153)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가류 공정에서 서로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130)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측벽에 상기 상부 하우징(120)과의 사이를 시일하여 상기 베어링 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서브 시일부재(1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시일부재(160)는 쇽 업소버와 같은 댐핑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30) 사이를 통해 베어링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 시일부재(160)는 상기 하부 하우징(130)에 상단 내주면에 장착되는 서브 시일 프레임(161)과, 상기 서브 시일 프레임(161)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서브 립(1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시일 프레임(161)은 예를 들면 강성이 높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 립(163)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가류 공정에서 서로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100)를 적용하면, 인슐레이터(110)와 스트럿 베어링(140)이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120)의 접합 시에 결합홈(121), 결합리브(123), 관통홀(125), 및 결합공간(127)을 통해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인슐레이터(110)와 상부 하우징(120)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부 하우징(120)의 안착 불량으로 인한 들뜸 현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인슐레이터(110)로부터 상부 하우징(120)의 분리로 인해 스트럿 베어링(1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10)와 상부 하우징(1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이종 소재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부 하우징(12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가류 성형을 통하여 인슐레이터(110)에 상부 하우징(120)을 안정적으로 장착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외부 충격력에 의해 인슐레이터(110)로부터 상부 하우징(120)이 분리되면서 스트럿 베어링(1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필드 클레임을 줄이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10 : 인슐레이터
120 : 상부 하우징
121 : 결합홈
121a, 121b : 제1, 제2 결합홈
121c : 연결홈
123 : 결합리브
125 : 관통홀
127 : 결합공간
130 : 하부 하우징
140 : 스트럿 베어링
141 : 아웃터 레이스
143 : 인너 레이스
145 : 전동체 볼
147 : 케이지
150 : 시일부재
151 : 시일 프레임
153 : 립
160 : 서브 시일부재
161 : 서브 시일 프레임
163 : 서브 립

Claims (14)

  1. 차체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부재가 구비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소정 부재와 별도로 구비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에 장착되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개구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베어링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베어링 공간에 구비되며, 아웃터 레이스, 인너 레이스,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체 볼을 구비하는 스트럿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들뜸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부 사이의 가류 성형에 의한 결합 시에, 이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또한 가류 성형 시에, 상기 인슐레이터를 구성하는 고무소재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가류 성형을 통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7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외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결합홈;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내주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연결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측 중앙과 상기 제2 결합홈의 외측 중앙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에는
    중앙에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되, 단면의 형상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에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가류 성형 시,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가 녹아서 흘러 들어가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시일 프레임; 및
    상기 시일 프레임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측벽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를 시일하여 상기 베어링 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서브 시일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일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 내주면에 장착되는 서브 시일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시일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밀착되는 서브 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0150122955A 2015-08-31 2015-08-31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77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55A KR101779786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55A KR101779786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79A KR20170025879A (ko) 2017-03-08
KR101779786B1 true KR101779786B1 (ko) 2017-09-19

Family

ID=5840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55A KR101779786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73A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패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10B1 (ko) * 2017-04-28 2019-01-07 주식회사 일진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7696B1 (ko) * 2017-07-18 2019-04-11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프레임의 일체형 패드
KR101982687B1 (ko) * 2017-07-28 2019-05-27 주식회사 일진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22560A2 (ko) *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일진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4724B1 (ko) * 2018-12-27 2020-02-07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러스트 베어링 어셈블리
DE102019201118A1 (de) 2019-01-29 2020-07-3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DE102019201119A1 (de) * 2019-01-29 2020-07-3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KR102114960B1 (ko) * 2019-05-17 2020-05-25 주식회사 일진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187B1 (ko) * 2019-09-11 2021-05-24 주식회사 디엠씨 발포 사출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 장치용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CN111043157B (zh) * 2019-12-30 2022-10-1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轴承、前滑柱总成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982A (ja) * 2005-12-26 2007-08-09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982A (ja) * 2005-12-26 2007-08-09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73A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패드의 제조방법
KR102177996B1 (ko) 2018-11-19 2020-11-13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패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79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8783702B2 (en) Single-axis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chassis components for vehicles
EP3398795A2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c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632655B1 (ko)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8876399B2 (en) Suspension strut bearing
KR20100116081A (ko) 차량의 콘트롤암 및 그 제조 방법
US11584180B2 (en) Strut bearing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79784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130059210A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및 그 조립방법
KR101855150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150210139A1 (en) Vehicle-use pivotally-supporting portion structure and vehicle
KR101731527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227851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1684957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1077632B1 (ko) 차량의 콘트롤암
KR102417331B1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KR20050038705A (ko)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 링크
KR100794463B1 (ko) 멀티 링크형 현가장치의 로어암 링크 구조
KR101958433B1 (ko) 볼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
KR20160029298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암부시
KR20170089706A (ko)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KR101077631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CN107042738A (zh) 具有支撑轴承的减震支柱固持装置
CA1142559A (en) Pivot construction for a motor vehicle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