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706A -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706A
KR20170089706A KR1020160010297A KR20160010297A KR20170089706A KR 20170089706 A KR20170089706 A KR 20170089706A KR 1020160010297 A KR1020160010297 A KR 1020160010297A KR 20160010297 A KR20160010297 A KR 20160010297A KR 20170089706 A KR20170089706 A KR 2017008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ubber body
rubber
lower cup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우문만
이호성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706A/ko
Publication of KR2017008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러버몸체의 중앙부로 상, 하로 압입되어 결합되는 어퍼컵과 로워컵 중 어퍼컵은 러버몸체와 가류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로워컵은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압입시켜 결합함에 따라 러버와 스틸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슬립 이음발생을 저감함과 동시에 로워컵 압입 결합에 따른 고무 내구성 향상은 유지시키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메인플레이트가 수용되며 볼트부재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부가 외측지점에 다수개 형성되는 러버몸체와; 상기 러버몸체의 중심부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되는 어퍼컵과 로워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컵은 러버몸체의 성형시 투입되어 일체로 가류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로워컵은 상기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강제 압입되어 그 상부측이 상기 어퍼컵의 하부측과 끼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로워컵이 삽입시 러버몸체가 로워컵 삽입에 따라 수축되도록 러버몸체 중앙 삽입부가 로워컵 보다 작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Upper-cup Integrated Type Insulator}
본 발명은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러버몸체의 중앙부로 상, 하로 압입되어 결합되는 어퍼컵과 로워컵 중 어퍼컵은 러버몸체와 가류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로워컵은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압입시켜 결합함에 따라 러버와 스틸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슬립 이음발생을 저감함과 동시에 로워컵 압입 결합에 따른 고무 내구성 향상은 유지시키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전방현가장치는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독립현가식의 전방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 바퀴가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좌우 어느 쪽이든 바퀴에 장애물이 걸리거나 부딪혀도 그 바퀴만 상하로 운동하게 되어 차체는 기울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종류로는 위시본형, 리프 스프링을 가로로 설치하여 어퍼암 또는 로어서스펜션암의 작용을 스프링이 겸하도록 한 리프 스프링형, 후방으로 향한 1개 또는 2개의 암에 의해 바퀴를 지지하도록 한 트레일링암형,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스트럿을 이용하는 맥퍼슨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맥퍼슨 현가장치는 조향 너클과 같이 쇽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 코일 스프링 등이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차체에 장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점이 높아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정확히 설정되면서 그의 변화도 적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 구조의 인슐레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의 피스톤 로드가 고정되는 로워컵(1) 및 어퍼컵(2)과,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플레이트(3)와, 메인 플레이트(4)와 로워컵(1) 및 어퍼컵(2) 사이에 위치되는 인슐레이터 러버몸체(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로워컵(1) 및 어퍼컵(2)은 스트럿의 피스톤 로드 상단부와 결합되어 원뿔(Conical) 거동을 하게 되는데, 거동 각도가 크거나 거동변화율이 클 경우 로워컵(1) 및 어퍼컵(2)과 러버몸체(5) 간의 슬립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로워컵(1) 및 어퍼컵(2)이 러버몸체(5) 중앙부 상, 하로 각각 강제 압입되어 결합되는 이유는 강제 압입시 러버몸체(5)를 압축시키면서 결합됨에 따라 압축에 따른 내구력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러버몸체의 내구력은 유지시키면서 이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인슐레이터 구조의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59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러버몸체의 중앙부로 상, 하로 압입되어 결합되는 어퍼컵과 로워컵 중 어퍼컵은 러버몸체와 가류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로워컵은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압입시켜 결합함에 따라 러버와 스틸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슬립 이음발생을 저감함과 동시에 로워컵 압입 결합에 따른 고무 내구성 향상은 유지시키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내부에 메인플레이트가 수용되며 볼트부재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부가 외측지점에 다수개 형성되는 러버몸체와; 상기 러버몸체의 중심부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되는 어퍼컵과 로워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컵은 러버몸체의 성형시 투입되어 일체로 가류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로워컵은 상기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강제 압입되어 그 상부측이 상기 어퍼컵의 하부측과 끼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로워컵이 삽입시 러버몸체가 로워컵 삽입에 따라 수축되도록 러버몸체 중앙 삽입부가 로워컵 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컵은 러버몸체와 가류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러버와 스틸 간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슬립 이음발생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로워컵은 러버몸체의 중앙 하부측에서 압입시켜 결합함에 따라 로워컵 압입 결합에 따른 고무 내구성 향상은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다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워컵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워컵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100)는 크게 내부에 메인플레이트(10)가 수용되며 볼트부재(20)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부(31)가 외측지점에 다수개 형성되는 러버몸체(30)와, 상기 러버몸체(30)의 중심부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되는 어퍼컵(40)과 로워컵(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컵(40)은 러버몸체(30)의 성형시 투입되어 일체로 가류성형된다.
기존 어퍼컵(40)의 본 발명의 로워컵(50)과 같이 상부측에서 강제 압입되어 로워컵(50)과 결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러버몸체(30)를 성형할 시에 어퍼컵(40)을 금형에 투입하여 가류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한다.
아울러 러버몸체(30)의 상부측 단부(33)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컵(40) 상부를 덮도록 성형됨에 따라 어퍼컵(40)이 이탈됨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러버몸체(30)와 어퍼컵(40)이 일체로 가류성형됨에 따라 러버몸체(30)와 어퍼컵(40)의 경계부에서 어퍼컵(40)의 원뿔(CONICAL) 거동에 따라 스틱-슬립(STICK-SLIP)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상기 로워컵(50)은 러버몸체(30)와 강제 압입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이들 간 경계부에서 이음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어퍼컵(40)은 가류성형을 통해 러버몸체(30)와 일체로 결합하여 이음발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로워컵(50)의 강제 압입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몸체(30)를 수축시킨다.
이러한 러버몸체(30)의 수축으로 러버몸체(30)의 내구성은 보다 향상됨에 따라 본 발명 이음발생은 감소시키고 러버몸체(30)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는 최적화 구조를 구현한다.
물론 러버몸체(30)가 로워컵(50)의 강제 압입을 통해 어느 정도 수축하려면, 도 6에서와 같이 러버몸체(30) 중앙 삽입부(32)가 이와 대응되는 로워컵(50)의 상부측 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메인플레이트 20 : 볼트부재
30 : 러버몸체 40 : 어퍼컵
50 : 로워컵

Claims (3)

  1. 내부에 메인플레이트(10)가 수용되며 볼트부재(20)가 삽입되도록 볼트삽입부(31)가 외측지점에 다수개 형성되는 러버몸체(30)와;
    상기 러버몸체(30)의 중심부에 수용되어 서로 결합되는 어퍼컵(40)과 로워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컵(40)은 러버몸체(30)의 성형시 투입되어 일체로 가류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컵(50)은
    상기 러버몸체(30)의 중앙 하부측에서 강제 압입되어 그 상부측이 상기 어퍼컵(40)의 하부측과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몸체(30)의 중앙 하부측으로 로워컵(50)이 삽입시
    러버몸체(30)가 로워컵(50) 삽입에 따라 수축되도록 러버몸체(30) 중앙 삽입부(32)가 로워컵(50)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KR1020160010297A 2016-01-27 2016-01-27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KR20170089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297A KR20170089706A (ko) 2016-01-27 2016-01-27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297A KR20170089706A (ko) 2016-01-27 2016-01-27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06A true KR20170089706A (ko) 2017-08-04

Family

ID=5965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297A KR20170089706A (ko) 2016-01-27 2016-01-27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28B1 (ko) 2019-01-21 2020-06-02 평화산업주식회사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28B1 (ko) 2019-01-21 2020-06-02 평화산업주식회사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205900B1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KR1014270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로어아암
US7347414B2 (en) Integrated vehicle shock absorber mount and jounce bumper
US10118452B2 (e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KR101779786B1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100116081A (ko) 차량의 콘트롤암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307243A1 (en) Suspension arm device for vehicle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JP2017067293A (ja) シャーシ軸受
US11407267B2 (en) Silencer for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KR20170089706A (ko)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851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20110063166A (ko) 서스펜션 암
US20180162443A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20160049694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KR102529387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JP4126528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226548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US11607921B2 (en) Bushing
KR102117928B1 (ko)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4495B1 (ko) 차량용 너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