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039A -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039A
KR20180093039A KR1020187019737A KR20187019737A KR20180093039A KR 20180093039 A KR20180093039 A KR 20180093039A KR 1020187019737 A KR1020187019737 A KR 1020187019737A KR 20187019737 A KR20187019737 A KR 20187019737A KR 20180093039 A KR20180093039 A KR 20180093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member
damping
coil spring
spring
sp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데마르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8009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2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coils, e.g. end coils, of the spring are rigidly clamped or similarly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5Coil springs resisting deflection by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60G11/2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5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the end coils of the spring engage an axial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6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an element between the end coil of the spring and the support proper, e.g. an elastomeric annu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60G2204/1242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anchoring the end coils on the spring suppor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15)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로서,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가지며, 정상면이 코일 스프링(15)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환형 수용 부재(5)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5)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환형 댐핑 부재(3)를 포함하며, 댐핑 부재(3)는 그의 내부 상에, 코일 스프링(15)의 방향에서 수용 부재(5)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칼라를 더 갖고, 칼라는 댐핑 부재(3)의 디스크 형상 기본 형태로부터 굽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크 형성 댐핑 부재(3)가 제일 먼저 주조 몰드에서 배치되고, 이어서 환형 수용 부재(5)가 댐핑 부재(3)로의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그 결과로 수용 부재(5)의 바닥면이 환형 댐핑 부재(3)와 접촉하게 되는 것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로서,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가지며, 정상면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환형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환형 댐핑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관심 대상이 되는 유형의 스프링 지지체는 다른 응용분야 중에서 특히 자동차에서 주행 장치(running gear) 내에 사용되고, 널리 공지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체는 차량의 차체와 그 차량의 구동 장치 부품 간의 의도된 위치에서 코일 스프링을 유지하는 휠 서스펜션 시스템 내에 사용된다.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것과는 별도로, 스프링 지지체는 또한 일반적으로 다소 거친 노면 위로 운전함으로써 야기된 진동을 댐핑 또는 디커플링하는 일도 담당하고 있다. 동시에, 또한 코일 스프링과 차체 부품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다른 주행 장치 부품과의 상호작용시, 그것은 승차감 및 운전 안전성에 관하여 차량의 튜닝에서 매우 큰 중요성을 갖는다.
스프링 지지체의 상이한 유형들이 디자인 구성에 관하여 그리고 그들의 댐핑 특성에 관하여 둘 다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문헌 EP 0 778 166 A1에는 차체로부터의 진동을 디커플링하기 위해서 스프링으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면 상에 표면 형성 댐핑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 지지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독일 공개 출원 공보 DE 10 2005 049 747 A1에는, 스프링 지지체로서, 코일 스프링이 그 스프링 지지체 상에서 지지되도록, 진동 댐핑 부품이 코일 스프링으로 향하는 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지지체가 기술되어 있다. US 5 918 812 A에는 별 형상 댐핑 부재가 내장되어 있지만, 댐핑 부재가 댐핑 부재의 댐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특히 방사상 방향에서, 굽어져 있지 않은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 굽어져 있는 칼라(collar)를 갖고 있지 않은 추가 댐핑 부재가 DE 696 12 080 T2, DE 10 2009 056 351 A1 및 EP 0 036 994 A2에 개시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체의 상기 언급된 개념들은 지지체가 코일 스프링의 정렬에 관하여 주요한 축상 댐핑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이다. 코일 스프링의 방사상 또는 측부상 운동이 단지 부적절하게만 허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코일 스프링의 방사상 진동 부품에 관하여, 개선된 댐핑 특성을 지닌 스프링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 및 제4항에 기재된 종류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 제2항 및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양태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8항 내지 10항에 기재된 종류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양태에서,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는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갖는 환형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정상면은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스프링 지지체는 수용 부재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환형 댐핑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핑 부재는, 그의 내부 상에, 코일 스프링의 방향에서 수용 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칼라를 갖는다. 이 칼라는 댐핑 부재의 디스크 형상 기본 형태로부터 굽힘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자동차 주행 장치의 부품이거나, 또는 모바일 장치내 캐빈 서스펜션의 부품, 또는 가동부, 바람직하게는 모터를 위한 서스펜션의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양태에 따라 스프링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단계에서는,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가 주조 몰드 내에 배치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댐핑 부재로의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수용 부재가 제조됨으로써, 그 결과로 수용 부재의 바닥면은 환형 댐핑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방법에서, 제1 단계에서는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가 주조 몰드 내에 배치된다. 그 주조 몰드는 코어를 가짐으로써, 그 결과로 댐핑 부재의 내부는 코어를 따라 굽어져 있고, 댐핑 부재는 그의 내부 상에 칼라를 지닌 환형 형태를 채용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댐핑 부재로의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수용 부재가 제조됨으로써, 그 결과로 수용 부재의 바닥면은 환형 댐핑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댐핑 부재와 수용 부재 간의 접촉은 또한 일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부품들의 접착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따라 수용 부재의 제조 동안 댐핑 부재와 수용 부재 간의 연결부의 제조는, 특히 댐핑 부재 및 수용 부재의 재료가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댐핑 부재의 디스크 형상 기본 형태는, 그의 내부 상에 별 형상 노치를 갖는다. 이는 노치들 간의 섹션 위로 구부러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노치의 수 및 노치의 형상 및 치수는 특정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댐핑 부재에는 5개 내지 20개의 노치가 존재한다. 노치는 요건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 요건, 예컨대 스프링 지지체를 위한 설치 공간을 기초로 한 특정 요건에 따라, 대칭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동심적으로 또는 편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된 수용 부재 정상면은 코일 스프링의 단부의 형상과 일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부는 닫힌 단부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접선적으로 뛰어 나오는 단부이다.
수용 부재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것을 제조하기 위해서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기초로 한 재료가, 특히 강직성(stiffness) 및 가요성에 관한 재료 특성 때문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체에 대한 특정 요건에 따라, 예를 들면 차체 상에 또는 주행 장치 부품 상에 고정하기 위한 특정 가능성에 관한 요건에 따라, 스프링 지지체를 추가 부품으로 보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거나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또한 스프링 지지체는 환형부 및 관형부를 갖는 바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닥 부재의 환형부는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댐핑 부재의 면과 접촉해 있고, 반면에 관형부는 코일 스프링의 방향에서 댐핑 부재를 통하여 연장된다. 댐핑 부재의 칼라는 관형부의 외부 측면 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지지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가 바닥 부재 상에 배치되고, 수용 부재가 댐핑 부재 상에 배치되며, 이어서 수용 부재가 바닥 부재의 방향으로 프레스됨으로써, 그 결과로 댐핑 부재가 그 2개의 다른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는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가지며, 정상면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환형 수용 부재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를 포함한다. 댐핑 부재는 그의 내부 상에 별 형상 노치를 갖는다.
수용 부재는 그의 정상면 상에,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를 갖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개별 클램핑 부재가 구비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가 또한 연속적인 방식으로 둘레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연속적인 방식으로 둘레를 연결하는 2개의 클램핑 부재가 존재하며, 여기서 하나가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 상에 있는 수용 부재의 면 상에 구비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가 방사상 방향으로 내측 상에 구비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2개의 클램핑 부재는 나선형 스프링의 단부가 동공(cavity) 내로 프레스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를 지닌 공동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핑 부재의 실시양태는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의 단부가 신뢰 있게 고정된다는 점, 및 또다른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의 표면이 댐핑 환경 영향, 예컨대 물 또는 돌 충격에 대하여 에워싸인 면적에서, 대면적 중복에 의해 보호된다는 점을 이점으로서 갖는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수용 부재는 그의 정상면 상에, 코일 스프링을 위한 용기(receptacle)로부터 방사상으로 내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부재를 갖는다. 밀봉 부재는 이것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러한 목적으로 구비된 설치 공간의 부품, 예컨대 차량의 차체의 부품 상에 완전 표면 접촉 상태로 놓이기 되므로, 손상 환경 영향으로부터 그 아래에 위치한 댐핑 부재를 보호하게 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부재는 그의 바닥면 상에, 수용 부재(5)의 본체의 하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출발하여,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되거나, 하향 연장되거나 또는 외향 및 하향 둘 다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부재를 갖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는 이것이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링 마운트, 예를 들면 차량의 차체의 지지체 표면 상에 완전 표면 접촉 상태로 놓이기 되므로, 손상 환경 영향으로부터 댐핑 부재를 보호하게 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수용 부재는 그의 정상면 상에 그리고 그의 바닥면 상에 모두 밀봉 부재를 갖는다.
댐핑 부재는 공지된 재료, 예컨대 고무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댐핑 부재는 기포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 베이스의 엘라스토머,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아 구조를 함유할 수 있는 기포형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베이스의 엘라스토머를 기초로 한다. 기포형이란 기포가 바람직하게는 0.01 mm 내지 0.5 mm의 직경,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mm 내지 0.15 mm의 직경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은 다음의 물질 특성: DIN EN ISO 845에 따른 270 내지 900 kg/m3의 밀도, DIN EN ISO 1798에 따른 인장 강도 ≥ 2.0 N/mm2, DIN EN ISO 1798에 따른 파단시 신장율 ≥ 200%, 또는 DIN ISO 34-1 B (b)에 따른 인열 파급 저항 ≥ 8 N/mm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은 이러한 물질 특성 중 2가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물질 특성 중 3가지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물질 특성의 4가지 모두를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 베이스의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법은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사례에서, 예를 들면 EP 62 835 A1, EP 36 994 A2, EP 250 969 A1, EP 1 171 515 A1, DE 195 48 770 A1 및 DE 195 48 771 A1에서 기술되어 있다.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록 또는 튜브가 제일 먼저 제조되고 이어서 디스크가 그러한 블록 또는 튜브로부터 절단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댐핑 부재의 효율적인 저비용 제조를 허용한다.
튜브의 내부 상에 별 형상 구멍을 이미 갖고 있는 튜브가 제일 먼저 제조되는 방법이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의 제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디스크가 그러한 튜브로부터 절단된다. 기포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이 댐핑 부재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때, 별 형상 노치의 네가티브에 상응하는 내부 코어가 발포 튜브를 제조하는 몰드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스프링 지지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코일 스프링의 방사상 또는 측부상 운동이 또한 신뢰 있게 댐핑되거나 또는 완전하게 디커플링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차체로의 소음 전달에서의 감소에 기여하고 승차감을 증가시킨다. 코일 스프링이 댐핑 부재와 직접 접촉해 있고 그 댐핑 부재 상의 포인트 하중 또는 선형 하중을 생성하는 종래 기술의 스프링 지지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표면 하중이 수용 부재에 의해 댐핑 부재에 전달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로써, 댐핑 부재에 대한 조기 편재화된 손상이 방지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이것이 단순한 저비용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실시양태가 도 1의 종축 섹션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 부품은 사슬 점선으로 표시된, 축에 대하여 회전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체(1)는 열가소성 물질을 기초로 한 환형 수용 부재(5)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상품명 "Elastollan®", 독일 렘푀르데 소재의 BASF Polyurethanes GmbH에 의해 제조된 것)을 기초로 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한편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폴리에틸렌을 기초로 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수용 부재(5)는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갖는다. 정상면은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구비된 영역(7)이 클램핑 부재(9)에 의해 형성된 환형 동공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클램핑 부재(9)는 수용 부재(5)의 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의 상단부에서 코일 스프링이 공동(7) 내로 눌러질 수 있는 갭을 갖는다.
수용 부재(5)의 바닥면은 별 형상 댐핑 부재(3)와 접촉해 있으며, 댐핑 부재는 그의 내부 상에 별 형상 노치를 갖는다. 댐핑 부재(3)는 내부에 별 형상 코어가 있는 몰드에서 기포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상품명 "Cellasto®", 독일 렘푀르데 소재의 BASF Polyurethanes GmbH에 의해 제조된 것)로 제조된 튜브를 가장 먼저 발포시킴으로써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몰드로부터 제거된 튜브는 이미 별 형상 노치를 보유하였다. 그 튜브를 선반 상에서 클램핑하고, 이 클램핑된 튜브로부터 단일 댐핑 부재(3)를 절단하였다. 단일 댐핑 부재(3)가 도 2에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별 형상 노치는 동심상 구멍, 및 이 구멍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9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슬롯을 포함한다.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3)을 주조 몰드 내로 배치하였고, 이어서 도시된 수용 부재는 댐핑 부재(3) 상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수용 부재(5)는 이의 정상면 상에 원형 밀봉 부재(11)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 원형 밀봉 부재(11)는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구비된 영역(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향 연장된다. 수용 부재(5)는 그의 바닥면 상에 밀봉 부재(13)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 밀봉 부재(13)는 수용 부재(5)의 본체의 하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출발하여 방사상으로 외향 및 하향 연장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양태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 지지체는 관형 연장부(19)를 갖는 차량의 차체(17)의 영역 상에 장입된다. 장입하기 위해서, 스프링 지지체를 연장부(19) 상에 프레스함으로써, 원래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3)를, 수용 부재(5)의 바닥면으로부터 코일 스프링(15)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 내로 구부러지게 한다. 닫힌 단부를 지닌 코일 스프링(15)은 수용 부재(5)에서의 수납을 위해 구비된 공동 내로 상기 단부에 의해 삽입하였고, 넓은 면적에 걸쳐 최종 스프링 턴(spring turn)을 둘러싸고 있는 클램핑 부재(9)에 의해 고정하였다.
수용 부재(5)의 정상면 상의 밀봉 부재(11)는 이것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체의 연장부(19) 상에서 원주상 그 수용 부재의 전체 면적 위에 놓여 있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수용 부재(5)의 바닥면 상의 밀봉 부재(13)는 이것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체(17)의 표면 상에서 원주상 그 수용 부재의 전체 면적 위에 놓여 있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2개의 밀봉 부재(11 및 13)는 댐핑 부재(3)가 외부 영향, 예컨대 수분 및 먼지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그 댐핑 부재의 기능적인 성능 및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차량의 운동 동안, 코일 스프링(15)은 축상 하중 및 방사상 또는 측부상 하중 둘 다 받게 되어 진동을 야기하게 된다. 모든 진동 부품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에 의해 댐핑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것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댐핑 거동을 보장하게 된다.

Claims (8)

  1. 코일 스프링(15)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로서,
    정상면 및 바닥면을 가지며, 정상면이 코일 스프링(15)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환형 수용 부재(5)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5)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환형 댐핑 부재(3)를 포함하며, 댐핑 부재(3)는 그의 내부 상에, 코일 스프링(15)의 방향에서 수용 부재(5)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칼라(collar)를 더 갖고, 칼라는 댐핑 부재(3)의 디스크 형상 기본 형태로부터 굽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댐핑 부재(3)의 디스크 형상 기본 형태는 그의 내부 상에 별 형상 노치를 갖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부 및 관형부를 갖는 바닥 부재를 더 포함하고, 바닥 부재의 환형부는 코일 스프링(15)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댐핑 부재(3)의 면과 접촉해 있고, 관형부는 코일 스프핑(15)의 방향에서 댐핑 부재(3)를 통하여 연장되며, 댐핑 부재(3)의 칼라는 관형부의 외부 측면 상에 놓여 있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5)는 그의 정상면 상에, 코일 스프링(15)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9)를 갖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부재는 그의 정상면 상에, 코일 스프링(15)을 위한 용기(receptacle)(7)로부터 방사상으로 내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부재(11)를 갖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 부재(3)는 기포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다중첨가 생성물을 기초로 하는 것인 스프링 지지체.
  7. 코일 스프링(15)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코어를 갖는 주조 몰드 내에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3)를 배치함으로써, 그 결과로 댐핑 부재(3)의 내부가 코어를 따라 구부려져 있고 댐핑 부재(3)가 그의 내부 상에 칼라를 지닌 환형 형태를 채택하는 것인 배치 단계,
    - 댐핑 부재(3)로의 성형 또는 사출 성형되는 것에 의해 환형 수용 부재(5)를 제조함으로써, 그 결과로 수용 부재(5)의 바닥면이 환형 댐핑 부재(3)와 접촉해 있는 것인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3항에 기재된 스프링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크 형상 댐핑 부재(3)가 바닥 부재 상에 배치되고, 수용 부재(5)가 댐핑 부재(3) 상에 배치되며, 이어서 수용 부재(5)가 바닥 부재의 방향으로 프레스됨으로써, 그 결과로 댐핑 부재(3)가 그 2개의 다른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187019737A 2015-12-10 2016-11-30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KR20180093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4915 2015-12-10
DE102015224915.8 2015-12-10
PCT/EP2016/079202 WO2017097647A1 (de) 2015-12-10 2016-11-30 Federauflage für eine schraubenf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039A true KR20180093039A (ko) 2018-08-20

Family

ID=5748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737A KR20180093039A (ko) 2015-12-10 2016-11-30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72821A1 (ko)
EP (1) EP3387286B1 (ko)
JP (1) JP2019502874A (ko)
KR (1) KR20180093039A (ko)
CN (1) CN108368907B (ko)
BR (1) BR112018009858A8 (ko)
WO (1) WO2017097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980A1 (de) 2017-02-08 2018-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lenkereinheit einer Radaufhängung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JP2019002893A (ja) * 2017-06-20 2019-01-10 矢崎総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
DE102019135083A1 (de) * 2019-12-19 2021-06-24 Danfoss A/S Hydraulische Axialkolbenmaschine
KR20220127663A (ko) * 2021-03-11 2022-09-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7468A (en) * 1939-04-13 1940-10-09 Morris Motor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pring mountings for motor vehicles
CH380546A (it) * 1960-10-26 1964-07-31 Gomma Antivibranti Applic Rondella antivibrante in gomma per sospensioni a molla elicoidale
US3086792A (en) * 1960-12-15 1963-04-23 Ford Motor Co Vehicle suspension system
US3221533A (en) * 1962-11-28 1965-12-07 Inland Steel Co Methods of manufacturing threaded closures
US4350777A (en) 1980-03-28 1982-09-21 Bayer Aktiengesellschaft Impermeable molded articles of 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produced with organofunctional polysiloxane-derivatives and their use as spring elements
DE3113690A1 (de) 1981-04-04 1982-10-28 Elastogran GmbH, 2844 Lemför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lossenzelligen polyurethan-formteilen mit einer verdichteten randzone"
EP0105232B1 (en) * 1982-09-14 1986-12-10 Nissan Motor Co., Ltd. Strut suspens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586734A (en) * 1982-12-08 1986-05-06 General Industries, Inc. Pipe joint assembly
DE3621040A1 (de) 1986-06-24 1988-01-0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polysiloxan-ionomeren, polysiloxan-ionomere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zelligen polyurethanelastomeren
GB9115850D0 (en) * 1991-07-23 1991-09-04 Univ Manchester Coupling
DE4203658C2 (de) * 1992-02-08 1995-07-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raubenfederabstützung, insbesondere an einem Fahrzeugfederbein
US5725931A (en) * 1995-11-03 1998-03-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strained layer damper with slit(s) and/or cutout(s)
MX9605405A (es) 1995-12-07 1997-06-28 Basf Corp Conjunto para reducir el ruido y vibracion de los automoviles.
DE19548771A1 (de) 1995-12-23 1997-06-26 Basf Ag Mikrozelluläres, harnstoffgruppenhaltiges Polyurethanelastomer
DE19548770A1 (de) 1995-12-23 1997-06-26 Basf Ag Mikrozelluläres, harnstoffgruppenhaltiges Polyurethanelastomer
IT1285314B1 (it) 1996-03-13 1998-06-03 Iveco Fiat Dispositivo di sospensione livellante per cabina di autocarro
US5918812A (en) 1996-11-04 1999-07-06 Hunter Industries Incorporated Rotary sprinkler with riser damping
WO2000063279A1 (de) * 1999-04-15 2000-10-26 Basf Aktiengesellschaft Zellige polyisocyanat-polyadditionsprodukte
DE10106915C2 (de) * 2001-02-15 2003-02-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ederungsanordnung
FR2840966B1 (fr) * 2002-06-13 2004-10-15 Allevard Rejna Autosuspensions Gaine pour ressort de suspension
US8616538B2 (en) * 2004-10-20 2013-12-31 Basf Corporation Spring seat assembly
DE102005011408B4 (de) * 2005-03-11 2011-05-05 Trelleborg Automotive Germany Gmbh Federauflage für eine Spiralfeder
US20080142765A1 (en) * 2006-12-13 2008-06-19 Readylift Suspension, Inc. Hybrid spring extender
DE102009056351A1 (de) 2009-11-30 2011-06-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ederbeingleitlager
DE102010036242A1 (de) * 2010-09-03 2012-03-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ederbeingleitlager
DE102010055141A1 (de) * 2010-12-18 2012-08-02 Audi Ag Federunterlage für eine freistehende Tragfeder eines Kraftfahrzeugs
US20160016342A1 (en) * 2013-03-15 2016-01-21 Basf Se Method Of Overmolding A Polymeric Material Onto A Microcellular Polyurethane And An Article Made Therefrom
JP6036777B2 (ja) * 2014-09-25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用のインシュレータ
DE202015106077U1 (de) * 2015-10-29 2015-11-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180111436A1 (en) * 2016-10-26 2018-04-26 Vibracoustic North America L.P. Proportional radial loading spring iso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7286A1 (de) 2018-10-17
WO2017097647A1 (de) 2017-06-15
US20180272821A1 (en) 2018-09-27
BR112018009858A2 (pt) 2018-11-13
BR112018009858A8 (pt) 2019-02-26
JP2019502874A (ja) 2019-01-31
CN108368907A (zh) 2018-08-03
CN108368907B (zh) 2021-07-09
EP3387286B1 (de)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3039A (ko)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1277Y1 (ko) 자동차 베어링 블록에서 사용되는 다부품 가이드 베어링
KR20180121232A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9291228B2 (en) Vibration absorber
US10507702B2 (en) Shock absorber assembly of a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and suspension system
US11143259B2 (en) Vibration absorber
US20160164369A1 (en) Motor mounting device
US10451136B2 (en) High creep resistance plastic material reinforced rings
US8118515B2 (en) Coupling rod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US7494150B2 (en) Air bag inflator vibration damper
US20120091643A1 (en) Tubular vibration-damping mount
US7350800B2 (en) Air bag inflator vibration damper
US20220154794A1 (en) A frequency-tuned vibration damper device,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a vibration damper assembly including the device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7374199B2 (en) Air bag inflator vibration damper
JP2002130351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シート
CN113195928B (zh) 弹簧引导件以及悬架装置
KR10232464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20140312545A1 (en) Spring isolator
KR102460856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US11085504B2 (en) Vibration isolator
CN115087816B (zh) 弹簧引导件以及悬架装置
KR102251420B1 (ko) 오일 씰 제조 방법
JP2021092297A (ja) 防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