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856B1 -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856B1
KR102460856B1 KR1020160073082A KR20160073082A KR102460856B1 KR 102460856 B1 KR102460856 B1 KR 102460856B1 KR 1020160073082 A KR1020160073082 A KR 1020160073082A KR 20160073082 A KR20160073082 A KR 20160073082A KR 102460856 B1 KR102460856 B1 KR 10246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hole
hole portion
lower cup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590A (ko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856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Abstract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는: 스트럿이 삽입되도록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부; 인슐레이터부의 관통홀부에 배치되고, 스트럿이 관통되도록 어퍼홀부가 형성되고,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부와 함께 가류 성형되는 어퍼컵부; 및 어퍼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가 형성되고, 관통홀부에 압입되는 로어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INSULATOR APPARATUS OF SUSPEN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슐레이터부, 어퍼컵부 및 로어컵부의 슬립을 방지하고, 차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륜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서스펜션이 설치된다. 서스펜션의 상측에는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되고, 인슐레이터 장치는 차체에 고정된다. 인슐레이터 장치는 인슐레이터부, 어퍼컵 및 로어컵을 포함한다. 어퍼컵과 로어컵은 일정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틸 재질(steel)로 제작된다. 어퍼컵과 로어컵은 인슐레이터의 관통홀에 압입된다. 어퍼컵과 로어컵의 중심부에는 통과홀이 각각 형성되고, 통과홀에는 스트럿의 단부가 삽입되고, 스트럿의 단부에 나사부가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어퍼컵과 로어컵이 인슐레이터의 관통홀에 압입되므로, 어퍼컵과 로어컵에 큰 하중이 가해지면 인슐레이터, 어퍼컵 및 로어컵이 상호간에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 어퍼컵 및 로어컵가 상호간에 슬립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9502호(2014. 02. 17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레이터부, 어퍼컵부 및 로어컵부의 슬립을 방지하고, 차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는: 스트럿이 삽입되도록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도록 어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부와 함께 가류 성형되는 어퍼컵부; 상기 어퍼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압입되는 로어컵부; 및 상기 로어홀부의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시 내측으로 수축되고,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어퍼홀부의 둘레부에 구속되는 스냅핏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냅핏부에는 상기 스냅핏부가 내측으로 변형되도록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핏부는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로어컵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홀부의 둘레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부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컵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어컵부가 상기 관통홀부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로어컵부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어터부는 상기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감싸고,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둘레부에 상기 어퍼컵부와 상기 로어컵부가 안착되도록 어퍼 안착부와 로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수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는: 스트럿이 삽입되도록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도록 어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부와 함께 가류 성형되는 어퍼컵부; 상기 어퍼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압입되는 로어컵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에서 상기 관통홀부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로어컵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컵부가 상기 관통홀부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로어컵부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어터부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감싸고,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둘레부에 상기 어퍼컵부와 상기 로어컵부가 안착되도록 어퍼 안착부와 로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수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컵부가 가류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부의 관통홀부에 부착되므로, 어퍼컵부와 인슐레이터부에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어퍼컵부와 인슐레이터부가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컵부와 인슐레이터부의 슬립이 방지됨에 따라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컵부의 스냅핏부가 어퍼홀부에 삽입될 때에 내측으로 수축되므로, 로어컵부가 인슐레이터부의 관통홀부에 압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컵부가 인슐레이터부의 관통홀부에 압입되었을 때에 구속부가 걸림부에 결합되므로, 로어컵부와 인슐레이터부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로어컵부와 인슐레이터부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와 인슐레이터부의 슬립이 방지되므로, 로어컵부와 인슐레이터부 간에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컵부의 압입시 인슐레이터 수지부의 관통홀부 주변에서 압입력 불균형이 발생되더라도, 구속부와 걸림부가 결합됨에 따라 로어컵부와 인슐레이터 수지부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컵부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차량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에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에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서포트 플레이트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인서트 사출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가 관통홀부에 압입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의 스냅핏부가 어퍼컵부의 어퍼홀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에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에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서포트 플레이트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인서트 사출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는 인슐레이터부(110), 어퍼컵부(120) 및 로어컵부(130)를 포함한다.
차량용 서스펜션(10,20)은 차축(미도시)과 차체(미도시)를 연결한다. 서스펜션(10,20)은 차체를 지지하는 스트럿(10)과, 스트럿(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20)을 포함한다. 스트럿(10)의 단부(13)에는 인슐레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인슐레이터부(110)에는 스트럿(10)의 단부(13)가 삽입되도록 관통홀부(116)가 형성된다. 인슐레이터부(110)는 서포트 플레이트(111)와 인슐레이터 수지부(115)를 포함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11)에는 통과홀부(112)가 형성되고, 차체에 체결되는 볼트부(113a)가 결합되도록 결합홀부(113)가 형성된다. 서포트 플레이트(111)의 중심부에 통과홀부(112)가 형성되고, 통과홀부(112)의 둘레부에 복수의 결합홀부(113)가 형성된다.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내부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11)가 배치되고,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하측에는 베어링 플레이트(119)가 배치된다. 인슐레이터 수지부(115)는 서포트 플레이트(111)와 베어링 플레이트(119)를 금형(미도시)에 위치시킨 후 용융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가 관통홀부에 압입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에서 로어컵부의 스냅핏부가 어퍼컵부의 어퍼홀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어퍼컵부(120)는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배치되고, 스틸 소재로 제작된다. 어퍼컵부(120)에는 스트럿(10)의 단부(13)가 관통되도록 어퍼홀부(121)가 형성된다. 어퍼홀부(121)는 관통홀부(116)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어퍼컵부(120)는 관통홀부(116)의 어퍼 안착부(1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슐레이터부(110)와 함께 가류 성형(vulcanization process)된다. 이때, 어퍼컵부(120)의 외측면 또는 관통홀부(116)의 둘레부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고, 어퍼컵부(120)를 관통홀부(116)에 삽입한 후, 인슐레이터부(110)와 어퍼컵부(120)를 고온 상태에서 가압함에 의해 가류 성형한다. 이때, 인슐레이터부(110)가 가류 성형되면, 인장강도와 탄성력이 증대되도록 물리적 성질이 변화된다. 또한, 어퍼컵부(120)가 가류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부착되므로,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에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가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의 슬립이 방지됨에 따라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컵부(120)의 상측에는 관통홀부(11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어퍼 플랜지(122)가 형성된다. 어퍼 플랜지(122)가 관통홀부(116)의 상측에 접촉됨에 따라 관통홀부(116)에서 어퍼컵부(1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어퍼컵부(120)의 어퍼홀부(121) 둘레부에는 스트럿(10)의 단부(13)에 체결되는 너트부(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부(124)가 형성된다.
로어컵부(130)는 어퍼홀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131)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16)에 압입된다. 이때, 로어컵부(130)는 관통홀부(116)의 로어 안착부(116b)에 압입된다.
로어컵부(130)의 하측에는 관통홀부(116)보다 큰 직경을 갖는 로어 플랜지(132)가 형성된다. 로어 플랜지(132)가 관통홀부(116)의 하측에 접촉됨에 따라 관통홀부(116)에서 로어컵부(13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로어컵부(130)에는 어퍼홀부(121)에 삽입시 내측으로 수축되고, 어퍼홀부(121)에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어퍼홀부(121)의 둘레부에 구속되는 스냅핏부(133)가 형성된다. 스냅핏부(133)는 로어홀부(13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스냅핏부(133)가 어퍼홀부(121)에 삽입시 내측으로 수축되므로, 로어컵부(130)가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압입될 수 있다.
스냅핏부(133)에는 스냅핏부(133)가 내측으로 변형되도록 슬릿부(133c)가 형성된다. 이때, 스냅핏부(133)는 로어홀부(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고, 슬릿부(133c)는 스냅핏부(133)에 복수 개 형성된다.
스냅핏부(133)는 어퍼홀부(121)에 삽입되도록 로어컵부(13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33a)와, 연장부(133a)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어퍼홀부(121)의 둘레부에 걸리는 후크부(133b)를 포함한다. 이때, 슬릿부(133c)는 연장부(133a)와 후크부(133b)에 로어컵부(130)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냅핏부(133)가 어퍼홀부(121)에 삽입될 때에 연장부(133a)와 후크부(133b)가 스냅핏부(133)의 내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스냅핏부(133)의 직경이 축소되고, 후크부(133b)가 어퍼홀부(121)를 통과함에 따라 스냅핏부(133)의 직경이 확대된다. 스냅핏부(133)의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후크부(133b)가 어퍼홀부(121)의 둘레부에 걸리게 된다. 후크부(133b)가 어퍼홀부(121)의 둘레부에 걸리므로, 어퍼컵부(120)와 로어컵부(130)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110)에서 관통홀부(116)의 내측면에는 구속부(118)가 형성되고, 로어컵부(130)의 외측면에는 로어컵부(130)가 관통홀부(116)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속부(118)에 결합되는 걸림부(136)가 형성된다. 로어컵부(130)가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압입되었을 때에 구속부(118)가 걸림부(136)에 결합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가 원주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의 슬립이 방지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간에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스틸 소재의 어퍼컵부(120)가 고온 고압에서 가류 성형되므로, 어퍼컵부(120)의 외측면과 서포트 플레이트(111)의 통과홀부(112)의 둘레면 사이의 제1 영역(A)의 제1 수축량과, 서포트 플레이트(111)의 통과홀부(112)의 둘레부와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로어홀부(131)의 둘레면 사이의 제2 영역(B)의 제2 수축량이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에서 어퍼 안착부(116a)의 둘레면과 서포트 플레이트(111)의 통과홀부(112)의 둘레면 사이의 제1 영역(A)의 제1 수축량과, 로어 안착부(116b)의 둘레면과 서포트 플레이트(111)의 통과홀부(112)의 둘레면 사이의 제2 영역(B)의 제2 수축량이 달라질 수 있다. 로어컵부(130)의 압입시 제1 수축량과 제2 수축량의 차이에 의해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통과홀부(112) 주변에서 압입력 불균형이 발생된다. 그런데, 구속부(118)와 걸림부(136)가 결합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부(118)는 관통홀부(116)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이고, 걸림부(136)는 구속부(118)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다. 또한, 구속부(118)는 관통홀부(116)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 돌기이고, 걸림부(136)는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일 수 있다. 로어컵부(130)가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압입되었을 때에 걸림 돌기가 구속홈에 결합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컵부(13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로어컵부(130)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됨에 따라 스냅핏부(133)에 연장부(133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133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로어컵부(130)의 스냅핏부(133)가 어퍼홀부(121)를 통과할 때에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차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합성수지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제시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을 대체하여 기계부품이나 구조재료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합성수지이다. 로어컵부(130)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로어컵부(13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어퍼컵부(120)가 가류 성형에 의해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부착되므로,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에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가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컵부(120)와 인슐레이터부(110)의 슬립이 방지됨에 따라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의 스냅핏부(133)가 어퍼홀부(121)에 삽입될 때에 내측으로 수축되므로, 로어컵부(130)가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가 인슐레이터부(110)의 관통홀부(116)에 압입되었을 때에 구속부(118)가 걸림부(136)에 결합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가 슬립되는 원주방향으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의 슬립이 방지되므로,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부(110) 간에 슬립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의 압입시 제1 수축량과 제2 수축량의 차이에 의해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관통홀부(116) 주변에서 압입 불균형이 발생되더라도, 구속부(118)와 걸림부(136)가 결합됨에 따라 로어컵부(130)와 인슐레이터 수지부(115)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컵부(130)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차량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스트럿 20: 코일 스프링
110: 인슐레이터부 111: 서포트 플레이트
112: 통과홀부 113: 결합홀부
113a: 볼트부 115: 인슐레어터 수지부
116: 관통홀부 116a: 어퍼 안착부
116b: 로어 안착부 118: 구속부
119: 베어링 플레이트 120: 어퍼컵부
121: 어퍼홀부 122: 어퍼 플랜지
130: 로어컵부 131: 로어홀부
132: 로어 플랜지 133: 스냅핏부
133a: 연장부 133b: 후크부
133c: 슬릿부 136: 걸림부

Claims (11)

  1. 스트럿이 삽입되도록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도록 어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부와 함께 가류 성형되는 어퍼컵부;
    상기 어퍼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압입되는 로어컵부; 및
    상기 로어홀부의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시 내측으로 수축되고,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된 후에 외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어퍼홀부의 둘레부에 구속되는 스냅핏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냅핏부는,
    상기 어퍼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로어컵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홀부의 둘레부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핏부에는 상기 스냅핏부가 내측으로 변형되도록 슬릿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부에서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컵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어컵부가 상기 관통홀부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컵부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부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감싸고,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둘레부에 상기 어퍼컵부와 상기 로어컵부가 안착되도록 어퍼 안착부와 로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수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8. 스트럿이 삽입되도록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이 관통되도록 어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부와 함께 가류 성형되는 어퍼컵부;
    상기 어퍼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어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 압입되는 로어컵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에서 상기 관통홀부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로어컵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컵부가 상기 관통홀부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구속홈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부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컵부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부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감싸고,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둘레부에 상기 어퍼컵부와 상기 로어컵부가 안착되도록 어퍼 안착부와 로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수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KR1020160073082A 2016-06-13 2016-06-13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KR10246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82A KR102460856B1 (ko) 2016-06-13 2016-06-13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082A KR102460856B1 (ko) 2016-06-13 2016-06-13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90A KR20170140590A (ko) 2017-12-21
KR102460856B1 true KR102460856B1 (ko) 2022-10-31

Family

ID=6093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082A KR102460856B1 (ko) 2016-06-13 2016-06-13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31B1 (ko) * 2021-12-30 2023-08-0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536A (ja) 1999-07-01 2001-01-16 Daihatsu Motor Co Ltd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サポート
JP2001065624A (ja) * 1999-08-23 2001-03-16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ッパーマウント
JP2004150497A (ja) * 2002-10-29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4278601A (ja) * 2003-03-13 2004-10-07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9216A (ja) * 1994-11-30 1996-06-21 Tokai Rubber Ind Ltd 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536A (ja) 1999-07-01 2001-01-16 Daihatsu Motor Co Ltd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のアッパサポート
JP2001065624A (ja) * 1999-08-23 2001-03-16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ッパーマウント
JP2004150497A (ja) * 2002-10-29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4278601A (ja) * 2003-03-13 2004-10-07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90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893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US5131638A (en) Dual shock mount
JP5663067B1 (ja) 筒型防振装置
US8157251B2 (en) Vibration damping mounting assembly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9523464B2 (en)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equipped with outer bracket and outer bracket therefor
US10507702B2 (en) Shock absorber assembly of a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and suspension system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ES2882552T3 (es) Cojinete de árbol
US9291228B2 (en) Vibration absorber
JP2015172413A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60856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인슐레이터 장치
JP2016065594A (ja) 筒型防振装置
KR102502553B1 (ko) 드라이브 트레인용 진동 흡수기
US11143259B2 (en) Vibration absorber
EP3524846B1 (en) A frequency tuned dampe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damper assembly
KR20180093039A (ko)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JP4095085B2 (ja) 防振装置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8105492A (ja) スプリングシート構造
JP3932025B2 (ja) 防振ブッシュ
JP6359361B2 (ja) ブッシュ
JP2014074481A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JP2016080012A (ja) 防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