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893B1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893B1
KR101758893B1 KR1020150182006A KR20150182006A KR101758893B1 KR 101758893 B1 KR101758893 B1 KR 101758893B1 KR 1020150182006 A KR1020150182006 A KR 1020150182006A KR 20150182006 A KR20150182006 A KR 20150182006A KR 101758893 B1 KR101758893 B1 KR 10175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d
spring
pad
lower seat
fix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815A (ko
Inventor
김성술
장병구
김동의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5018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893B1/ko
Priority to CN201680069484.2A priority patent/CN108290468A/zh
Priority to PCT/KR2016/004483 priority patent/WO2017104910A1/ko
Publication of KR2017007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1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with a coil spring being mounted inside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60G2204/1242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anchoring the end coils on the spring support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는 어퍼시트와, 타측에 위치하는 로어시트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 상기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어퍼시트와 로어시트에는 도넛형상인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과 대응되는 센터구멍과, 상기 센터구멍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끼워지는 결합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장치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패드가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스프링 패드의 결합장치를 플라스틱(Plastic)으로 대체하여 제작하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마찰력이 감소하고, 탄성이 부여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며, 전 차종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 상기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패드에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끼워지는 결합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장치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패드가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고정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하도록 하여 승차감의 향상 및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어퍼 및 로어시트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 및 로어시트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및 어퍼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 패드(10)를 제작함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프링 패드(10)의 바닥면 측에는 로어시트(20)에 고정하기 위한 고무클립(Rubber clip)(11)이 형성된다.(스프링 패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어시트를 예를 들어 조립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무클립(11)은 상기 로어시트(20)의 삽입홈(12)에 삽입되며 돌출된 걸림턱(12)에 의해 상기 스프링 패드(10)가 상기 로어시트(20)에 고정된다.
또한, 현재의 상기 고무클립(11)은 고무(Rubber)로 제작되는데 고무재질은 마찰력이 크며 상기 걸림턱(12) 때문에 상기 삽입홈(12)으로 삽입이 어려워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어퍼시트와 로어시트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스프링 패드의 결합장치를 플라스틱(Plastic)으로 대체하여 마찰력을 줄이고 탄성이 부여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조립성이 크게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는 어퍼시트와, 타측에 위치하는 로어시트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 상기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어퍼시트와 로어시트에는 도넛형상인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과 대응되는 센터구멍과, 상기 센터구멍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끼워지는 결합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장치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패드가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와, 상기 스프링안착부의 반대쪽인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1고정클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클립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동일형상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화살촉 형상의 고정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은 상기 결합부 중심에서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걸림축과, 상기 걸림축의 끝단에는 내향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축과 상기 지지축 사이인 내측에 형선된 탄성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와, 상기 스프링안착부의 반대쪽인 타측에는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출부와, 상기 스프링 패드 내에 삽입되고, 상기 센터구멍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2고정클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클립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구멍에 삽입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와 연장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외향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탄성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외향돌출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경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와, 상기 스프링안착부의 반대쪽인 타측에는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출부와, 상기 내경에 삽입되고 상기 센터구멍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3고정클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고정클립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센터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홈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경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세탈(POM) 또는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은 탤크(TALC)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금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와 일체로 사출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스프링 패드에 조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스프링 패드의 결합장치를 플라스틱(Plastic)으로 대체하여 제작하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마찰력이 감소하고, 탄성이 부여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며, 전 차종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패드(a)와 로어시트(b)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c)과 저면(d)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제1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e)과 저면(f)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제2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3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g)과 저면(h)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제3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패드(a)와 로어시트(b)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c)과 저면(d)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제1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e)과 저면(f)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제2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3고정클립부가 결합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g)과 저면(h)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제3고정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프링 패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스프링 패드가 로어시트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로어시트(20)에는 도넛형상인 스프링 패드(100,300,500)의 내경(130,320,520)과 대응되는 센터구멍(21)과, 상기 센터구멍(21)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2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300,500)에는 로어시트(20)에 끼워지는 결합장치(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장치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패드(100,300,500)가 상기 로어시트(2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장치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작되며,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세탈(POM) 또는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탤크(TALC)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300,500)의 금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100,300,500)와 일체로 사출성형 되거나 사출성형된 상기 스프링 패드(100,300,500)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 패드(100)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스프링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부(110)의 반대쪽인 타측에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0)에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1고정클립부(200)가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클립부(200)는 상기 결합홈(120)과 동일형상으로 단턱(211)이 형성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로어시트(20)의 삽입구멍(22)에 삽입되는 화살촉 형상의 고정단(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10)에 형성되는 단턱(211)에 의해 상기 결합홈(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고정클립부(200)가 상기 결합홈(12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단(220)은 상기 결합부(210) 중심에서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축(221)과, 상기 지지축(211)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걸림축(222)과, 상기 걸림축(222)의 끝단에는 내향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턱(223)과, 상기 걸림축(222)과 상기 지지축(221) 사이인 내측에 형선된 탄성홈(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단(220)이 상기 삽입구멍(22)으로 삽입되면 상기 탄성홈(224)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걸림축(222)이 상기 지지축(211)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삽입구멍(22)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걸림축(222)의 경사면이 상기 삽입구멍(22)을 빠져나오면 상기 걸림축(222)은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끝단에 내향 함몰된 걸림턱(223)은 상기 로어시트(20)의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1고정클립부(200)가 상기 삽입구멍(22)에 삽입된 채로 고정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프링 패드(300)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스프링안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22)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출부(330)와, 상기 스프링 패드(30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센터구멍(21)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2고정클립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돌출부(330)는 상기 스프링안착부(310)의 반대쪽인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22)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300)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제2고정클립부(400)는 상기 스프링 패드(300)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상기 스프링 패드(400)의 내경(320)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구멍(21)에 삽입되는 걸림돌출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출부(420)는 상기 스프링 패드(300)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삽입부(410)와 연장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상기 스프링 패드(300)의 내경(320)을 따라 형성되는 외향돌출부(421)와, 상기 걸림돌출부(420)의 내측으로 탄성홈(4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향돌출부(421)는 상기 삽입부(410)와 연장 형성되는 일측은 일정각도로 벤딩되어 연장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스프링 패드(300) 내경(320)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421a)이 형성된다.
상기 외향돌출부(421)가 상기 센터구멍(21)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홈(422)에 의해 상기 외향돌출부(421)가 상기 스프링 패드(300)의 내경(320)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센터구멍(21)에 상기 걸림돌출부(420)가 삽입된다.
또한, 외향돌출부(421)의 외향돌출되는 걸림턱(421a)이 상기 센터구멍(21)을 빠져나오면 상기 외향돌출부(421)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걸림턱(421a)은 상기 로어시트(20)의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2고정클립부(400)는 상기 센터구멍(21)에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패드(500)는 코일 스프링의 저면 또는 상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스프링안착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부(510)의 반대쪽인 타측에는 상기 삽입구멍(22)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출부(530)와, 상기 내경(520)에 삽입되고 상기 센터구멍(21)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장치인 제3고정클립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돌출부(530)는 상기 스프링안착부(510)의 반대쪽인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22)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500)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제3고정클립부(600)는 상기 스프링 패드(500)의 내경(520)에 걸리는 걸림부(610)와, 상기 센터구멍(21)에 삽입되는 삽입부(620)와 상기 삽입부(620)의 내측에 탄성홈(63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20)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500) 내경(520)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621a)이 형성된 걸림돌출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20)가 상기 센터구멍(21)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홈(630)에 의해 상기 걸림돌출부(621)가 상기 스프링 패드(500)의 내경(520)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센터구멍(21)에 상기 걸림돌출부(621)가 삽입된다.
또한, 걸림턱(621a)이 상기 센터구멍(21)을 빠져나오면 상기 걸림돌출부(621)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걸림턱(621a)은 상기 로어시트(20)의 바닥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3고정클립부(600)는 상기 센터구멍(21)에 고정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프링 패드 11 : 고무클립(Rubber clip)
12 : 걸림턱 20 : 로어시트
21 : 센터구멍 22 : 삽입구멍
100,300,500 : 스프링 패드 110,310,510 : 스프링안착부
120 : 결합홈 130,320,520 : 내경
200 : 제1고정클립부 210 : 결합부
211 : 단턱 220 : 고정단
221 : 지지축 222 : 걸림축
223 : 걸림턱 224 : 탄성홈
330,530 : 위치고정돌출부 400 : 제2고정클립부
410 : 삽입부 420 : 걸림돌출부
421 : 외향돌출부 421a : 걸림턱
422 : 탄성홈 600 : 제3고정클립부
610 : 걸림부 620 : 삽입부
621 : 걸림돌출부 621a : 걸림턱
630 : 탄성홈

Claims (15)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는 어퍼시트와, 타측에 위치하는 로어시트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어퍼시트 사이, 상기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어퍼시트와 로어시트에는 도넛형상인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과 대응되는 센터구멍과, 상기 센터구멍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삽입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기 어퍼시트와 상기 로어시트에 끼워지는 결합장치가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반대쪽인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갖되,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형성되어 상기 로어시트의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제1고정클립부와,
    상기 로어시트의 센터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끼워지는 제2고정클립부 또는 제3고정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장치인 제1고정클립부와 상기 제2고정클립부 또는 제3고정클립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금형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와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보다 마찰력이 적은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작됨에 따라 종래의 고무로 제작되는 고무클립이 갖는 마찰력으로 인한 삽입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결합장치는 탤크(TALC)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가 함유되면서 별도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종래의 고무로 제작되는 고무클립부가 갖는 마찰력으로 인한 삽입의 어려움을 개선하면서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고무클립을 갖는 스프링 패드보다 조립성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클립부는
    상기 결합홈과 동일형상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화살촉 형상의 고정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결합부 중심에서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된 걸림축과, 상기 걸림축의 끝단에는 내향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축과 상기 지지축 사이인 내측에 형선된 탄성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클립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구멍에 삽입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와 연장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외향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탄성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돌출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경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클립부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경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센터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홈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 내경의 외측방향으로 외향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세탈(POM) 또는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82006A 2015-12-18 2015-12-18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75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06A KR101758893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201680069484.2A CN108290468A (zh) 2015-12-18 2016-04-28 汽车悬架装置用弹簧垫
PCT/KR2016/004483 WO2017104910A1 (ko) 2015-12-18 2016-04-28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06A KR101758893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815A KR20170073815A (ko) 2017-06-29
KR101758893B1 true KR101758893B1 (ko) 2017-07-18

Family

ID=5905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006A KR101758893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58893B1 (ko)
CN (1) CN108290468A (ko)
WO (1) WO2017104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33B1 (ko) 2019-07-11 2020-12-14 주식회사 디엠씨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102324644B1 (ko) 2020-03-12 2021-11-10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535A (ja) * 2001-11-13 2003-05-21 Toyoda Gosei Co Ltd クッション
JP2010083194A (ja) * 2008-09-29 2010-04-15 Tokai Rubber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のコイルスプリングのアッパマウント
JP2011063200A (ja) * 2009-09-18 2011-03-31 Honda Motor Co Ltd 弾性支持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096B2 (ja) * 1995-03-29 2002-04-3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緩衝器のスプリングシート
US6857166B2 (en) * 2001-11-13 2005-02-22 Toyoda Gosei Co., Ltd. Cushion
KR20070080899A (ko) *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만도 더스트 커버 및 그의 고정구조와 이를 이용한 현가장치와자동차
KR20090130597A (ko) * 2008-06-16 200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 장치의 오 조립 방지 타입 스트럿 앗세이
KR20100088808A (ko) * 2009-02-02 2010-08-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트럿 지지 구조
CN102292567B (zh) * 2009-09-29 2014-06-18 东海橡塑工业株式会社 上支架及其制造方法
KR101105038B1 (ko) * 2009-11-13 2012-01-16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201736760U (zh) * 2010-05-23 2011-02-09 游建春 主动式螺旋弹簧悬架
JP5876224B2 (ja) * 2010-09-28 2016-03-02 住友理工株式会社 アッパーサポートの製造方法
JP5387606B2 (ja) * 2011-04-04 2014-01-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5961128B2 (ja) * 2013-03-21 2016-08-02 Kyb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ラバーシート及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KR101459277B1 (ko) * 2013-10-25 2014-11-07 대원강업주식회사 중공형 코일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535A (ja) * 2001-11-13 2003-05-21 Toyoda Gosei Co Ltd クッション
JP2010083194A (ja) * 2008-09-29 2010-04-15 Tokai Rubber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のコイルスプリングのアッパマウント
JP2011063200A (ja) * 2009-09-18 2011-03-31 Honda Motor Co Ltd 弾性支持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0468A (zh) 2018-07-17
WO2017104910A1 (ko) 2017-06-22
KR20170073815A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3746B1 (ko)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US8668174B2 (en) Fastener for elongated component
US9518628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US9604516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9278596B2 (en) Transverse leaf sprin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07580560B (zh) 车辆悬架的减震器组件和悬架系统
US9291228B2 (en) Vibration absorber
KR101459277B1 (ko) 중공형 코일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105667442A (zh) 乘客识别装置
KR101845215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10232464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20060272911A1 (en) Jounce bumper, rate cup, and strut mount bottom plate
KR20170077958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장치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JP2002130351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シート
US10471793B2 (en) Seat mounts for side load spring on a twist beam axle
CN109562665A (zh) 包括相对于车身的固定件的上悬置、包括这种悬置的组件和用于将这种悬置接合至车身的方法
KR102190733B1 (ko)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10252375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638852B1 (ko) 철도용 축상스프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