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038B1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038B1
KR101105038B1 KR1020090109550A KR20090109550A KR101105038B1 KR 101105038 B1 KR101105038 B1 KR 101105038B1 KR 1020090109550 A KR1020090109550 A KR 1020090109550A KR 20090109550 A KR20090109550 A KR 20090109550A KR 101105038 B1 KR101105038 B1 KR 10110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pring
coil spring
spring pad
vehic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856A (ko
Inventor
임만승
박진용
한진규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0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mechanically, e.g. having frictionally-engaging springs as dam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로어패드와 상기 쇽업소버의 로드 상부 끝단부에 설치된 어퍼 패드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는,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볼록면에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 스프링, 스프링 패드, 탄성 지지부, 이물질 배출 홀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로어패드와 상기 쇽업소버의 로드 상부 끝단부에 설치된 어퍼 패드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11)의 외주면에 로어패드(12)가 설치되며, 상기 쇽업소버의 로드(13) 상부 끝단부에 어퍼 패드(14)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 패드(14)와 로어 패드(1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5)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12) 사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형성된 스프링 패드(10)가 개재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프링 패드(10)는, 상부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오목면(10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턱(101)이 돌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로어 패드(12)에 천공된 고정 홀(120)에 삽입되어 스프링 패드(10)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2)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 패드(10)는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12) 사이에 개재되어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것이 주목적이나,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12) 사이에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스프링 패드(10)를 개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 사이에 자동차 현가장치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각종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과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 사이에 유입된 각종 이물질과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코일 스프링(15) 하단부에 도장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도시되지 않음)와 이물질과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가 코일 스프링(15)으 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에 도장이 박리되는 현상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 스프링(15)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 사이에는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적층됨으로써 상기 적층된 이물질의 습도로 인하여 코일 스프링(15) 하단부 표면에 부식이 촉진되어 부식으로 인한 코일 스프링(15)의 내구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자동차 현가장치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어 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볼록면에 내부가 빈 중공 형태로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 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는, 로어 패드와 접촉되는 볼록면에 코일 스프링과 연동되어 압축되거나 이완되는 탄성 지지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부 사이에 각종 먼지 등과 같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이물질과의 마찰로 인한 코일 스프링 하단부의 도장면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설계 수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오목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가 이물질과의 마찰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 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스프링 패드와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는, 상부면에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오목면(10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턱(101)의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는, 상부면에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오목면(10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으로 스프링 패드(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턱(10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로어 패드(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볼록면(105)에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지지부(10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탄성 지지부(103)는,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접촉 되는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을 따라 돌출 형성되되, 그 단면부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의 반원 형태가 되도록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103)는, 일측이 절개됨으로써 코일 스프링이 압축 또는 이완되어 스프링 패드(10)가 압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탄성 지지부(103)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탄성 지지부(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탄성 지지부(103)의 하부면에는 로어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천공 형성된 고정 홀에 삽입되어 스프링 패드(10)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102)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로어 패드 사이에 개지되되,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볼록면(105)에 탄성 지지부(10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스프링 패드(10)의 볼록면(105)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코일 스프 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이물질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코일 스프링 하단부의 도장이 박리되는 종래의 스프링 패드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코일 스프링 하단부에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설계 수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자동차 현가장치에 진동이 발생되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거나 이완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 또한 탄성 지지부(103)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동되어 압축되거나 이완된다.
그러므로, 자동차 현가장치에 진동이 발생되어 코일 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압축되거나 이완되더라도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탄성 지지부(103)가 상기 코일 스프링과 연동되어 압축되거나 이완됨으로써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진동이 발생되어 코일 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압축되거나 이완되더라도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탄성 지지부(103)가 코일 스프링과 연동되어 압축되어가 이완되어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100)과 코일 스프링 하단부 사이에 각종 먼지 등과 같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이물질과의 마찰로 인한 코일 스프링 하단부의 도장면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는 코일 스 프링의 도장면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코일 스프링의 설계 수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코일 스프링 하단부의 도장 박리와 부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호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통상적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의 경우에는 스프링 패드의 오목면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각종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각종 이물질과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 간에 마찰이 발생되어 상기 우레탄 호스가 파손되거나 우레탄 호스가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10)는 볼록면(105)에 코일 스프링과 함께 연동되어 압축 또는 이완되어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10)의 오목면(100)이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와 이물질과의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에 설치된 우레탄 호스가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 패드 (100) : 오목면
(101) : 지지턱 (102) : 고정돌기
(103) : 탄성 지지부 (105) : 볼록면

Claims (3)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어 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볼록면에 내부가 빈 중공 형태로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어 패드의 상부면과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패드의 볼록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0090109550A 2009-11-13 2009-11-13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10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550A KR101105038B1 (ko) 2009-11-13 2009-11-13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550A KR101105038B1 (ko) 2009-11-13 2009-11-13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856A KR20110052856A (ko) 2011-05-19
KR101105038B1 true KR101105038B1 (ko) 2012-01-16

Family

ID=443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50A KR101105038B1 (ko) 2009-11-13 2009-11-13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7A1 (ko) * 2015-11-13 2017-05-1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WO2017104910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20220091916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20B1 (ko) * 2012-11-23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현가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20240001732A (ko) 2022-06-24 2024-01-04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164A (ja) * 2004-11-09 2006-05-25 Sumitomo Rubber Ind Ltd 懸架装置
KR100764986B1 (ko) * 2006-08-31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러트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164A (ja) * 2004-11-09 2006-05-25 Sumitomo Rubber Ind Ltd 懸架装置
KR100764986B1 (ko) * 2006-08-31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러트 현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7A1 (ko) * 2015-11-13 2017-05-1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WO2017104910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20220091916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856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038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9022188B2 (en) Dust seal structure for shock absorber
US9168489B2 (en) Ventilation member
US7959157B2 (en) Seal with guide member
US20170304759A1 (en) Filter element and dirt suction device with filter receptacle for such a filter element
CN107002878B (zh) 密封结构
WO2013096432A1 (en) Jounce bumper
CN105522880B (zh) 用于车辆车轮悬架的弹簧隔振器和车辆车轮悬架
US10477714B2 (en) Pressure compensation element having spring element, casing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221255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KR20110052855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8900356B2 (en) Filter assembly with sound attenuation membe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160001026U (ko) 이중 파이프
KR200475362Y1 (ko) 벤트 커버
KR101165210B1 (ko) 가변형 오리피스홀을 구비한 에어 댐핑 마운트
KR200475320Y1 (ko) 원터치 결합형 카트리지 필터
US20090072458A1 (en) Self-constrained dynamic damper
KR101666112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필터유닛
JP4688066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2007327627A (ja) 緩衝器用ダストカバー
CN208002722U (zh) 用于磁力擦玻璃器的可换支点
JP7401374B2 (ja) 空気ばね
JP2008309201A (ja) バウンドストッパ付きダストカバー
JP7401375B2 (ja) 空気ばね
KR102152576B1 (ko) 차량의 엔진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