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027B1 -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027B1
KR101441027B1 KR1020127023312A KR20127023312A KR101441027B1 KR 101441027 B1 KR101441027 B1 KR 101441027B1 KR 1020127023312 A KR1020127023312 A KR 1020127023312A KR 20127023312 A KR20127023312 A KR 20127023312A KR 101441027 B1 KR101441027 B1 KR 10144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ortions
supports
longitudinal axi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701A (ko
Inventor
미하엘 플리에거
스테판 보세커
세르게이 코스틴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000184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01847A1/d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2012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차량 부품을 서로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조절 장치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부 (100) 및 이 기부에 연결된 측방 다리부(101, 102)로 형성되는 제1 안내 레일(10); 제1 안내 레일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안내 레일(11);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고, 조절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스핀들 너트(23)를 포함하는 조절 기구(2); 제2 안내 레일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스핀들 너트가 회전될 때 제1 안내 레일이 제2 안내 레일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움직이도록 스핀들 너트와 결합하는 스핀들(3); 및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한다. 이 체결 장치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조절 기구(2)의 앞에 설치되고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조절 기구(2)의 뒤에서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 102)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 각각은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르는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부(415; 516, 526)를 가지며 또한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 및/또는 다리부(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된다.

Description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ADJUSTING DEVICE HAVING AN ADJUSTING MECHANISM ARRANGED ON A GUIDE RAIL}
본 발명은 제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두개의 차량 부품을 서로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 장치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안내 레일 및 제1 안내 레일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안내 레일을 포함한다. 양 안내 레일은 예컨대 차량 좌석을 차량 바닥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차량 좌석의 길이방향 조절 내에서 그 차량 좌석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제1 안내 레일은 길이 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단면에서 볼 때 본질적으로 U 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기부 및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두개의 측방 다리부를 포함하며, 이들은 안내 레일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제2 안내 레일은 제1 안내 레일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예컨대 볼 베어링이 무마찰 조절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두 안내 레일은 스핀들 기어를 통해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이런 목적으로 조절 기구가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제공되며, 이 조절 기구는 스핀들 너트를 포함하며, 이 스핀들 너트는 조절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안내 레일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어 있는 스핀들과 결합한다. 이런 목적으로 스핀들은 예컨대 그의 외부 표면에서 외부 나사를 가지며, 이 외부 나사는 스핀들 너트의 구멍에 있는 내부 나사와 결합하게 되며, 그리 하여 스핀들 너트가 회전하면 이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로부터 구르게 되고 그래서 제1 안내 레일이 제2 안내 레일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조절 기구는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안내 레일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그 다리부 사이에 유지되며,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가 제공된다.
DE 103 37 475 A1 에 알려져 있는 조절 장치의 경우, 이러한 유형의 조절 기구가 고정 브라켓을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되며, 고정 브라켓은 조절 기구가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지지되도록 그 조절 기구를 U 형으로 둘러싸게 된다. 이 경우 체결 장치는 조절 기구를 둘러싸는 측방 다리부를 갖는 고정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체결 플랜지자 다리부에 정렬되는데, 체결 구멍을 갖는 체결 브라켓이 상기 체결 플랜지를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스크류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DE 10 2006 011 718 A1 에 알려져 있는 조절 장치의 경우, 조절 기구는 체결 브라켓을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데, 조절 기구는 원추형 벌지로 제1 안내 레일을 통과해 돌출하고 체결 브라켓은 제1 안내 레일에 크림핑된다.
조절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가 예컨대 DE 10 2006 049 809 A1 및 DE 10 2007 023 329 A1 에 알려져 있으며, WO 2009/092946 A2 에는 다른 실시 형태의 체결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조절 장치의 경우, 체결 장치는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안전하게 체결하기 위해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진 체결 브라켓의 형태로 제공된다. 조립 중에, 먼저 체결 브라켓이 조절 기구에 설치되고, 스핀들이 체결 브라켓에 있는 개구를 통해 안내되어 조절 기구에 배치되며, 그리고 부착 스크류 연결 또는 크림핑으로 체결 브라켓을 제1 안내 레일에 연결하기 위해, 조절 기구, 스핀들 및 체결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제공된 요소 그룹을 이미 조립된 안내 레일쌍에 삽입한다.
종래의 조절 장치의 경우, 조절 장치의 작동시 작용하는 힘을 제1 안내 레일에 전달하고 또한 특히 충돌의 경우에도, 그래서 증가된 하중이 작용할 때에도 안전한 지지를 보장하도록 체결 브라켓을 설계해야 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체결 브라켓의 의도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체결 브라켓은 스핀들과 직접 결합하고 또한 제2 안내 레일에 단단히 연결된 스핀들에 제1 안내 레일을 지지한다.
별도의 조립 단계에서 조절 기구와 함께 제1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이러한 체결 브라켓이 제공됨으로써, 예컨대 연결을 위한 스크류가 제공되어야 하고 또한 요소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통상적으로, 재료 표면을 칩발생 없이 매끄럽게 하고 고화시키기 위해 예컨대 롤링 오버로 체결 브라켓을 재가공해야 한다),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와 재료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여러 조립 단계를 요하는 예컨대 나사 결합이나 크림핑(crimping)으로 체결 브라켓을 제1 안내 레일에 연결하는 비교적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조립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차량 부품을 서로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로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조립을 용이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조절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적 사항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장치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의 앞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의 뒤에서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 각각은 길이방향 축선을 따르는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부를 가지며 또한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및/또는 다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되는 전술한 종류의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대해 지지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지지부를 제공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들 지지부는 예컨대 나사 결합이나 크림핑으로 비교적 수고스럽고 비용이 많이 드는 방식으로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그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한편으로 재료비가 절감되고(예컨대 스크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스크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는 조립 비용이 절감된다(예컨대, 별도의 조립 단계에서 스크류 연결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지지부는 비교적 쉽게 제작될 수 있는데, 지지부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기 위해 용접 이음을 사용하면 특히 견고한 연결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큰 하중력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간단하고 자동화가능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부는 구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요구되는 구성 공간이 감소된다. 특히, 조절 기구를 둘러싸는 지지부들을 브라켓식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 문맥에서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라는 표현은, 지지부들이 직접 서로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그래서 즉각적인 구조적 단위체를 형성하지는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동시에, 지지부 둘다 할당된 안내 레일에 연결되고 안내 레일을 통해 그들의 위치에서 간접적으로 서로에 고정된다.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지지부를 사용하면, 유리하게도 조절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수반되게 된다. 종래에는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연결하기 위해 체결 브라켓을 사용할 때, 조절 기구가 먼저 그 체결 브라켓에 배치되어 이 체결 브라켓과 함께 제1 안내 레일에 삽입되고 그 레일에 연결되지만, 지금 제공되는 지지부는 유리하게도 먼저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고 이어서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지지부를 갖는 조절 기구가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가 구성되어야 하며, 따라서 종래의 체결 브라켓과는 대조적으로 지지부는 외측에서 제1 안내 레일을 폐쇄하지 않고 적어도 조절 기구가 본질적으로 U형의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또한 그 안내 레일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큰 공간을 남길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안내 레일에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볼 때 조절 기구의 앞 또는 뒤에 설치되는 지지부 각각은 바람직한 연결을 이루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형상 잠금부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및/또는 다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개구에 삽입되어 제1 안내 레일에 대한 지지부의 형상 잠금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형상 잠금 연결에 의해, 특히 길이방향 축선을 따르는 충격력이 작용할 때도 지지부의 지지가 보장되며 또한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지지부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기 위한 용접 이음은 하나의 형상 잠금부 또는 복수의 형상 잠금부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부는 각각 제공된 형상 잠금부를 통해 한편으로 형상 잠금으로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열적 결합으로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로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 안착부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및/또는 다리부에 안착된다(형상 잠금되지는 않는다). 지지부의 안착은 다리부와 기부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서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및/또는 다리부의 내측에서, 따라서 조절 기구와 대향하는 제1 안내 레일의 일측에서 일어나게 되며, 추가적으로 지지부의 형상 잠금 결합은 각각 제공되어 있는 형상 잠금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형상 잠금부는 제1 안내 레일에 있는 개구와 결합한다.
안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표면부와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안착되는 가장자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부는 지지부를 안내 레일에 지지하고 또한 지지부의 표면부 자체가 안내 레일에 용접됨이 없이 높은 저항 모멘트(면적 관성 모멘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가 표면부를 통해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및/또는 다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이렇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부의 형상 잠금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를 통과하며 그 제1 안내 레일의 기부를 넘어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부의 형상 잠금부는 한편으로 지지부를 제1 안내 레일에 배치하여 부착(형상 잠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중 기능으로, 플랩의 종류에 따라 안내 레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형상 잠금부는 예컨대 구동부 또는 (예컨대 가요성) 구동축을 제1 안내 레일에 설치하는 것을 쉽게 해줄 수 있는 위치결정 보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바깥으로 돌출되는 플랩형 형상 잠금부 사이에 적절한 캐리어를 설치하고 형상 잠금부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를 정확히 안내 레일에 부착해서 조절력을 전달하기 위해 캐리어를 조절 기구에 연결함으로써,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 잠금부를 통해 구동부 또는 구동축을 적절한 위치에서 안내 레일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지지부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는 예컨대 평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표면부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르는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정렬되는 안착부로 제1 안내 레일에 안착되며 또한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질러 계속된 지지 영역으로 조절 기구를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부는 본질적으로 제1 안내 레일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 부분을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며, 제1 안내 레일에의 형상 잠금 연결을 위한 형상 잠금부가 동시에 이 길이 방향 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는 그가 연결되는 제1 안내 레일의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조절 기구와 대향하는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질러 계속된 지지 영역을 포함하며, 이 지지 영역은 조절 기구에 안착되며 또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조절 기구를 지지하게 된다. 조절 기구는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지지부에 의해 부착되며,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추가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필요 없는데, 왜냐하면 스핀들 너트를 통해 조절 기구는 제2 안내 레일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는 스핀들과 결합하고 또한 이 스핀들과의 결합으로 그 스핀들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위치 유지되기 때문이다. 조절 장치가 작동될 때, 조절력은 조절 기구 및 지지부를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전달되고, 그래서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된 차량 좌석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축선을 따르는 양 방향으로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각 경우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지지부를 조절 기구의 앞뒤에서 안네 레일에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두개의 지지부로 형성된 지지부 쌍이 각 경우 조절 기구의 각 측에 제공된다. 각 지지부 쌍의 두 지지부는 예컨대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 설치되고 또한 다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안내 레일의 내부 공간 안으로 기부에 수직하게 돌출되며, 각 지지부 쌍의 지지부들은 그들 사이의 가로 방향으로 스핀들을 수용하며, 따라서 한 지지부는 스핀들의 일측에 있고 다른 지지부는 스핀들의 타측에 있다.
일 변형예에서, 각 지지부 쌍의 두 지지부는 연결부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에서 스핀들을 둘러싼다. 연결부의 제공으로 일 단위체를 형성하는 지지부 쌍은 이렇게 해서 제1 안내 레일에 대해 스핀들을 둘러싸게 된다.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안전하게 유지되는 특히 안정적인 구성이 상기 연결부의 제공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에서 스핀들을 둘러싸지 않고, 예컨대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와 대향하는 스핀들의 일측에서 지지부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부들은 각 경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도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한 지지부는 조절 기구의 앞에 설치되고 다른 지지부는 조절 기구의 뒤에 설치되며 이들 지지부는 지지를 위해 조절 기구에 평평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지지부는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횡단면에서 볼 때 U형인 제1 안내 레일의 프로파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며 그들 사이에 조절 기구를 수용하게 되며, 따라서 조절 기구는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지지부 사이에서 제1 안내 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으로 유지 및 지지된다. U형 프로파일은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으로 폐쇄되어 있지 않아 일측에서 열려 있으며, 따라서 지지부가 이미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된 경우에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배치할 수 있다.
두 지지부 각각은 유리하게도 이 경우 개구를 포함하며, 스핀들은 이 개구에서 지지부를 통과하며, 따라서 스핀들은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와 기부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서 지지부를 통과하고, 이들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와 결합하게 된다.
각 지지부의 표면부(이를 통해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될 수 있음)는 지지부의 지지 영역 쪽으로 굽혀져 있으며, 또한 안착을 개선하고 용접 이음을 얻기 위해 안내 레일의 다리부에 평펑하게 안착된다.
일 변형예에서, 지지부 각각은 상기 표면부에 추가하여 결합부를 포함하는데, 이 결합부는 지지 영역에 수직하게 또한 표면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안내 레일의 개구에 둘러싸인다. 횡단면이 U형으로 된 지지부가 제공되며, 이 지지부의 기부는 지지 영역으로 형성되고 지지부의 다리부는 한편으로 표면부(이를 통해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됨) 및 다른 한편으로는 결합부(이를 통해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의 개구에 둘러싸인다)로 형성된다.
추가적인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틈새를 두고 제1 안내 레일의 대응 개구에 둘러싸이며, 이 틈새는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결합부는 지지 기능을 갖지 않고 제1 안내 레일의 대응 개구에 느슨하게 둘러싸이도록 정해진다. 충돌시 예외적으로 높은 하중 및 이로 인한 안내 레일 장치의 변형의 경우에만 결합부는 제1 안내 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그래서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조절 기구의 유지를 강화시켜 준다.
상기 추가적인 결합부에 대한 대안으로, 각 지지부의 표면부는 또한 제1 안내 레일의 개구에 둘러싸일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부가 표면부를 통해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됨이 없이 상기한 종류의 결합부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그들 각각의 표면부를 통해서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지 않고, 각 경우 표면부와 다른 안착부를 통해 용접되며, 이 안착부는 지지 영역의 가장자리로 형성된다.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볼 때 표면부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틈새를 두고 제1 안내 레일의 개구에 둘러싸이게 되며, 이 틈새는, 안내 레일이 차량 탑승자의 중량 또는 정상적인 작동시 도입되는 조절력을 받아 탄성적으로 (약간) 변형되는 경우(또한 "레일 브리핑(rail briefing)" 이라고 함) 지지부가 그의 표면부로 제1 안내 레일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정해진다. 예컨대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이러한 충돌 중에 하중력은 안내 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작용하고 안내 레일 및/또는 지지부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음) 중에 예외적으로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표면부는 개구의 가장자리에 안착될 것이고 제1 안내 레일에 의해 지지된다.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는 지지부는 그의 결합부(마지막에 언급한 실시 형태에서 이 결합부는 표면부로 이루어짐)로 안내 레일에 안착되지 않으므로, 조절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시에는 그 조절 장치의 소음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절 장치의 작동시의 긴장 및 완만함이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결합부는 지지 기능을 갖지 않고 제1 안내 레일의 대응 개구에 느슨하게 둘러싸이게 된다. 충돌시 예외적으로 높은 하중 및 이로 인한 안내 레일 장치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의 경우에만 결합부는 안내 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그래서 제1 안내 레일에 대한 조절 기구의 유지를 강화시켜 준다.
그리 하여, 일측에서 느슨하게 둘러싸이는 지지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이러한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된 측방 다리부로 형성되는 제1 안내 레일,
-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안내 레일,
- 상기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고, 조절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스핀들 너트를 포함하는 조절 기구,
-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 너트가 회전될 때 제1 안내 레일이 제2 안내 레일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움직이도록 스핀들 너트와 결합하는 스핀들, 및
- 상기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는 체결 장치.
여기서, 상기 체결 장치는 두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의 앞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의 뒤에서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며, 두개의 지지부 각각은 안착부 및 결합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로 제1 안내 레일의 기부 또는 다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며 또한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로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된다.
상기 결합부는 틈새를 두고 제1 안내 레일의 제2 다리부에 있는 개구에 둘러싸이며, 따라서 조절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는 결합부는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에 안착되지 않으며, 하지만 충돌로 인한 제1 안내 레일 및/또는 지지부의 변형 중에만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10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목적은 조절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도 달성되며, 본 방법은,
-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를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는 단계,
-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조절 기구를 삽입하는 단계, 및
- 제1 안내 레일에 제2 안내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는 지지부의 사용으로 인해, 조절 장치를 조립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되는 바, 지금까지의 종래 조립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조절 기구가 제1 안내 레일에 배치되기 전에 지지부가 먼저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에 부착된다. 이전의 일반적인 조립 방법과는 대조적으로(이 조립 방법에서는 먼저 조절 기구가 체결 브라켓에 배치되고 그 다음에 체결 브라켓이 조절 기구와 함께 제1 안내 레일에 부착된다), 지지부와 조절 기구를 제1 안내 레일에 부착하는 것은 따라서 별도의 조립 단계에서 이루어지는데, 먼저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고 다음에 조절 기구가 제1 안내 레일에 배치되며, 이때 조절 기구는 안내 레일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지지부들 사이에 안착되며, 그 후에 제2 안내 레일이 제1 안내 레일에 배치된다.
적어두 두개의 지지부를 제1 안내 레일에 부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로 제1 안내 레일의 각 개구에 설치되며 적절한 긴장 부여(tensioning) 수단에 의해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긴장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해서 유리하게도 긴장 부여가 일어나며, 따라서 지지부(그들 사이에 조절 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서로 변위되어 있음)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그들 사이에 규정된 거리를 갖게 된다. 이리 하여, 제1 안내 레일에서 지지부 사이에 설치될 조절 기구를 위한 개방도가 조절된다.
추가적으로,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로 제1 안내 레일에 안착되며, 적절한 긴장 부여 수단에 의해 제1 안내 레일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될 것이다.
예컨대 조립 공구로 제공되는 상기 긴장 부여 수단은 의도하는 대로 조립되는 조절 장치의 경우 차량에서의 X, Y 및 Z 방향에 대응하는 3개의 공간 방향, 즉 길이방향 축선 및 이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두개의 공간 방향을 따라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는 상측 안착부를 통해 Z 방향으로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동시에,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평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표면부로 Y 방향으로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지부는 X 방향(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에 대응함)으로 서로를 향해 가압되고 그래서 서로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된다.
긴장 부여로 인해, 지지부는 정확한 위치에서 제1 안내 레일에 설치되며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부로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될 수 있다.
지지부는 예컨대 레이저 용접 또는 불활성 가스 용접(바람직하게는 MAG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이 레이저 용접으로 이루어지면, 안내 레일의 내부 공간에 필렛 용접부를 둘 수 있으며, 또는 표면부를 다리에 연결하기 위해 이를 안내 레일의 다리부를 통해 용접할 수 있다.
용접이 불활성 가스 용접으로 이루어지면, 예커대 적절한 개구를 갖는 구멍 패턴이 지지부가 연결될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개구는 불활성 가스 용접에 의해 추가적인 재료로 채워지게 되며 그리 하여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된다.
지지부가 제1 안내 레일에 연결되면, 조절 기구는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 사이에 삽입되고, 이때 조절 기구는 압입 끼워맞춤 또는 형상 끼워맞춤으로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그래서 제1 안내 레일에서 지지부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제1 안내 레일의 기부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에서 스핀들을 삽입하는 것을 지지부가 허용하면(따라서 스핀들은 지지부에 있는 개구를 통과할 필요가 없다), 제1 안내 레일에 조절 기구를 삽입하기 전에 스핀들이 조절 기구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이 조절 기구는 스핀들과 함께 제1 안내 레일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스핀들을 조절 기구와 결합시키고, 얻어진 조절 기구와 스핀들의 요소 결합체를 제1 안내 레일에 배치하며, 제2 안내 레일을 제1 안내 레일 상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이어서 예컨대 적절한 스핀들 체결 브라켓을 사용하여 스핀들을 회전 안되게 제2 안내 레일에 연결한다.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스핀들을 지지부에 있는 개구에 통과시켜야 할 경우, 지지부가 이미 제1 안내 레일에 용접되어 있으면, 제1 안내 레일에 조절 기구와 스핀들을 함께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조절 기구가 이미 제1 안내 레일 사이의 다리부 사이에 배치된 후에 스핀들이 조절 기구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스핀들은 지지부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며, 스핀들을 조절 기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 예컨대 조절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스핀들 너트로 그 조절 기구를 구동시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스핀들이 조절 기구와 결합하게 된다
스핀들은 제2 안내 레일을 제1 안내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시키기 전 또는 후에 조절 기구와 결합될 수 있다. 스핀들이 제2 안내 레일의 배치 후에만 제1 안내 레일에 부착된다면, 이를 위해, 스핀들이 간단한 방식으로 조절 기구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안내 레일은 제1 안내 레일에 대해 움직인 최종 위치에 있게 될 수 있다. 스핀들이 원하는 위치에서 조절 기구와 결합하면, 제2 안내 레일은 뒤로 움직이고 스핀들은 적절한 스핀들 체결 브라켓을 사용하여 제2 안내 레일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조절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앞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하부 안내 레일이 없는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하부 안내 레일이 없는 조절 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4 는 조절 기구의 사시도로, 스핀들이 조절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조절 장치의 지지부는 조절 기구를 지지한다.
도 5 는 지지부의 변형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 은 조절 장치의 정면도로, 여기서 조절 기구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부는스핀들을 둘러싸는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7 은 도 6 에 따른 조절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서로 연결된 두 지지부의 변형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 은 도 8 에 따른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따FMS 조절 장치의 절개 상면도이다.
도 12 는 조절 장치의 변형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따른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a 는 도 12 에 따른 조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4b 는 도 12 에 따른 조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 는 조절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6 은 변형된 조립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7 은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도시하는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8a 는 도 17 에 따른 안내 레일 및 지지부를 밑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b 는 도 17 에 따른 안내 레일 및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 ∼ 5 는 조절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서로 다른 도로 나타낸 것으로, 제1 상부 안내 레일(10)의 형태로 된 제1 안내 레일 및 제2 하부 안내 레일(11)의 형태로 된 제2 안내 레일로 이루어진 안내 레일쌍(1)이 차량 좌석을 차량 바닥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안내 레일쌍(1)은 길이방향 좌석 조절 장치의 일 부분으로, 이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차량 좌석의 위치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맞출 수 있게 해준다. 제1 안내 레일(10)은 차량 좌석에 연결되고 제2 안내 레일(11)은 차량 바닥에 연결된다.
길이방향 좌석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1 안내 레일(10)은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 제2 안내 레일(11)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1 안내 레일(10)은 제2 안내 레일(11)에서 슬라이딩 안내되며, 적절한 공지된 방식으로 무마찰 장착을 위해 볼 베어링이 제1 안내 레일(10)과 제2 안내 레일(1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측 기부(100)와 측방 다리부(101, 102)를 갖고 있어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한 횡단면에서 볼 때 본질적으로 U형의 윤곽을 갖는 제1 안내 레일(10)은 이러한 목적으로 가장자리부(103, 104)를 통해 제2 안내 레일(11)에서 안내되며, 이들 가장자리부는 하측 기부(110)와 측방 다리부(111, 112)로 형성된 제2 안내 레일(11)의 가장자리부(113, 114)로 둘러싸여 있다.
제1 및 2 안내 레일(10, 11)의 서로에 대한 운동은 스핀들 기어에 의해 전동 구동되어 일어난다. 이를 위해, 조절 기구(2)가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되는데, 이 조절 기구는 제2 안내 레일(11)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는 스핀들(3)에 스핀들 너트(23)(도 3 및 4 참조)를 통해 결합된다. 조절 장치가 작동되면, 스핀들 너트(23)는 이 스핀들 너트(23)의 외부 나사와 물리는 구동 웜(24)에 의해 구동되어 스핀들(3)을 따라 구르게 되고(스핀들 너트(23)가 내부 나사(230)를 통해 스핀들의 외부 나사(31)와 물림으로써), 그래서 스핀들(3)을 따라 조절된다.
스핀들 너트(23)는 조절 기구(2)의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어링 요소(21, 22)를 통해 하우징(20)에 설치된다.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 웜(24) 또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20) 안에 설치되고, 조절 장치가 작동되면 전기 엔진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구동되어 회전 운동하게 된다.
도 1 ∼ 5 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 조절 장치(2)는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본질적으로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르는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4개의 지지부(41, 42, 43, 4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41, 42, 43, 44)는 조절 기구(2)와 대향하는 기부(100)의 측면에서 그 기부에 설치되며, 기부(100로부터 이 기부(100) 및 제1 안내 레일(10)의 측방 다리부(101, 102)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I)으로 연장되어 있다.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으로 볼 때 도 3 및 4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두 지지부(41, 42)는 조절 기구(2)의 앞에 설치되고 두 지지부(43, 44)는 조절 기구(2)의 뒤에 설치된다. 지지부(41, 42, 43, 44) 각각은 거의 삼각형이며, 상부 안착부(412, 413)로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안착되며 수직 지지 영역(414)(도 5 참조)으로는 조절 기구(2)의 하우징(20)에 안착된다.
또한, 상부 안착부(412, 413)를 형성하는 각 지지부(41, 42, 43, 4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돌출형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잠금부는 제1 안내 레일(110)의 기부(100)에 있는 개구(141, 142, 143, 144)(도 3 에 부분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15 및 16 에도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를 통과하며 지지부(41, 42, 43, 44)를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으로 형상 잠금시켜 제1 안내 레일(10)에 고정시킨다.
또한, 지지부(41, 42, 43, 44)는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를 환형으로 둘러싸는 용접 시임(seam)을 통해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있는 개구(141, 142, 143, 144)의 가장자리에 용접되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부(100)의 내측면에서도 용접 시임이 안착부(412, 413)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2 에서 명백하듯이, 지지부(41, 42, 43, 44)는 기부(100)로부터 시작하여 제1 안내 레일(10)의 내부 공간(I) 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래서 쌍을 지어 그들 사이에 조절 기구(2)를 수용한다(또한 도 4 참조요). 또한, 상기 스핀들(3)은 두 지지부(41, 42) 또는 두 지지부(43, 44) 사이에 각각 안착되며 이를 통과해 뻗으며, 각 지지부쌍 중에서 지지부(41, 43)는 다리부(102) 쪽에서 조절 기구(2)의 앞 또는 뒤에(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안착되며 다른 지지부(42, 44)는 다른 다리부(101) 쪽에서 안착된다(도 2 참조).
조절 기구(2)는 지지부(41, 42, 43, 44)에 의해 제1 안내 레일(10)에 지지되며, 동시에, 제2 안내 레일(11)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는 스핀들(3)과는 스핀들 너트(23)를 통해 결합한다. 조절 기구(2)를 제1 안내 레일(10)에 더 고정하는 것은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필요도 없는데, 왜냐하면 조절 기구(2)는 스핀들(3)과의 결합 및 지지부(41, 42, 43, 44)에 의해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충분히 고정되기 때문이다.
조절 장치가 작동되면, 스핀들 너트(23)가 스핀들(3) 상에서 그 스핀들(3)을 따라 구름으로써 조절 기구(2)는 전동 구동 방식으로 움직이고 그래서 각각의 조절 방향에 따라, 조절 기구(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41, 42) 또는 조절 기구(2)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43, 44)에 조절력을 가하게 되며, 각각 하중을 받는 지지부(41, 42, 43, 44)는 그 조절력을 제1 안내 레일(10)에 전달하여 이 제1 안내 레일(10)이 각각의 조절 방향으로 조절되게 해준다.
지지부(41, 42, 43, 44)는 스핀들(3)의 길이방향 축선(L)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는 표면부(415)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지지부(41, 42, 43, 44)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 기구(2)를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 제1 안내 레일(10)에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1, 42, 43, 44)는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고 또한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를 통해 제1 안내 레일(10)의 개구(141, 142, 143, 144)에 형상 잠금 방식으로 안착되므로, 지지부(41, 42, 43, 44)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단단히 연결된다.
종래에 사용되던 체결 브라켓과는 대조적으로, 지지부(41, 42, 43, 44)는 제1 안내 레일(10)에의 체결을 위해 스크류 연결을 사용하지 않는다. 도한, 지지부(41, 42, 43, 44)는, 이 지지부(41, 42, 43, 44)가 이미 안내 레일(1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절 기구(2)가 밑에서, 따라서 기부(100)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는 제1 안내 레일(10)의 일측으로부터 그 제1 안내 레일(10)의 내부 공간(I)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부(41, 42, 43, 44)는 조절 기구(2)와는 독립적으로 또한 이미 이 조절 기구(2)의 용접 전에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될 수 있다.
지지부(41, 42, 43, 44)는 간단하게 또한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크류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요소가 필요 없으므로, 재료비가 더 감소되고 또한 조립도 단순화되는데, 왜냐하면 스크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조립 단계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조절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립 방법에 대해서는 도 15 및 16 을 참조하여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6 및 7 에 따른 지지부(41, 42)의 변형 실시 형태의 경우, 지지부(41, 42)는 연결부(4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체적으로 연결된 지지부(41, 42)내의 지지부 쌍이 제공된다. 연결부(410)는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에서 스핀들(3)을 둘러싸며, 따라서 지지부(41, 42)는 연결부(410)와 함께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스핀들(3)을 둘러싸며, 이 스핀들(3)은 지지부(41, 42)를 통과한다. 특별한 견고한 지지부 쌍이 얻어지며, 이는 조립을 더 간단하게 해주는데, 왜냐하면 일체적인 지지부(41, 42)는 하나의 조립 단계에서 제1 안내 레일(10)에 함께 위치되어 그 안내 레일에 용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조절 기구(2)의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부(43, 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도 7 참조).
도 8 및 9 에 도시된, 지지부(41, 42)로 이루어진 일체적인 지지부 쌍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 지지부(41, 42)는 조절 기구(2)와 대향하는 지지부(41, 42)의 일측에서 횡방향 연결부(4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스핀들(3)이 통과하는 개구(417)가 연결부(4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410)는 하방에서 아치형부(418)(도 9 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로 폐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방에서 열릴 수 있다(스핀들(3)이 밑에서 지지부(41, 42)에 배치될 수 있도록 ).
도 10 및 11 은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기능면에서는 전술한 조절 장치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편의상 동일한 기능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조절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도 10 및 11 에 따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각각의 지지부(51, 52)가 조절 기구(2)의 앞뒤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지부는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방향의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방향의 평면내에서 제1 상부 안내 레일(10)의 U형 프로파일을 거의 완전히 폐쇄한다. 그래서 양 지지부(51, 52)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어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 조절 기구(2)를 수용한다.
지지부(51, 52)는 각 경우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영역(517, 527)이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조절 기구(2)는 이들 지지 영역에 안착된다.
지지부(51, 52)는 또한 각 경우 지지 영역(517, 527)에 대해 각을 이루어 연장되어 있는 표면부(516, 526)을 포함하는데, 이들 표면부로 지지부(51, 52)는 각 경우 평평하게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표면부를 통해 지지부(51, 52)는 각 경우 다리부(102)에 용접된다. 이러한 표면부(516, 526)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부(51, 52)는 제1 안내 레일에 안전하게 단단히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안내 레일(10)로의 최적의 힘 전달을 위한 평 용접 이음부가 장착될 수 있다(예컨대 0 형 또는 S 형 용접 시임을 통해). 또한, 표면부(516, 526)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부(51, 52)의 높은 저항 모멘트(면적 관성 모멘트)가 보장된다.
표면부(516, 526)가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안착되고 제1 안내 레일에 대한 지지부(51, 52)의 용접 이음이 표면부(516, 526)를 통해 얻어지므로, 겹침 연결(겹침 이음)이 제공되는데, 이는 양호한 지지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횡방향 지지부(51, 52)는 조절 기구(2)를 위한 수용부를 제공하며, 이 수용부에 의해 조절 기구(2)가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지지되면서 그 제1 안내 레일(10)에 유지되며, 또한 조절 기구(2)가 밑에서, 따라서 기부(100)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제1 안내 레일(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도 지지부(51, 52)는 비싼 가공 없이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단순한 금속 부품으로서 만들어지거나 제작될 수 있다.
개구(515)가 지지부(51, 5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스핀들(3)이 조절 기구(2) 쪽으로 이 개구를 통과한다.
또한, 결합부(511, 521)가 지지부(51, 52) 각각에 제공되는데, 각 결합부는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있는 리세스의 형태로 된 개구(151, 152) 안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들 결합부(151, 152)는 충돌시 지지부(51, 5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틈새(S)를 두고 다리부(101)의 할당된 개구(151, 152) 안에 둘러싸이며,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시,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는 정상적인 일반적인 힘(차량 탑승자의 조절력 및 벨트력)을 받고 있을 때는 각 결합부는 개구(151, 152)의 가장자리에 안착되지 않으며 따라서 다리부(101)와 접촉하지 않는다. 충돌 및 이로 인한 제1 안내 레일(10)의 (소성 또는 탄성) 변형 또는 (충돌 작용의 방향에 따라) 단지 충돌 중에 하중을 받는 지지부(51, 52)의 변형의 경우에만, 결합부(511, 521)가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며 따라서 제1 안내 레일(10)에 있는 조절 기구(2)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충돌 및 이로 인해 작용하는 큰 충돌력의 경우에도 조절 기구(2)는 제1 안내 레일(3)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결합부(511, 512)는 정상적인 작동시에는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지 않으므로, 예컨대 차량 탑승자가 차량 좌석에 앉을 때 제1 안내 레일(1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는 소음 발생이 회피된다.
제1 안내 레일(10)(도 10 참조)의 다리부(101)에 있는 개구(151, 152)는 하방에서, 그래서 기부(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릴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부(51, 52)는 밑에서 제1 안내 레일(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대응하는 개구(15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부(151, 152)는 제1 안내 레일에 설치되며 이어서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고정되며, 따라서 지지부(51 52)는 제1 안내 레일(10)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도 10 및 11 에 따른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변형되어 있고 도 12 ∼ 14a,b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의 경우, 지지부(51, 52)는 그들의 표면부(510, 526)(이 표면부로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용접된다)에 추가하여 결합부(511, 521)를 포함하는데, 이 결합부는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르는 평면내에서 지지 영역(517, 527)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51, 52)는 한편으로 표면부(516, 526)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부(517, 527)에 있는 결합부(511, 521)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U 형의 지지 영역(51, 52)이 제공되며, 기부는 지지 영역(517, 527)으로 형성되며 U 형 다리부는 한편으로 표면부(516, 526) 및 다른 한편으로는 결합부(511, 521)로 형성된다.
결합부(511, 521) 각각은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있는 개구(151, 152) 안에 둘러싸이며, 플랩(518, 528)이 결합부(511, 521)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플랩은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있는 개구(151, 152)를 통과한다(도 13 참조요).
도 12 ∼ 14a,b 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또한 도 10 및 11 에 따른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각 결합부(511, 521)는 틈새(S)를 두고 제1 안내 레일(10)의 할당된 개구(151, 152)에 둘러싸이는데, 이 틈새(S)는 조절 장치가 작동될 때 정상적인 스트레스 하에서는 결합부(511, 521)가 각기 할당된 개구(151, 152)의 가장자리에 안착되지 않고 그리고 충돌 및 이로 인한 충돌력과 이 충돌력으로 인한 제1 안내 레일(10) 및/또는 단지 하중만 받는 지지부(51, 52)의 변형의 경우에 상기 할당된 개구(151, 152)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결합부(511, 521)는 충돌의 경우에만 지지 방식으로 안내 레일(10)에 안착되도록 다리부(101)의 할당된 개구에 느슨하게 둘러싸인다.
틈새(S)를 두고 결합부(511, 521)를 상기 할당된 개구(151, 152) 안에 배치함으로써, 작동시 조절 장치의 소음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시 완만함을 야기할 수 있는 긴장이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도 12 ∼ 14a,b 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상부 형상 잠금부(512, 522)가 지지부(51, 52)에 추가로 제공되는데, 이 형상 잠금부는 개구(153, 154)에 있는 플랩의 종류에 따라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그 기부(100)를 넘어 바깥으로 돌출한다. 형상 잠금부(512, 522)는 한편으로 지지부(51, 52)를 제1 안내 레일(10)에 형상 잠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컨대 구동부 또는 가요성 구동축을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하기 위한 위치결정 보조로서 이중 기능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캐리어(이를 통해 구동부 또는 구동축이 제1 안내 레일(10)에 연결된다)가 형상 잠금부(512, 522) 사이에 설치되고 그래서 간단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되며, 따라서 구동축은 정확한 방식으로 조절 기구(2)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4a 에 따른 상면도에서 명백하듯이, 지지부(51, 52)는 서로를 향하는 이 지지부(51, 52)의 위치 공차가 최소화되도록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51, 52)는 적절한 조립 공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긴장 상태가 되도록 되며, 따라서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 서로에 가압되며 그래서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있는 다른 지지부(51, 52)쪽으로 향하는 개구(153, 154)의 각 가장자리부에 안착되며 따라서 지지부(51, 52) 사이의 거리(B)는 규정된 방식으로 조절된다.
지지부(51, 52)) 사이의 거리(B)는 조절 기구(2)가 삽입되는 이들 지지부(51, 52) 사이의 개방도를 나타낸다.
도 11 ∼ 14 에 따른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변형되어 있고 도 17, 18a 및 18b 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51, 52)는 상부의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되며, 지지 영역(517, 527)이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부(51, 52) 각각은 지지 영역(517, 527)의 가장자리로 이루어진 안착부(519, 529)로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안착되며 이 안착부(519, 529)로 제1 안내 레일(10)의 이 다리부(102)에 용접된다.
또한, 지지 영역(517, 527) 각각에는 표면부(516, 52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표면부는 길이방향 축선(L)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이 경우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는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있는 개구(151, 152)에 둘러싸이며 그래서 리세스(151, 152)의 가장자리에 대해 틈새(S)(도 18a에 참조요)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표면부(516, 526) 각각은 플랩(518, 528)을 포함하는데, 도 13 에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플랩 각각은 틈새(S)를 두고 다리부(101)의 할당된 리세스(151, 152)를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이렇게 해서 틈새(S)는 각 지지부(51, 52)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표면부(516, 526)가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는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지 않고, 하지만 충돌 및 이에 수반되는 안내 레일(10) 또는 지지부(51, 52)의 변형시 예외적으로 높은 하중하에서는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도록 정해진다.
도 17, 18a 및 18b 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51, 52) 각각은 안착부(519, 529)의 형태로 된 측방 가장자리부로만 안내 레일(10), 즉 이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안착부(519, 529)는 뭉툭하게 다리부(102)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예컨대 필렛 용접부로 용접될 수 있거나 외부에서는 관통 용접(welding through)에 의해 다리부(102)에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부(51, 52)는 그들의 안착부(519, 529)로 다리부(102)에 있는 할당된 리세스에 각각 형상 잠금 결합되고 이 형상 잠금을 통해 다리부(102)에 용접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각 지지부(51, 52)의 지지 영역(517, 527)은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본질적으로 U형 안내 레일(10)을 채운다. 스핀들(3)(예컨대 도 11 참조요)이 개구(515, 525)에서 지지 영역(517, 527)에 들어간다. 지지부(51, 52)는 그들의 안착부(519, 529)로 제1 안내 레일(10)에 단단히 연결되지만, 예컨대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와 대향하는 상측 가장자리부 및 표면부(516, 526)(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의 개구(151, 152)에 의해 느슨하게만 둘러싸인다)로는 상기 안내 레일에 연결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유사한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가 서로 조합되지만, 다른 형태의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도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기구(2)의 일 측에 두개의 길이방향 지지부(41, 42)를 제공하고, 조절 기구(2)의 다른 반대측에는 횡방향 지지부(5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를 제공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하중을 받을 때의 변형 거동을 특정 방식으로 조절하고 적응시킬 수 있다. 배경 설명을 하면, 일 방향으로 충돌 관련 하중이 발생할 때 조절 장치의 바람직하게 강성적인 거동이 요망되고(보통 전방 충돌 중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충돌로 반대 방향 하중이 발생할 때는 보통 후방 충돌 중에 목뼈 손상을 피하기 위해 좌석 탑승자에 작용하는 힘을 감쇠시키기 위해 (어떤) 변형이 요망된다. 특히, 지지부(41, 42, 43, 44)는 특히 충돌로 야기되는 하중 발생 중에 특정 변형이 일어나 하중력이 그 변형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특별히 적응될 수 있다.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는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므로, 조절 장치를 위해 사용되는 조립 방법은 적절히 변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절 장치의 조립은 통상적으로 먼저 조절 기구, 스핀들 및 체결 브라켓의 형태로 된 유지 장치를 제1 요소 그룹으로 하고 또한 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 레일 쌍의 안내 레일을 제2 요소 그룹으로 하여 행해진다. 그런 다음, 체결 브라켓을 제1 안내 레일에 부착하고 또한 스핀들을 대응하는 스핀들 체결 브라켓을 통해 제2 안내 레일에 부착하기 위해 제1 요소 그룹을 제2 요소 그룹, 그래서 안내 레일 쌍에 삽입한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가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면, 이들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를 제1 안내 레일(10)에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조절 기구(2)가 제1 안내 레일(10)에 배치되기 전에 일어나는데, 이런 점은 제1 조립 방법과 관련하여 도 15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조립 단계에서, 지지부(41, 42, 43, 44)(도 15 에서 길이방향 지지부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음)는 제1 안내 레일(10)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그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의 배치 및 용접은 바람직하게는 예긴장(pretension)을 갖고 이루어지는데,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는 적절한 공구 수단에 의해 3개의 공간 방향(차량에서 의도되는 바와 같이 조립 중에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른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에 따른)으로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된다.
길이방향 지지부(41, 42, 43, 44)를 사용할 때(도 1 - 9 에 따른 실시 형태 참조요), 이 지지부(41, 42, 43, 44)는 짝을 지어 X 방향(길이 방향 축선(L)을 따르는) 및 Y 방향(길이 방향 축선(L)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가압되며 그래서 짝을 지어 서로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되며, 추가적으로 각 지지부(41, 42, 43, 44)는 Z 방향(길이방향 축선(L)을 가로지르는 수직 방향)으로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가압된다.
횡방향 지지부(51, 52)를 사용할 때는(도 10 - 14a,b 의 실시 형태 참조요), 지지부(51, 52)는 서로 쪽으로 가압되어 X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되며, 동시에 각 지지부(51, 52)는 Y 및 Z 방향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가압된다.
지지부(41, 42, 43, 44)는 제 자리에서 긴장하에서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된다.
제2 조립 단계에서, 조절 기구(2)가 제1 안내 레일(10)에 있는 지지부(41, 42, 43, 44) 사이에 배치된다. 제 3 조립 단계에서, 하부의 제2 안내 레일(11)을 길이 방향 축선(L)을 따라 제1 안내 레일(10) 상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제 4 조립 단계에서 스핀들(3)을 또한 안내 레일(10, 1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안으로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 삽입하여 지지부(41, 42) 사이에 통과시키고 조절 기구(2)에 배치하고 그 조절 기구(2) 안으로 삽입하며 또한 지지부(43, 44)에 더 통과시킨다. 마지막으로, 제 5 조립 단계에서는 스핀들(3)을 대응하는 스핀들 체결 브라켓(6)(도 15 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사용하여 하부의 제2 안내 레일(11)에 회전 안되게 연결한다.
조절 기구(2)에 스핀들(3)을 배치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스핀들(3)이 조절 기구(2)에 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의 제2 안내 레일(11)을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뒤쪽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핀들(3)을 스핀들 너트(23)(도 3 및 4 참조)와 결합시키기 위해, 스핀들(3)의 배치는 스핀들(3)이 자동적으로 조절 기구(2) 안으로 끌려 들어가도록 바람직하게는 이 스핀들 너트(23)를 구동시키고 이를 회전시켜서 행해진다.
이들 다른 조립 방향들은 도 15 에 도시되어 있다. 조절 기구(2)는 밑에서 수직 조립 방향(M1)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배치되지만, 제2 안내 레일(11)이 제1 안내 레일(10) 및 스핀들(3)에 조립되는 것은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르는 조립 방향(M2, M3)으로 일어난다. 스핀들(3)을 회전 안되게 하부의 제2 안내 레일(11)에 연결하기 위해 체결 브라켓(6)이 양측에서 구성체에 배치된다.
스핀들(3)을 밑에서 제1 안내 레일(10)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예컨대 도 6 에 도시된 종류에 따른 지지부(41, 42, 43, 44)가 하방에서 폐쇄되어 있어 스핀들(3)을 조립 방향(M3)으로 지지부(41, 42, 43, 44) 사이에 통과시켜야 할 때는, 도 15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조립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조립 방법은 도 10 - 14 에 도시된 종류의 지지부를 사용할 때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지지부(41, 42, 43, 44)가 스핀들(3)을 밑에서 배치하는 것을 불허하지 않으면, 도 16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변형된 조립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41, 42, 43, 44)는 여기서도 제1 작업 단계에서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고, 스핀들(3)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절 기구(2)가 이어서 제2 작업 단계에서 밑에서 조립 방향(M1)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배치된다. 제 3 작업 단계에서, 제2 안내 레일(11)을 제1 안내 레일(10) 상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제 4 작업 단계에서 스핀들(3)을 회전 안되게 체결 브라켓으로 제2 안내 레일(11)에 연결한다.
제2 변형예의 이점은, 스핀들(3)의 배치가 안내 레일(10, 11)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단순화된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안내 레일(10, 1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안으로 수고스럽게 끼우는 것은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를 제1 안내 레일(10)에 연결하기 위해 레이저 용접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면, 비용 효율적으로 간단하게 또한 쉽게 지지부(41, 42, 43, 44 또는 51, 52)를 제1 안내 레일(10)에 자동화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용접법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완전히 다른 실시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다른 형상과 다른 연장을 갖는 지지부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조절 장치의 사용은 차량의 좌석을 길이방향으로 조절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안내 레일들이 스핀들 기구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서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안내되는 다른 조절 장치에도 기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안내 레일쌍
10 제1 안내 레일
100 기부
101, 102 다리부
103, 104 가장자리부
11 제2 안내 레일
110 기부
111, 102 다리부
113, 114 가장자리부
141, 142, 143, 144 개구
151, 152, 153, 154 개구
2 조절 기구
20 하우징
21, 22 베어링 요소
23 스핀들 너트
230 내부 나사
24 구동 웜
3 스핀들
31 외부 나사
41, 42, 43, 44 지지부
41", 42" 지지부
410, 430 연결부
411, 421, 431, 441 형상 잠금부
412, 413 안착부
414 지지 영역
415 표면부
416 형상 잠금부
417 개구
418 아치형부
51, 52 지지부
510 연결부
511, 521 결합부
512, 522 형상 잠금부
515 개구
516, 526 표면부
517, 527 지지 영역
518, 528 플랩
519, 529 안착부
6 스핀들 체결 브라켓
A 공간
B 거리
I 내부 공간
L 길이방향 축선
M1, M2, M3 조립 방향
S 틈새

Claims (26)

  1. 2개의 차량 부품을 서로에 대해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로서,
    -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된 측방 다리부들로 형성되는, 제1 안내 레일,
    -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안내 레일,
    - 상기 제1 안내 레일의 다리부들 사이에 설치되고, 조절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스핀들 너트를 포함하는, 조절 기구,
    -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회전 안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핀들 너트가 회전될 때 상기 제1 안내 레일이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스핀들 너트와 결합하는, 스핀들, 및
    - 상기 조절 기구를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체결하는, 체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2)의 앞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조절 기구(2)의 뒤에서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 각각은 길이방향 축선(L)을 따르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부(415; 516, 526)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기부(100)에 용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51, 52) 각각은 길이방향 축선(L)을 가로지르는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지지 영역(517, 527)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51, 52) 각각은 조절 기구(2)와 대면하는 지지 영역(517, 527)의 일측을 통해 상기 조절 기구(2)를 평평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51, 52) 각각은 그들의 표면부(516, 526)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있는 개구(151, 152)에서 둘러싸이며,
    상기 표면부(516, 526)는 틈새(S)를 두고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할당된 개구(151, 152)에 배치되어, 조절 장치의 정상 작동 조건에서는 상기 표면부(516, 526)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지 않지만, 충돌로 인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변형 중에만, 또는 상기 지지부(51, 52)의 변형 중에만, 또는 상기 제1 안내 레일(10) 및 상기 지지부(51, 52)의 변형 중에만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와 접촉하게 되는,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이들 지지부(41, 42, 43, 44; 51, 52)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면 상기 조절 기구(2)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사이에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조절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 512, 522)를 가지며, 상기 형상 잠금부는 상기 기부(100)에 있는 개구(141, 142, 143, 144; 151, 152, 153, 154)와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기부(100)에 있는 개구(141, 142, 143, 144; 151, 152, 153, 154)와 결합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 각각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서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 512, 522)에 의해 형상 잠금 방식으로 지지되는, 조절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 512, 522)에서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는, 조절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각 경우 안착부(412, 413; 516, 526)를 통해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며, 상기 안착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41, 42, 43, 44; 51, 52)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안착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기부(100)에 안착되고, 또한 상기 안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 512, 522)와 서로 다른, 조절 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표면부(415; 516, 526)를 통해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기부(100)에 용접되는, 조절 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1, 52) 각각은 형상 잠금부(512, 522)를 가지며, 이 형상 잠금부는 제1 안내 레일(10)의 기부(100)를 통과하며 그 기부(100)를 넘어 바깥으로 돌출되는, 조절 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상기 조절 기구(2) 쪽으로 향하는 기부(100)의 내측면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다리부들(101, 102)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조절 기구(2) 쪽으로 향하는 기부(100)의 내측면에 용접되는, 조절 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3)은 개구(515)에서 지지부(51, 52)를 각각 통과하는, 조절 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1, 52) 각각은 표면부(416, 426)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2)에 평평하게 안착되며 또한 표면부(416, 426)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는, 조절 장치.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1, 52) 각각은 결합부(511, 521)를 포함하며, 이들 결합부는 지지 영역(517, 527)에 수직하게 또한 표면부(516, 526)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리고 제1 안내 레일(10)의 개구(151, 152)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 볼 때 결합부(511, 521)는 틈새(S)를 두고 상기 개구(151, 152)에 둘러싸여서, 조절 장치의 정상 작동 조건에서는 표면부(516, 526)가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에 안착되지만, 충돌로 인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변형 중에만, 또는 상기 지지부(51, 52)의 변형 중에만, 또는 상기 제1 안내 레일(10) 및 상기 지지부(51, 52)의 변형 중에만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101)와 접촉하게 되는, 조절 장치.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른 조절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를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체결하는 단계,
    -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사이에 조절 기구(2)를 삽입하는 단계, 및
    - 제1 안내 레일(10)에 제2 안내 레일(11)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절 장치 조립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지지부(41, 42, 43, 44; 51, 52)를 제1 안내 레일(10)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 적어도 하나의 형상 잠금부(411, 421, 431, 441; 512, 522)로 각각의 개구(141, 142, 143, 144; 151, 152, 153, 154)에 설치되며 또한 길이방향 축선(L)의 방향으로 긴장 상태로 되고,
    - 제1 안내 레일(10)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L)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긴장 상태로 되며, 그리고
    - 적어도 하나의 표면부(412, 413; 516, 526)로 제1 안내 레일(10)에 용접되는,
    조절 장치 조립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레이저 용접 또는 불활성 가스 용접으로 제1 안내 레일(1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41, 42, 43, 44; 51, 52)는, 필렛 용접부(fillet weld)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또는 관통 용접(welding through) 또는 불활성 가스 용접에 의해, 추가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제1 안내 레일(10)에 연결되는, 조절 장치 조립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기구(2)는 압입 끼워맞춤 또는 형상 끼워맞춤으로 지지부들(41, 42, 43, 44; 51, 52) 사이에 삽입되는, 조절 장치 조립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사이에 상기 조절 기구(2)를 삽입하기 전에, 스핀들(3)이 조절 기구(2)에 설치되고 또한 이 조절 기구(3)는 스핀들(3)과 함께 제1 안내 레일(10)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조절 기구(2)를 제1 안내 레일(10)의 다리부들(101, 102) 사이에 삽입한 후에 스핀들(3)이 조절 기구(2)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안내 레일(11)을 상기 제1 안내 레일(10)에 설치한 후에 상기 스핀들(3)이 조절 기구(2)에 배치되고 또한 제2 안내 레일(11)에 연결되는, 조절 장치 조립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27023312A 2010-02-11 2010-11-11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KR101441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1847A DE102010001847A1 (de) 2010-02-11 2010-02-11 Spindelgetriebe mit Verstärkung
DE102010001847.3 2010-02-11
EP2010005610 2010-09-01
WOPCT/EP2010/005610 2010-09-01
PCT/EP2010/067321 WO2011098161A1 (de) 2010-02-11 2010-11-11 Verstellvorrichtung mit einem an einer führungsschiene angeordneten verstellgetrie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01A KR20120123701A (ko) 2012-11-09
KR101441027B1 true KR101441027B1 (ko) 2014-09-17

Family

ID=4385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312A KR101441027B1 (ko) 2010-02-11 2010-11-11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180795B2 (ko)
JP (1) JP5719383B2 (ko)
KR (1) KR101441027B1 (ko)
CN (2) CN105365606B (ko)
CZ (1) CZ308482B6 (ko)
DE (1) DE112010005253B4 (ko)
WO (1) WO2011098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7329A1 (de) 2010-05-28 2011-12-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ängsführ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14201582A1 (de) 2014-01-29 2015-07-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Längsverstelleinrichtung zum Längsverstellen eines Fahrzeugsitzes
JP6554371B2 (ja) *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US10843591B2 (en) 2016-01-19 2020-11-24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Gear assembly for a seat adjuster
US10486554B2 (en) 2016-09-08 2019-11-26 Fisher & Company, Inc. Power seat length adjust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953772B2 (en) 2016-09-08 2021-03-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Open architecture power length adjust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66956B2 (en) 2016-09-08 2023-09-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Open architecture power length adjust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73506B2 (en) 2016-09-08 2022-03-15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Open architecture power length adjust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6224512A1 (de) * 2016-12-08 2018-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Fahrzeugsitzanordnung mit einer bodenschienenseitig angeordneten Antriebseinrichtung
DE102017117534A1 (de) 2017-08-02 2019-02-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itzschienen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zur Fahrzeugsitzverzögerung im Crashfall
US11584261B2 (en) 2019-01-09 2023-02-2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Power seat track assembly
US11760233B2 (en) 2019-02-20 2023-09-1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Ultra-compact power length adjuster with anti-back drive capability and pinion-rack output for a vehicle seat
DE102020102867A1 (de) * 2019-10-02 2021-04-08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US11485255B2 (en) 2020-05-01 2022-11-01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Gearbox for vehicle seat adjustment mechanism
US11529892B2 (en) 2020-05-01 2022-12-20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Gearbox for vehicle seat adjustment mechanism
US11420536B2 (en) 2020-06-09 2022-08-2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hicle seat gearbox bracket
CN114406619B (zh) * 2022-01-27 2024-01-26 苏州亿创特智能制造有限公司 用于滑轨的承载件的生产方法及生产线
CN114870506B (zh) * 2022-04-20 2023-08-25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一种空间环境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9374A2 (de) * 1995-08-18 1997-02-26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Sitze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7059744A1 (de) 2007-12-07 2009-06-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Getriebebaueinheit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5740A1 (de) 1968-06-14 1972-01-05 C Rob Hammersein Gmbh Sitzverstelleinrichtung mit selbsthemmendem Verstellantrieb
JPH02296543A (ja) * 1989-05-12 1990-12-07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968565B2 (ja) 1990-06-27 1999-10-25 株式会社日立テレコムテクノロジー Isdn回線を用いた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2153Y2 (ja) * 1990-09-26 1995-03-22 池田物産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641814B2 (ja) 1991-07-16 1997-08-2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状況表示方法
JP2501242Y2 (ja) * 1991-10-31 1996-06-12 池田物産株式会社 パワ―シ―トスライド装置
DE19815283C2 (de) 1998-04-06 2000-07-13 Brose Fahrzeugteile Spindel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DE19861100B4 (de) 1998-04-06 2004-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pindel- oder Schnecken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US5941494A (en) * 1998-08-25 1999-08-24 Meritor Automotive Canada Inc. Inertial lock assembly for a seat track
DE19942973B4 (de) 1999-09-09 2004-09-30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Crashenergieabsorption
EP2123502B1 (de) * 2001-03-05 2012-08-22 IMS Gear GmbH Einrichtung für eine Sitzlängsverstellung, insbesondere innerhalb eines Kfz
DE10139631B4 (de) 2001-08-11 2005-09-15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60316483T2 (de) 2002-01-23 2008-07-03 Delta Kogyo Co. Ltd. Motorisch verstellbarer Fahrzeugsitz
DE10230514B4 (de) 2002-07-06 2004-10-14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US7048244B2 (en) 2003-01-29 2006-05-23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trac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337475A1 (de) 2003-08-08 2005-03-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53245A1 (de) 2003-11-13 2005-06-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pindelgetriebeaufnahme für eine Kraftfahrzeugsitz-Verstelleinrichtung sowie Verstell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FR2872747B1 (fr) * 2004-07-07 2008-05-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mecanisme de reglag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e telle glissiere
KR100587687B1 (ko) * 2004-07-27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과 그 장치
DE102005001333A1 (de) * 2005-01-11 2006-07-27 Ims Gear Gmbh Getriebe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US7407214B2 (en) * 2005-01-18 2008-08-0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adjusting assembly including lead screw and mounting attachment
FR2882975B1 (fr) * 2005-03-14 2008-10-10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FR2882974B1 (fr) * 2005-03-14 2008-11-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a vis, glissier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e reglag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JP4661316B2 (ja) * 2005-04-08 2011-03-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428282B2 (ja) 2005-04-22 2010-03-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043385B2 (ja) * 2006-08-24 2012-10-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装置
DE102006049809B4 (de) 2006-10-17 2015-09-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Verstellgetriebes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DE102006049807A1 (de) 2006-10-17 2008-04-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52936A1 (de) 2006-11-08 2008-05-15 Ims Gear Gmbh Längsverstelleinheit für Sitze, insbesondere in Kraftfahrzeugen
FR2908698B1 (fr) 2006-11-22 2009-08-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a verrouillage pendulaire pour siege de vehicule.
DE102007023329A1 (de) 2007-05-16 2008-11-20 Ims Gear Gmbh Getriebe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eine Kfz-Verstelleinrichtung, mit Spielausgleich
DE202007011851U1 (de) 2007-08-21 2009-01-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einrichtung mit einem Haltewinkel
FR2926263B1 (fr) 2008-01-10 2010-01-22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telle glissiere.
FR2926264B1 (fr) 2008-01-11 2010-06-04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JP5465868B2 (ja) * 2008-11-28 2014-04-0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DE102010001847A1 (de) * 2010-02-11 2011-08-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96450 Spindelgetriebe mit Verstärk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9374A2 (de) * 1995-08-18 1997-02-26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Sitze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7059744A1 (de) 2007-12-07 2009-06-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Getriebebaueinheit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EP2070761A2 (de) * 2007-12-07 2009-06-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Getriebebaueinheit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4704A1 (en) 2016-04-28
WO2011098161A1 (de) 2011-08-18
CN102834294B (zh) 2015-11-25
US9180795B2 (en) 2015-11-10
DE112010005253A5 (de) 2013-05-02
CZ308482B6 (cs) 2020-09-16
DE112010005253B4 (de) 2024-03-14
JP5719383B2 (ja) 2015-05-20
CZ2012546A3 (cs) 2012-09-19
KR20120123701A (ko) 2012-11-09
US20130025388A1 (en) 2013-01-31
CN105365606B (zh) 2017-12-05
US10300812B2 (en) 2019-05-28
CN102834294A (zh) 2012-12-19
CN105365606A (zh) 2016-03-02
JP2013519552A (ja)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027B1 (ko)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US9045061B2 (en) Vehicle seat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US6915998B2 (en)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US7441823B2 (en) Tether rou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3842208A (zh) 车辆用座椅
US20130313814A1 (en) Seat belt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US20230264650A1 (en) Vehicle seat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seat structure
CN105416122A (zh) 车辆座椅
KR20210022648A (ko) 바닥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600191B1 (ko) 차량용 시트 레일
KR101676600B1 (ko) 모터 비히클용 시트 조정 장치의 드라이브
CN103930307B (zh) 具有焊接的横轴的座椅
US6582023B2 (en) Vehicle seat with a side carrier and a buckle
US20030075911A1 (en) Rollover prot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585248B1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US20130026328A1 (en) Seat raiser for spacing a seat rail from the vehicle floor
JP5388271B2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101755389B1 (ko) 차량 시트용 등받이 조절 장치 및 차량 시트
US20130241252A1 (en) Motor vehicle rear seat
JP4272583B2 (ja) シー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544551U (zh) 一种滑轨总成
JP2010119583A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CN117396362A (zh) 交通工具用座椅
JP6451490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