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61B1 - 탱크용 고무 쿠션 - Google Patents

탱크용 고무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61B1
KR101436761B1 KR1020137000918A KR20137000918A KR101436761B1 KR 101436761 B1 KR101436761 B1 KR 101436761B1 KR 1020137000918 A KR1020137000918 A KR 1020137000918A KR 20137000918 A KR20137000918 A KR 20137000918A KR 101436761 B1 KR101436761 B1 KR 10143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ubber
shaft member
inner shaft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424A (ko
Inventor
유야 가와치
히데키 마에하시
다카시 후루사와
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04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상하 방향에서의 충분히 큰 지지 스프링 강성과 수평 방향에서의 저스프링 특성의 부여를, 구조의 복잡화나 부품 점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탱크용 고무 쿠션을 제공하는 것.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에 삽입 통과된 이너축 부재 (12) 에는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 가 외삽되어 있고, 각 분할 통상 고무 (14) 에는, 플랜지부 (38, 28) 와 지지부 (18) 의 축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 와, 이너축 부재 (12) 와 지지부 (18) 의 축직각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통상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분할 통상 고무 (14) 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에는 둘레 상에서 부분적으로 직경 치수가 상이해져 둘레 방향으로 요철상 부분 (48, 50) 이 형성되어 있고, 요철상 부분 (48, 50) 에 있어서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과 지지부 (18) 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 (52, 54) 이 존재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탱크용 고무 쿠션{TANK RUBBER CUSHION}
본 발명은, 연료 탱크를 차량 보디에 대해 방진 지지시키는 탱크용 고무 쿠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료 탱크를 차량 보디에 대해 지지시키기 위해서, 탱크용 고무 쿠션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7108호 (특허문헌 1) 에 나타내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탱크용 고무 쿠션에는, 탱크 내의 연료의 안정 공급을 실현하거나 연료 탱크 자체의 변위에 의한 진동이 차량 보디의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방진 지지 성능이 요구됨과 함께,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유동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들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지지 스프링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수평 방향에서의 저스프링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구조의 탱크용 고무 쿠션에서는, 탄성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특성을 조절하고 있지만,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무 탄성체의 압축 변형에 수반하는 스프링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 의 탱크용 고무 쿠션에서는,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에서 목적으로 하는 스프링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7108호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 과제는, 상하 방향에서의 충분히 큰 지지 스프링 강성과 수평 방향에서의 저스프링 특성의 부여를, 구조의 복잡화나 부품 점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탱크용 고무 쿠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연료 탱크를 복수 지점에 있어서 차량 보디에 대해 방진 지지시키는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차량 보디의 일방에 고정되는 이너축 부재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연료 탱크와 그 차량 보디의 타방에 형성된 지지부에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착 구멍에 그 이너축 부재가 삽입 통과 배치되어 그 지지부의 축 방향 양측에 그 플랜지부가 각각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그 이너축 부재에는 2 개의 분할 통상(筒狀) 고무가 축 방향으로 마주보고 외삽되어 있고,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축 방향 외측 부분에는 그 이너축 부재의 그 플랜지부와 그 지지부의 축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형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에는 그 지지부의 그 장착 구멍에 대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비집고 들어가 그 이너축 부재와 그 지지부의 축직각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통상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는 둘레 상에서 부분적으로 직경 치수가 상이해져 둘레 방향으로 요철상 부분이 형성되어, 그 요철상 부분에 있어서 그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과 그 지지부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의하면, 분할 통상 고무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가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있는 점에서, 축 방향에서는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 성분이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양태의 탱크용 고무 쿠션을 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딱딱한 스프링이 용이하게 설정되어, 연료 탱크와 차량 보디 사이에 입력되는 상하 방향에서의 진동에 대해, 우수한 감쇠 효과가 발휘된다. 게다가, 연료 탱크의 변위에 수반하는 연료의 연료 탱크 내에서의 이동이 억제되어, 연료가 엔진에 대해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추가로, 축 방향에서는,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 압축 변형이 지배적이 되는 점에서, 분할 통상 고무의 내하중성도 유리하게 확보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한편, 분할 통상 고무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요철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이너축 부재와의 사이에 축직각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으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와의 사이에 축직각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축직각 방향의 진동 입력시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요철상 부분의 요철이 연장되도록 (평탄화되도록) 변형함으로써, 전단 스프링 성분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비교적 부드러운 스프링을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탱크 내에 수용된 연료의 유동음이, 차량 보디측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실 공간에 있어서의 정숙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양태의 탱크용 고무 쿠션은, 1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이너축 부재에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를 장착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고, 부품 점수도 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조가 용이함과 함께, 차량의 경량화나 컴팩트화에도 이바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의 각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축 방향의 선단면에 있어서 서로 맞닿는 상태로 맞대어져 있는 것이다.
제 2 양태에 의하면, 축 방향에 있어서, 축 방향 방진 고무부의 축 방향에서의 압축 스프링에 더하여,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축 방향에서의 압축 스프링이 이용되어, 축 방향에서의 스프링을 보다 딱딱하게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축 방향의 하중이 분산 지지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향상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의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두께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 3 양태에 의하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둘레 상에 있어서 국소적인 응력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제 1 ∼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직경 치수가 변화되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 4 양태에 의하면, 둘레 방향에서 연속하여 직경 치수가 변화하도록 요철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요철상 부분의 형성 부위에 있어서의 응력의 집중이 회피되어, 응력이 둘레 상에서 분산하여 미쳐진다. 그러므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있어서 균열의 발생 등이 회피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로서, 제 4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상기 요철상 부분이, 각각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직경 치수가 변화되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제 1 파상 만곡부와 안쪽으로 볼록한 제 2 파상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제 1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이 그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 맞닿고 또한 그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과 함께, 그 제 2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이 그 내주면에 있어서 그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고 또한 그 외주면에 있어서 그 지지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제 5 양태에 의하면, 탱크용 고무 쿠션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에서 이너축 부재와의 사이에 내주측의 간극이 형성됨과 함께, 제 2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에서 지지부와의 사이에 외주측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써, 축직각 방향의 진동 입력시에,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전단 스프링 성분을 이용한 부드러운 스프링 특성이 실현되어, 연료의 유동음의 전달 저감 작용 등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제 1 ∼ 제 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방진 고무부에는, 그 축 방향 내측 단면에 개구하여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기단 부분을 따른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6 양태에 의하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기단 부분에 있어서, 고무 표면의 자유 길이가 크게 확보되어, 변형이나 응력의 집중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있어서 우수한 내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제 1 ∼ 제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는, 적어도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있어서 서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 7 양태에 의하면, 어느 일방의 분할 통상 고무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응력이 치우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어느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도 우수한 내구성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 형성된 축 방향 방진 고무부의 압축 스프링 성분에 의해, 축 방향에서의 높은 스프링 상수가 실현되어, 내하중 성능이나 연료 탱크의 변위 제한 작용 등이 유효하게 얻어진다. 한편, 축직각 방향에서는, 이너축 부재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요철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전단 스프링 성분에 의한 낮은 스프링 상수가 실현되어, 유동음의 전달 저감 작용 등이 유효하게 발휘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탱크용 고무 쿠션을 차량 장착 상태에서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2 의 III-III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탱크용 고무 쿠션을 구성하는 분할 통상 고무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분할 통상 고무의 본체 금구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V-V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와는 별도의 분할 통상 고무의 플랜지 금구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VII-VII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낸 탱크용 고무 쿠션의 차량 장착 상태에 있어서, 주요 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로 된 탱크용 고무 쿠션의 일 실시형태로서,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지지에 사용되는 탱크용 고무 쿠션 (10) 을 나타내고 있다. 탱크용 고무 쿠션 (10) 은, 이너축 부재 (12) 에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가 장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너축 부재 (12) 가, 차량 보디측의 장착편 (16) 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정됨과 함께, 연료 탱크측에 형성된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에 삽입 통과되어,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를 개재하여 연료 탱크에 대해 간접적으로 장착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연료 탱크가 차량 보디에 의해 방진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료 탱크는, 복수의 탱크용 고무 쿠션 (10) 에 의해 차량 보디에 대해 복수 지점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원칙적으로 차량 장착 상태에 있어서 대략 연직 상하 방향이 되는 도 1 중의 상하 방향을 말한다. 또한, 좌우 방향이란, 원칙적으로 차량 장착 상태에 있어서 대략 수평 좌우 방향이 되는 도 1 중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축 부재 (12) 는, 서로 별체의 본체 금구 (22) 와 플랜지 금구 (24) 를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체 금구 (22) 는, 철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나 경질의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고강성의 부재로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통상부 (26) 의 하단에서부터 축직각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측 플랜지부 (28) 가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통상부 (26) 의 축 방향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단차 (30) 가 형성되어 있고, 통상부 (26) 에 있어서 단차 (30) 를 사이에 둔 상측이 소직경 통부 (32) 로 되어 있음과 함께, 단차 (30) 를 사이에 둔 하측이 대직경 통부 (34) 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 (26) 의 중심 구멍은, 축 방향 중간 부분이 부분적으로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 (26) 가 하측 플랜지부 (28) 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차량 장착 상태에 있어서, 차량 보디측의 장착편 (16) 으로의 장착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하측 플랜지부 (28) 가 얇게 됨으로써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통상부 (26) 의 상단 부분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외경 치수가 작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플랜지 금구 (24) 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 금구 (24) 는, 고리형의 부재로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연결 통부 (36) 의 상단으로부터 축직각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상측 플랜지부 (38) 가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금구 (24)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얇은 대략 원고리판 형상을 갖는 금속판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 내주 부분에 연결 통부 (36) 를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체 금구 (22) 의 소직경 통부 (32) 가, 플랜지 금구 (24) 의 연결 통부 (36) 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그것들 본체 금구 (22) 와 플랜지 금구 (24) 가 연결 고정되어, 이너축 부재 (12) 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너축 부재 (12) 에 있어서는, 하측 플랜지부 (28) 와 상측 플랜지부 (38) 가 축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금구 (22) 의 단차 (30) 와 플랜지 금구 (24) 의 연결 통부 (36) 의 하단면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본체 금구 (22) 및 플랜지 금구 (24) 의 치수 오차가 허용되어, 설치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어 있다.
이 이너축 부재 (12) 는, 지지부 (18) 에 형성된 장착 구멍 (20) 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하측 플랜지부 (28) 가 지지부 (18) 에 대해 축 방향 하방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측 플랜지부 (38) 가 지지부 (18) 에 대해 축 방향 상방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 이너축 부재 (12) 에 있어서의 통상부 (26) 및 연결 통부 (36) 는,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그것들 이너축 부재 (12) 와 지지부 (18) 가 직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있다.
또, 지지부 (18) 와 하측 플랜지부 (28) 사이에 분할 통상 고무 (14a) 가 배치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부 (18) 와 상측 플랜지부 (38) 사이에 분할 통상 고무 (14b)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분할 통상 고무 (14a) 와 분할 통상 고무 (14b) 는, 서로 대략 동일 또한 상하 역전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분할 통상 고무 (14a) 가 본체 금구 (22) 에 외삽됨과 함께, 분할 통상 고무 (14b) 가 플랜지 금구 (24) 에 외삽되어,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즉, 분할 통상 고무 (14) 는, 도 2, 도 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원고리 형상을 갖는 고무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 통상 고무 (14) 는, 축 방향 외측 부분을 구성하는 대략 원고리 형상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 와, 축 방향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통상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2,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분할 통상 고무 (14b) 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분할 통상 고무 (14a) 와 대략 동일 또한 상하 역전된 형상인 점에서,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b) 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는, 둘레 방향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고무 탄성체로서, 축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를 갖고 있음과 함께, 직경 방향으로도 비교적 두껍게 되어 있다. 또,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의 내주면에는, 축직각 방향에서 안쪽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립 (44) 이 일체 형성되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에는, 상면으로 개구하는 오목홈 (46) 이 형성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가, 하측 플랜지부 (28) 와 지지부 (18) 사이에 배치 형성됨과 함께, 분할 통상 고무 (14b)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b) 가, 상측 플랜지부 (38) 와 지지부 (18) 사이에 배치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는,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의 내주 부분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 (분할 통상 고무 (14a) 에 있어서의 상방) 을 향하여 돌출하는 통상의 고무 탄성체로서,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는,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에 비하여 직경 방향으로 얇게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의 절반 이하의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너축 부재 (12) 와 지지부 (18) 의 직경 방향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의 오목홈 (46) 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기단 부분을 따라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외주면과 오목홈 (46) 의 내벽면이, 단차부나 굴곡부 등을 갖지 않고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또,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는, 그 내경 및 외경이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도 4 에 나타낸 평면시에 있어서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는,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해지고 또한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제 1 파상 만곡부 (48) 와,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오목해지고 또한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제 2 파상 만곡부 (50) 가,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0 개의 제 1 파상 만곡부 (48) 와 10 개의 제 2 파상 만곡부 (50) 가, 둘레 방향에서 1 개씩 교대로 또한 매끄럽게 연속한 상태에서 일체 형성되어 있고, 그것들 제 1, 제 2 파상 만곡부 (48, 50) 에 의해 요철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직경 방향 치수는, 내경과 외경의 양방이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두께 치수 : t 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두께 치수 : t 가 일정하다는 것은, 두께 치수가 엄밀하게 변화하지 않는 경우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변형이나 응력의 과도한 집중이 회피되는 범위에서, 두께 치수의 요동 (변화) 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두께 치수 : t 는, 둘레 상에서 10 % 정도의 증감 (변화) 으로 억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두께 치수 : t 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분할 통상 고무 (14a) 는, 이너축 부재 (12) 의 본체 금구 (22) 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전체적으로 대략 원고리 형상으로 된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중심 구멍에 대해, 본체 금구 (22) 의 통상부 (26) 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분할 통상 고무 (14a) 가 통상부 (26) 의 대직경 통부 (34) 에 외삽된다. 이로써, 분할 통상 고무 (14a) 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본체 금구 (22) 의 대직경 통부 (34) 에 대해 비접착으로 위치 결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4, 도 5 참조),
한편, 분할 통상 고무 (14b) 는, 플랜지 금구 (24) 의 연결 통부 (36) 에 장착되어 있다. 즉, 분할 통상 고무 (14a) 와 동일한 대략 원고리 형상으로 된 분할 통상 고무 (14b) 의 중심 구멍에 대해, 플랜지 금구 (24) 의 연결 통부 (36) 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로써, 분할 통상 고무 (14b) 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플랜지 금구 (24) 의 연결 통부 (36) 에 대해 비접착으로 위치 결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6, 도 7 참조),
그리고,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 금구 (22) 와 플랜지 금구 (24) 가 서로 설치됨으로써, 탱크용 고무 쿠션 (1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와, 분할 통상 고무 (14b)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b) 의 축 방향 사이에는, 연료 탱크측의 지지부 (18) 가 사이에 끼워져 있고, 그것들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각각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이너축 부재 (12) 가 지지부 (18) 에 대해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너축 부재 (12) 가 볼트에 의해 차량 보디측의 장착편 (16) 에 고정됨으로써, 연료 탱크가 차량 보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가,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지지부 (18) 에 꽉 눌러져 있고, 그것들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가 축 방향으로 미리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의 변형에 의해,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에 형성된 오목홈 (46) 이 대부분 소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의 축 방향에서의 압축 변형시에, 내주측으로의 팽출이 오목홈 (46) 에 의해 허용되고 있음으로써, 설치시에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에 대해 미쳐지는 변형이나 응력이 저감되고 있다.
또한, 분할 통상 고무 (14a) 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의 상단면과, 분할 통상 고무 (14b) 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의 하단면이, 축 방향으로 맞닿아져 있고, 그것들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축 방향으로 어느 것도 미리 압축되어 있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의 돌출 선단면에 있어서의 맞닿음 면적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둘레 방향으로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방향에 따라 변화한다. 그곳에 있어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돌출 선단면에 있어서의 맞닿음 면적의 최소치 : Smin 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의 돌출 선단면의 전체 면적 : Smax 에 대한 백분율이, 40 % 이상 또한 6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Smin 이 Smax 에 반하여 지나치게 작으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에 있어서 응력의 집중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에 의한 맞닿음 상태의 의도하지 않는 해제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Smin 이 Smax 에 대하여 지나치게 크면, 후술하는 간극 (52, 54) 의 크기가 불충분해져, 축직각 방향에서의 저스프링 작용이 충분히는 발휘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가 둘레 방향으로 9°만큼 상대 회전한 경우의 맞닿음 면적 : Smin 이, Smax 에 대해 백분율로 대략 50 % 로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맞닿음 면적은,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최대 맞닿음 면적의 50 % 이상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 에는, 분할 통상 고무 (14a) 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9°만큼 상대 회전한 분할 통상 고무 (14b) 가, 2 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의 돌출 선단면의 전체 면적 : Smax 는,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과 지지부 (18) 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의 축 방향 투영 면적 : Sμ 에 대해, 백분율로 50 % 이상 또한 80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max 가 Sμ 에 대해 60 % 이상 또한 70 % 이하로 설정된다. 만일, Smax 가 Sμ 의 50 % 보다 작으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두께 치수가 지나치게 작아져, 그것들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맞닿을 때에, 일방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타방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42a) 에 비집고 들어가, 그것들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에 입력되는 변형이 현저하게 커질 우려가 있다. 한편, Smax 가 Sμ 의 80 % 보다 크면 간극 (52, 54) 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축직각 방향에서의 저스프링 작용이 충분히는 발휘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max 가 Sμ 에 대해 백분율로 66.5 % 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8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의 제 1 파상 만곡부 (48) 는, 그 정점 부분에 있어서, 내주면이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 d 만큼 이격되어 있음과 함께, 외주면이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중첩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도 1,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는, 제 1 파상 만곡부 (48) 의 내주면과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 사이에, 내주측의 간극 (52) 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너축 부재 (12) 및 지지부 (18) 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의 제 2 파상 만곡부 (50) 는, 그 정점 부분에 있어서, 내주면이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중첩되어 있음과 함께, 외주면이 지지부 (18) 의 장착 구멍 (20) 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 d 만큼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는, 제 2 파상 만곡부 (50) 의 외주면과 지지부 (18) 의 내주면 사이에, 외주측의 간극 (54) 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너축 부재 (12) 및 지지부 (18) 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간극 (52, 54) 을 크게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측의 간극 (52) 의 직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와, 외주측의 간극 (54) 의 직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가, 서로 동일한 크기 (d) 로 되어 있지만,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b) 의 맞닿음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너축 부재 (12) 와 지지부 (18) 의 직경 방향 사이의 이격 거리 : D 에 대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두께 치수 : t 와, 간극 (52, 54) 의 직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 : d 의 비율이, 적당하게 (예를 들어, d<t<4d.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d<t<3d) 설정될 필요가 있다. 만일,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두께 치수 : t 가 지나치게 크면, 후술하는 전단 스프링 성분을 이용한 저스프링 작용이 잘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간극 (52, 54) 의 직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 : d 가 지나치게 크면,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선단면의 맞닿음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져, 맞닿음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탱크용 고무 쿠션 (10) 에 의하면, 상하의 플랜지부 (38, 28) 와 지지부 (18) 의 축 방향 사이에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가 끼워넣어져 있다. 그러므로, 축 방향에서는, 그것들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의 압축 스프링 성분에 의해, 충분히 딱딱한 스프링 특성이 실현되어, 우수한 내하중 성능이나 진동 감쇠 성능이 실현된다.
또한,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는, 상하의 플랜지부 (38, 28) 와 지지부 (18) 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미리 압축되어 있다. 이로써,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0a, 40b) 의 압축 방향에서의 스프링이 보다 높게 설정된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각 돌출 선단면끼리가, 축 방향으로 맞닿아져 있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축 방향으로 미리 압축되어 있다. 이로써,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스프링의 축 방향 성분으로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축 방향에서의 압축 스프링 성분이 이용되어, 하중 지지 성능이나 고감쇠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이 도모된다.
게다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기단부의 외주측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오목홈 (46)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축 방향에서의 압축 변형에 수반하는 축직각 방향으로의 팽출이, 각 오목홈 (46) 을 소실시키도록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가 변형됨으로써, 허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에 설치에 의한 변형이나 응력이 미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한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가 얇은 통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제 2 파상 만곡부 (48, 50) 를 구비한 둘레 방향으로 물결 형상으로 되어, 차량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이너축 부재 (12) 와의 사이에 내주측의 간극 (52)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부 (18) 와의 사이에 외주측의 간극 (5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직각 방향에서의 진동 입력시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에 있어서, 제 1, 제 2 파상 만곡부 (48, 50) 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변형함으로써, 전단 스프링 성분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축직각 방향에서의 스프링 상수가 억제된다.
또, 축직각 방향으로 입력된 진동이 현저하게 큰 진폭을 갖는 경우에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가, 진동 입력 방향 일방의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까지 변형됨과 함께, 타방의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지지부 (18) 의 내주면을 따른 형상까지 변형된다. 그 결과,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가 이너축 부재 (12) 와 지지부 (18) 사이에서 압축되어,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의 압축 스프링 성분에 기초하여, 우수한 내하중성이나 스토퍼 작용, 고감쇠 효과 등이 발휘된다.
게다가, 제 1 파상 만곡부 (48) 의 정점 부분이 지지부 (18)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음과 함께, 제 2 파상 만곡부 (50) 의 정점 부분이 이너축 부재 (12) 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그러므로, 간극 (52, 54) 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전단 스프링 성분을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어, 축직각 방향에서의 저스프링화가 도모된다.
또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는, 어느 것도 제 1 파상 만곡부 (48) 와 제 2 파상 만곡부 (50) 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서, 둘레 방향에서의 고정밀한 위치 결정은 불필요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특히,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두께 치수 : t 와 간극 (52, 54) 의 최대 직경 치수 : d 가, 각각 적당하게 설정됨으로써,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방향에 상관없이, 선단면의 맞닿음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그러므로,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하지 않고,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축 방향에서 맞닿아져, 목적으로 하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 제 1 파상 만곡부 (48) 와 제 2 파상 만곡부 (50) 는, 어느 것도 둘레 방향으로 매끄럽게 또한 연속적으로 직경 치수가 변화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에 있어서 국소적인 변형이나 응력의 집중이 방지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추가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a, 42b) 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두께의 차이에 의한 응력 집중도 방지되어,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 탱크용 고무 쿠션 (10) 에 있어서는,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전체가 서로 동일 형상이고, 또한 그것들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는 서로 상하 역전하여 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일 형상의 고무 탄성체에 의해 분할 통상 고무 (14a) 와 분할 통상 고무 (14b) 를 얻을 수 있어, 금형의 삭감이나 제조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통상 고무 (14a) 와 분할 통상 고무 (14b) 에 형상의 구별이 없는 점에서, 설치 방향에만 주위를 기울임으로써,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의 오설치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해 왔지만,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는, 서로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축 방향 방진 고무부와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중 어느 것 혹은 양방이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 (14a, 14b) 에 있어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형상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그로 인해, 일방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변형이나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얇게 된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2) 가, 요철상 부분을 구성하는 제 1 파상 만곡부 (48) 와 제 2 파상 만곡부 (50) 의 복수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요철상 부분은, 둘레 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직경 방향 일방향의 양측에 요철상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그것들 요철상 부분의 형성된 직경 방향이 축직각 방향에서의 주된 진동 입력 방향과 일치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요철상 부분으로서 제 1, 제 2 파상 만곡부 (48, 50) 가 연속하는 매끄러운 만곡 형상 대신에, 네모진 오목상 부분과 볼록상 부분을 갖는 요철상 부분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지지 구조에 사용되는 고무 쿠션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자동 이륜차나 디젤 기관차 등의 철도용 차량 등에 있어서 연료 탱크를 차량 보디에 지지시키는 탱크용 고무 쿠션에도 적용 가능하다.
10 : 탱크용 고무 쿠션
12 : 이너축 부재
14 : 분할 통상 고무
18 : 지지부
20 : 장착 구멍
28 : 하측 플랜지부
38 : 상측 플랜지부
40 : 축 방향 방진 고무부
42 :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
46 : 오목홈
48 : 제 1 파상 만곡부 (요철상 부분)
50 : 제 2 파상 만곡부 (요철상 부분)
52 : 간극
54 : 간극

Claims (7)

  1. 연료 탱크를 복수 지점에 있어서 차량 보디에 대해 방진 지지시키는 탱크용 고무 쿠션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차량 보디의 일방에 고정되는 이너축 부재에는 축 방향 양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연료 탱크와 그 차량 보디의 타편에 형성된 지지부에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착 구멍에 그 이너축 부재가 삽입 통과 배치되어 그 지지부의 축 방향 양측에 그 플랜지부가 각각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그 이너축 부재에는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가 축 방향으로 마주보고 외삽되어 있고,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축 방향 외측 부분에는 그 이너축 부재의 그 플랜지부와 그 지지부의 축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형의 축 방향 방진 고무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축 방향 내측 부분에는 그 지지부의 그 장착 구멍에 대해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비집고 들어가 그 이너축 부재와 그 지지부의 축직각 방향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통상의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 그 분할 통상 고무의 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한 두께 치수를 갖고, 그 내경 및 외경이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물결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것에 의해 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둘레 방향에 오목상 부분과 볼록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볼록상 부분과 그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 사이 및 그 오목상 부분과 그 지지부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또한 그 볼록상 부분에 있어서의 그 지지부에 대한 맞닿음부와 그 오목상 부분에 있어서의 그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에 대한 맞닿음부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로 설정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축직각 방향의 진동 입력시에 그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그 오목상 부분과 그 볼록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상 부분에 전단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용 고무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에 있어서의 각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축 방향의 선단면에 있어서 서로 맞닿는 상태로 맞대어져 있는 탱크용 고무 쿠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가,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직경 치수가 변화되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탱크용 고무 쿠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상기 요철상 부분이, 각각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직경 치수가 변화되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제 1 파상 만곡부와 안쪽으로 볼록한 제 2 파상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제 1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이 그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 맞닿고 또한 그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과 함께, 그 제 2 파상 만곡부의 정점 부분이 그 내주면에 있어서 그 이너축 부재의 외주면에 맞닿고 또한 그 외주면에 있어서 그 지지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탱크용 고무 쿠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방진 고무부에는, 그 축 방향 내측 단면에 개구하여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의 기단 부분을 따른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탱크용 고무 쿠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분할 통상 고무는, 적어도 상기 축직각 방향 방진 고무부에 있어서 서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는 탱크용 고무 쿠션.
  7. 삭제
KR1020137000918A 2010-10-29 2011-10-12 탱크용 고무 쿠션 KR101436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3546 2010-10-29
JP2010243546A JP5290260B2 (ja) 2010-10-29 2010-10-29 タンク用ゴムクッション
PCT/JP2011/005705 WO2012056635A1 (ja) 2010-10-29 2011-10-12 タンク用ゴムクッショ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24A KR20130046424A (ko) 2013-05-07
KR101436761B1 true KR101436761B1 (ko) 2014-09-01

Family

ID=4599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918A KR101436761B1 (ko) 2010-10-29 2011-10-12 탱크용 고무 쿠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57800B2 (ko)
EP (1) EP2573422B1 (ko)
JP (1) JP5290260B2 (ko)
KR (1) KR101436761B1 (ko)
CN (1) CN103097764B (ko)
WO (1) WO2012056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030B2 (ja) * 2013-02-13 2017-06-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緩衝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機用タンク支持構造
JP6204117B2 (ja) * 2013-08-26 2017-09-2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緩衝具
JP6388787B2 (ja) * 2014-04-28 2018-09-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ストッパ部材及び防振装置
WO2016013054A1 (ja) * 2014-07-22 2016-01-28 株式会社ウェルリサーチ 緩衝装置
CN104265830A (zh) * 2014-09-13 2015-01-07 天津齐明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减震胶墩
JP2016138564A (ja) * 2015-01-26 2016-08-04 Nok株式会社 グロメット組付構造
DE102015201467A1 (de) * 2015-01-28 2016-07-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raftstofftank
JP6510839B2 (ja) * 2015-03-16 2019-05-08 住友理工株式会社 樹脂製給油口
JP2016176557A (ja) * 2015-03-20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振構造体及び制振ワッシャ
WO2019039310A1 (ja) * 2017-08-24 2019-02-28 Nok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N108099574B (zh) * 2017-12-21 2023-08-22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机动车悬置抵震器
CN107906151A (zh) * 2017-12-27 2018-04-13 南通鸿图橡塑有限公司 一种带阻尼功能的客梯减震垫
KR101982179B1 (ko) * 2018-04-30 2019-08-28 주식회사 팔 동력인출장치 일체형 hst용 지지장치
CN109004793B (zh) * 2018-08-02 2020-04-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减震圈组件及具有其的电机
DE102019104386A1 (de) * 2019-02-21 2020-08-27 Vibracoustic Ag Schwingungstilger
JP2022092517A (ja) * 2020-12-10 2022-06-22 Toyo Tire株式会社 防振ブッシュ
CN112677756B (zh) * 2020-12-28 2023-01-17 航天重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油箱安装结构及矿车
CN216887238U (zh) * 2022-03-07 2022-07-05 上海峰飞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机减震结构及无人机
CN115013476A (zh) * 2022-03-25 2022-09-06 西安航天精密机电研究所 全温度范围内性能一致的防扭转减振系统及激光捷联惯组
CN115013477A (zh) * 2022-03-31 2022-09-06 西安航天精密机电研究所 一种三向等刚度惯组减振器
CN115013478A (zh) * 2022-03-31 2022-09-06 西安航天精密机电研究所 一种具有精密定位和防扭曲功能的减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0714U (ko) * 1971-04-26 1972-12-07
JPS636254U (ko) * 1986-06-30 1988-01-16
JP2008173990A (ja) 2007-01-16 2008-07-31 Hitachi Ltd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構造
US20100199800A1 (en) * 2009-02-09 2010-08-12 Denso Corporation Spring damper and acceleration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170A (en) * 1937-06-05 1939-01-17 Chrysler Corp Joint between body and frame
US2726081A (en) * 1952-01-07 1955-12-06 Baldwin Rubber Co Load supporting and vibration damping mounting
US2936141A (en) * 1957-09-23 1960-05-10 Illinois Tool Works Resilient mount
WO1981000606A1 (en) * 1979-08-31 1981-03-05 Caterpillar Tractor Co Mount to absorb shocks
JPS6277346A (ja) 1985-09-28 1987-04-09 Nippon Oil & Fats Co Ltd 新規なビスヒドロキシアルキルフエノン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光重合開始剤
JPS6277346U (ko) * 1985-10-31 1987-05-18
JPS636254A (ja) 1986-06-25 1988-01-12 Suzuki Motor Co Ltd 車両の変速コントロ−ル装置
JPH0730714Y2 (ja) * 1990-09-27 1995-07-12 金井 宏之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JPH0675848A (ja) 1992-05-22 1994-03-18 Nec Corp バッファの管理方式
JPH0730714A (ja) 1993-07-09 1995-01-31 Olympus Optical Co Ltd 固体撮像素子
US6065742A (en) * 1996-09-13 2000-05-23 Lord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tuned vibration absorber
US6164405A (en) * 1997-11-14 2000-1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ering gear box mounting structure
JP4116799B2 (ja) 2002-03-08 2008-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US7052183B2 (en) * 2004-06-15 2006-05-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e resilient mount
US7070157B2 (en) * 2004-06-17 2006-07-04 Basf Corporation Mount assembly
JP4690666B2 (ja) * 2004-06-25 2011-06-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防振支持構造
JP4648009B2 (ja) 2005-01-11 2011-03-09 山下ゴム株式会社 車両用部品の防振支持構造
US7748689B2 (en) * 2006-03-10 2010-07-06 Paulstra Crc Radially flexible bushing
JP2007314072A (ja) * 2006-05-26 2007-12-06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
JP4473902B2 (ja) 2007-09-10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防振部材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0714U (ko) * 1971-04-26 1972-12-07
JPS636254U (ko) * 1986-06-30 1988-01-16
JP2008173990A (ja) 2007-01-16 2008-07-31 Hitachi Ltd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構造
US20100199800A1 (en) * 2009-02-09 2010-08-12 Denso Corporation Spring damper and accele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6369A1 (en) 2012-12-27
EP2573422A4 (en) 2015-06-24
JP5290260B2 (ja) 2013-09-18
KR20130046424A (ko) 2013-05-07
EP2573422B1 (en) 2016-04-20
CN103097764B (zh) 2015-06-17
EP2573422A1 (en) 2013-03-27
WO2012056635A1 (ja) 2012-05-03
JP2012097770A (ja) 2012-05-24
US8857800B2 (en) 2014-10-14
CN103097764A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761B1 (ko) 탱크용 고무 쿠션
JP3899836B2 (ja) 筒型ゴムマウント
US9027912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5759328B2 (ja) 防振装置
JP5913848B2 (ja) トルクロッド
KR101648427B1 (ko) 다이나믹 댐퍼
JP6343535B2 (ja) 筒型防振装置
JP2006234046A (ja) 防振装置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JP3858908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
CN107921862B (zh) 微型剪切毂双环隔离器
WO2015045041A1 (ja) 筒型防振装置
JP2018021580A (ja) 筒形防振装置
JP4724614B2 (ja) 防振装置
WO2012132105A1 (ja) 防振装置
JP2014066297A (ja) 筒型防振装置
JP5396252B2 (ja) 筒形防振装置
JP6182077B2 (ja) 筒形防振装置
JP2009030664A (ja) アッパーサポート組付体及びその組付方法
JP2009216135A (ja) 自動車用筒形防振装置
JP2023135328A (ja) 筒形防振装置
JP2024005275A (ja) 筒形防振装置
JP2021089051A (ja) ブラケット付き筒型防振装置
JP5950452B2 (ja) マフラーサポート
CN113771577A (zh) 一种新型悬架系统消音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