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63B1 -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63B1
KR101420463B1 KR1020097015659A KR20097015659A KR101420463B1 KR 101420463 B1 KR101420463 B1 KR 101420463B1 KR 1020097015659 A KR1020097015659 A KR 1020097015659A KR 20097015659 A KR20097015659 A KR 20097015659A KR 101420463 B1 KR101420463 B1 KR 10142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ine
cross
groove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924A (ko
Inventor
아키오 후지타
후사키 가지오
나오유키 쓰치야
겐타 아사히나
사토루 고야지마
유키 오바
Original Assignee
니신 푸즈 인코포레이티드
마·마-마카로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27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01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13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32255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신 푸즈 인코포레이티드, 마·마-마카로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신 푸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0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면류의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큰 폭으로 단축하고, 또한, 조리 후의 외관, 식미 및 식감에 있어서 홈 없는 면과 손색이 없는 면류를 제공한다.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이거나, 또는,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인 면류로서,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복수의 홈이 차지하는 면적의 합계를, 면선의 횡단면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 혹은 타원 또는 횡단면의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의 면적의 20∼50%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GROOVED NOOD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선(麵線)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홈이 형성된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삶는 시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하여,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절개부분이나 홈을 형성한 면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소화58-175459호(특허문헌 1)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0-6172호(특허문헌 2) 참조.). 그리고, 그러한 1개의 쐐기형 홈을 가진 대략 원형 단면의 건면(乾麵)이, 실제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0-146161호(특허문헌 3)에는, 1개의 쐐기형 홈을 가진 대략 원형의 면에 대해서, 압출 성형된 면의 건조를 어느 조건하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면선의 강도를 향상시켜, 보다 깊은 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삶는 시간을 더 단축하는 것이나, 쐐기형 홈의 선단부를 곡면으로 함으로써 면선의 구부러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2001-17104호(특허문헌 4)에는, 중심에 심(芯)이 남은 양호한 식감을 얻을 수 있는 빨리 삶기로 스파게티를 얻기 위해서, 면선의 세로방향으로, 원형 단면의 직경에 대해 20∼30%의 깊이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홈을 균등한 간격으로 4개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2-200155호(특허문헌 5)에는,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으로서, 상기 장방형의 단변의 치수에 대한 장변의 치수가 1.5∼4배이며, 상기 장방형의 2개의 단변의 중앙부에 면선의 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는 서로 대칭의 1쌍의 홈을 면선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갖고, 상기 홈의 개구폭이 단변의 치수의 20∼50%이며, 상기 홈의 깊이가 장변의 치수의 30∼45%인 홈 형성 압출 면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갖는 누들 형상 파스타는, 단면이 4.0mm×2.0mm의 장방형의 것으로는, 삶기 완료되는 시간이, 홈 없는 경우에 15분 걸리는 것을 6∼7분에, 3.0mm×1.5mm의 장방형의 것으로는, 홈 없는 경우에 12분 걸리는 것을 4∼5분에 단축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58-175459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0-6172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0-146161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104호
특허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2-200155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각종 어느 면류 중, 스파게티의 건면을 예로 설명하면, 절개부분이나 홈이 없는 스파게티의 건면에서는, 조리시간으로서, 뜨거운 물이 끓을 때까지의 시간과 삶는 시간으로 십 몇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자렌지로 스파게티를 삶는 경우에도, 동일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것에 대해, 면에 절개부분이나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홈이 없는 면보다는 삶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0에, 시판되는 홈이 형성된 면(麵)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10의 홈이 형성된 면(100)은, 직경(X100)의 대략 원형의 단면(102)을 갖고, 그 1개소에 단면의 반지름보다 약간 깊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V자형의 홈(104)을 갖고 있다. 도 10중, N1 및 N2는, 단면(102)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홈이 형성된 면은, 홈 없는 면에 대해서 삶는 시간이 최대 1/2로 단축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홈이 형성된 면의 삶는 시간은, 아직도 직경 1.7mm의 스파게티로 5분, 직경 1.5mm의 스파게티로 3분을 필요로 하고, 조리시간으로서는, 뜨거운 물이 끓을 때까지의 시간과 삶는 시간으로 10분 정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요즈음은, 용기에 파스타와 물을 넣고, 전자렌지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파스타를 삶는 것도 행하여지지만, 상기의 홈이 형성된 면을 전자렌지로 조리하는 경우는, 7∼10분 정도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 이상의 삶는 시간의 단축은, 아직도 실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류의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큰 폭으로 단축하고, 또한, 조리후의 외관, 식미 및 식감에 있어서 홈 없는 면과 손색이 없는 면류, 및 그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면선(麵線)의 횡단면(橫斷面)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혹은 타원의 원호이거나, 또는,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인 면류로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홈의 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 혹은 타원, 또는, 상기 횡단면의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의 면적의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홈의 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 혹은 타원, 또는, 상기 횡단면의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의 면적의 3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홈에 인접하는 상기 면선의 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두께와, 상기 홈의 개구폭과의 비가, 1.0:0.7∼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그 대향하는 2개의 장변(長邊)으로부터 상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대향하는 2개의 단변(短邊)으로부터 상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단변이 1.0mm∼2.0mm, 장변이 2.0mm∼6.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이 장방형 혹은 대략 장방형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그 대향하는 2개의 장변으로부터 상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가, 상기 횡단면의 단변의 길이의 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횡단면의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이,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엇갈리게 3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상기 홈 형성 방향의 길이의 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중심을 향하여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다른 형태로서,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인 면류로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홈 형성 면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또 다른 형태로서,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인 면류로서, 상기 횡단면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2개의 홈을 갖고, 상기 홈의 각각은, 상기 면선의 내부를 향하여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로부터 개구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횡단면의 상기 홈 형성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의 1/2보다 큰 홈 형성 면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홈이 V자형인 경우에, 상기 선단부의 각도가 20도∼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홈에 인접하는 상기 면선의 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두께와, 상기 홈의 개구폭과의 비가, 1.0: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선의 횡단면은, 그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홈 형성 면류는, 성형된 생면(生麵)을, 포화수증기 또는 과열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한 후, 습도 조절 건조하여 얻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이며, 또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생면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한 상기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하고, 상기 열처리한 상기 생면을 습도 조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면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류의1/3 정도 또는 그것 이하로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조리 후의 외관, 식미 및 식감에 있어서 홈 없는 면과 손색이 없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1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2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3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4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5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6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7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8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9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홈이 형성된 면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 면(麵)
12, 22, 32, 42, 52, 62, 72, 82, 92, 102 : 단면(斷面)
14, 16, 24, 26, 34, 36, 44, 54, 64, 66, 74, 76, 78, 84, 86, 94, 104 : 홈
이하, 본 발명의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도시하는 적합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면의 기재에 따라서 상하좌우라 부른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형태인 홈 형성 면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1 실시형태인 면(10)의, 면선의 세로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횡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면(10)에 있어서, 그 단면(12)은, 직경(X1)의 원에, 위쪽으로부터 1개의 V자형의 홈(14) 및 상기 홈(14)을 사이에 두고 아래쪽으로부터 2개의 V자형의 홈(16,16)을 마련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면(10)은, 도 1중 아래쪽의 2개의 홈(16,16)의 사이의 면선을, 홈(16,16)의 외측의 개구 끝단을 이은 선과 거의 같은 위치로 잘라낸 형상이 되어 있다. 단면(12)의 주외형은 직경(X1)의 원이고, 단면(12)의 최대지름인 직경(X1)은 1.2mm∼3.0mm이다.
면(1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14) 및 홈(16,16)이 막혀, 식사 전에는 단면이 거의 원형이 된다.
면(10)의 단면(12)에 있어서, 3개의 홈(14) 및 홈(16,16)은,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단면(12)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도 1에서는, 중심을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그은 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면(12)에 있어서, 홈(14)은, 예각의 선단각 P11을 갖고, 그 선단을 면(10)의 내부로 향하여, 바깥둘레측으로 넓어지는 V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홈(16,16)은, 예각의 선단각 P12를 갖고, 그 선단이 면(10)의 내측으로 향하며, 바깥둘레측으로 넓어지는 V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홈(14)의 2개의 변이 각각, 홈(16)의 대향하는 변과 대략 평행이 되고 있고, 홈(14)과 홈(16)과의 사이의 두께부(A3)가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홈(16)의 바깥둘레측의 변은, 도 1의 예에서는 직선이지만, 도중의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서 둔각으로 굴곡시켜, 홈(16)과 바깥둘레와의 사이의 두께(A1)를 작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홈(14) 및 홈(16,16)은, 모두, 단면(12)의 중심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고, 단면(12)을 선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안정된 제조성을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삶기 완료된 면의 단면 형상을 대략 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으로 할 수 있어, 면(1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홈(14) 및 홈(16,16)은, 모두, 단면(12)의 중앙보다 깊게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홈(14)의 깊이(T11) 및 홈(16)의 깊이(T12)는, 즉, 홈(14) 및 홈 (16)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단면까지의 수직선의 길이(T11 및 T12)는, 모두, 홈(14) 및 홈(16)의 형성방향(도 1중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12)의 길이의 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홈(14) 및 홈(16)을, 단면(12)의 중앙보다 깊게까지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홈 (14)의 선단부분의 두께(A4), 및, 홈(16)의 선단부분의 두께(A2)를 작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도 1에 있어서 A1으로 도시되는, 단면(12)의 원호와 홈(16)의 원호측의 변과의 사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면(1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14) 및 홈(16,16)이 막힌다. 따라서, 홈(14) 및 홈(16,16)의 각각은, 선단부를 경계로 하는 좌우의 변의 길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홈(14) 및 홈(16,16)의 좌우의 변의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홈(14) 및 홈(16,16)이 막혔을 때에, 단면(12)의 바깥둘레에 큰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어, 면(1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의 면(10)에서는, 홈(14)의 좌우의 변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홈(16)의 좌우의 변의 길이는 조금 다르지만, 그 차이는, 홈이 닫혔을 때에는 단차가 거의 생기지 않는 정도이다.
단면(12)에 있어서, 면선부분의 두께에 대한 홈부분의 폭의 비는, 1.0:0.7∼1.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말하면, 홈(14)에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A3)와, 홈(14)의 개구부의 폭(W11)과의 비가, 1.0:0.7∼1.3{개구폭(W11)이, 두께의 0.7∼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16)에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A1) 및, (A3)의 적어도 한쪽과, 홈(16)의 개구부의 폭(W12)과의 비가, 1.0:0.7∼1.3{개구폭(W12)이, 두께의 0.7∼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0.7배 이상으로 하는 것은, 0.7배 미만이면, 삶는 시간 단축 효과가 적기 때문이고,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1.3배 이하로 하는 것은, 1.3배를 넘으면, 다 삶아진 후에도 홈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삶는 시간 단축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어, 다 삶아진 후의 면의 홈은 거의 완전히 닫힌다.
홈(14) 및 홈(16,16)의 선단부의 각도(P11) 및 각도(P12)는, 20도∼45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P11) 및 각도(P12)를 2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은, 20도 미만에서는, 삶는 시간 단축 효과가 적기 때문이고, 45도 이하로 하는 것은, 45도를 넘으면, 홈(14) 및 홈(16,16)의 폭이 너무 커서 다 삶아진 후에도 홈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홈(14) 및 홈(16,16)의 선단부나 개구단부의 예각(銳角) 부분을 둥글게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면(10)의 단면(12)에 있어서, 홈(14) 및 홈(16,16)은, 그 면적의 합계가, 단면(12)의 주외형이 직경(X1)의 원의 면적, 즉,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 단면의 면적에 대해서, 그 20∼50%, 바람직하게는, 3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된다. 홈의 단면적을 주외형의 면적(가상 단면의 면적)의 20% 이상으로 하는 것은, 면(10)의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고, 30% 이상으로 하는 것은, 면(10)의 삶기 완료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확실하게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전자렌지에서의 단시간에서의 조리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홈의 단면적을 주외형의 면적의 50% 이하로 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면 (12)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제조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홈 (14) 및 홈(16,16)의 단면적의 합계는, 상기 범위에서도 특히, 35∼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조의 안정성과 삶는 시간의 단축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의 면(10)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2개의 홈(16,16) 사이의 면선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면선에 잘라낸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면(12)의 주외형인 직경(X1)의 원의 면적으로부터 상기 잘라낸 부분을 제외한 형상을,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 단면으로 하고, 그 가상 단면의 면적에 대해서, 홈(14) 및 홈(16,16)의 합계 면적이, 30∼50%가 되도록 설 정하면 좋다. 즉,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 단면'을 부여한 외형으로서는, 면선의 내측에 움푹 패임을 갖지 않는 바깥둘레 형상을 상정하면 좋고, 그 외형으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패이는 부분을 홈으로서 파악하면 좋다.
또한, 단면(12)에 있어서, 홈(16)과 단면(12)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의 두께 (A1), 홈(16)의 선단과 단면(12)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의 두께(A2), 홈(16)과 홈 (14) 사이의 두께(A3), 및 홈(14)의 선단과 단면(12)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의 두께 (A4)는, 모두,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적당한 식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면(12)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제조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0.8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확실하게 단축할 수 있어, 전자렌지에서의 단시간에서의 조리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단면(12)의 각 부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서도 특히, 0.5mm∼0.6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조의 안정성과 삶는 시간의 단축을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란, 제조적 견지에서 보아 면강도의 골격이 되는 주요한 부분의 두께를 의미하고, 홈을 형성한 것에 의해 생기는,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끝단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제조적 견지에서 보아 면강도의 골격이 되는 면의 주요부(중심부)에서는, 0.3mm 이상의 두께가 필요하지만,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끝단부는, 제조면에서의 면강도를 크게 좌우하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0.3mm 이하라도 상관없다.
바꾸어 말하면,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조면에서의 면강도를 크게 좌우하는 부분, 예를 들면 중심으로부터 구성 면적 약 80%의 부분을 주요부라고 부르고, 이 주요부에 있어서는, 두께를 0.3mm∼0.8mm로 하는 것의 의의가 크다. 그러나, 이 주요부보다 외측의, 예를 들면 구성 면적 약 20%(한쪽에서 약 10%)의 끝단부에 있어서는, 두께는 상기 범위가 아니라도 문제는 없다.
면선부분의 두께는, 면(10)의 단면(12)에 있어서의 A3과 같이 2직선 사이에서 놓여진 부분에서는, 2직선간의 거리로 하고, A1 및 A4와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직선이고 다른쪽이 곡선 또는 굴곡점인 부분에서는, 곡선 또는 굴곡점으로부터 직선으로 내린 수직선의 길이로 하고, A2와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곡선이고 다른쪽이 굴곡점의 경우에는, 그들 거리의 최소치로서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면선부분의 두께는, 단면 형상의 중앙선, 즉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바깥가장자리의 중앙의 점을 연결한, 선을 취하고, 이 중앙선에 세운 수직선의 단면내의 길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면선부분의 두께, 즉 A1∼A4로 나타낸 단면(12)의 각 부의 두께는, 그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면(10)의 각 부의 두께를 대략 균등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다 삶아졌을 때 균질한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면(10)은, 단면(12)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작기 때문에, 삶는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된다. 예를 들면, 직경 1.5mm∼1.7mm 상당한 스파게티의 건면이면, 홈 없는 면에서는 삶는 시간이 5분∼8분인데, 단면(12)을 갖는 본 발명의 면(10)에서는 삶는 시간을 1분∼3분 정도로까지 단축할 수 있다. 전자렌지로 조리시에는, 면 중량에 대해서 약 2배량의 물을 사용하고, 3∼5분에 식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면(10)은, 단면(12)의 전체에 있어서 두께의 변화가 작고, 균등하기 때문에, 다 삶았을 때에 면 전체를 균등한 굳기로 할 수 있어, 양호한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면(10)에 형성된 홈(14) 및 홈(16,16)은, 다 삶아졌을 때 때에 홈이 완전하게 닫히고, 또한, 닫힌 부분에 큰 단차도 없는,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홈(14) 및 홈(16,16)을 대략 V자형으로 하고 있지만, 홈(14) 및 홈(16,16)은, 선단부를 경계로 하는 좌우의 변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U자형으로 해도 좋다. 홈을 U자형으로 하는 경우에도, 면류의 단면을, 선단부의 각도의 조건을 적용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의 V자형의 경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2 실시형태인 면(20)의, 면선의 세로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횡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면(20)은, 그 단면(22)이, 장축이 X2이고 단축이 Y2의 타원으로, 위쪽으로부터 1개의 U자형의 홈(24)을, 홈(24)을 사이에 두고 아래쪽으로부터 2개의 U자형의 홈(26,26)을 마련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면(22)의 주외형은 장축이 X2이고 단축이 Y2의 타원이며, 단면(22)의 최대지름인 지름 X2는, 1.2mm∼ 3.0mm이다.
면(2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24) 및 홈(26,26)이 막히고, 식사전에는 단면이 거의 원형의 면이 된다.
홈(24) 및 홈(26,26)은, U자형 모양인 점에서 도 1의 면(10)에 있어서의 홈 (14) 및 홈(16,16)과 다르지만, 그 배치는, 도 1의 면(10)에 있어서의 홈(14) 및 홈(16,16)의 배치와 같고, 깊이(T21,T22), 및, 개구폭(W2)은, 도 1의 면(10)에 대해 설명한 깊이(T11,T12), 및, 개구폭(W11,W12)의 바람직한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홈(24) 및 홈(26)각각의 양 변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면 (20)에서는, 홈(26)의 깊이(T22)는, 홈(26)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부의 중앙까지의 길이를 취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단면(22)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각 부의 두께(B1∼B6)는, 0.3mm∼0.8mm의 범위로 되어 있다.
면(20)의 단면(22)에 있어서, 홈(24) 및 홈(26,26)은, 그 면적의 합계가, 단면(22)의 주외형인 타원의 면적, 즉,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 단면의 면적에 대해서, 그 20∼50%, 바람직하게는 3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면(20)은, 단면(22)에 있어서 홈(24) 및 홈(26,26)이 차지하는 비율을 상기범위로 한 것에 의해, 또한, 각 부의 두께 B1∼B6을 0.3mm∼0.8mm의 범위로 한 것에 의해, 상술의 면(10)과 같이, 제조시에 있어서는 안정된 제조에 필요한 면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리시에 있어서는 삶는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홈의 형상에 의해,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3 실시형태인 면(30)의, 면선의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면(30)은, 그 단면(32)이, 직경(X3)의 원에 8방향으로부터 단면(32)의 중심을 향하여 8개의 V자형의 홈(34,36)을 마련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면(32)의 주외형은 직경(X3)의 원이고, 직경(X3)은, 1.2mm∼3.0mm이다. 한편, 홈의 형상은, U자형으로 해도 좋다.
깊이(T31)의 홈(34)은,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고, 홈(34)보다 얕은, 깊이(T32)의 홈(36)은, 홈(34)의 사이에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홈(34)과 4개의 홈(36)의 각각은, 단면(32)의 중심을 통과하는 45도 빗금의 직선상에 홈의 중앙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홈(34)과 홈(36)의 중심각은 같아도 달라도 좋다.
홈(34) 및 홈(36)의 깊이(T31 및 T32)는, 단면(32)의 직경(X3)의 1/2보다 작지만, 대향하는 2개의 홈(34,34) 또는 홈(36,36)의 깊이의 합계는, 단면(32)의 직경(X3)의 1/2보다 크다. 또한, 중심부분의 두께(C1) 및 바깥둘레부분의 C2를 포함한 주요부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되어 있다.
면(30)의 단면(32)에 있어서, 홈(34) 및 홈(36)은, 그 면적의 합계가, 단면 (32)의 주외형인 원의 면적, 즉,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단면의 면적에 대해서, 그 20∼50%, 바람직하게는 3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홈(34)의 개구폭(W31) 및 홈(36)의 개구폭(W32)은, 인접하는 면선의 두께(C2)에 대해서 0.7∼1.3배의 범위로 되어 있다. 홈(34) 및 홈(36)의 각각의 양 변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면(3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34) 및 홈(36)이 막히고, 식사전에는 단면이 거의 원형의 면이 된다. 이러한 면(30)은, 단면(32)에 있어서 홈(34) 및 홈(36)이 차지하는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한 것에 의해, 또한, 각 부의 두께(C1,C2)를 0.3mm∼0.8mm의 범위로 한 것에 의해, 상술의 면 (10)과 같이, 제조시에 있어서는 안정된 제조에 필요한 면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리시에 있어서는 삶는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홈의 형상에 의해,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의 변형예로서, 4개의 홈(34)과 4개의 홈(36)의 각각을, 단면(32)의 중심을 통과하는 소정 각도 간격의 16개의 직선상에 각 홈의 변이 오도록 배치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4 실시형태인 면(40)의, 면선의 세로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횡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면(40)에 있어서, 그 단면(42)은, 단변(X4), 장변(Y4)의 장방형이며, 2개의 장변으로부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합계 3개의 U자형의 홈(44)이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1개의 홈(44)이 아래쪽으로부터 형성되고, 그 홈(44)을 사이에 두고 위쪽으로부터 2개의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홈(44)은, 면(40)의 면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3개의 홈(44)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단면(42)의 단변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홈(44)은, 장변(Y4)의 중앙을 통과하는 선에 대해서 선대칭 으로 배치되어 있다.
면(4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44)이 막히고, 식사전에는 단면이 홈이 없는 장방형(정방형을 포함한다)이 된다.
면(40)의 단면(42)에 있어서, 복수의 홈(44)은, 그 면적의 합계가, 단변(X4)과 장변(Y4)을 갖는 장방형의 면적, 즉, 면(40)에 홈을 형성하지 않았던 경우의 가상 단면의 면적에 대해서, 그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홈(44)의 수가 2개의 경우나 4개 이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홈의 단면적을 횡단면의 장방형의 면적의 20% 이상으로 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면(40)의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확살하게 단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자렌지에서의 단시간에서의 조리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홈의 단면적을 주외형의 면적의 50% 이하로 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면(4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제조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홈(44)의 단면적의 합계는, 상기 범위에서도 특히, 30∼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조의 안정성과 삶는 시간의 단축이 밸런스 좋게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면(40)의 단변(X4)이 1.0mm∼2.0mm이고, 장변(Y4)이 2.0mm∼6.0mm의 경우에는, 면선의 횡단면(42)에 있어서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중, 단면(42)의 왼쪽 절반 부분으로 대표시켜 구체적으로 말하면, 홈(44)과 면(40)의 외표면과의 사이의 두께(D1∼D3,D5,D6)나, 2개의 홈 (44)의 사이의 두께(D4)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서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면(42)의 각 부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서도 특히, 0.5mm∼0.6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면선부분의 두께는, 면(40)의 단면(42)에 있어서의 D1 및 D4와 같이 2직선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서는, 2직선간의 거리로 하고, D3, 및 D6과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직선이고 다른쪽이 곡선 또는 굴곡점의 부분에서는, 곡선 또는 굴곡점으로부터 직선으로 내린 수직선의 길이로 하고, D3 및 D와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곡선이고 다른쪽이 굴곡점의 경우에는, 그들 거리의 최소치로서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면선부분의 두께는, 단면 형상의 중앙선, 즉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바깥가장자리의 중앙의 점을 연결한 선을 취하고, 이 중앙선에 세운 수직선의 단면내의 길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면선부분의 두께, 즉 D1∼D6으로 나타낸 단면(42)의 각 부의 두께는, 그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면(40)의 각 부의 두께를 대략 균등하게 하는 것에 의해, 삶기 완료되었을 때 균질한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홈(44)의 깊이(T4), 즉, 홈(44)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단면까지의 수직선의 길이(T4)는, 단변(X4)의 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홈(44)은, 단면(42)의 중앙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홈(44)을, 단면 (42)의 중앙보다 깊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홈(44)의 선단부분 의 두께(D3,D6,D7)를 작게 할 수 있고, 다른 부분의 두께와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면(4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44)이 막힌다. 따라서, 홈(44)은, 선단부를 경계로 하는 좌우의 변의 길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홈(44)이 막혔을 때에, 단면(42)의 바깥둘레에 큰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이, 면(4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면(42)에 있어서, 면선부분의 두께에 대한 홈부분의 폭의 비는, 1.0:0.7∼1: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말하면, 홈(44)에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D1 또는 D4)와, 홈(44)의 개구부의 폭(W4)과의 비가, 1.0:0.7∼1.3{개구폭(W4)이, 두께(D1 또는 D4)의 0.7∼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0.7배 이상으로 하는 것은, 0.7배 미만이면, 삶는 시간 단축 효과가 적기 때문이고,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1.3배 이하로 하는 것은, 1.3배를 넘으면, 삶기 완료된 후에도 홈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삶는 시간 단축 효과를 크게 할 수 있고, 삶기 완료된 후의 면의 홈은 거의 완전하게 닫힌다.
이상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면(40)은, 단면(42)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작기 때문에, 삶는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된다. 예를 들면, 단변 1.8mm, 장변 3.0mm의 누들 형상 파스타의 건면이면, 홈 없는 면에서는 삶는 시간이 13∼14분인데, 단면(42)을 갖는 본 발명의 면(40)에서는 삶는 시간을 3∼4분 정도로까지 단축할 수 있다. 전자렌지로 조리시에는, 면 중량에 대해서 약 2 배량의 물을 사용하고, 5∼6분에 식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면(40)은, 단면(42)의 전체에 있어서 두께의 변화가 작고, 거의 균등하기 때문에, 면 전체를 균등한 굳기로 삶을 수 있어, 양호한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면(40)에 형성된 홈(44)은, 삶기 완료되었을 때에 홈이 완전히 닫히고, 또한, 닫힌 부분에 큰 단차도 없는,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4의 면(40)에 있어서, 홈(44)의 개구단부의 예각 부분을 둥그스름하게 해도 좋다. 또한, 홈(44)은, 개구단부를 향해서 넓어지는 V자형 형상이라고 해도 좋고, 그 경우, V자형 형상의 선단을 둥그스름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4의 면(40)에서는, 같은 형상의 홈(44)을 복수 형성하고 있지만, 한쪽의 장변에 형성하는 홈과 다른쪽의 장변에 형성하는 홈으로 형상을 다르게 해도 좋고, 3종류 이상의 다른 형상의 홈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면(40)의 단면(42)은,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홈 (44)을, 단면(42)이 선대칭인 형상이 되도록 배치하면, 면(40)의 보다 한층 안정된 제조성을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면(4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5 실시형태인 면(50)의, 면선의 세로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횡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면(50)에 있어서, 그 단면(52)은, 단변(X5), 장변(Y5)의 장방형이며, 2개의 장변으로부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합계 4개의 U자형의 홈(54)이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홈(54)은, 면(50)의 면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 다.
면(50)은, 단면(52)의 장방형의 단변(X5)과 장변(Y5)과의 차이가, 도 4의 면 (40)보다 크다. 이러한 면(50)에 있어서도, 홈(54)은, 단면(52)에 있어서의 면적의 합계가, 단면(52)의 장방형의 면적의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면(50)은, 단면(52)의 단변(X5)이 1.0mm, 장변(Y5)이 4.5mm이고, 바람직한 형태로서 면(50)의 면선의 횡단면(52)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두께(E1∼E7)가, 0.3mm∼0.8mm의 범위가 되도록, 홈(24)이 형성된다. 한편, 도 5에서는, 단면(52)의 전체를 대표하여 왼쪽 절반 부분에 대해 두께(E1∼E7)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홈(54)의 깊이(T5), 및 개구폭(W5)은, 도 4의 면(40)에 대해 설명한 깊이(T4), 및, 개구폭(W4)의 바람직한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홈(54)의 양변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면(50)은, 단면(52)에 있어서 홈(54)이 차지하는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한 것에 의해, 또는, 각 부의 두께(E1∼E7)를 0.3mm∼0.8mm의 범위로 한 것에 의해, 상술의 제 4 실시형태의 면(40)과 같이, 제조시에 있어서는 안정된 제조에 필요한 면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리시에 있어서는 삶는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홈의 형상에 의해,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6 실시형태인 면(60)의, 면선의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면(60)에 있어서, 그 단면(62)은, 단변(X6), 장변(Y6)의 장방형이며, 각 장변으로부터 면선의 내부로 향하여 V자형의 홈(64) 및 홈(66)이 1개씩, 상하로부터 엇갈리게,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홈(64) 및 홈(66)은, 모두 면 (60)의 면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홈(64) 및 홈(66)은, 단변(X6)에 평행한 선으로부터 각도를 갖고,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홈(64)과 홈(66)과의 대향하는 변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홈(66)의 깊이(T62)는, 홈(64)의 깊이(T61)보다 깊지만, 어느 홈도, 선단이 단변(X6)의 1/2보다 깊은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T61 및 T62는, 홈(64) 및 홈(66)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부의 중앙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홈(64) 및 홈(66)은, 이 T61 및 T62의 길이가 아니라, 장변 (Y6)에 수직인 방향의 깊이가, 단변(X6)의 1/2보다 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66)은, 단면(62)의 중앙측에, 홈(64)은, 그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단면(62)은, 그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형상이 되어 있다.
면(60)에 있어서, 홈(64) 및 홈(66)은, 단면(62)에 있어서의 면적의 합계가, 단면(62)의 장방형의 면적의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면(60)의 단변(X6)은 1.0mm∼2.0mm, 장변(Y6)은 2.0mm∼6.0mm의 범위이고, 이 때, 면선의 횡단면(62)에 있어서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60)의 면선의 횡단면(62)에 있어서, 홈(64)과 면(60)의 외표면과의 사이의 두께(F1∼F3), 홈(64)과 홈(66)과의 사이의 두께(F4), 홈(66)과 면(60)의 외표면과의 사이의 두께(F5), 2개의 홈(66,66)의 사이의 두께(F6)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0.3mm∼0.8mm의 범위가 되도록, 홈(64) 및 홈(6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면(62)은, 단면(62)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도형이므로, 도 6에서는, 단면(62)의 전체를 대표하여 왼쪽 절반 부분에 대해 두께(F1∼F6)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홈(64)의 개구부의 폭(W61)은,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F1 및 F4)의 각각, 또는 어느 한쪽에 대해서 0.7∼1.3배의 범위이고, 홈(66)의 개구부의 폭 (W62)은,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F4 및 F6)의 각각, 또는 어느 한쪽에 대해서 0.7∼1.3배의 범위이다.
홈(64) 및 홈(66)은, 그 양 변의 길이가 조금 다르지만, 홈이 닫혔을 때에는 단차가 거의 생기지 않을 정도의 차이이다.
면(60)의 단면(62)에 있어서, 홈(64) 및 홈(66)은, 그 면적의 합계가, 단면 (62)의 장방형의 면적의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제조시에 있어서는 안정된 제조에 필요한 면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조리시에 있어서는 삶는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의 두께(F1∼F6)를 0.3mm∼0.8mm의 범위로 한 것에 의해, 상기의 점에 있어서, 보다 한층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홈의 형상에 의해,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면(60)은, 점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조시에 있어서의 면의 강도 밸런스가 좋고, 삶기 완료되었을 때에 양호한 형상, 나아가서는 양호한 식미 및 식감이 얻어지는 점에서도 뛰어나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7 실시형태인 면(70)의, 면선의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면(70)에 있어서, 그 단면(72)은, 단변(X7), 장변(Y7)의 장방형의 4개의 모서리부를 둥그렇게 한,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주외형으로 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이 주외형은,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2개의 장변의 중앙 부근에는, 각각, 깊은 홈(74)과 얕은 홈(76)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홈(74,74)은, 대향하는 2개의 장변으로부터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홈(76,76)은, 대향하는 2개의 장변의 중앙부의 거의 같은 위치에, 넓고 얕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단변의 중앙부에는, 각각, 홈(78)이, 홈(74)과의 사이에 소정의 두께(G4)를 남기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단면(72)은, 그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도형이 되어 있다.
단면(72)에 있어서, 홈(74)은, 단면(72)의 장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단면 (72)의 내부로 향하여, 단면(72)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경사져서 홈(74)의 선단에 도달하는 변과, 그 경사진 변보다 외측{단면(72)의 장변의 끝단측}의 위치로부터 장변에 수직으로 단면(72)의 내부로 잘라들어가서, 도중에서 단면(72)의 중앙측으로 굴곡하여 홈(74)의 선단에 도달하는 변으로 이루어진다. 홈(74)의, 단면(72)의 장변에 수직인 깊이는 T71, 개구폭은 W71이다. 대향하는 2개의 장변에 형성된 2개의 홈(74,74)은, 단면(72)의 중앙측의 경사진 변끼리가 대략 평행이 되어 있고, 그 사이의 두께가 G7이다.
홈(74)의 깊이(T71)는, 그 선단이, 단면(72)의 단변(X7)의 1/2보다 깊은 위 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홈(74)의 개구부의 폭(W71)은,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 (G7)에 대해서 0.7∼1.3배의 범위로 되어 있다.
홈(74)의 선단의 각도(P71)는, 20∼9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도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삶을 때에 수분을 면선의 내부까지 침투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90도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삶기 완료될 때까지 홈(74)의 선단부를 닫히게 할 수 있다. 또한, 90도 이상의 선단 각도로 한 경우, 그대로 개구부까지 홈을 넓히면, 개구부에서 면선이 닫히기 어렵지만, 도 7의 홈(74)과 같이, 적어도 한쪽의 변을 굴곡시켜 열림폭을 억제하고, 개구폭(W71)을, 인접하는 면선부분의 두께(G7)에 대해 0.7∼1.3배의 범위로 두는 것에 의해, 수분을 침투시키기 쉽게 하면서, 삶기 완료될 때까지 홈(74) 전체를 닫게 할 수 있다. 홈(74)은, 양 변의 길이가 조금 다르지만, 그 차이는 홈이 닫혔을 때에는 단차가 거의 생기지 않을 정도이다.
홈(74)은, 단면(72)의 중앙측의 변을 단면(72)의 장변에 수직으로 하고, 외측의 변을 경사시킨 형상이라고 해도 좋다.
홈(78)은, 단면(72)의 단변의 중앙부로부터 단면(72)의 내측으로 향하여 형성된 대략 V자 형상의 홈이고, 그 깊이는 T72, 개구폭은 W72이다. 단면(72)에 있어서의 홈(78)의 2개의 변은, 도중에 굴곡되어 있고, 개구부측에서는 단면(72)의 단변에 수직인 선에 대해 경사 각도가 작고, 홈(78)의 선단부분에서는 그 경사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홈(78)에 있어서나, 홈(74)과 같이, 선단 각도(P72)를 20도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삶을 때에 수분을 면선의 내부까지 침투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홈(78)의 양 변을 굴곡시켜 개구부측에서의 열림폭을 억제하고, 개구 폭(W72)을, 인접한 면선부분의 두께(G1)에 대해서 0.7∼1.3배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수분을 침투시키기 쉽게 하면서, 삶기 완료될 때까지 홈(78) 전체가 닫히도록 하고 있다. 홈(78)은, 양 변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고, 홈이 닫혔을 때에는 단차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홈(76)은, 단면(72)의 2개의 장변의 중앙 부분이 타원 형상으로 잘라내져 있고, 그 깊이는 T73, 개구폭은 W73이다. 도 7의 예에서는, 홈(76)은, 장축을 W73, 단축을 T73으로 하는 타원 형상이다. 홈(76)의 깊이(T73)는, 단면(72)의 단변 길이 (X7)의 5∼15% 정도, 2개의 홈(76)을 합하여 10∼30% 정도이며, 홈(76)은, 극히 얕은 홈(오목부)이다. 홈(76)의 개구폭(W73)은, 단면(72)의 장변 길이(Y7)의 40% 정도이며, 홈(76)의 양단부의 위치, 2개의 단변으로부터 단면(72)의 중앙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2개의 홈(78)의 정점의 위치에 개략 일치하고 있다. 즉, 홈(76)은, 단면 (72)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홈(78)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면(70)에 있어서, 홈(74), 홈(76) 및 홈(78)은, 단면(72)에 있어서의 면적의 합계가, 단면(72)의 대략 장방형의 주외형의 면적의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면(70)의 단변(X4)은, 1.0mm∼2.0mm, 장변(Y4)은, 2.0mm∼6.0mm의 범위이며, 이 때, 면선의 횡단면(72)에 있어서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면(70)의 면선의 횡단면(72)에 있어서, 홈(78)과 면(70)의 외표면과의 사이의 두께(G1 및 G2), 홈(78)과 홈(76)의 사이의 두께(G3), 홈(78)과 홈(74)의 사이의 두께(G4), 홈(74)과 대향하는 홈(76)과의 사이의 두께(G5 및 G6), 2개의 홈(74,74)의 사이의 두께(G7)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0.3mm∼0.8mm의 범위가 되도록, 홈(74), 홈(76) 및 홈(7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면(72)은, 단면(72)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도형이므로, 도 7에서는, 단면(72)의 전체를 대표하여 왼쪽 절반 부분에 대해 두께(G1∼G7)를 도시하고 있다.
면(70)은, 단면(72)의 장변에 형성된 홈(74)에 더하여, 단변에 형성된 홈 (78)을 갖고 있다. 면(70)은, 삶았을 때에, 장변 방향으로도 단변 방향으로도 팽창하므로, 도 7의 면(70)과 같이, 장변의 홈과 단변의 홈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면(70)의 각 방향으로의 팽창을 이용하여, 삶기 완료된 후의 면(70)의 단면 형상을, 모든 홈이 깨끗하게 닫혀진 개략 장방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면(72)의 어스펙트비가 큰 형상의 경우에는 특히, 장변에만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단변에도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적은 홈수로 단면(72)의 두께를 소정 범위로 할 수 있어, 제조 안정성, 면의 강도, 삶기 완료된 형상, 식미 및 식감을, 보다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면(70)은, 단면(72)의 장변에 폭이 넓고 얕은 홈(76)을 갖고 있다. 이 홈(7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홈(78)의 선단부분과 단면(72)의 외표면{홈(76)}과의 사이의 두께(G3)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8 실시형태인 면(80)의, 면선의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면(80)은, 그 단면(82)의 주외형이, 도 7의 면(70)의 단면 (72)의 주외형과 같다. 즉, 단면(82)은, 단변(X7)과 동일한 X8, 장변(Y7)과 동일한 Y8의 장방형의 4개의 모서리부를 둥그렇게 한 형상을 주외형으로 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이 주외형은, 실선 및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면(82)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장변의 중앙부에는, 각각, 홈(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단변의 중앙부에는, 각각, 홈(86)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82)은, 단면(82)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인 도형이 되고 있고, 중심을 통과하는 단변에 평행한 선에 대해서도, 장변에 평행한 선에 대해서도 선대칭인 도형이 되고 있다.
홈(86)은, 도 7의 면(70)에 있어서의 홈(78)과 동일한 형상이다. 즉, 홈(86)은, 단면(82)의 단변의 중앙부로부터 단면(82)의 내측으로 향하여 형성된 대략 V자 형상의 홈으로, 그 2개의 변은 도중에서 굴곡하고 있다. 홈(82)의 선단 각도(P81), 개구폭(W81), 및 깊이(T81)는, 각각, 도 7의 면(70)에 있어서의 홈(78)의 선단 각도(P72), 개구폭(W72), 및 깊이(T72)와 동일하다.
홈(84)은, 단면(82)의 2개의 장변의 중앙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잘라내져 있고, 그 깊이는 T82, 개구폭은 W82이다. 홈(84)의 깊이(T82)는, 단면(82)의 단변 길이 X8의 25∼35% 정도, 2개의 홈(84)을 합하여 50∼70% 정도이다. 홈(84)의 개구폭(W82)은, 단면(82)의 장변 길이 Y8의 50% 정도이며, 홈(84)의 양단부는, 2개의 단변으로부터 단면(82)의 중앙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2개의 홈(86)의 선단부분의 굴곡점에 개략 일치하고 있다. 홈(84)은, 원호의 커브가, 홈(86)의 선단부분의 경사 각도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홈(84)과 홈(86)과의 사이에 대략 평행한 두께부 분(두께 H2)을 형성하고 있다.
면(80)에 있어서도, 홈(84) 및 홈(86)은, 단면(82)에 있어서의 면적의 합계가, 단면(82)의 대략 장방형의 주외형의 면적의 20∼50%를 차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면(80)의 단변(X8)은 1.0mm∼2.0mm, 장변(Y8)은 2.0mm∼6.0mm의 범위이며, 이 때, 면선의 횡단면(82)에 있어서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면(80)의 면선의 횡단면(82)에 있어서, 홈 (86)과 면(80)의 외표면과의 사이의 두께(H1), 홈(86)과 홈(84)의 사이의 두께 (E2), 2개의 홈(84,84)의 사이의 두께(H3 및 H4)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0.3mm∼0.8mm의 범위가 되도록, 홈(84) 및 홈(8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면(82)은, 단면(82)의 중심점 또는 중심을 통과하는 단변에 평행한 선에 대해 대칭인 도형이므로, 도 8에서는, 단면(82)의 전체를 대표하여 왼쪽 절반 부분에 대해 두께(H1∼H4)를 나타내고 있다.
면(80)에서는, 단면(82)의 장변에 폭이 좁고 깊은 홈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폭이 넓은 원호 형상의 오목부인 홈(84)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삶기 완료된 후의 면(80)의 단면 형상을, 정돈된 장방형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면(80)은, 그 성형 금형의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고, 면(80)의 제조 안정성도 높다. 또한, 상술한 도 7의 면(70)과 같이, 본 형태의 면(80)도, 단면(82)의 어스펙트비가 큰 형상의 경우에 특별히 적합하고, 적은 홈수로 단면(82)의 두께를 소정 범위로 할 수 있어, 면의 강도, 삶기 완료되었을 때의 형상, 식미 및 식감을, 보다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면선방향으로 3개, 4개, 또는 8개의 홈을 형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홈의 수는, 2개 이상, 몇 개이더라도 좋다. 어느 개수의 경우에도, 면선의 단면에 있어서의 홈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면선의 주외형의 면적의 20∼50%, 바람직하게는 30∼50%가 되도록 함으로써, 면류의 삶는 시간을 홈 없는 면보다 큰 폭으로 단축시키고, 또한, 조리 후의 외관, 식미 및 식감에 있어서 홈 없는 면과 손색이 없는 면류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의 제 9 실시형태인 면(90)의, 면선의 세로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횡단면)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면(90)은, 그 단면(92)이, 직경(X9)의 원을 폭(Y9)의 평행선으로 좌우 균등하게 재단하여, 폭(Y9)의 외측 부분을 잘라내고, 또한, 상부에 좌측으로부터, 하부에 우측으로부터, V자형의 홈(94a,94b)을 형성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단면(92)은, 최대지름이 직경(X9)이며, 주외형이 직경(X9)의 원호가 되고 있다. 직경(X9)은, 1.2mm∼3.0mm로 한다. 재단하는 평행폭(Y9)은, 면(90)의 삶은 단면이 대략 원형이 되도록, 직경(X9)의 원호를 1/2 이상 남기는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홈(94a,94b)은, 단면(92)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서로 인접하는 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중, J4는, 2개의 홈(94,94) 사이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홈(94,94)의 사이의 평행부에 있어서, 두께(J4)는 일정하다. 두께(J4)는, 0.3mm∼0.8mm의 범위로 설정된다.
한편, 두께(J4)가 0.3mm∼0.8mm의 범위이면, 홈(94) 및 홈(94)은, 그들 인접하는 변은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아도 좋지만, 도 9의 예와 같이, 홈(94) 및 홈(94)을, 그들 인접하는 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는 형태는, 두께(J4)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J4)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변화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홈(94a,94b)의 각각은, 단면(92)의 중앙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중, J3은, 홈(94a)의 선단과 폭(Y1)의 직선에 의한 잘라냄면과의 사이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홈(94a)과 홈(94b)은 점대칭인 형상이므로, 홈(94b)의 선단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도 마찬가지로 J13이다. 홈(94a,94b)의 깊이(T9), 즉, 홈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단면까지의 수직선의 길이(T9)는, 단면(92)의 홈 (94a,94b)의 형성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인 폭(Y9)의 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두께(J3)를 작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도 9에 있어서 J1 및 J2로 도시하는, 단면(92)의 원호와 홈(94a,94b)의 원호측의 변과의 사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두께(J3)는, 0.3mm∼0.8mm의 범위로 설정된다.
홈(94a,94b)의 선단부는 각도(P9)를 갖고, 원호측의 변이 도중에 둔각으로 굴곡하고 있다. 선단부측의 변과 원호와의 사이의 두께(J2)와, 굴곡부에 있어서의 두께(J1)는, 모두 0.3mm∼0.8mm의 범위로 설정된다.
한편, 두께(J1 및 J2)를 포함한, 홈(94a,94b)의 선단부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두께를 0.3mm∼0.8mm의 범위로 할 수 있는 것이면, 홈(94a,94b)의 원호측의 변은 굴곡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도 9와 같이, 홈(94a,94b)의 원호측의 변이 도중에 둔각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 홈(94a,94b)의 선단부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두께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홈 (94a,94b)의 원호측의 변은, 2개소 이상으로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J1∼J4로 나타낸 단면(92)의 각 부의 두께는, 0.3mm∼0.8mm의 범위로 되어 있다. 여기서,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은, 두께가 0.3mm 미만이면, 식감이 약하고, 또한, 강도가 작기 때문에 면(90)의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편,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를 0.8mm 이하로 하는 것은, 0.8mm를 넘으면, 삶는 시간이 길어져, 단시간에서의 전자렌지 조리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단면(92)의 각 부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서도 특히, 0.5mm∼0.6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조의 안정성과 삶는 시간 단축 양립의 밸런스가 가장 적당하게 되기 때문이다.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면선부분의 두께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적 견지에서 보아 면강도의 골격이 되는 주요한 부분의 두께를 의미하고, 홈을 형성한 것에 의해 생기는,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끝단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제조적 견지에서 보아 면강도의 골격이 되는 면의 주요부(중심부)에서는, 0.3mm 이상의 두께가 필요하지만,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끝단부는, 제조면에서의 면강도를 크게 좌우하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0.3mm 이하이더라도 상관없다.
바꾸어 말하면, 면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조면에서의 면강도를 크게 좌우하는 부분, 예를 들면 중심으로부터 구성면적 약 80%의 부분을 주요부라고 부르 고, 이 주요부에 있어서는, 두께를 0.3mm∼0.8mm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주요부보다 외측의, 예를 들면 구성 면적 약 20%(한쪽측에서 약 10%)의 끝단부에 있어서는, 두께는 상기 범위가 아니라도 좋다.
면선부분의 두께는, 면(90)의 단면(92)에 있어서의, J4와 같이 2직선 사이에 놓여진 부분에서는, 2직선간의 거리로 하고, J2 및 J3과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직선이고 다른쪽이 곡선 또는 굴곡점의 부분에서는, 곡선 또는 굴곡점으로부터 직선으로 내린 수직선의 길이로 하고, J1과 같이 바깥가장자리의 한쪽이 곡선이고 다른쪽이 굴곡점인 경우에는, 그들 거리의 최소치로서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면선부분의 두께는, 단면 형상의 중앙선, 즉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바깥가장자리의 중앙의 점을 연결한 선을 취하고, 이 중앙선에 세운 수직선의 단면내의 길이로 해도 좋다.
또한, 면선부분의 두께, 즉 J1∼J4로 나타낸 단면(92)의 각 부의 두께는, 그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면(90)의 각 부의 두께를 대략 균등하게 하는 것에 의해, 삶기 완료되었을 때 균질한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면(90)은, 삶아져 물을 흡수하여, 면선부분이 팽창하면서 변형하여 홈 (94a,94b)이 막힌다. 따라서, 홈(94a,94b)의 각각은, 선단부를 경계로 하는 좌우의 변의 길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홈(94a,94b)의 좌우의 변의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홈(94a,94b)이 막혔을 때에, 단면(92)의 바깥둘레에 큰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이, 면(9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홈(94a,94b)을 단면(92)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으로 형성하고, 단면 (12)을 점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안정된 제조성을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삶기 완료된 면의 단면 형상을 대략 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으로 할 수 있어, 면 (10)의 양호한 외관,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홈(94a,94b)의 선단부의 각도(P9)는, 20도∼7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P9)를 2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은, 20도 미만에서는, 삶는 시간 단축 효과가 적기 때문에, 70도 이하로 하는 것은, 70도를 넘기면, 홈(94a,94b)의 폭이 너무 커서 삶기 완료된 후에도 홈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홈(94a,94b)의 선단부는 둥그렇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단면(92)에 있어서는, 면선부분의 두께에 대한 홈부분의 폭의 비를 1.0:0.5∼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말하면, 홈(94a)애 인접하는, 홈(94a)의 양측의 면선부분중, 적어도 한쪽의 두께, 예를 들면 J4와, 홈(94a)의 개구부의 폭(W9)과의 비가, 1.0:0.5∼2.0{개구폭(W9)이, 두께 (J4)의 0.5∼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0.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은, 0.5배 미만이면, 삶는 시간 단축 효과가 적기 때문이고, 개구폭을 면선부분의 두께의 2.0배 이하로 하는 것은, 2.0배를 넘으면, 삶기 완료된 후에도 홈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면(90)은, 단면(92)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작기 때문에, 삶는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된다. 예를 들면, 직경 1.5mm∼1.7mm 상당의 스파게티의 건면이면, 홈 없는 면에서는 삶는 시간이 5분∼8분인데, 단면(92)을 갖는 본 발명의 면(90)에서는 삶는 시간을 1분∼3분 정도로까지 단축할 수 있다. 전자렌지로 조리시에는, 면 중량에 대해서 약 2배량의 물을 사용하고, 3∼5분에 식사 가능해진다.
또한, 면(90)은, 단면(92)의 전체에 있어서 두께의 변화가 작고, 거의 균등하기 때문에, 삶기 완료되었을 때 면 전체를 균등한 굳기로 할 수 있고, 양호한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면(90)에 형성된 홈(94a,94b)은, 삶기 완료되었을 때에 홈이 완전하게 닫히고, 또한, 닫힌 부분에 큰 단차도 없는,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의 예에서는, 홈(94a,94b)을 대략 V자형으로 하고 있지만, 홈 (94a,94b)은, 선단부를 경계로 하는 좌우의 변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U자형으로 해도 좋다. 홈을 U자형으로 하는 경우에도, 면류의 단면을, 선단부의 각도의 조건을 적용하지 않는 이외는, 상기의 V자형의 경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면(90)의 횡단면의 주외형을 1개의 원의 원호로 하고 있지만, 면선의 단면의 주외형은, 타원의 원호로 해도 좋다.
상기 제 9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홈을 형성하고, 또한, 2개의 홈을 단면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면 형상을 점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 형태는, 제조시에 있어서의 면의 강도 밸런스가 좋고, 삶기 완료시에 양호한 형상, 나아가서는 양호한 식미 및 식감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다른 예로서 홈을 3개 이상 형성해도 좋은 것은, 상술의 각 실시형태와 같다. 홈을 3개 이상 형성하는 경우에는, 홈을 단면이 서로 마주 보는 위치로 부터 교대로 형성하고, 홈의 치수 및 각 부의 두께의 치수를, 상술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 때, 단면 형상을 점대칭 또는 선대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생면, 한번 삶아 둔 국수면, 찐면, 건면, 즉석면 등, 각종의 면류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건면은, 생면 등에 비해서 삶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한 삶는 시간 단축의 효과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잡아늘임 성형하는 방법, 압연 성형한 것을 잘게 써는 방법, 압출성형하는 방법 등, 각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면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압출 다이의 형상을 면선의 횡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면 제조와 홈 형성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적용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잡아늘임 성형하는 방법이나 압연 성형 후 잘게 써는 방법의 경우에는, 면의 성형 후에 별도 홈 형성 공정을 마련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홈 형성 면류의 더 바람직한 형태, 및 본 발명의 제 2 형태인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홈 형성 면류를 건면에 적용하는 경우, 면의 품질을 더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그 건면의 제조는, 소정 형상의 생면을 성형한 후, 그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5∼60초간 열처리하고,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호화(糊化)}시켜, 그 후에, 습도 조절 건조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면선의 표면이란, 면선에 형성된 홈의 표면을 포함한, 면선의 전체 표면이다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한다는 것은, 면선의 전체를 α화하는 것이 아니라, 면선의 내부를 남기고, 표면측의 부분만을 α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면선의 단면에 있어서의 표면에서 단면 형상의 중심(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중앙선)까지의 길이(깊이)에 대해, 그 5∼20% 정도까지를 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선의 표면 근방을 α화해 두는 것에 의해, 식사를 위해서 가열할 때에, 면 표면으로부터의 전분 성분 등이 삶아져 녹는 것이 감소하므로, 면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삶아져 녹는 것이 감소함에 의해, 삶는 물의 양을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면선의 내부를 α화시키지 않고 남겨 두는 것에 의해, 파스타에 있어서는, 종래의 건조물 파스타를 조리했을 때와 같은 양호한 식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각종의 면류에 있어서 공통된다.
각종의 건조 면류에 대해서,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한 열처리를 5∼60초간 행하면,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할 수 있지만, 면류의 종류나 형상에 따라서,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를 사용하여, 5∼60초간 중에서, 면선의 단면적 중 표면으로부터 5∼20% 정도를 α화할 수 있는 시간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면류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하는 경우는, 처리 시간이 5∼60초간으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포화 수증기 혹은 과열 수증기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표면의 α화의 정도나 면의 외관, 상태(부착 등)에 큰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
포화 수증기에 의해서 열처리하는 경우는, 상압 또는 가압된 포화 증기를 사용하여, 상압하에서 처리하면 좋지만, 생면의 표면만을 보다 단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가압된 포화 증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증기압 1.8kg/cm2에서 121℃의 포화 수증기를 상압하(대기중)에서 5∼60초, 성형 후의 생면을 향해서 분사한다.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열처리하는 경우에는, 포화 수증기 처리에 비해, 증기의 습도가 낮기 때문에, 처리 후의 면의 표면이 약간 마른 기미가 되어, 열처리 후의 면선끼리의 부착이 억제되어, 면의 다루기(핸들링)가 좋아지는 특징이 있다. 면의 수분 함량이나 형상, 표면 상태에 의해 면선끼리가 부착하기 쉬운 것에 대해서는 과열 수증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70℃로 가열한 과열 수증기를 상압하(대기중)에서 5∼20초, 성형 후의 생면을 향해서 분사한다.
본 발명의 홈 형성 면류를 적용한 건면의 제조에 있어서, 생면의 형상은, 건면으로 했을 때에, 상술한 본 발명의 홈 형성 면류가 되도록 설정되면 좋다. 생면의 성형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생면의 성형 후, 성형한 면을 습도 조절 건조하고, 냉각하여, 건면의 제품으로 한다. 습도 조절 건조란, 습도를 유지하면서 면을 건조시키는 처리이다. 예를 들면, 파스타이면, 온도 70℃, 온도75%의 환경하에서 10∼15시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온도 습도 조절 환경하에서, 천천히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면의 표면이 금이 가는 것을 막아, 색미(色味)도 좋고, 외관이 좋은 건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면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각종 파스타, 소바, 우동, 라면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면류는, 종래의 면류와 같은, 통상의 재료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홈 형성 면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량이나 변경을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을 스파게티에 적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듀럼밀(durum wheat)의 세모리나 100부와 물 30부를 혼련하여 압출 성형기에 공급하였다.
압출 다이에는, 안지름 2.45mm의 원형상의 다이구멍의 세로방향에, 쐐기형(V자형)의 변형쐐기형 돌기를, 엇갈리게 3개 갖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 다이에 의해 얻어지는 면은, 도 1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된다.
이 압출 성형기로부터 얻어진 생 스파게티를 습도 조절 건조하여 건조물 스파게티를 얻었다. 얻어진 건조물 스파게티의 형상 치수는, 도 1의 면(10)의 도면에 대응시켜 설명하면, 직경 X1=2.40mm, 쐐기형 홈의 깊이 T11=1.1mm, T12=1.1mm, 쐐기형 홈의 선단부의 각도 P11=35도, P12=25도, 홈의 개구폭 W11=1.0mm, W12=0.55mm, 두께(A1∼A4)의 최대치=0.55mm, 최소치=0.40mm, 평균치=0.50mm이었다. 또한, 홈의 면적의 합계가, 면선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의 면적의 42%이었다.
이 건조물 스파게티를 삶은바, 2분에 식사 가능 상태가 되어, 압출 다이의 변형쐐기형 돌기에 의해서 형성된 홈은 닫히고,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상당하는 것이 되었다. 한편, 종래의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의 삶는 시간은 7분, 이것에 상당하는 종래의 홈 형성 스파게티 1.7mm의 삶는 시간은 5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얻어진 스파게티는, 외관, 식미, 식감 모두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비해 전혀 손색 없는 것이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을 누들 형상 파스타에 적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듀럼밀의 세모리나 100부와 물 30부를 혼련하여 압출 성형기에 공급하였다.
압출 다이에는, 2.0mm×3.0mm의 장방형의 다이구멍의 세로방향에, 2종류의 쐐기형(V자형)의 변형 쐐기형 돌기를, 엇갈리게 4개 갖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 다이에 의해 얻어지는 면은, 도 6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된다.
이 압출 성형기로부터 얻어진 생누들 형상 파스타를 습도 조절 건조하여 건조물 누들 형상 파스타를 얻었다. 얻어진 건조물 누들 형상 파스타의 형상치수는, 도 6의 면(60)의 도면에 대응시켜 설명하면, 단변(X5)=1.8mm, 장변(Y5)=2.8mm, 제 1 쐐기형 홈{홈(54)에 대응}의 형성 방향 깊이(T61)=1.2mm, 그 단변 방향 깊이=1.1mm, 제 2 쐐기형 홈{홈(66)에 대응}의 형성 방향 깊이(T62)=1.4mm, 그 단변 방향 깊이=1.3mm, 제 1 홈 개구폭(W61)=0.5mm, 제2 홈의 개구폭(W62)=0.5mm, 두께(F1∼F6)의 최대치=0.8mm, 최소치=0.3mm, 평균치=0.5mm이었다. 또한, 홈의 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횡단면의 장방형의 면적의 27%이었다.
이 건조물 누들 형상 파스타를 삶은바, 3분에 식사 가능 상태가 되어, 압출 다이의 변형쐐기형 돌기에 의해서 형성된 홈은 닫히고, 2.5×1.5mm의 홈 없는 누들에 상당하는 것이 되었다. 한편, 종래의 2.5×1.5mm의 홈 없는 누들의 삶는 시간은 10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얻어진 누들 형상 파스타는, 외관, 식미, 식감 모두 2.5×1.5mm의 홈 없는 누들에 비해 전혀 손색 없는 것이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을 스파게티에 적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듀럼밀의 세모리나 100부와 물 30부를 혼련하여 압출 성형기에 공급하였다.
압출 다이에는, 안지름 2.45mm의 원형상의 다이 구멍의 세로방향에, 쐐기형(V자형)의 2변중 원형의 바깥둘레측의 변이 굴곡부를 갖는 변형쐐기형 돌기를, 서로 마주 보게 하여 2개 갖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 다이에 의해 얻어지는 면은, 도 9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된다.
이 압출 성형기로부터 얻어진 생 스파게티를 습도 조절 건조하여 건조물 스파게티를 얻었다. 얻어진 건조물 스파게티의 형상 치수는, 도 9의 면(90)의 도면에 대응시켜 설명하면, 직경(X9)=2.80mm, 폭(Y9)=1.75mm, 쐐기형 홈의 선단부의 각도 (P9)=45도, 홈의 개구폭(W9)=0.9mm, 두께(J1∼J4)의 최대치=0.55mm, 최소치=0.45mm, 평균치=0.50mm이었다.
이 건조물 스파게티를 삶은바, 2분에 식사 가능 상태가 되어, 압출 다이의 변형 쐐기형 돌기에 의해서 형성된 홈은 닫히고,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상당하는 것이 되었다. 한편, 종래의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의 삶는 시간은 7분, 이 것에 상당하는 종래의 홈 형성 스파게티 1.7mm의 삶는 시간은 5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얻어진 스파게티는, 외관, 식미, 식감 모두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비해 전혀 손색 없는 것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압출 성형기에 의해 생 스파게티를 성형한 후, 증기압 1.8kg/cm2이고 121℃의 포화 수증기를 상압하(대기중)에서 30초, 성형 후의 생면을 향해서 분사하여 쪄서 삶았다. 이 열처리에 의해 얻어진 생 스파게티의 면선방향에 대한 횡단면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면선의 표면 근방, 즉, 면선의 단면에 있어서의 표면에서 단면 형상의 중심까지의 길이(깊이)의 약 10%까지가, α화되고 있었다.
열처리 후의 생 스파게티를, 온도 70℃, 습도 75%의 환경하에 11시간 두고, 습도 조절 건조하여, 건조물 스파게티를 얻었다. 얻어진 건조물 스파게티의 형상 치수는, 도 9의 면(90)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고, 각 부의 치수는, 직경 (X9)=2.35mm, 폭(Y9)=1.77mm, 쐐기형 홈의 선단부의 각도(P9)=45도, 홈의 개구폭 (W9)=0.95mm, 두께(J1∼J4)의 최대치=0.55mm, 최소치=0.45mm, 평균치=0.50mm이었다.
이 건조물 스파게티를 삶은 바, 2분에 식사 가능 상태가 되어,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것보다, 삶은 액중으로의 성분의 녹아나옴이 적어, 면표면이 매끄럽고 품질적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압출 다이의 변형 쐐기형 돌기에 의해서 형성된 홈은 닫히고,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상당하는 것이 되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 얻어진 스파게티는, 외관, 식미, 식감 모두 1.6mm의 홈 없는 스파게티에 비해 전혀 손색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삶아서 먹는 각종 면류를 취급하는 식품 산업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면선(麵線)의 횡단면(橫斷面)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主外形)이 원 혹은 타원인 면류(麵類)로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홈의 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 혹은 타원의 면적의 20∼ 50%이며,
    복수의 홈은, 서로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행부가 형성되도록, 면선의 횡단면의 중심에 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 V자형의 제 1 홈 및 V자형의 제 2 홈을 포함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의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는, 횡단면의 제 1 홈 및 제 2 홈의 형성 방향에서의 면선의 지름의 1/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홈에 인접하는 상기 면선의 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두께와, 상기 홈의 각각의 개구폭과의 비가, 1.0:0.5∼2.0인 홈 형성 면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된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한 후, 습도 조절 건조하여 얻어진 것인 홈 형성 면류.
  5.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또는 타원의 원호이며, 또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생면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한 상기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하고,
    상기 열처리한 상기 생면을 습도 조절 건조하고,
    복수의 홈은, 서로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행부가 형성되도록, 면선의 횡단면의 중심에 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 V자형의 제 1 홈 및 V자형의 제 2 홈을 포함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의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는, 횡단면의 제 1 홈 및 제 2 홈의 형성 방향에서의 면선의 지름의 1/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
  6.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혹은 타원인 면류로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홈의 부분의 면적의 합계가,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주외형으로 형성되는 원 혹은 타원의 면적의 20∼ 50%이며,
    복수의 홈은,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선의 중심선을 따라서 형성된 제 1 홈과,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 1 홈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 1 홈의 개구 끝단과 반대방향을 향한 개구 끝단을 가지는 2개의 제 2 홈을 가지고,
    제 1 홈과 2개의 제 2 홈은, 상기 면선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며,
    제 1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 및 각각의 제 2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중심선을 따른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길이의 1/2보다 크고,
    복수의 홈은, 각각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중심으로 향하여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홈에 인접하는 상기 면선의 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두께와, 상기 홈의 각각의 개구폭과의 비가, 1.0:0.7∼1.3인 홈 형성 면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된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한 후, 습도 조절 건조하여 얻어진 것인 홈 형성 면류.
  10. 면선의 횡단면의 최대지름이 1.2mm∼3.0mm이고, 그 주외형이 원 혹은 타원의 원호이고, 또한 상기 면선의 세로방향을 따른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두께가 0.3mm∼0.8mm인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생면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한 상기 생면을, 포화 수증기 또는 과열 수증기에 의해서 5초∼60초간 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면선의 표면 근방만을 α화하고,
    상기 열처리한 상기 생면을 습도 조절 건조하고,
    복수의 홈은,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선의 중심선을 따라서 형성된 제 1 홈과, 상기 면선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 1 홈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 1 홈의 개구 끝단과 반대방향을 향한 개구 끝단을 가지는 2개의 제 2 홈을 가지고,
    제 1 홈과 2개의 제 2 홈은, 상기 면선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며,
    제 1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 및 각각의 제 2 홈의 개구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중심선을 따른 상기 면선의 횡단면의 길이의 1/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형성 면류의 제조방법.
KR1020097015659A 2007-01-25 2008-01-17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 KR10142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4854 2007-01-25
JPJP-P-2007-014854 2007-01-25
JPJP-P-2007-202814 2007-08-03
JP2007202814 2007-08-03
JPJP-P-2007-227417 2007-09-03
JPJP-P-2007-227504 2007-09-03
JP2007227504 2007-09-03
JP2007227417A JP4970198B2 (ja) 2007-09-03 2007-09-03 溝付き麺類
JP2007281354A JP5132255B2 (ja) 2007-09-03 2007-10-30 溝付き麺類
JPJP-P-2007-281354 2007-10-30
PCT/JP2008/050526 WO2008090802A1 (ja) 2007-01-25 2008-01-17 溝付き麺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24A KR20090103924A (ko) 2009-10-01
KR101420463B1 true KR101420463B1 (ko) 2014-07-16

Family

ID=4094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659A KR101420463B1 (ko) 2007-01-25 2008-01-17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80882A1 (ko)
EP (1) EP2127537B1 (ko)
KR (1) KR101420463B1 (ko)
CN (2) CN102972689A (ko)
AU (1) AU2008208409B2 (ko)
CA (1) CA2676371C (ko)
WO (1) WO2008090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5992B2 (ja) * 2009-03-31 2012-09-05 日清フーズ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入り食品と電子レンジ仕様のパスタ調理用クリーム系ソース
JP5015993B2 (ja) * 2009-03-31 2012-09-05 日清フーズ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入り食品と電子レンジ仕様のパスタ調理用トマト系ソース
JP5102252B2 (ja) * 2009-06-29 2012-12-19 日清フーズ株式会社 溝付き麺
JP5726493B2 (ja) * 2010-11-30 2015-06-03 日清フーズ株式会社 溝付き麺
US9004899B2 (en) * 2012-02-07 2015-04-14 Sanyo Foods Co., Ltd. Noodle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same
CN104302189A (zh) * 2012-04-11 2015-01-21 日清富滋株式会社 带沟面条
WO2014064948A1 (ja) * 2012-10-26 2014-05-01 日清フーズ株式会社 マカロニ
WO2017047624A1 (ja) * 2015-09-14 2017-03-23 日清フーズ株式会社 溝付き麺
EP3494800B1 (en) * 2016-08-02 2024-04-17 Nisshin Seifun Welna Inc. Cooked grooved noodle
EP3622830A4 (en) * 2017-05-12 2020-12-30 Nisshin Foods Inc. GROOVED NOODLES, PROCESS FOR PRODUCING GROOVED NOODLES AND PROCESS FOR COOKING GROOVED NOODLES
US20200170285A1 (en) * 2017-05-23 2020-06-04 Nisshin Foods Inc.. Low-carbohydrate noodle mix
BG67438B1 (bg) * 2017-05-29 2022-05-31 Петрова Бодурова Илияна Тестено изделие
BG112592A (bg) * 2017-10-05 2019-04-30 Илияна Бодурова Тестено изделие
TWI752584B (zh) * 2020-08-10 2022-01-11 財團法人食品工業發展研究所 提升咬感之麵體
WO2022172982A1 (ja) 2021-02-15 2022-08-18 株式会社日清製粉ウェルナ 溝付き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83B2 (ja) * 1987-04-03 1995-04-12 日清製粉株式会社 即席麺類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698B2 (ja) 1982-02-08 1984-10-09 幸雄 佐原 乾燥した麺の製造方法
JPS606172A (ja) 1983-06-22 1985-01-1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溝付き押出成形麺
US4816281A (en) * 1984-03-06 1989-03-2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Extruded elongate pasta
JP2660038B2 (ja) * 1989-01-27 1997-10-08 日清製粉株式会社 溝付き押出麺類
IT220697Z2 (it) * 1990-03-28 1993-11-02 Nestle Sa Pasta alimentare di tipo spaghetti.
JP2807536B2 (ja) * 1990-03-30 1998-10-08 日清製粉株式会社 溝付き麺類
JPH07106128B2 (ja) * 1992-01-24 1995-11-15 日清製粉株式会社 溝付き押出成形麺
JP3215569B2 (ja) * 1994-03-08 2001-10-09 日本製粉株式会社 押し出し麺製造用ダイスピース
JP3586000B2 (ja) * 1995-06-28 2004-11-10 株式会社冨士製作所 麺の製造装置
GB9515018D0 (en) * 1995-07-21 1995-09-20 Dalgety Plc Process for producing an instant pasta product
FR2738461B1 (fr) * 1995-09-08 1997-11-14 Rivoire Et Carret Lustucru Pate alimentaire du genre spaghetti a deux lobes
JP3484280B2 (ja) * 1995-12-08 2004-01-06 マ・マーマカロニ株式会社 溝付き押出成形麺
JP3280849B2 (ja) 1996-06-11 2002-05-13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分送装置
JP3658477B2 (ja) 1996-11-15 2005-06-08 日清フーズ株式会社 溝付き押出成形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34116B2 (ja) * 1997-06-11 2005-03-30 株式会社フィードアップ 包装済み早茹でパスタ及び麺類の製造法
JP2001017104A (ja) * 1999-07-09 2001-01-23 Showa Sangyo Co Ltd 早茹でスパゲッティ
CN2524506Y (zh) * 2002-01-29 2002-12-11 李虎山 变形面条
JP4211337B2 (ja) 2002-09-19 2009-01-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2004129538A (ja) 2002-10-09 2004-04-30 Kanebo Ltd 溝付き即席麺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83B2 (ja) * 1987-04-03 1995-04-12 日清製粉株式会社 即席麺類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6603B (zh) 2013-01-02
CN102972689A (zh) 2013-03-20
CN101616603A (zh) 2009-12-30
KR20090103924A (ko) 2009-10-01
AU2008208409B2 (en) 2012-11-15
AU2008208409A1 (en) 2008-07-31
EP2127537B1 (en) 2013-02-27
EP2127537A4 (en) 2010-07-07
WO2008090802A1 (ja) 2008-07-31
CA2676371A1 (en) 2008-07-31
EP2127537A1 (en) 2009-12-02
CA2676371C (en) 2014-07-22
US20100080882A1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463B1 (ko) 홈 형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
JP4796083B2 (ja) 溝付き麺類
US20120135123A1 (en) Grooved noodle
RU2484648C2 (ru) Брикетированная несваренная лапша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WO2011013185A1 (ja) 即席麺の製造方法
JP5993364B2 (ja) 乾燥パスタの製造方法
RU24364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вердых претцелей, эффективно абсорбирующих приправу в форме суспензии
JPH0732683B2 (ja) 即席麺類の製造法
JP4970198B2 (ja) 溝付き麺類
JP3237889U (ja) 即席麺の構造
JP5746673B2 (ja) 溝付き麺類
JP5345229B2 (ja) 溝付き麺類
KR20210055345A (ko) 압축롤러(트리플롤러)를 이용한 3층 면대 제면법으로 식감 및 조리편리성이 우수한 건냉면의 제조방법
AU2016324524B2 (en) Grooved noodles
JP2007049920A (ja) 複数の孔を有する押出成形麺
WO2022172982A1 (ja) 溝付き麺
JP2015204835A (ja) 押出し麺用のダイス
JP6575937B2 (ja) 容器入り即席めん及びそのめん塊の製造方法
RU225973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ушек "челночок" и сушки "челночок", полученные этим способом
JPH08317766A (ja) 乾麺及び該乾麺の製造方法並びに該乾麺の製造装置
JP2018023352A5 (ko)
JP2017006001A (ja) 製麺方法
JP2014217342A (ja) 押出パス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