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196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196B1
KR101379196B1 KR1020080009363A KR20080009363A KR101379196B1 KR 101379196 B1 KR101379196 B1 KR 101379196B1 KR 1020080009363 A KR1020080009363 A KR 1020080009363A KR 20080009363 A KR20080009363 A KR 20080009363A KR 101379196 B1 KR101379196 B1 KR 10137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side face
fac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514A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다케시 와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된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은 제 1 측면과 제 3 측면, 제 1 측면과 제 4 측면, 제 2 측면과 제 3 측면, 제 2 측면과 제 4 측면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를 덮고 있다. 콘덴서 소체는 소체 부분을 갖고 있다. 소체 부분은 제 2 및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과 겹치고, 제 2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 콘덴서 소체, 내부 전극, 단자 전극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적층 콘덴서로서,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 내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48174호 참조).
본 발명은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에 있어서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런데,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를 구비하는 적층 콘덴서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왜 효과에 의해 소체에 인가 전압에 따른 크기의 기계적 변형이 생겨 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교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적층 콘덴서에는 진동이 생겨 버린다. 적층 콘덴서를 기판 등에 실장한 경우에, 이러한 변형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면, 기판에 진동이 전파하여 소리 울림이 발생하여 버린다.
본 발명자는 적층 콘덴서를 기판 등에 실장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소리 울림을 저감하는 것에 대하여 깊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소리 울림은 적층 콘덴서를 실장하는 기판 등과 적층 콘덴서의 접촉 부분, 즉 기판의 랜드 전극 등과 적층 콘덴서의 단자 전극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한다는 지견을 얻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한 결과, 소체의 단자 전극 근방의 영역에 가해지는 전계를 억제함으로써, 전왜 효과에 의한 소체의 기계적 변형의 단자 전극으로의 영향이 억제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근거로,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져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낸 소체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내부 전극 중 대응하는 내부 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소체는 복수의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제 1 및 제 2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과, 제 1 내지 제 4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5 및 제 6 측면을 갖고, 제 1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2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3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4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소체에 있어서의 복수의 내부 전극에 끼워지는 소체 부분은 제 1 및 제 2 측면이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겹치고, 제 3 및 제 4 측면이 대향하는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겹치고,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 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소체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전극 부분과 소체 부분은 간격을 갖게 된다. 소체 부분은 복수의 내부 전극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왜 효과를 발생한다. 그러나, 각 전극 부분은 소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극 부분과 상기 소체 부분의 사이에 있어서 전왜 효과의 영향이 완화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각 전극 부분과 소체 부분은 제 2,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겹침을 갖고 있 다. 즉 소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극 부분으로 끼워진 영역 및 대향하는 전극 부분으로 끼워진 영역에도 소체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소체 부분의 형성 범위를 소체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상기 영역에 넓힘으로써, 적층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은 전극 부분에 연속하고 또 제 5 및 제 6 측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다른 전극 부분을 각각 더욱 갖고,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다른 전극 부분이 형성된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체 부분은 다른 전극 부분의 형성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전극 부분과 소체 부분의 사이에 있어서 전왜 효과의 영향이 완화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전극 부분은 제 5, 제 6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자 전극과 기판의 랜드 전극의 접속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1 영역과, 제 2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과, 제 3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3 영역과,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4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체 부분과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의 사이에는 제 1 내지 제 4 영역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영역에 있어서 전왜 효과의 영향이 완화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다른 전극 부분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대략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른 전극 부분의 바로 아래에 소체 부분이 형성되는 것이 확실하게 없어지기 때문에, 전극 부분 및 다른 전극 부분을 소체 부분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떼어놓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 전극에 끼워진 영역에 소체 부분이 확실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정전 용량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대략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내지 제 4 영역의 바로 아래에 소체 부분이 형성되는 것이 확실하게 없어지기 때문에, 전극 부분의 형성 영역을 소체 부분으로부터 확실하게 떼어놓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 전극에 끼워진 영역에도 소체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정전 용량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져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 낸 소체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내부 전극 중 대응하는 내부 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소체는 복수의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제 1 및 제 2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과, 제 1 내지 제 4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5 및 제 6 측면을 갖고, 제 1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2 단자 전극은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3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4 단자 전극은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5 단자 전극은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6 단자 전극은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7 단자 전극은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제 8 단자 전극은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소체에 있어서의 복수의 내부 전극에 끼워지는 소체 부분은 제 1 및 제 2 측면이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겹치고, 제 3 및 제 4 측면이 대향하는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과 겹치고,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의 전극 부 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과, 소체 상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소체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소체 부분은 제 1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의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전극 부분이 형성된 영역과 소체 부분은 간격을 갖게 된다. 소체 부분은 복수의 내부 전극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왜 효과를 발생한다. 그러나, 각 전극 부분은 소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극 부분과 상기 소체 부분의 사이에서 전왜 효과의 영향이 완화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각 전극 부분과 소체 부분은 제 2,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겹침을 갖고 있다. 즉 소체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극 부분으로 끼워진 영역 및 대향하는 전극 부분으로 끼워진 영역에도 소체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소체 부분의 형성 범위가 소체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상기 영역으로도 넓힘으로써, 적층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체에 있어서 단자 전극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어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범위는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어서,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또, 도 3에 있어서 단면의 빗금은 생략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소체(2))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내부 전극(E1, E2)과, 제 1 단자 전극(4)과, 제 2 단자 전극(6)과, 제 3 단자 전극(8)과, 제 4 단자 전극(10)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2)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콘덴서 소체(2)는 화살표 A 방향(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면(2a) 및 제 2 측면(2b)을 갖고 있다. 콘덴서 소체(2)는 제 1 및 제 2 측면(2a, 2b)에 연속하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제 3 측면(2c) 및 제 4 측면(2d)을 갖고 있다. 제 3 측면(2c) 및 제 4 측면(2d)은 화살표 A 방향에 평행한 면이다. 콘덴서 소체(2)는 제 1 내지 제 4 측면(2a 내지 2d)에 연속하는 동시에 화살표 A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5 측면(2e) 및 제 6 측면(2f)을 갖고 있다. 화살표 A는 내부 전극(E1, E2)이 대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화살표 B(제 2 방향)는 제 1 및 제 2 측면(2a, 2b)이 대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화살표 C(제 3 방향)는 제 3 및 제 4 측면(2c, 2d)이 대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2) 상에는 제 1, 제 3, 제 5, 제 6 측면(2a, 2c, 2e, 2f)에 걸쳐서 제 1 단자 전극(4)이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2) 상에는 제 1, 제 4, 제 5, 제 6 측면(2a, 2d, 2e, 2f)에 걸쳐서 제 2 단자 전극(6)이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2) 상에는 제 2, 제 3, 제 5, 제 6 측면(2b, 2c, 2e, 2f)에 걸쳐서 제 3 단자 전극(8)이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2) 상에는 제 2, 제 4, 제 5, 제 6 측면(2b, 2d, 2e, 2f)에 걸쳐서 제 4 단자 전극(1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4)은 전극 부분(4a, 4b)을 갖고 있다. 제 2 단자 전극(6)은 전극 부분(6a, 6b)을 갖고 있다. 제 3 단자 전극(8)은 전극 부분(8a, 8b)을 갖고 있다. 제 4 단자 전극(10)은 전극 부분(10a, 10b)을 갖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글라스 플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2)가 대응하는 외측 표면에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전극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제 1 단자 전극(4)의 전극 부분(4a)은 제 1 측면(2a)에서의 제 3 측면(2c)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3 측면(2c)에서의 제 1 측면(2a)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극 부분(4a)은 제 1 및 제 3 측면(2a, 2c)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6)의 전극 부분(6a)은 제 1 측면(2a)에서의 제 4 측면(2d)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4 측면(2d)에서의 제 1 측면(2a)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극 부분(6a)은 제 1 및 제 4 측면(2a, 2d)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8)의 전극 부분(8a)은 제 2 측면(2b)에서의 제 3 측면(2c)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3 측면(2c)에서의 제 2 측면(2b)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극 부분(8a)은 제 2 및 제 3 측면(2b, 2c)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자 전극(10)의 전극 부분(10a)은 제 2 측면(2b)에서의 제 4 측면(2d)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4 측면(2d)에서의 제 2 측면(2b)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전극 부분(10a)은 제 2 및 제 4 측면(2b, 2d)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4)의 전극 부분(다른 전극 부분; 4b)은 전극 부분(4a)과 연속하고 있다. 제 2 단자 전극(6)의 전극 부분(다른 전극 부분; 6b)은 전극 부분(6a)과 연속하고 있다. 제 3 단자 전극(8)의 전극 부분(다른 전극 부분(8b))은 전극 부분(8a)과 연속하고 있다. 제 4 단자 전극(10)의 전극 부분(다른 전극 부분(10b))은 전극 부분(10a)과 연속하고 있다. 전극 부분(4b, 6b, 8b, 10b)은 콘덴서 소체(2)의 제 5 및 제 6 측면(2e, 2f)에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2)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2)의 내부에는 내부 전극(E1, E2)이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 소체(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유전체층을 개재시키고 내부 전극(E1, E2)이 적층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유전체층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내부 전극(E1, E2)은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E1)은 주전극부(12)와, 인출 전극부(14, 16)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2)에는 한 쌍의 노치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2a)의 위치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4, 6)이 갖는 전극 부분(4b, 6b)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인출 전극부(14)는 주전극부(12)로부터 신장하고, 제 1 및 제 3 측면(2a, 2c)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로 끌려나오고 있다. 인출 전극부(14)는 제 1 단자 전극(4)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전극부(16)는 주전극부(12)로부터 신장하고, 제 1 및 제 4 측면(2a, 2d)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로 끌려나오고 있다. 인출 전극부(16)는 제 2 단자 전극(6)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E2)은 주전극부(17)와, 인출 전극부(18, 20)를 포함하고 있다. 주전극부(17)에는 한 쌍의 노치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7a)의 위치는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8, 10)이 갖는 전극 부분(8b, 10b)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인출 전극부(18)는 주전극부(17)로부터 신장하고, 제 2 및 제 3 측면(2b, 2c)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으로 끌려나오고 있다. 인출 전극부(18)는 제 3 단자 전극(8)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전극부(20)는 주전극부(17)로부터 신장하고, 제 2 및 제 4 측면(2b, 2d)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능선부로 끌려나오고 있다. 인출 전극부(20)는 제 4 단자 전극(10)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전극(E1, E2)은 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내부 전극(E1)의 주전극부(12)와 내부 전극(E2)의 주전극부(17)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소체(2)에는 내부 전극(E1)의 주전극부(12)와 내부 전극(E2)의 주전극부(17)에 끼워지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후, 이 부분을 소체 부분(21)이라고 부른다.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체 부분(21)은 제 5 측면(2e)측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의 전극 부분(4b, 6b, 8b, 10b)이 형성된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c는 적층 콘덴서(C1)를 제 5 측면(2e)측으로부터 본 도면이지만, 제 6 측면(2f)측으로부터 본 경우에도, 소체 부분(21)은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의 전극 부분(4b, 6b, 8b, 10b)의 주변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4b, 6b, 8b, 10b)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소체 부분(21)에 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체 부분(21)은 전극 부분(4b, 6b, 8b, 10b)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하고 이루어지는 대략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대략 십자형의 영역은 전극 부분(4b)과 전극 부분(8b)으로 끼워진 영역(A1)과, 전극 부분(6b)과 전극 부분(10b)으로 끼워진 영역(A2)과, 전극 부분(4b)과 전극 부분(6b)으로 끼워진 영역(A3)과, 전극 부분(8b)과 전극 부분(10b)으로 끼워진 영역(A4)과, 영역(A1 내지 A4)으로 둘러싸인 영역(A5)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소체 부분(21)은 영역(A1 내지 A5) 전부에 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대략 십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소체 부분(21)은 전극 부분(4b, 6b, 8b, 10b)과 겹침을 갖고 있지 않다.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십자형을 나타내는 소체 부분(21)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2a)측에서 보았을 때에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4, 6)의 전극 부분(4a, 6a)과 겹치게 된다. 또, 도 2a는 적층 콘덴서(C1)를 제 1 측면(2a)측에서 본 도면이지만, 제 2 측면(2b)측에서 본 경우에는 소체 부분(21)은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8, 10)의 전극 부분(8a, 10a)과 겹치게 된다. 즉,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4a, 6a, 8a, 10a)과 겹치게 된다.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십자형을 나타내는 소체 부분(21)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측면(2c)측에서 보았을 때에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4, 8)의 전극 부분(4a, 8a)과 겹치게 된다. 또, 도 2b는 적층 콘덴서(C1)를 제 3 측면(2c)측에서 본 도면이지만, 제 4 측면(2d)측에서 본 경우에는, 소체 부분(21)은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6, 10)의 전극 부분(6a, 10a)과 겹치게 된다. 즉,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C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4a, 6a, 8a, 10a)과 겹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C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을 기판의 랜드 전극 등에 접속하고,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을 통하여 내부 전극(E1, E2)에 전압을 인가하면, 내부 전극(E1)의 주전극부(12)와 내부 전극(E2)의 주전극부(17)에 끼워진 소체 부분(21)에 있어서, 전왜 효과가 발생한다.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4b, 6b, 8b, 10b)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하고 이루어지는 대략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극 부분(4b, 6b, 8b, 10b)의 바로 아래에는 소체 부분(21)이 존재하지 않고, 소체 부분(21)이 전극 부분(4b, 6b, 8b, 10b)의 바로 아래에 존재하지 않는 만큼, 소체 부분(21)과 전극 부분(4a, 6a, 8a, 10a, 4b, 6b, 8b, 10b)은 간격을 갖게 된다. 소체 부분(21)에 발생한 전왜 효과의 영향은 소체 부분(21)과 전극 부분(4a, 6a, 8a, 10a, 4b, 6b, 8b, 10b)의 사이에서 완화된다. 그 결과, 전극 부분(4a, 6a, 8a, 10a, 4b, 6b, 8b, 10b)은 전왜 효과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된 콘덴서 소체(2)에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이 끌어당겨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를 기판 등에 실장하여 전압을 가한 경우, 기판 등 에 발생하는 소리 울림이 억제된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소체 부분(21)이, 전극 부분(4b, 6b, 8b, 10b)으로 끼워진 영역(A1 내지 A4) 전부에 형성되어 있다. 소체 부분(21)의 형성 범위가 콘덴서 소체(2)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영역(A1 내지 A4)으로도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콘덴서 소체(2)의 제 1 및 제 2 측면(2a, 2b); 또는 제 3 및 제 4 측면(2c, 2d)) 전체를 덮도록 전극 부분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극 부분의 형성 범위가 좁다. 이 때문에, 전왜 효과에 의해서 변형된 콘덴서 소체(2)에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이 끌어당겨졌다고 해도, 적층 콘덴서(C1)를 실장하는 기판 등에 주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적층 콘덴서(C1)는 제 1 내지 제 6 측면(2a 내지 2f) 전부에 전극 부분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랜드 전극과 적층 콘덴서(C1)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단자 전극의 위치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상이하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도면이고,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는 콘덴서 소체(2)와, 내부 전극(E1, E2)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C2)는 제 1 단자 전극(24)과, 제 2 단자 전극(26)과, 제 3 단자 전극(28)과, 제 4 단자 전극(30)과, 제 5 단자 전극(34)과, 제 6 단자 전극(36)과, 제 7 단자 전극(38)과, 제 8 단자 전극(40)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체(2) 및 내부 전극(E1, E2)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콘덴서 소체(2) 및 내부 전극(E1, E2)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2) 상에는 제 1, 제 5, 제 6 측면(22a, 22e, 22f)에 걸쳐서 제 1, 제 2 단자 전극(24, 26)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제 5, 제 6 측면(22b, 22e, 22f)에 걸쳐서 제 3, 제 4 단자 전극(28, 30)이 배치되어 있다. 제 3, 제 5, 제 6 측면(22c, 22e, 22f)에 걸쳐서 제 5, 제 7 단자 전극(34, 38)이 배치되어 있다. 제 4, 제 5, 제 6 측면(22d, 22e, 22f)에 걸쳐서 제 6, 제 8 단자 전극(36, 4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24)은 전극 부분(24a)을, 제 2 단자 전극(26)은 전극 부분(26a)을, 제 3 단자 전극(28)은 전극 부분(28a)을, 제 4 단자 전극(30)은 전극 부분(30a)을, 제 5 단자 전극(34)은 전극 부분(34a)을, 제 6 단자 전극(36)은 전극 부분(36a)을, 제 7 단자 전극(38)은 전극 부분(38a)을, 제 8 단자 전극(40)은 전극 부분(40a)을, 각각 갖고 있다.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24, 26, 28, 30, 34, 36, 38, 40)의 재료 및 형성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과 동일하다.
제 1 단자 전극(24)의 전극 부분(24a)은 제 1 측면(2a)에서의 제 3 측면(2c)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26)의 전극 부분(26a)은 제 1 측면(2a)에서의 제 4 측면(2d)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28)의 전극 부분(28a)은 제 2 측면(2b)에서의 제 3 측면(2c)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단자 전극(30)의 전극 부분(30a)은 제 2 측면(2b)에서의 제 4 측면(2d)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5 단자 전극(34)의 전극 부분(34a)은 제 3 측면(2c)에서의 제 1 측면(2a)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6 단자 전극(36)의 전극 부분(36a)은 제 4 측면(2d)에서의 제 1 측면(2a)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7 단자 전극(38)의 전극 부분(38a)은 제 3 측면(2c)에서의 제 2 측면(2b)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8 단자 전극(40)의 전극 부분(40a)은 제 4 측면(2d)에서의 제 2 측면(2b)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은 제 1 내지 제 6 측면(2a 내지 2f)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콘덴서 소체(2)의 소체 부분(21)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C2)에 있어서 소체 부분(21)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면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의 주변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24a, 26a, 28a, 30a)과 겹치고 있고, 화살표 C 방향으로부터 보면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34a, 36a, 38a, 40a)과 겹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24, 26, 28, 30, 34, 36, 38, 40)을 통하여 내부 전극(E1, E2)에 전압을 인가하면, 소체 부분(21)에 있어서 전왜 효과가 발생한다. 소체 부분(21)은 화살표 A 방향으로 부터 보면,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이 배치된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의 전극 부분의 주변에는 소체 부분(21)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체 부분(21)과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은 간격을 갖게 된다. 소체 부분(21)에 발생한 전왜 효과의 영향은 소체 부분(21)과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의 사이에서 완화된다. 그 결과, 전극 부분(24a, 26a, 28a, 30a, 34a, 36a, 38a, 40a)은 전왜 효과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24, 26, 28, 30, 34, 36, 38, 40)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된 콘덴서 소체(2)에 이들의 단자 전극이 끌어당겨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동일하게, 적층 콘덴서(C2)를 기판 등에 실장하여, 전압을 가한 경우에도, 기판 등에 발생하는 소리 울림이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부 전극의 적층수는 상기 실시형태에 제시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은 전극 부분(4b, 6b, 8b, 10b)을 갖고 있다고 하였지만, 전극 부분(4b, 6b, 8b, 10b)을 갖지 않아도 좋다. 도 5는 적층 콘덴서(C1)의 변형예에 따른 상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은 I 자형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은 제 1 내지 제 4 측면(2a 내지 2d)에 전극 부분(4a, 6a, 8a, 10a)을 갖고 있지만, 제 5 및 제 6 측면(2e, 2f)에는 전극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 적층 콘덴서를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면, 영역(A9; 제 1 영역)과, 영역(A10; 제 2 영역)과, 영역(A11; 제 3 영역)과, 영역(A12; 제 4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대략 십자형의 영역에 소체 부분(21)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소체 부분(21)은 영역(A9 내지 A12)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영역(A9)은 전극 부분(4a)과 전극 부분(4a)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44)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이다. 영역(A10)은 전극 부분(6a)과 전극 부분(6a)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46)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이다. 영역(A11)은 전극 부분(8a)과 전극 부분(8a)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48)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이다. 영역(A12)은 전극 부분(10a)과 전극 부분(10a)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5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이다. 이 경우에도, 소체 부분(21)과 전극 부분(4a, 6a, 8a, 10a)은 간격을 갖게 되기 때문에,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4, 6, 8, 10) 부근에서의 전왜 효과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기술된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양한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상기 변경들은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한 모든 변경들은 다음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측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단시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및 상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의 상면도.

Claims (6)

  1.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져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소체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소체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내부 전극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내부 전극에 접속된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5 및 제 6 측면을 갖고,
    상기 제 1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3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4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소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에 끼워지는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이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3 및 제 4 측면이 대향하는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은 상기 전극 부분에 연속하고 또 상기 제 5 및 제 6 측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다른 전극 부분을 각각 더 갖고,
    상기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다른 전극 부분이 형성된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3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상기 전극 부분의 양단을 잇는 가상선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4 영역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다른 전극 부분이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십자형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6.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져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소체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소체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내부 전극에 접속된 제 1, 제 2, 제 5, 및 제 6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내부 전극에 접속된 제 3, 제 4, 제 7, 및 제 8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면에 연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5 및 제 6 측면을 갖고,
    상기 제 1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3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4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5 단자 전극은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6 단자 전극은 상기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7 단자 전극은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제 8 단자 전극은 상기 제 4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전극 부분을 갖고,
    상기 소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에 끼워지는 소체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이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3 및 제 4 측면이 대향하는 제 3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5 내지 제 8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제 1 내지 제 8 단자 전극의 상기 전극 부분의 주변 영역 각각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KR1020080009363A 2007-01-30 2008-01-30 적층 콘덴서 KR101379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9667 2007-01-30
JP2007019667A JP4396709B2 (ja) 2007-01-30 2007-01-30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14A KR20080071514A (ko) 2008-08-04
KR101379196B1 true KR101379196B1 (ko) 2014-03-31

Family

ID=3966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363A KR101379196B1 (ko) 2007-01-30 2008-01-30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95885B2 (ko)
JP (1) JP4396709B2 (ko)
KR (1) KR101379196B1 (ko)
CN (1) CN101236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101A (ja) * 2007-07-24 2009-02-05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0925624B1 (ko) * 2008-02-21 2009-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WO2011002982A2 (en) 2009-07-01 2011-01-06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capacitance multilayer with high voltage capability
JP5035319B2 (ja) * 2009-10-23 2012-09-26 Tdk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
JP5673595B2 (ja) * 2012-04-19 2015-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JP5637170B2 (ja) * 2012-04-19 2014-1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実装構造体
KR101376839B1 (ko) * 2012-10-12 2014-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20140081360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그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가 실장된 회로기판
US20150021082A1 (en) 2013-07-17 2015-0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board having the same
JP6358074B2 (ja) * 2014-01-31 2018-07-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装置
KR20160051309A (ko) * 2014-11-03 2016-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16149479A (ja) * 2015-02-13 2016-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TWM527148U (zh) * 2016-03-29 2016-08-11 Yageo Corp 具有多個端電極的積層電容器
KR102356801B1 (ko) * 2017-09-12 2022-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JP7092053B2 (ja) * 2019-01-23 2022-06-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7494436B2 (ja) * 2020-01-21 2024-06-04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357A (ja) 1998-11-25 2000-08-11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548A (en) * 1994-05-20 1996-09-24 Davis; Bru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schedule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JPH09148174A (ja) 1995-11-24 1997-06-06 Roh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構造
DE69837516T2 (de) * 1997-11-14 2007-12-27 Murata Mfg. Co., Ltd., Nagaokakyo Vielschichtkondensator
JP3489728B2 (ja) * 1999-10-18 2004-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および高周波回路
US6441459B1 (en) * 2000-01-28 2002-08-27 Tdk Corporatio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0155393A1 (de) * 2001-11-10 2003-05-22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Planarer Polymer-Kondensator
JP4548571B2 (ja) * 2002-10-08 2010-09-2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6013383A (ja) * 2004-06-29 2006-01-12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US7149071B2 (en) * 2005-03-17 2006-12-12 Intel Corporation Controlled resistance capacitors
JP4230469B2 (ja) * 2005-03-31 2009-02-2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357A (ja) 1998-11-25 2000-08-11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14A (ko) 2008-08-04
US20080180877A1 (en) 2008-07-31
JP2008187036A (ja) 2008-08-14
CN101236839B (zh) 2012-04-18
JP4396709B2 (ja) 2010-01-13
US7495885B2 (en) 2009-02-24
CN101236839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196B1 (ko) 적층 콘덴서
US9997295B2 (en) Electronic component
JP465606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75294B2 (ja) 積層コンデンサ
TWI399770B (zh) Laminated capacitors
JP4479747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24355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4508410A (ja) 静電遮蔽体を有する電子セラミック部品
JP456175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86153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4146754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460056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09224502A (ja) 貫通コンデンサ
JP2015026784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5026785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1049490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0507905A (ja) 圧電変圧器
KR102018308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6668913B2 (ja) 電子部品
JP2020061430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23041235A (ja) 過渡電圧保護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