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23B1 - 오존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23B1
KR101377023B1 KR1020097023143A KR20097023143A KR101377023B1 KR 101377023 B1 KR101377023 B1 KR 101377023B1 KR 1020097023143 A KR1020097023143 A KR 1020097023143A KR 20097023143 A KR20097023143 A KR 20097023143A KR 101377023 B1 KR101377023 B1 KR 10137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zone water
cathode
ozo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256A (ko
Inventor
요시유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스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닛카 마이크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닛카 마이크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DC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과의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21)이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전극(2)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과의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100)는, 촉매 전극(2)이 수용된 케이스 본체(1)에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에 물을 공급하는 원료수 공급로(13)가 설치되고, 양이온 교환막(21)의 원료수 공급로(13)와 면하는 부분에,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공(211)이 형성되고, 원료수 공급로(13)로부터 흐른 물이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 중 한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동시에, 연통공(211)을 통하여 다른 쪽의 전극에 공급된다.
오존수, 양극 전극, 음극 전극, 교환막, 촉매 전극, 원료수 공급로, 연통공

Description

오존수 생성 장치{OZONE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오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용으로 보급되고 있는 오존수의 제조 방법은, 대별하여 방전에 의해 생성한 오존 가스에 용해(溶解)시키는 가스 용해법, 전해(電解)에 의해 생성한 오존 가스를 물에 용해시키는 전해 가스 용해법, 전해면에 원료수를 직접 접촉시켜 오존수를 생성시키는 직접 전해법의 3가지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직접 전해법은 가스 용해법이나 전해 가스 용해법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고농도의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직접 전해법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측 커버와 음극측 커버로 이루어지는 상자체 내에, 고형(固形) 전해질막과, 그 양면에 설치된 양극 전극판 및 음극 전극판을 수용하고,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과의 사이에 직류 전류를 공급한 상태에서, 양극 전극과 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원수(原水)를 공급하고, 음극 전극과 통하는 유입구로부터 전해액을 공급시킴으로써 원수를 전기 분해하여 오존수를 생성하고 있다. 여기서, 양극 전극과 통하는 유입구는 양극측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양극 전극과 연통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음극 전극과 통하는 유입구는 음극측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음극 전극과 연통 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양이온 교환막을 협지한 양극 전극 측과 음극 전극 측을 각각 원수 및 전해수가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2-29237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오존수 생성 장치는, 2개의 유입구가 서로 대향 배치된 양극측 커버와 음극측 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러므로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유입구를 커버 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은 유로가 복잡해져, 간단한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복잡한 유로의 형성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며, 원료수 공급을 위한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오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과의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21)이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전극(2)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과의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촉매 전극이 수용된 케이스 본체(1)에,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에 물을 공급하는 원료수 공급로(13)가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의 상기 원료수 공급로와 면하는 부분에,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이 서로 연통하는 연통공(211)이 설치되고,
상기 원료수 공급로로부터 흐른 물이,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중 한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다른 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양이온 교환막의 원료수 공급로와 면하는 부분에,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원료수 공급로로부터 흐른 물이 한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동시에, 연통공을 통하여 다른 쪽의 전극에 공급되므로, 원료수 공급로를 양극 전극 측과 음극 전극 측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복잡한 공급로로 하지 않고, 연통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1개의 원료수 공급로를 공유하여, 물을 양극 전극 측과 음극 전극 측에 각각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도 단순해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오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양극 전극과 연통되어, 상기 양극 전극에 의해 생성된 오존수를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로(14)와, 상기 음극 전극과 연통되어, 상기 음극 전극에 의해 생성된 음극수를 배출하는 음극수 배출로(1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존수 배출로 및 상기 음극수 배출로의 각 배출구(오존수 배출구(143), 음극수 배출구(153))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동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오존수 배출로의 상기 양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과, 상기 음극수 배출로의 상기 음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이,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과의 사이에 협지된 상기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오존수 배출로의 양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과, 음극수 배출로의 음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이, 양 전극 간에 협지된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므로, 양극 전극 측에서 생성된 오존수와 음극 전극 측에서 생성된 음극수가 혼합되지 않고, 각각 오존수 배출로 및 음극수 배출로 내를 통하여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오존수 배출로 및 음극수 배출로의 각 배출구가 케이스 본체의 동일면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도 2,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구항 2에 기재의 오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대(3)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대에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상기 오존수 배출로에 접속되는 다른 오존수 배출로(32)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상기 오존수 배출로에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검출 수단(예를 들면, 농도 검출 센서(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대가 설치되고, 장착대에 다른 오존수 배출로가 설치되고, 장착대 측의 오존수 배출로에 농도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설정한 소정 농도의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농도 검출 수단이 케이스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의 유지보수나 교환의 경우에 농도 검출 수단을 불필요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구항 3에 기재된 오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예를 들면, 봉형 전극부(25))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돌출된 상기 양극 전극이 가압되어 상기 양이온 교환막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양극 전극은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장착대가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돌출된 양극 전극이 가압되어 양이온 교환막이 가압되므로, 장착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에 대한 압접력(壓接力)(압착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오존수 생성 장치(100A)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A) 중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재료(17A)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대(3A)에 자석(37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장착 받침대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와 장착대가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케이스 본체와 장착대를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오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전자석의 온오프에 의해 케이스 본체와 장착대를 자석의 경우보다 더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스 본체의 장착대에 대한 가압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양극 전극이 가압되어 양이온 교환막에 대한 압접력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오존수 생성 장치(10O)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오존수 생성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오존수 생성 장치(100)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제1 케이스(11)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과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케이스(11)에 장착대(3)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4에 있어서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있어서의 절단선 VI-a-VI-a를 따라 절단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b-VI-b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c-VI-c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5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a-VII-a를 따라 절단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b-VII-b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c-VII-c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d-VII-d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촉매 전극(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a는 장착대(3)의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과 정면도이다.
도 9b는 장착대(3)의 투과 상면도이다.
도 9c는 장착대(3)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있어서 오존수 배출로(32) 내에 농도 검출 센서(4)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모식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오존수 생성 장치(100A)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오존수 생성 장치(100)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오존수 생성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오존수 생성 장치(100)는, 원료수(예를 들면, 수도수)가 공급되는 케이스 본체(1) 내에 촉매 전극(2)(후술하는 도 5 참조)을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며, 촉매 전극(2)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미세 오존 기포를 발생시켜, 발생 직전의 미세 오존 기포를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3은 오존수 생성 장치(100)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1)의 사시도, 도 4는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제1 케이스(11)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과 평면도, 도 5는 제1 케이스(11)에 장착대(3)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4에 있어서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수 생성 장치(100)는, 서로 끼워맞출 수 있는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1)와, 제1 케이스(11)의 한쪽 면(제2 케이스(12)와 반대측의 면)(11b)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케이스 본체(1)를 지지하는 장착대(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 및 장착대(3)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는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제2 케이스(12)와의 결합면(11a)에 후술하는 제2 케이스(12)의 볼록부(121)가 끼워넣어지는 제1 오목부(111)가 형성되고, 이 제1 오목부(111)에는, 후술하는 촉매 전극(2)의 양극 전극(22) 중 판형 전극부(24)가 배치되는 제2 오목부(112)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면(11a)에는 제1 오목부(111)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홈부(113)가 형성되고, 이 홈부(113) 내에 O링(114)(도 5 참조)이 끼워넣어져 있다. O링(114)에 의해 제1 케이스(11)의 결합면(11a)에 후술하는 제2 케이스(12)가 설치된 경우에, 제1 케이스(11)의 결합면(11a)과 제2 케이스(12)의 결합면(12a)과의 사이가 실링되어 내압성 및 수밀성(水密性)이 우수한 것이 된다.
제1 케이스(11)에는 제2 오목부(112) 내에 배치된 촉매 전극(2)의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에 원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수 공급로(13)가 형성되어 있다. 원료수 공급로(13)는, 결합면(11a)과 반대측의 면(11b)으로부터 제1 케이스(11)의 두께 방향을 향해 제1 오목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31)과, 관통공(131)으로부터 제2 오목부(112)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131)의 입구인 원료수 공급구(133)에는, 후술하는 장착대(3)에 설치된 원료수 공급관(34)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제1 케이스(11)에는, 촉매 전극(2)의 양극 전극(22)에 의해 생성된 오존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존수 배출로(14)가 양극 전극(22)과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오존수 배출로(14)는, 결합면(11a)과 반대측의 면(11b)으로부터 제1 케이 스(11)의 두께 방향을 향해 제1 오목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41)과, 관통공(141)으로부터 제2 오목부(112)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141)의 출구인 오존수 배출구(143)에는, 후술하는 장착대(3)에 설치된 오존수 배출관(351)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제1 케이스(11)에는, 촉매 전극(2)의 음극 전극(23)과 오존수와 함께 생성된 음극수를 배출하기 위한 음극수 배출로(15)가 음극 전극(23)과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음극수 배출로(15)는, 결합면(11a)과 반대측의 면(11b)으로부터 제1 케이스(11)의 두께 방향을 향해 제1 오목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51)과, 관통공(151)으로부터 제1 오목부(111)를 형성하는 벽면(111a)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벽면(111a)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홈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151)의 출구인 음극수 배출구(153)에는, 후술하는 장착대(3)에 설치된 음극수 배출관(361)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오존수 배출구(143)와 음극수 배출구(153)는, 케이스 본체(1)(제1 케이스(11))의 동일면인 상기 반대측의 면(11b)에 형성되어 있고, 오존수 배출관(351)과 음극수 배출관(361)이 상기 반대측의 면(11b)으로부터 돌출하므로,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료수 공급구(133)는, 제1 케이스(11)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도 4중 하단부 측)에 설치되고, 오존수 배출구(143) 및 음극수 배출구(153)는 제1 케이스(11)의 길이 방향 타단부 측(도 4 중 상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의 결합면(11a)과 반대측의 면(11b)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오목부(16)가 형성되고, 이 제4 오목부(16) 내에 제1 케이스(11)의 외부로 돌출된, 후술하는 양극 전극(22)의 봉형(棒形) 전극부(25)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2)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제1 케이스(11)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제2 케이스(12)의 제1 케이스(11)와의 결합면(12a)에는, 제1 케이스(11)의 제1 오목부(111) 내에 끼워넣어지는 볼록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1)는, 제1 오목부(111)의 내벽면(111a)을 따라 맞닿는 프레임형 부재(122)와, 프레임형 부재(1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케이스(12)를 끼워맞추었을 때 오존수 배출로(14)를 덮는 커버부(123)와, 음극수 배출로(15)의 홈부(152)와 제2 오목부(112)와 대향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된 홈부(124)와, 프레임형 부재(122)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케이스(12)를 끼워맞추었을 때 원료수 공급로(13)의 홈부(132)를 덮는 연장부(126)를 구비하고 있다. 이같이 하여 형성된 볼록부(121)의 내측은, 촉매 전극(2)의 음극 전극(23) 중 판형 전극부(27)가 배치되는 제3 오목부(125)로 되어 있다. 즉, 제1 케이스(11)의 제2 오목부(112)와 제2 케이스(12)의 제3 오목부(125)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110)(도 5 참조)에 촉매 전극(2)이 수용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2)의 결합면(12a)과 반대측의 면(12b)에는, 음극 전극(23)의 봉형 전극부(28)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대측의 면(12b)의 주위 에지부에는, 복수 개의 나사 N1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로써,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체결되어 있다.
도 6a는 도 5에 있어서의 절단선 VI-a-VI-a를 따라 절단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b-VI-b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c는 도 6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c-VI-c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a는 도 5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a-VII-a를 따라 절단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b-VII-b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c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c-VII-c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d는 도 7a에 있어서의 절단선 VII-d-VII-d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촉매 전극(2)의 분해사시도이다.
촉매 전극(2)은, 양이온 교환막(21)과 양이온 교환막(21)의 한쪽 면(도 8 중 하면)에 압접된 양극 전극(22)과, 다른쪽 면(도 8 중 상면)에 압접된 음극 전극(2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부(110) 내에서 양극 전극(22)이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도록 촉매 전극(2)이 배치되어 있다.
양극 전극(22)은, 판형 전극부(24)와, 판형 전극부(24)의 양이온 교환막(21)과 반대측의 면(도 8 중 하면)에 대략 수직으로 접합되어 설치되는 봉형 전극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 전극(22)으로서는, 오존 발생 촉매 기능을 가지는 금속을 사용하고, 이 금속으로서는 백금 또는 백금 피복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 전극부(24)는, 복수 개의 격자형의 전극(241~243)이 중첩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 교환막(21) 측으로부터 차례로, 양극 촉매(마이크로 그레이팅(grating) 또는 직망(織網))(241), 마이크로 그레이팅 또는 플랫 롤(flat roll) 마이크로 그레이팅(242), 그레이팅 또는 전극(243)이 중첩되어 있다. 여기서, 직망이란, 가는 선재(線材)를 격자형으로 짠 것을 들 수 있고, 그레이팅이란 선재를 용접한 것 같은 일체로 된 격자형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그레이팅(242)은, 촉매(241)가 얇아 유연하므로, 봉형 전극부(25)가 직접 용접된 전극(243)의 요철(凹凸)로부터 지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레이팅 내를 통과함으로써 와류(渦流)가 생기고, 양극 전극(22)에 의해 발생한 오존 미포(微泡)를 말려들게 하여 용해를 앞당길 수가 있다. 또한, 도면 관계 상, 복수 개의 격자형의 전극(241~243)은 도 8에만 나타낸다.
봉형 전극부(25)는, 판형 전극부(24)의 양이온 교환막(21)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격자형의 전극(243)에, 도 8 중, 전극(243)의 하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용접되어 있다. 봉형 전극부(25)는, 제1 케이스(11)의 제4 오목부(16)로부터 제2 오목부(112) 내에 관통하여 형성된 봉형 전극부용 구멍(115)(도 5 참조)에 삽입되어, 한쪽 단부가 제4 오목부(16) 내에서 너트 n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이 봉형 전극부(25)의 한쪽 단부는, 후술하는 장착대(3)가 케이스 본체(1)에 고정된 경우에, 장착대(3)의 케이스 본체(1) 측을 향하는 면(3a)에 의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봉형 전극부(25)는, 제2 오목부(112) 내에 있어서 제1 케이스(11) 간 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형 전극부(25)에 O링(253)(도 5 참조)이 끼워넣어져 있다. 이로써, 봉형 전극부용 구멍(115)을 형성하는 내벽면에 O링(253)이 맞닿아, 봉형 전극부용 구멍(115)과 봉형 전극부(25)와의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음극 전극(23)은, 양극 전극(22)과 마찬가지로, 판형 전극부(27)와, 판형 전극부(27)의 양이온 교환막(21)과 반대측의 면(도 8 중 상면)에 대략 수직으로 접합되어 설치되는 봉형 전극부(28)로 구성되어 있다. 음극 전극(23)으로서는, 백금, 은, 티탄 등의 금속이나 얇은 은제(銀製) 금망(金網)의 표면에 염화 은피복을 실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 전극부(27)는 복수 개의 격자형의 전극(271~273)이 중첩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 교환막(21) 측으로부터 차례로, 음극 촉매(마이크로 그레이팅 또는 직망)(271), 마이크로 그레이팅 또는 플랫 롤 마이크로 그레이팅(272), 그레이팅 또는 전극(273)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격자형의 전극(271~273) 간을 수류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그레이팅(272)은, 촉매(271)가 얇아 유연하므로, 봉형 전극부(28)가 직접 용접된 전극(273)의 요철로부터 지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관계 상, 복수 개의 격자형의 전극(271~273)은 도 8에만 나타낸다.
봉형 전극부(28)는, 판형 전극부(27)의 양이온 교환막(21)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격자형의 전극(273)에, 도 8 중, 전극(273)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용접되어 있다. 봉형 전극부(28)는, 제2 케이스(12)의 결합면(12a)과 반대 측의 면(12b)으로부터 제3 오목부(125) 내에 관통하여 형성된 봉형 전극부용 구멍(126)(도 5 참조)에 삽입되어, 한쪽 단부가 상기 반대측의 면(12b)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너트 n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봉형 전극부(28)는, 제3 오목부(125) 내에 있어서 제2 케이스(12)와의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형 전극부(28)에 O링(283)(도 5 참조)이 끼워넣어져 있다. 이로써, 제3 오목부(125)를 형성하는 내벽면에 O링(283)이 맞닿아, 봉형 전극부용 구멍(126)과 봉형 전극부(28) 간의 수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양이온 교환막(나프 이온막)(21)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발생하는 오존에 내구성이 강한 불소계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것, 예를 들면, 두께 대략 100~300㎛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교환막(21)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도 6b, 도 6c 및 도 7b ~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보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약간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즉, 양이온 교환막(21)은, 제1 오목부(111)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양이온 교환막(2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의 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길게, 원료수 공급로(13)와 면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양이온 교환막(21)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의 길이 방향 타단부보다 길게, 오존수 배출로(14) 및 음극수 배출로(15)와 면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양이온 교환막(21)의 일단부 측에서, 또한 원료수 공급로(13)와 면하는 면에는, 양이온 교환막(21)을 관통하여 양극 전 극(22)과 음극 전극(23)이 서로 연통하는 연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6b, 도 8 참조).
그리고, 양극 전극(22), 양이온 교환막(21) 및 음극 전극(23)이 차례로 중첩되어 평판형으로 된 촉매 전극(2)이 수용부(110) 내에 수용되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제1 오목부(111) 내에 배치된 양이온 교환막(21)은 볼록부(12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오목부(111)에 형성된 원료수 공급로(13)의 홈부(132), 오존수 배출로(14)의 관통공(141) 및 홈부(142), 음극수 배출로(15)의 관통공(151) 및 홈부(152)의 일부(벽면(111a)이 노치된 부분을 제외한 홈부(152)는, 양이온 교환막(21)에 의해 덮힌다. 원료수 공급로(13)의 관통공(131)은, 양이온 교환막(21)의 연통공(211)과 면하고, 이로써, 양극 전극(22) 측과 음극 전극(23) 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원료수 공급로(13)의 홈부(132)는, 양이온 교환막(21)을 통하여 연장부(126)에 의해 덮히고, 오존수 배출로(14)의 홈부(142) 및 관통공(141)은, 양이온 교환막(21)을 통하여 커버부(123)에 의해 덮힌다. 음극수 배출로(15)의 홈부(152) 중 벽면(111a)에 절결된 부분은, 홈부(124)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수 공급로(13)를 유통하는 원료수는 양극 전극(22) 측으로 흐르는 동시에, 연통공(211)을 통하여 음극 전극(23) 측으로도 흐르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전극(22)에 있어서 발생한 오존수는, 양극 전극(22)의 평면 방향을 따라 흘러, 양극 전극(22)과 연 통되는 오존수 배출로(14)의 홈부(142)로부터 관통공(141)을 통하여 오존수 배출구(143)로 배출된다.
한편,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 전극(23)에 있어서 발생한 음극수는, 음극 전극(23)의 평면 방향을 따라 흘러, 음극 전극(23)과 연통되는 홈부(124)를 통과한 후, 홈부(152)의 절결된 부분으로부터 홈부(152)를 통하고, 다시 관통공(151)을 통하여 음극수 배출구(153)로 배출된다.
이같이 하여 양이온 교환막(21)의 연통공(211)에 의해, 원료수 공급로(13)로부터 흐르는 물이 양극 전극(22) 측과 음극 전극(23) 측에 각각 공급되고, 양이온 교환막(21)의 연통공(211)과 면하는 부분 및 음극수 배출로(15)의 홈부(152) 중 내벽면(111a)을 절결한 부분을 제외하고,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과의 사이에 협지된 양이온 교환막(21)이 제1 오목부(111)와 제2 케이스(12)의 볼록부(121)를 덮는 것에 의해, 양극 전극(22) 측과 음극 전극(23) 측으로 구획되어 있다. 즉, 오존수 배출로(14)의 양극 전극(22)과 연통되는 부분과, 음극수 배출로(15)의 음극 전극(23)과 연통되는 부분이, 양이온 교환막(21)에 의해 나누어지므로, 양극 전극(22) 측을 흐르는 물 및 생성된 오존수와, 음극 전극(23) 측을 흐르는 물 및 생성된 음극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11)의 상기 반대측의 면(11b)으로부터 돌출된 양극 전극(22)의 봉형 전극부(25)의 일단부와 제2 케이스(12)의 상기 반대측의 면(12b)으로부터 돌출된 음극 전극(23)의 봉형 전극부(28)의 일단부가, 각각 전극 터미널로 되고,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직류 전압이 인 가되어 있다. 각 봉형 전극부(25, 28)의 전극 터미널은 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전원 장치와 접속되고,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 사이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은, 예를 들면 6~15 볼트가 바람직하다.
도 9a는 장착대(3)의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과 정면도, 도 9b는 장착대(3)의 투과 상면도, 도 9c는 장착대(3)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대(3)는, 제1 케이스(11)의 결합면(11a)과 반대측의 면(11b)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고, 케이스 본체(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 본체(1)를 지지한다. 장착대(3)는 직육면체형을 이루고, 장착대(3)의 내부에 원료수 배출로(31), 오존수 배출로(32) 및 음극수 배출로(33)가 형성되고, 물의 통로를 일개소에 집중시키고 있다.
원료수 공급로(31)는, 케이스 본체(1)의 원료수 공급구(133)를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원료수 공급로(31)의 한쪽 단부에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는 면(정면)(3a)으로부터 돌출되어 원료수 공급관(34)이 접속되어 있다. 원료수 공급로(31)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료수 탱크나 원료수 탱크와 연결된 펌프 등이 접속되어 있다.
오존수 배출로(32)는, 장착대(3)의 내부에 있어서 벤딩(절곡)되어 형성되고, 한쪽 단부가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는 면(3a)으로부터 돌출되어 오존수 배출관(351)이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단부는 상기 면(3a)과 수직인 면(측면)(3b)으로 연장되고, 다른 오존수 배출관(35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오존수 배출 로(32)의 도중에는, 상기 면(3b)과 관통하는 분기로(分岐路)(321)가 형성되어 있고, 분기로(321)에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검출 센서(농도 검출 수단)(4)가 삽입되어 있다.
도 9d는, 도 9c에 있어서 오존수 배출로(32) 내에 농도 검출 센서(4)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모식도이다. 분기로(321)는 오존수 배출로(32)의 직경 중 하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오존수 배출로(32)는 분기로(321)와 연통되는 일부의 단면이 세로 방향으로 긴, 긴 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의 오존수 배출로(32)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로(321)로부터 농도 검출 센서(4)를 삽입시켜, 농도 검출 센서(4)가 오존수 배출로(32)의 긴 원형상 부분(322) 중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농도 검출 센서(4)는, 검출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전위 측정의 기준이 되는 비교 전극(도시하지 않음), 이들 검출 전극 및 비교 전극의 한쪽 단부에 결선되어 전위를 측정하는 전위차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 전극 및 비교 전극은, 분기로(321)로부터 나사 삽입된 센서 장착부(41)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검출 전극 및 비교 전극이 오존수 배출로(32)의 하단부(긴 원형상 부분)(322)에 배치되고, 오존수 배출로(32)를 흐르는 오존수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오존수와 접촉함으로써, 검출 전극의 오존 농도 변화에 의한 검출 전극과 비교 전극과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농도를 측정한다.
검출 전극으로서는, 예를 들면, 백금이나 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을 사용하고, 비교 전극으로서는 은이나 염화 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하여 검출된 오존 농도에 기초하여, 오존수 생성 장치(100) 내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미리 설정된 오존 농도와 일치하도록, 전원 장치에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 사이에 인가하는 전력량을 제어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존수 배출로(32)의 일부를, 그 단면적을 세로 방향으로 긴, 긴 원형상으로 형성하여 두고, 그 긴 원형상 부분(322)의 하단부에 농도 검출 센서(4)를 배치함으로써, 통상, 케이스 본체(1)로부터 배출된 오존수에는 산소 가스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기포는 오존수 배출로(32) 내의 상단부를 유통하고, 하단부에는 액체인 오존수가 유통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긴 원형상 부분(322)의 하단부에 농도 검출 센서(4)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존수 배출로(32)에 있어서의 긴 원형상 부분(322)의 하단부를 유통하는 오존수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농도 측정을 행할 수 있다.
음극수 배출로(33)도, 장착대(3)의 내부에 있어서 벤딩되어 배치되어, 한쪽 단부가 제1 케이스(11) 측을 향하는 면(3a)으로부터 돌출되어 음극수 배출관(361)이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단부는 상기 면(3a)과 수직인 면(상면)(3c)으로 연장되고, 다른 음극수 배출관(362)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원료수 공급관(34)을 케이스 본체(1)의 원료수 공급구(133)에 삽입하고, 오존수 배출관(351)을 오존수 배출구(143)에 삽입하고, 음극수 배출관(361)을 음극수 배출구(153)에 삽입하고, 또한 케이스 본체(1)와 장착대(3)를 나사 N2로 체결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와 장착대(3)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장착대(3)의 케이스 본체(1) 측을 향하는 면(3a)에서, 제4 오목 부(16) 내에 돌출된 양극 전극(22)의 봉형 전극부(25)의 일단부가 가압되고, 나사 N2의 체결을 조정함으로써, 양이온 교환막(21)에 대한 압접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존수 생성 장치(100)를 사용한 오존수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료수 공급로(31, 13)로부터 물을 공급하면, 양극 전극(22)의 판형 전극부(24)로 물이 흐르는 동시에, 연통공(211)을 통하여 음극 전극(23)의 판형 전극부(27)로 물이 흘러, 각 전극부(24, 27)에서 연속 접촉된다. 동시에 전원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의 각 전극 터미널(봉형 전극(25, 28))을 통하여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과의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 통전에 의해 물이 전기 분해되어, 양극 전극(22) 측에는 오존 기포 및 산소 기포가 발생하고, 음극 전극(23) 측에는 수소 기포가 발생한다. 발생한 오존 기포는 물에 용해되어 오존수가 되고, 오존수 배출로(14, 32)를 통하여 오존수 배출관(352)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수소 기포는 물에 용해되어 수소수(水素水)가 되고, 음극수 배출로(15, 33)을 통하여 음극수 배출관(362)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통전 중에, 동시에 농도 검출 센서(4)에 의해 오존수 배출로(32) 내의 오존수 농도가 측정되고,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오존 농도가 되도록 전원 장치의 출력 조정을 행함으로써,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 사이의 전력량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설정 농도의 오존수가 생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이온 교환막(21)의 원료수 공급로(13)와 면하는 부분에, 양극 전극(22)과 음극 전극(23)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공(211)이 형성되고, 원료수 공급로(13)로부터 흐른 물이 양극 전극(22)에 공급되는 동시에, 연통공(211)을 통하여 음극 전극(23)에 공급되므로, 원료수 공급로(13)를 양극 전극(22) 측과 음극 전극(23) 측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복잡한 공급로로 하지 않고, 연통공(211)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1개의 원료수 공급로(13)를 공유하여, 물을 양극 전극(22) 측과 음극 전극(23) 측으로 각각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도 단순해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오목부(112)에 수용된 양극 전극(22)과 제3 오목부(125)에 수용된 음극 전극(23)은, 양극 전극(22) 및 음극 전극(23)보다 큰 양이온 교환막(21)에 의해 덮히는 동시에, 양극 전극(22)과 연통되는 오존수 배출로(14)와 음극 전극(23)과 연통되는 음극수 배출로(15)도, 양이온 교환막(21)에 덮히는 것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으므로, 양극 전극(22) 측에서 생성된 오존수와, 음극 전극(23) 측에서 생성된 음극수가 혼합되지 않아, 각각 오존수 배출로(14) 및 음극수 배출로(15) 내를 통하여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케이스 본체(1)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대(3)에 오존수 배출로(32)가 설치되고, 이 오존수 배출로(32)에 농도 검출 센서(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농도 검출 센서(4)에 의해, 설정한 원하는 농도의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농도 검출 센서(4)가 케이스 본체(1)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대에 설치되어 있으므 로, 케이스 본체(1)의 유지보수나 교환의 경우에 농도 검출 센서(4)를 불필요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양극 전극(22)의 봉형 전극부(25)는, 케이스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장착대(3)가 케이스 본체(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돌출된 봉형 전극부(25)가 가압되어 양이온 교환막(21)이 가압되므로, 장착대(3)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21)에 대한 압접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에는, 서로 결합 가능한 제1 오목부(111), 제2 오목부(112), 볼록부(121) 및 제3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료수 공급로(13), 오존수 배출로(14), 음극수 배출로(15), 홈부(113) 및 제4 오목부(16) 등이 형성되고, 모두 케이스 본체(1)의 두께 방향에서의 요철(凹凸)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의 조립도 간단하다.
도 10은, 변형예의 오존수 생성 장치(100A)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오존수 생성 장치(100A)의 제1 케이스(11A)의 결합면(11)과 반대측의 면(11bA)에 자성 재료(17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장착대(3A)의 제1 케이스(11A) 측의 면(3aA) 중 대략 중앙 위치에는 전자석(37A)이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1A)에 장착대(3A)를 배치한 것에 의해, 전자석(37A)에 자성 재료(17A)가 흡인되어 제1 케이스(11A)와 장착대(3A)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자성 재료(17A) 및 전자석(37A)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A)와 장착대(3A)가 자력에 의해 흡 착되어, 케이스 본체(1A)와 장착대(3A)를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 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오존수 생성 장치(100)와 같이 케이스 본체(1)와 장착대(3)를 나사 N2에 의해 체결하는 수고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오존수 생성 장치(100A)의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오존수 생성 장치(100)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숫자에 영문자 A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 전극(22)의 판형 전극부(24) 및 음극 전극(23)의 판형 전극부(27)는, 각각 3개의 전극(241~243, 271~273)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나 2개, 4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양극 전극 측과 음극 전극 측에 각각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과의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이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전극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과의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촉매 전극이 수용된 케이스 본체에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에 물을 공급하는 원료수 공급로가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 교환막의 상기 원료수 공급로와 면하는 부분에,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이 서로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료수 공급로로부터 흐른 물이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중 한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다른 쪽의 전극에 공급되는, 오존수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양극 전극과 연통되어 상기 양극 전극에 의해 생성된 오존수를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로와, 상기 음극 전극과 연통되어 상기 음극 전극에 의해 생성된 음극수를 배출하는 음극수 배출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존수 배출로 및 상기 음극수 배출로의 각 배출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동일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오존수 배출로의 상기 양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과, 상기 음극수 배출 로의 상기 음극 전극과 연통되는 부분은,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과의 사이에 협지된 상기 양이온 교환막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오존수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대에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상기 오존수 배출로에 접속되는 다른 오존수 배출로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상기 오존수 배출로에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오존수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돌출된 상기 양극 전극이 가압되어 상기 양이온 교환막이 가압되는, 오존수 생성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대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오존수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오존수 생성 장치.
KR1020097023143A 2007-05-09 2008-01-10 오존수 생성 장치 KR101377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4704A JP5133592B2 (ja) 2007-05-09 2007-05-09 オゾン水生成装置
JPJP-P-2007-124704 2007-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256A KR20100016256A (ko) 2010-02-12
KR101377023B1 true KR101377023B1 (ko) 2014-03-25

Family

ID=4000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143A KR101377023B1 (ko) 2007-05-09 2008-01-10 오존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133592B2 (ko)
KR (1) KR101377023B1 (ko)
CN (1) CN101668707B (ko)
HK (1) HK1140997A1 (ko)
TW (1) TWI427191B (ko)
WO (1) WO2008139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45B1 (ko) * 2009-03-04 2009-11-19 조금일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JP5113892B2 (ja) 2010-04-30 2013-01-09 アクアエコス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これを用いる電解セル、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殺菌方法及び廃水・廃液処理方法
JP5048878B1 (ja) * 2012-02-15 2012-10-17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JP5069383B1 (ja) * 2012-04-27 2012-11-07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JP5134153B1 (ja) * 2012-07-09 2013-01-30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JP5210455B1 (ja) * 2012-11-20 2013-06-12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洗浄水生成装置
JP5210456B1 (ja) * 2012-11-20 2013-06-12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洗浄水生成装置
JP5948710B2 (ja) * 2012-12-10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JP5243657B1 (ja) * 2012-12-19 2013-07-24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ミキシング装置及びミキシング装置の設置構造
JP6187861B2 (ja) * 2013-07-11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電極デバイスおよび当該電解電極デバイスを備える電解水生成装置
JP5639724B1 (ja) * 2014-03-17 2014-12-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702885B1 (ja) * 2014-10-20 2015-04-15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5753638B1 (ja) * 2015-03-02 2015-07-22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6096258B1 (ja) * 2015-09-11 2017-03-15 株式会社ウォーターエージェンシー オゾン水製造装置
JP6587152B2 (ja) * 2016-03-30 2019-10-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CN112368418B (zh) 2018-03-29 2023-11-07 北极星医疗放射性同位素有限责任公司 臭氧水生成系统
TWI796480B (zh) * 2018-05-25 2023-03-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電解水生成裝置及電解水生成系統
JP2020076134A (ja) * 2018-11-08 2020-05-21 Npo法人Muskan オゾン水生成装置
WO2020171239A1 (ja) * 2019-02-22 2020-08-27 学校法人工学院大学 水電解装置及び水電解装置を用いた殺菌洗浄方法並びに有害物質分解・除去方法
JP6748982B2 (ja) * 2019-07-10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82839B2 (ja) * 2019-07-10 2021-1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253718B2 (ja) * 2019-07-10 2023-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345112B2 (ja) 2020-02-14 2023-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CN111118527B (zh) * 2020-02-25 2023-09-01 宁波隆丰电子科技有限公司 臭氧电解发生器及其清洗臭氧发生器的方法
CN112981440A (zh) * 2021-04-25 2021-06-18 爱可依科技(上海)有限公司 臭氧发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191A (ja) 1999-02-10 2000-08-29 Kobe Steel Ltd オゾン水発生装置
JP2002292370A (ja) 2001-01-23 2002-10-08 Silver Seiko Ltd オゾン水製造装置
JP2007083174A (ja) 2005-09-22 2007-04-05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3339B2 (ja) * 1997-07-02 2005-02-23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オゾン水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644261B2 (ja) * 1998-07-24 2005-04-27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オゾン水供給装置
CN2430450Y (zh) * 1999-12-23 2001-05-16 武汉大学 臭氧水生成机
JP2002143851A (ja) * 2000-11-15 2002-05-21 Hiroichi Shioda オゾン水製造方法及び用水または排水のオゾン処理装置
KR100564654B1 (ko) * 2003-06-25 2006-03-31 김정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TWM269115U (en) * 2005-01-07 2005-07-01 Wen Wang High-speed centrifugal ozone water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TW200708634A (en) * 2006-11-10 2007-03-01 Guo-Bin Jung Ozonat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TWM310215U (en) * 2006-11-10 2007-04-21 Guo-Bin Jung Improvement structure for ozone-water gener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191A (ja) 1999-02-10 2000-08-29 Kobe Steel Ltd オゾン水発生装置
JP2002292370A (ja) 2001-01-23 2002-10-08 Silver Seiko Ltd オゾン水製造装置
JP2007083174A (ja) 2005-09-22 2007-04-05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3592B2 (ja) 2013-01-30
JP2008279341A (ja) 2008-11-20
CN101668707B (zh) 2012-06-13
TWI427191B (zh) 2014-02-21
HK1140997A1 (en) 2010-10-29
WO2008139744A1 (ja) 2008-11-20
CN101668707A (zh) 2010-03-10
TW200846502A (en) 2008-12-01
KR20100016256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23B1 (ko) 오존수 생성 장치
JP5060793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KR102089475B1 (ko) 전해 액체 생성 장치
JP5427129B2 (ja) 電解電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解水生成装置
KR100564654B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WO2013161699A1 (ja) オゾン水生成装置
CN111032919B (zh) 电解池及电解池用电极板
JP5044228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JP6630984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2280953B1 (ko)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JP4925658B2 (ja) 電解槽
KR101853883B1 (ko) 대용량 살균수 생성장치
JP5154707B1 (ja) オゾン水用温度計及びオゾン水生成装置
JP5134153B1 (ja) オゾン水生成装置
CN112334603A (zh) 电解液体生成装置
JP7253718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748982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82839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KR200328403Y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2022068398A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17018916A (ja) 電解槽及び電解水生成装置
JP2022087568A (ja) オゾン水生成装置及び電極の製造方法
JP2023073296A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H0824858A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5296718A (ja) 電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