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475B1 - 전해 액체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 액체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475B1
KR102089475B1 KR1020187027040A KR20187027040A KR102089475B1 KR 102089475 B1 KR102089475 B1 KR 102089475B1 KR 1020187027040 A KR1020187027040 A KR 1020187027040A KR 20187027040 A KR20187027040 A KR 20187027040A KR 102089475 B1 KR102089475 B1 KR 102089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generating device
liquid
flow path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686A (ko
Inventor
켄이치로우 이나가키
아츠시 츠지
치히로 이
테츠야 마에카와
슌스케 모리
?스케 모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1/46114Electrodes in particulate form or with conductive and/or non conductive particles between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7Diamond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개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간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고,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은, 전해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 내에 전해부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와, 전극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해부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 Z를 개구부의 개구 방향과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얻는다.

Description

전해 액체 생성 장치
본 개시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해 액체 생성 장치로서, 양극과, 도전성막과, 음극을 포함한 전해 전극 디바이스를 갖고, 당해 전해 전극 디바이스에 의해 오존(전해 생성물)을 생성하여 오존수(전해 액체)가 얻어지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해 전극 디바이스에는, 음극에 형성된 구멍과 도전성막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홈부에 물을 도입함으로써 도입된 물이 전해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배관에 형성된 지지 구조에 전해 전극 디바이스를 지지시킴으로써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조립 공정이 복잡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12695호 공보
본 개시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간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고,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통액 방향이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는, 상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하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고 있다.
또한, 전해부에는, 유로에 개구됨과 함께, 도전성막과 전극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은, 전해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 내에 전해부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와, 전극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해부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개구부의 개구 방향과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도시하는 이면 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7-7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11-11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상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하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극 케이스를 일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극 케이스를 타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해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해부를 전극 케이스 내에서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전해부가 전극 케이스의 제2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홈부 및 유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홈부와 돌기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간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고,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통액 방향이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는, 상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하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고 있다.
또한, 전해부에는, 유로에 개구됨과 함께, 도전성막과 전극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은, 전해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 내에 전해부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와, 전극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해부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개구부의 개구 방향과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극 케이스 덮개의 전극 케이스에의 설치 방향을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대략 일치시킬 수 있고, 각 부재를 적층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는, 전해부와 전극 케이스 덮개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부를 오목부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의 개구부를 전극 케이스 덮개로 덮음으로써 유로를 형성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유로를 갖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및 도전성막은,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대략 동일면으로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동일한 높이로 함으로써 적층체의 유로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적층체의 유로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에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해부의 오목부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도입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때에, 조립의 도중에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보다 용이하게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내에는, 전해부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적층 방향의 일방측에 접하는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해부의 적층 방향의 일방측을 탄성체로 누르도록 하면, 전해부의 적층 방향의 치수 변동을 탄성체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층체의 적층 방향의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체는 전해부와 전극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극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체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용이하게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주연부에는, 전극 케이스와 전극 케이스 덮개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극 케이스 덮개를 전극 케이스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용이하게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은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있고, 전해부는,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양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와,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음극측 급전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부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이즈나 위치를 일의적으로 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층 시에 각 부재가 위치 어긋나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의 조립이나 각 부재의 위치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전해 생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유로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유로 내에 배치되어 버리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로 내를 흐르는 액체가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 중 어느 한쪽이 전해부의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이 전해부의 유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 액체 생성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양극측 급전 샤프트와 음극측 급전 샤프트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 액체 생성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양극과 음극이 단락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부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통액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전해부의 대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극 케이스의 유입구측, 유출구측의 방향성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효율적으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샤프트가 전극과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양극측 급전 샤프트나 음극측 급전 샤프트를 용접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전해부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보다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해부를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가 적층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조립하였을 때에, 전극에 대해 안정된 압박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통전 면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전해 생성물의 생성 능력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 내에 배치한 전해부를 나사 등으로 체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조립 변동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 생성물의 발생 능력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홈부는, 당해 홈부의 통액 방향의 개구 폭 및 유로의 적층 방향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작은 깊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유로 내를 흐르는 액체가 홈부 내에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는, 적층 방향의 높이가 유로 폭보다도 작은 높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계면 부분에서의 표면 유속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된 전해 생성물을 보다 빠르게 용해시킬 수 있게 되어,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부의 유로측의 표면에 돌기부가 접촉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돌기부에 의해 전해부를 압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도전성막과 전극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는 유로의 유로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해부의 중앙부를 돌기부에 의해 압압함으로써, 도전성막과 전극을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가, 통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가 전해부를 통액 방향을 따라서 압압함으로써, 도전성막과 전극을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적어도 전해부와의 접촉 부분이 홈부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부 상에 돌기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홈부 내의 액체의 흐름이 돌기부에 의해 방해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홈부의 계면 근방에 기포의 체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부가 통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는, 적어도 전해부와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이, 전해부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홈부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보다도 작다.
이렇게 하면,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조립 시에 돌기부의 위치가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홈부 상에 돌기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윤곽 형상이, 정점 부분에 R부가 형성된 다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의 윤곽 형상의 정점 부분에 R부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부 근방의 액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의 체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로서, 오존(전해 생성물)을 발생시키고, 당해 오존을 물(액체)에 용해시킴으로써 오존수(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를 예시한다. 또한, 오존수는, 살균이나 유기물 분해에 유효하기 때문에 수처리 분야나 식품, 의학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잔류성이 없는 것이나, 부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유로의 연장 방향을 통액 방향(전후 방향) X, 유로의 폭 방향을 폭 방향(유로 폭 방향) Y, 전극이나 도전성막이 적층되는 방향을 적층 방향(상하 방향) Z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전극 케이스 덮개가 상측으로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내부에 유로(11)가 형성된 하우징(10)을 갖고 있고, 전기 기기나 액체 개질 장치 등에 액체를 공급하는 배관(70)의 도중(상류측 배관(71)과 하류측 배관(72) 사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배관(70)의 도중에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접속하여, 유로(11)를 외부 유로(상류측 배관(71)의 수로(71a)나 하류측 배관(72)의 수로(72a))에 연통시킴으로써,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 내에서 생성된 오존수(전해수 : 전해 액체)를 전기 기기나 액체 개질 장치 등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배관(70)의 도중에 접속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의 하류측을, 전기 기기나 액체 개질 장치 등에 직접 접속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기 기기나 액체 개질 장치 등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하류측의 외부 유로로 된다.
그리고, 유로(11)가 형성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해부(80)가 유로(1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유로(11) 내를 흐르는 물(액체)이 전해부(80)에 의해 전해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는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이 유로(11)에 면하도록 하우징(10)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 전해부(8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전극)(84)과 음극(전극)(85) 사이(서로 인접하는 전극간)에, 도전성막(86)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81)를 갖고 있다.
한편, 유로(11)는 통액 방향 X가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11)는 상류측 배관(71)의 수로(상류측의 외부 유로)(71a)에 연통되어 전해부(80)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a)와, 하류측 배관(72)의 수로(하류측의 외부 유로)(72a)에 연통되어 전해부(80)에서 생성되는 오존수(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1b)를 갖고 있다.
또한, 적층체(81)에는, 유로(11)에 개구됨과 함께, 도전성막(86)과 전극(양극(84)이나 음극(85))의 계면(87, 8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홈부(82)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홈부(82)를 적층체(81)에 형성함으로써, 유입구(11a)로부터 유로(11) 내에 공급된 물(액체)을 홈부(82)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부(10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주로 홈부(82) 내에 도입된 물(액체)에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전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오존(전해 생성물)이 용해된 오존수(전해수 : 전해 액체)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물(액체)에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전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오존(전해 생성물)이 용해된 오존수(전해수 : 전해 액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 내에서 생성된 오존수(전해수 : 전해 액체)는, 유로(11)를 통해 유출구(11b)로부터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의 외부(하류측 배관(72)의 수로(72a) 내)로 유출된다.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아크릴 등의 비도전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전해부(80)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332a)를 갖는 오목부(34)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34) 내에 전해부(80)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20)와,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구비하고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전극 케이스(2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부(80)가 배치되는 대략 중공 상자 형상의 본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30)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일방측(상류측)에는, 상류측 배관(71)에 접속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제1 접속부(상류측 접속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0)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타방측(하류측)에는, 하류측 배관(72)에 접속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제2 접속부(하류측 접속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상류측 접속부)(40)에는, 당해 제1 접속부(상류측 접속부)(40)를 상류측 배관(71)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류측 배관(71)의 수로(71a)에 연통되는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가 유로(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의 상류단이 유입구(11a)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상류측 접속부)(40)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상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광폭으로 되는 테이퍼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입구(11a)는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의 하류측의 유로보다도 광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접속부(하류측 접속부)(50)에는, 당해 제2 접속부(하류측 접속부)(50)를 하류측 배관(72)에 접속한 상태에서, 하류측 배관(72)의 수로(72a)에 연통되는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도 유로(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의 하류단이 유출구(11b)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부(하류측 접속부)(50)의 하류측의 단부에도,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광폭으로 되는 테이퍼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출구(11b)도,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의 상류측의 유로보다도 광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상류측 접속부)(40) 및 제2 접속부(하류측 접속부)(50)는, 각각의 상단부(전극 케이스 덮개(60)측의 단부)(41, 51)가 본체부(30)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상단부(41, 51)를 본체부(30)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하였을 때에, 전극 케이스 덮개(60)가 상단부(41)와 상단부(51) 에 의해 끼움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본체부(3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31)와, 저벽부(31)의 주연부에 연속 형성된 주위벽부(32)와, 주위벽부(32)의 상단에 연속 형성된 천장 벽부(33)를 구비하고 있고, 천장 벽부(33)에는 상하 방향 Z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30)의 내부에는, 저벽부(31)의 내면(311)과, 주위벽부(32)의 내면(321)인 폭 방향측 내면(321a) 및 길이 방향측 내면(321b)과, 천장 벽부(33)의 내면(331)에 의해 구획 형성된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4)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 벽부(33)에 형성된 개구부(332a)가 오목부(34)의 개구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전해부(80)를 오목부(34) 내에 삽입함으로써, 전해부(80)가 오목부(34)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332a)는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전해부(80)의 윤곽 형상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적층 방향을 상하 방향 Z에 일치시킨 전해부(80)를 그대로의 자세로 오목부(34)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30)의 내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양단에 단차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5)는 저벽부(31) 및 주위벽부(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 Z에 있어서 저벽부(31)의 내면(311)과 개구부(332a)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면(351)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면(351)과 저벽부(31)의 내면(311)을 연결하는 단차면(35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차부(35)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34)가 2단 오목부 구조로 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34)는 개구측에 형성되어, 유로(11)의 일부가 형성되는 제1 오목부(유로 형성 예정 공간)(341)와, 제1 오목부(유로 형성 예정 공간)(341)보다도 안쪽(하측)에 형성되어, 전해부(80)가 수용되는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는, 전해부(80)의 본체부(80b)가 수용되는 본체부 수용 오목부(342a)와, 본체부 수용 오목부(342a)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양단에 있어서의 폭 방향 Y의 편측에 연속 형성되며, 전해부(80)의 후술하는 급전부(80c)가 수용되는 급전부 수용 공간(342b)을 갖고 있다.
즉, 단차부(35)의 단차면(352)은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차면(352a)과,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단차면(352b)과, 내측 단차면(352a)과 외측 단차면(352b)을 연결하는 연결 단차면(352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중간면(351)은 상하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내측의 경계선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유로 형성 예정 공간)(341)가, 천장 벽부(33)의 내면(331)과, 주위벽부(32)의 폭 방향측 내면(321a)의 상부 및 길이 방향측 내면(321b)과, 단차부(35)의 중간면(351)에 의해 구획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가, 저벽부(31)의 내면(311)과, 단차부(35)의 단차면(352)과, 폭 방향측 내면(321a)의 하부에 의해 구획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부(80)가 수용되어 있다. 이때, 전해부(80)는 적층 방향을 상하 방향 Z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는 탄성체(90)를 통해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전해부(80)는 당해 전해부(80)와 전극 케이스(20) 사이에 탄성체(90)를 개재시킴과 함께, 전해부(80)의 하면(80d)에 탄성체(90)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탄성체(90)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금속 스프링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 상 및 중간면(351) 상에, 전해부측 유로(14)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와 전극 케이스 덮개(60) 사이에 유로(11)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35)의 중간면(351)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내측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폭 방향 Y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의 4코너 부분에, 전해부(80)의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일방측(상류측)의 주위벽(32)에,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에 연통하는 제1 본체부측 유로(1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타방측(하류측)의 주위벽(32)에,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에 연통하는 제2 본체부측 유로(15)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1)는 제1 접속 유로(상류측 유로)(12), 제1 본체부측 유로(13), 전해부측 유로(14), 제2 본체부측 유로(15) 및 제2 접속 유로(하류측 유로)(16)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때, 유로(11)는 유입구(11a)가 형성되는 부분 및 유출구(11b)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단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11)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 Y로 광폭으로 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유로(11)는 적층 방향 Z의 높이가 유로 폭 W1보다도 작은 높이 H1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 폭 W1이 약 10㎜, 적층 방향 Z의 높이 H1이 약 2㎜로 되도록 유로(11)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량 2L/min으로 물(액체)을 유로(11) 내에 공급한 경우에, 유로 내를 흐르는 물(액체)의 유속은 약 1.67m/s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일방측(상류측)에 위치하는 급전부 수용 공간(342b)을 폭 방향 Y의 일방측에 형성함과 함께,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타방측(하류측)에 위치하는 급전부 수용 공간(342b)을 폭 방향 Y의 타방측에 형성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급전부 수용 공간(342b)을 본체부 수용 오목부(342a)의 대각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34)는 상하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본체부(30)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 자체(전극 케이스(20) 및 전극 케이스 덮개(60))도, 상하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 케이스 덮개(6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덮개부 본체(61)와, 덮개부 본체(61)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돌기부(6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부 본체(61)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돌기부(62)의 주연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용착용 돌기(63)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용착용 돌기(63)는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할 때에, 전극 케이스(20)의 천장 벽부(33)에 있어서의 개구부(332a)의 주연부(333)에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홈부(333a)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끼워 맞춤 돌기부(62)를 개구부(332a)에 끼워 맞추면서, 용착용 돌기(63)를 홈부(333a)에 삽입한 상태에서, 진동 용착이나 열 용착 등에 의해, 전극 케이스 덮개(60)와 전극 케이스(20)를 용착시킴으로써, 전극 케이스(20)의 오목부(34)가 전극 케이스 덮개(60)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용착용 돌기(63)와 홈부(333a)의 부분에는 용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 케이스 덮개(60)와 전극 케이스(20) 사이에 시일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전극 케이스(20)의 오목부(34)가 전극 케이스 덮개(60)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끼워 맞춤 돌기부(62)의 하면(62a)에 있어서의 폭 방향 Y의 양단에는,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으로 연장되는 연장 설치벽(62b)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이 연장 설치벽(62b)에 의해 전해부측 유로(14)의 폭 방향 Y의 양단이 구획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 설치벽(62b)은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의 4코너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보다도,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 설치벽(62b)은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연장 설치벽(62b)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의 근방에서 난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끼워 맞춤 돌기부(62)의 하면(62a)에 있어서의 폭 방향 Y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통액 방향 : 전후 방향 X)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돌기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90)를 개재하여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전해부(80)를 수용하고,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전극 케이스 덮개(60)에 설치된 돌기부(64)에 의해 전해부(80)가 하방으로 압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를 하방으로 압압함으로써, 탄성체(90)에 의해 전해부(80)의 전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밀착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이 중간면(351)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로(11)에 단차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해부(80)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로(전해부측 유로(14))의 단면적을, 다른 유로의 단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로(11)의 단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면, 유로(11) 내를 흐르는 물(액체)의 흐름이 흐트러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로(11) 내에 체류부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발생한 오존(전해 생성물)이 기포로 성장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유출구(11b)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수(전해 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전해부(8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해부(8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통액 방향 X가 길이 방향으로 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해부(80)는 양극(84), 도전성막(86), 음극(85)의 순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적층체(8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81)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양극(84) 및 음극(85)) 사이에 도전성막(86)이 개재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84)의 하측에, 예를 들어 티타늄제의 급전체(83)가 적층되어 있고, 이 급전체(83)를 통해 양극(84)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81)에는, 유로(11)에 개구되는 개구(82a)를 갖는 홈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82)는 도전성막(86)과 음극(85)의 계면(88)의 적어도 일부가 물(액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막(86)과 양극(84)의 계면(87)의 적어도 일부도 물(액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극(85)에는 음극측 구멍(85c)이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막(86)에는 도전성막측 구멍(86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85)과 도전성막(86)을 적층시켰을 때에, 음극측 구멍(85c)과 도전성막측 구멍(86c)이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전성막(86)의 내측면(86d) 및 음극(85)의 내측면(85d)이 홈부(82)의 측면(82c)으로 되고, 양극(84)의 상면(표면)(84a)이 홈부(82)의 저면(82b)으로 되어 있다(도 20 참조). 이와 같은 홈부(82)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성막(86)과 음극(85)의 계면(도전성막과 전극의 계면)(88)의 적어도 일부를 홈부(82)에 노출하게 되고, 홈부(82)에 노출되는 계면(88)에 물이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전성막(86)과 양극(84)의 계면(도전성막과 전극의 계면)(87)의 적어도 일부도 홈부(82)에 노출되게 되고, 홈부(82)에 노출되는 계면(87)에 물이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 방향 Y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홈부의 폭 방향 Y의 양단을 상류측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되도록, 홈부(82)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음극(85)에 형성되어 적층 방향 Z로 관통한 음극측 구멍(85c)을, 굴곡점 부분이 하류측에 배치되는 V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전성막(86)에 형성되어 적층 방향 Z로 관통한 도전성막측 구멍(86c)도, 굴곡점 부분이 하류측에 배치되는 V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음극측 구멍(85c) 및 도전성막측 구멍(86c)을 연통시킴으로써 V자 형상의 홈부(82)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홈부(82)의 형상은 상술한 V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 방향 Y로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홈부(82)를 길이 방향 X를 따라서 배열되도록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홈부(82)는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전성막(86)과 음극(85)의 계면(88)은, 음극(85)의 측면과 도전성막(86)의 측면의 경계선이다. 또한, 도전성막(86)과 양극(84)의 계면(87)은, 양극(84)의 표면과 도전성막(86)의 측면의 교선이다.
또한, 도전성막(86)과 음극(85)은 동일한 크기여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적어도 상호의 구멍(음극측 구멍(85c) 및 도전성막측 구멍(86c))끼리가 연통하고 있을 필요가 있고, 또한, 전기적인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을 감안하면, 도전성막(86)과 음극(85)은 거의 동일한 투영 치수인(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84)은 도전성막(86)이나 음극(85)과 동일한 크기여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적층 방향 Z로부터 보았을 때에, 모든 홈부(82)로부터 보일 정도 이상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84), 음극(85) 및 도전성막(86)을 거의 동일한 투영 치수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체(81)를 형성하였을 때에, 양극(84), 음극(85) 및 도전성막(86)의 측면이 대략 동일면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적층체(81)를 형성하였을 때에, 양극(84), 음극(85) 및 도전성막(86)의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84b, 85b, 86b)이 대략 동일면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체(83) 및 탄성체(90)도, 양극(84), 음극(85) 및 도전성막(86)과 거의 동일한 투영 치수로 되도록 하고 있다.
전해부(80)는 도전성막(86)으로부터의 이온 공급 및 전원부(100)로부터의 전류를 받아, 양극(84)과 도전성막(86)의 계면(87)에 있어서 오존을 전기 화학적으로 생성시키는 전해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전기 화학 반응은 이하와 같다.
양극측 : 3H2O→O3+6H++6e-
2H2O→O2+4H++4e-
음극측 : 2H++2e-→H2
급전체(83)는, 예를 들어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도전성막(86)과는 반대측에서 양극(84)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급전체(83)의 일단에는 샤프트 설치편(8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 설치편(83a)에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가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 설치편(83a)에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설치함으로써, 양극측의 급전부(8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체(83)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에 접속된 양극(102)측의 도선(102a)을 통해 전원부(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는 적층 방향 Z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설치편(83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체(83)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유로(11)와는 반대측(하측)을 향하여 연장시킨 상태에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전극 케이스(20)의 저벽부(31)에는, 급전부(80c)의 샤프트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급전부 삽입 관통 구멍(313a)이 각 급전부 수용 공간(342b)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급전부 삽입 관통 구멍(313a)에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에 있어서의 전극 케이스(2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도선(102a)이 접속되어 있다.
양극(84)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한 폭 10㎜, 길이 50㎜ 정도의 도전성 기판에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을 성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은, 붕소 도프 도전성을 갖는 것이다.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3㎛ 정도의 막 두께로 도전성 기판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84) 및 음극(85)의 형상을 판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양극(84)이나 음극(85)은 막 형상, 그물코 형상, 선 형상이어도 된다.
도전성막(86)은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이 형성된 양극(84)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전성막(86)은 프로톤 도전형의 이온 교환 필름이며, 100 내지 200㎛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도전성막(86)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Z 방향)으로 관통한 도전성막측 구멍(86c)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도전성막측 구멍(86c)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막측 구멍(86c)은, 길이 방향 X를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막측 구멍(86c)의 형상 및 배열은 다른 형태여도 된다.
음극(85)은 도전성막(8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음극(85)은, 예를 들어 두께가 0.5㎜ 정도인 스테인리스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음극(85)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음극측 구멍(85c)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음극측 구멍(85c)은 도전성막측 구멍(86c)과 동일 또는 서로 근사한 개구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음극측 구멍(85c)은 도전성막측 구멍(86c)의 배열과 동일 피치, 동일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극(85)의 일단에는 샤프트 설치편(85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 설치편(85e)에는,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가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 설치편(85e)에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설치함으로써, 음극측의 급전부(8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85)은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에 접속된 음극(101)측의 도선(101a)을 통해 전원부(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도, 적층 방향 Z로 연장되도록 샤프트 설치편(85e)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85)은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유로(11)와는 반대측(하측)을 향하여 연장시킨 상태에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다른 쪽의 급전부 삽입 관통 구멍(313a)에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에 있어서의 전극 케이스(2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도선(101a)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급전부 수용 공간(342b)을 본체부 수용 오목부(342a)의 대각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의 대각부(80e)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 중 어느 한쪽인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전해부(80)의 유입구(11a)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인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전해부(80)의 유출구(11b)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해부(80)는 복수의 홈부(82)의 병설 방향을 전후 방향 X에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부(100)는 양극(84)과 음극(85) 사이에 도전성막(86)을 개재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전원부(100)의 양극(102)측에는, 양극(84)이 도선(102a)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원부(100)의 음극(101)측에는, 음극(85)이 도선(101a)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전원부(100)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제어부에 접속함으로써, 전원부(100)의 온, 오프를 전환하거나, 출력을 변화시키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 및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작은 깊이 D1로 되도록 홈부(82)를 형성하고 있다(도 8 및 도 20 참조).
즉,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홈부(82)의 깊이 D1, 또는,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홈부(82)의 깊이 D1로 되도록 홈부(82)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약 2㎜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홈부(82)의 깊이 D1은, 도전성막(86)의 두께와 음극(85)의 두께의 합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6㎜ 내지 약 0.7㎜로 되어 있다.
또한,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은, 약 1.5㎜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홈부(82)의 깊이 D1, 또한,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홈부(82)의 깊이 D1로 되도록 홈부(8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64)가,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과만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돌기부(64)의 적어도 전해부(80)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64a)이 홈부(82)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64)의 적어도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 L2가, 전해부(80)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홈부(82)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 L3보다도 작아지도록 하여, 돌기부(64)가,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과만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64)의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 L2는, 약 1.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해부(80)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홈부(82)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 L3이, 약 2.0㎜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64)의 선단(하단)으로부터 근원 부분(상단)까지의 모든 부위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이 홈부(82)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 L3보다도 작아지도록, 돌기부(6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64)의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이 존재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돌기부(64)가 XY 평면 상의 어느 방향으로 위치 어긋났다고 해도, 돌기부(64)의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의 전체면을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64)는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윤곽 형상(64b)이 정점 부분(64c)에 R부(64d)가 형성된 사각 형상(다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한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예를 들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먼저,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탄성체(90)를 오목부(34) 내에 삽입시켜, 탄성체(90)를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배치한다.
다음에, 급전체(83)를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의 선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오목부(34) 내에 삽입시키면서,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한쪽의 급전부 삽입 관통 구멍(313a)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급전체(83)의 본체 부분을 탄성체(90) 상에 적층한다.
다음에,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양극(84)을 오목부(34) 내에 삽입시켜, 양극(84)을 급전체(83) 상에 적층한다.
다음에,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도전성막(86)을 오목부(34) 내에 삽입시켜, 도전성막(86)을 양극(84) 상에 적층한다.
다음에, 음극(85)을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의 선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측으로부터 오목부(34) 내에 삽입시키면서,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다른 쪽의 급전부 삽입 관통 구멍(313a)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음극(85)의 본체 부분을 도전성막(86) 상에 적층한다.
이때, 탄성체(90) 및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로 가이드되면서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삽입된다.
그러나, 탄성체(90) 및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단순히 오목부(34) 내에서 적층시킨 것만으로는, 탄성체(90)가 거의 자유 상태(거의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해부(80) 중 적어도 음극(85)이, 중간면(351)보다도 상방으로 뜬 상태로 되어 있다(도 18 참조). 단, 중간면(351)보다도 상방으로 뜬 음극(85)의 길이 방향 X로의 상대 이동은, 가이드 돌기(도입 가이드부)(353)에 의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체(90) 및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폭 방향측 내면(321a)에 의해 폭 방향 Y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그 후,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대하여 적층 방향 Z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끼워 맞춤 돌기부(62)를 개구부(332a)에 끼워 맞추면서, 용착용 돌기(63)를 홈부(333a)에 삽입한다.
그리고, 끼워 맞춤 돌기부(62)를 개구부(332a)에 끼워 맞추면서, 용착용 돌기(63)를 홈부(333a)에 삽입한 상태에서, 진동 용착이나 열 용착 등에 의해, 전극 케이스 덮개(60)와 전극 케이스(20)를 용착한다.
이렇게 하여, 전극 케이스(20)의 오목부(34)를 전극 케이스 덮개(60)에 의해 밀봉한다.
이때, 전해부(80)의 상면(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의 면)(80a)이, 연장 설치벽(62b) 및 돌기부(64)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전해부(80)는 탄성체(9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전체가 제2 오목부(전해부 수용 공간)(342) 내에 삽입되게 된다(도 19 참조).
다음에, 선단 전극 케이스(20)의 외부에 노출되는 급전부(80c)의 샤프트(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나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의 선단으로부터 O링(314)을 삽입하여, 누름판 수용 오목부(313)에 형성된 O링 삽입 홈(313b)에 배치한다.
그리고, 급전부(80c)의 샤프트(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나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의 선단을, 누름판(316)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316a)에 삽입 관통시켜, 누름판 수용 오목부(313) 내에 누름판(316)을 수용한다.
그리고, 누름판(316)에 형성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316b) 및 누름판 수용 오목부(313)에 형성된 나사 구멍(313c)에 나사(315)를 삽입하여 나사 고정함으로써, 누름판(316)을 전극 케이스(20)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각 부재를 전극 케이스(20)에 대하여 적층 방향 Z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샤프트 설치편(83a, 85e)에 용접시킨 것을 예시하였지만, 도 22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급전체(83)(양극(84))와는 별체로 설치함과 함께,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음극(85)과는 별체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 각각의 샤프트가 급전체(83) 및 음극(85)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의 양쪽 모두 별체로 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 중 어느 한쪽만을 별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가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에서는, 전해부(80)를 구성하는 부재 중 적층 방향 Z의 양단에 배치되는 부재인 급전체(83) 및 음극(85)을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음극(85)에는, 도전성막측 구멍(86c)과 연통하는 음극측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곡시킨 부재를 사용하여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는, 만곡시킨 부재가 거의 평탄한 판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 도전성막(86)에 대하여 압박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3에서는, 급전체(83) 및 음극(85)을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전체(83) 및 음극(85)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탄성체(90)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전체(83) 및 음극(85)의 형상을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하고, 이 급전체(83) 및 음극(85)에 의해 도전성막(86)에 대하여 압박압이 발생하도록 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90)를 사용하지 않고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한 경우라도,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3에서는, 탄성체(90)를 사용하지 않고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도록 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급전체(83) 및 음극(85)의 형상을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하면서, 급전체(83)의 하방에 탄성체(90)를 배치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해부(80)를 구성하는 부재의 만곡 형상은,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 도전성막(86)에 대하여 압박압이 발생하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길이 방향 X(통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적층 방향 Z)으로 만곡시킴과 함께, 도전성막(86)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고 있지만, 도전성막(86)측과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시켜도 된다. 또한 파형 등, 복수 개소를 만곡시킨 형상으로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급전체(83) 및 음극(85) 중 어느 한쪽만 만곡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해부(8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를 만곡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 도전성막(86)에 대하여 압박압이 발생하는 구성이면, 전해부(80)를 구성하는 부재 중 임의의 부재의 형상을 만곡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을 한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의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에 물(액체)을 공급하기 위해, 유입구(11a)로부터 유로(11)에 물(액체)을 공급한다.
그리고, 유로(11)에 공급된 물의 일부가 홈부(82) 내에 유입되어, 홈부(82)의 계면(87, 88)에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공급된 물에 의해 전해부(80)를 수중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원부(100)를 온으로 하여, 전원부(100)에 의해 전해부(80)의 양극(84)과 음극(8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84)과 음극(85) 사이에는 도전성막(86)을 통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양극(84)과 음극(85)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양극(84), 도전성막(86) 및 음극(85)이 통전하고, 홈부(82) 내의 수중에서 전해 처리가 이루어져, 도전성막(86)과 양극(84)의 계면(87, 88)의 근방에서 오존(전해 생성물)이 발생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수볼트 내지 수십볼트이고, 전압이 높을수록(전류값이 높을수록)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량이 커진다.
그리고, 도전성막(86)과 양극(84)의 계면(87, 88)의 근방에서 발생한 오존(전해 생성물)은, 물(액체)의 흐름을 따라서 유로(11)의 하류측으로 운반되면서 물(액체)에 용해된다. 이와 같이, 오존(전해 생성물)을 물(액체)에 용해시킴으로써 용존 오존수(오존수 : 전해 액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전해 액체를 이용하는 전기 기기나, 전해 액체 생성 장치를 구비하는 액체 개질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기나 액체 개질 장치로서는, 정수 장치 등의 수처리 기기나, 세탁기, 식기 세척기, 온수 세정 변기, 냉장고, 급탕 급수 장치, 살균 장치, 의료용 기기, 공조 기기 또는 주방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는, 서로 인접하는 전극(84, 85) 간에 도전성막(86)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81)를 갖고, 물(액체)을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80)와, 전해부(80)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에는, 통액 방향 X가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11)는 상류측 배관(71)의 수로(상류측의 외부 유로)(71a)에 연통되어 전해부(80)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a)와, 하류측 배관(72)의 수로(하류측의 외부 유로)(72a)에 연통되어 전해부(80)에서 생성되는 오존수(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1b)를 갖고 있다.
또한, 전해부(80)에는, 유로(11)에 개구됨과 함께, 도전성막(86)과 전극(84, 85)의 계면(87, 8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홈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전해부(80)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332a)를 갖는 오목부(34)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34) 내에 전해부(80)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20)와,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해부(80)는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를 개구부(332a)의 개구 방향과 대략 일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3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 케이스 덮개(60)의 전극 케이스(20)에의 설치 방향을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와 대략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 및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대하여 적층 방향 Z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1)가 전해부(80)와 전극 케이스 덮개(6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부(80)를 오목부(34)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전극 케이스(20)의 개구부(332a)를 전극 케이스 덮개(60)로 덮음으로써 유로(1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유로(11)를 갖는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서는, 양극과 도전성막과 음극을 단순히 적층시킴으로써 전해 전극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양극, 도전성막 및 음극을 적층할 때에, 각각의 부재의 위치 관계가 적층 방향 Z와 교차하는 방향(XY 평면 상)으로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양극, 도전성막 및 음극을 적층할 때에, 각각의 부재의 위치 관계가 적층 방향 Z와 교차하는 방향(XY 평면 상)으로 어긋나 버리면, 양극, 도전성막 및 음극의 접촉 면적이 증감되어 버려, 오존수(전해 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농도가 안정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각 부재가 유로 폭 방향 Y로 어긋나 버리면, 홈부 내의 계면의 노출량이 크게 변동되어 버리기 때문에, 오존수(전해 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농도가 보다 불안정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84, 85) 및 도전성막(86)이,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84b, 85b, 86b)이 대략 동일면으로 되도록 적층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84b, 85b, 86b)을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만으로, 적층체(81)의 유로 폭 방향 Y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적층체(81)의 유로 폭 방향 Y의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큰 유로 폭 방향 Y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수(전해 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농도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20)에는,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로 연장되며, 전해부(80)의 오목부(34)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도입 가이드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입 가이드부(353)를 형성하도록 하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때에, 조립 도중에 적층체(81)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보다 용이하게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과 도전성막과 음극을 단순히 적층시킴으로써 전해 전극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적층시킨 각 부품간에 간극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각 부품간에 간극이 생겨 버리면, 적층체의 적층면에서의 통전이 불균일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적층체의 적층면에서의 통전이 불균일해져 버리면,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전극 및 도전성막의 수명이 짧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 내에, 전해부(80)에 있어서의 적층체(81)의 적층 방향 Z의 일방측에 접하는 탄성체(90)를 배치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탄성체(90)를 설치함으로써, 전해부(80)의 적층 방향 Z의 일방측을 탄성체(90)로 누르도록 할 수 있어, 전해부(80)의 적층 방향 Z의 치수 변동을 이 탄성체(90)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의 적층 방향 Z의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체(90)를 설치함으로써, 전해부(80)의 전체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 부재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부재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하면,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전극 및 도전성막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체(90)에 의해 각 부재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하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각 부재의 밀착성을 높인 전해부(8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와 전극 케이스(20) 사이에 탄성체(90)를 배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때에, 전극 케이스(20)의 내부(오목부(34) 내)에 탄성체(90)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에 있어서의 개구부(332a)의 주연부(333)에, 전극 케이스(20)와 전극 케이스 덮개(60)가 용착된 용착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극 케이스 덮개(60)를 전극 케이스(20)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용이하게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이 양극(84) 및 음극(8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해부(80)는 양극(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양극(84)에 전압을 인가하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와, 음극(8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음극(85)에 전압을 인가하는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적층 방향 Z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이즈나 위치를 일의적으로 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층 시에 각 부재가 위치 어긋나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의 조립이나 각 부재의 위치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오존(전해 생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유로(11)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시키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가 유로(11) 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로(11) 내를 흐르는 물(액체)이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 중 어느 한쪽인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를 전해부(80)의 유입구(11a)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인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전해부(80)의 유출구(11b)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와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양극(84)과 음극(85)이 단락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부(80)는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통액 방향 X가 길이 방향으로 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전해부(80)의 대각부(80e)에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극 케이스(20)의 유입구측, 유출구측의 방향성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효율적으로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 및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샤프트를 전극(84, 85)과는 별체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양극측 급전 샤프트(83b)나 음극측 급전 샤프트(85f)를 용접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보다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해부(80)를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급전체(83) 및 음극(85))를 적층 방향 Z로 만곡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를 조립하였을 때에, 전극(84, 85)에 대하여 안정된 압박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의 통전 면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오존(전해 생성물)의 생성 능력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 케이스(20) 내에 배치한 전해부(80)를 나사 등으로 체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조립 변동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오존(전해 생성물)의 생성 능력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전해 전극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난류화시키기 위한 배플 구조가 설치된 전해 액체 생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배플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돗물을 전기 분해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난류를 발생시키는 것만으로는, 전해 생성물의 미세 기포를 전극의 계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떼어낼 만큼의 수력을 얻을 수 없어, 생성된 전해 생성물이 전극의 계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큰 기포로 성장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전해 생성물의 기포가 크게 성장하면, 전극의 계면으로부터 떨어졌다고 해도, 액체에 용해되지 않고 액체 중을 떠돌아다녀 버릴 우려가 있어,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 및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작은 깊이 D1로 되도록 홈부(82)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유로(11)의 적층 방향 Z의 높이 H1>홈부(82)의 깊이 D1, 또는, 홈부(82)의 통액 방향 X의 개구 폭 L1>홈부(82)의 깊이 D1로 하면, 오존(전해 생성물)이 발생하는 장소(계면(87)의 근방)의 수류가 빨라지기 때문에, 발생한 오존(전해 생성물)을 초미세 기포의 상태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오존(전해 생성물)이 액체에 용해되지 않고 액체 중을 떠돌아다녀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11) 내를 흐르는 물(액체)이 홈부(82) 내에서 체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양극, 도전성막 및 음극을 적층함과 함께, 도전성막 및 음극에 통수 구멍을 형성하여, 통수로(유로)를 1경로로 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도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해 액체 생성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유로의 높이에 대해서는 전혀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유로의 구성에 따라서는, 유로 내를 흐르는 액체의 유속이 현저하게 느려져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액체 중의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 Z의 높이가 유로 폭 W1보다도 작은 높이 H1로 되도록 유로(11)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적층 방향 Z의 높이가 유로 폭 W1보다도 작은 높이 H1로 되도록 유로(11)를 형성하면, 계면(87, 88)의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 유속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생성된 오존(전해 생성물)을 보다 빠르게 물(액체)에 용해시킬 수 있게 되어,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과 도전성막과 음극을 단순히 적층시키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양극과 도전성막의 접촉 및 도전성막과 음극의 접촉이 불균일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양극과 도전성막의 접촉 및 도전성막과 음극의 접촉이 불균일해지면, 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가 불안정해져 버려, 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부(80)의 유로(11)측의 표면(80a)에 돌기부(64)를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기부(64)를 전해부(80)의 유로(11)측의 표면(80a)에 접촉시킴으로써, 당해 돌기부(64)에 의해 전해부(80)를 압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도전성막(86)과 전극(84, 85)의 접촉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1)의 유로 폭 방향 Y의 중앙부에 돌기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해부(80)의 중앙부를 돌기부(64)에 의해 압압시키도록 하면, 도전성막(86)과 전극(84, 85)을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액 방향 X로 배열되도록 복수의 돌기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64)가 전해부(80)를 통액 방향 X를 따라서 압압하도록 하면, 도전성막(86)과 전극(84, 85)을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해부(80)를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밀도를 보다 균등화시킬 수 있게 되어, 오존(전해 생성물)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적어도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이 홈부(82)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돌기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부(82) 상에 돌기부(64)가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홈부(82) 내의 물(액체)의 흐름이 돌기부(64)에 의해 방해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홈부(82)의 계면(87, 88)의 근방에 기포의 체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부(82)를 통액 방향 X로 배열되도록 복수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64)의 적어도 전해부(80)와의 접촉 부분(64a)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 L2가, 전해부(80)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홈부(82)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 L3보다도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1)의 조립 시에 돌기부(64)의 위치가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홈부(82) 상에 돌기부(64)가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홈부(82)의 계면(87, 88)의 근방에 기포의 체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방향 Z로부터 본 상태에서, 윤곽 형상(64b)이 정점 부분(64c)에 R부(64d)가 형성된 다각 형상으로 되도록 돌기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64)의 윤곽 형상(64b)의 정점 부분(64c)에 R부(64d)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부(64)의 근방에 있어서의 액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의 체류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수중(액체 중)의 오존(전해 생성물)의 용해 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을 발생시키고, 당해 오존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생성시키는 물질은 오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을 생성하여 살균이나 수 처리 등에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산소수, 수소수, 염소 함유수, 과산화수소수 등을 생성하는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양극(84)은 예를 들어 도전성 실리콘, 도전성 다이아몬드, 티타늄, 백금, 산화납, 산화탄탈륨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는 도전성과 내구성을 갖는 전극이면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양극(84)을 다이아몬드 전극으로 한 경우, 그 제조 방법은 성막에 의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여 기판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음극(85)은 도전성과 내구성을 구비한 전극이면 되고, 예를 들어 백금이나 티타늄, 스테인리스, 도전성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이나 전해부, 그 밖의 세부의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관한 전해 액체 생성 장치는, 전해 처리한 액 중의 전해 생성물 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정수 장치 등의 수처리 기기나, 세탁기, 식기 세척기, 온수 세정 변기, 냉장고, 급탕 급수 장치, 살균장치, 의료용 기기, 공조 기기 또는 주방 기기 등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오존수 생성 장치(전해 액체 생성 장치)
10 : 하우징(전극 케이스(20)와 전극 케이스 덮개(60))
11 : 유로
11a : 유입구
11b : 유출구
17 : 용착부
20 : 전극 케이스
34 : 오목부
60 : 전극 케이스 덮개
71a : 수로(외부 유로)
72a : 하류측의 수로(외부 유로)
80 : 전해부
80a : 표면
80e : 대각부
81 : 적층체
82 : 홈부
82a : 개구
83b : 양극측 급전 샤프트
84 : 양극(전극)
85 : 음극(전극)
85f : 음극측 급전 샤프트
86 : 도전성막
87 : 양극(84)과 도전성막(86)의 계면
88 : 음극(85)과 도전성막(86)의 계면
90 : 탄성체
332a : 개구부
333 : 주연부
353 : 도입 가이드부
D1 : 홈부의 깊이
H1 : 유로의 적층 방향의 높이
L1 : 홈부의 통액 방향의 개구 폭
L2 : 돌기부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
L3 : 전해부에 있어서의 홈부간의 통액 방향 폭
W1 : 유로 폭
X : 통액 방향(길이 방향 : 전후 방향)
Y : 폭 방향(유로 폭 방향)
Z : 적층 방향(상하 방향)

Claims (21)

  1. 서로 인접하는 전극간에 도전성막이 개재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갖고, 액체를 전해 처리하는 전해부와,
    상기 전해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통액 방향이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는 유로가 상기 전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는, 상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상기 전해부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하류측의 외부 유로에 연통되어 상기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전해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고 있고,
    상기 전해부에는, 상기 유로에 개구됨과 함께, 상기 도전성막과 상기 전극의 계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해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 내에 상기 전해부가 수용되는 전극 케이스와, 상기 전극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전극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해부는,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을 상기 개구부의 개구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전해부와 상기 전극 케이스 덮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및 상기 도전성막은,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동일면으로 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케이스에는,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해부의 상기 오목부에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도입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전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의 일방측에 접하는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전해부와 상기 전극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주연부에는, 상기 전극 케이스와 상기 전극 케이스 덮개가 용착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해부는,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양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양극측 급전 샤프트와, 상기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당해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음극측 급전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상기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상기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상기 유로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상기 음극측 급전 샤프트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전해부의 상기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이 상기 전해부의 상기 유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통액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상기 음극측 급전 샤프트가 상기 전해부의 대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측 급전 샤프트 및 상기 음극측 급전 샤프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샤프트가 상기 전극과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를 구성하는 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가 상기 적층 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을 하고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당해 홈부의 상기 통액 방향의 개구 폭 및 상기 유로의 적층 방향의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보다도 작은 깊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적층 방향의 높이가 유로 폭보다도 작은 높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의 상기 유로측의 표면에 돌기부가 접촉하고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유로의 유로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통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전해부와의 접촉 부분이 상기 홈부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통액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상기 전해부와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통액 방향 폭이, 상기 전해부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홈부의 사이의 통액 방향 폭보다도 작은 전해 액체 생성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윤곽 형상이, 정점 부분에 R부가 형성된 다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해 액체 생성 장치.
KR1020187027040A 2016-03-30 2016-10-04 전해 액체 생성 장치 KR102089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7581 2016-03-30
JP2016067581A JP6587152B2 (ja) 2016-03-30 2016-03-30 電解液体生成装置
PCT/JP2016/004467 WO2017168475A1 (ja) 2016-03-30 2016-10-04 電解液体生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686A KR20180118686A (ko) 2018-10-31
KR102089475B1 true KR102089475B1 (ko) 2020-03-17

Family

ID=5996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040A KR102089475B1 (ko) 2016-03-30 2016-10-04 전해 액체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3943B2 (ko)
EP (1) EP3438057A1 (ko)
JP (1) JP6587152B2 (ko)
KR (1) KR102089475B1 (ko)
CN (4) CN115627488A (ko)
WO (1) WO2017168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72B1 (ko) * 2017-08-04 2021-03-09 성원기 유체의 전기분해 장치
JP6614538B2 (ja) * 2018-05-25 2019-1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6628159B2 (ja) * 2018-05-25 2020-0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水生成システム
TW202321516A (zh) * 2018-05-25 2023-06-0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電解水生成系統
JP6628160B2 (ja) * 2018-05-25 2020-0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システム
CN112334603B (zh) 2018-07-13 2024-04-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解液体生成装置
JP7325025B2 (ja) * 2018-07-13 2023-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6937475B2 (ja) * 2018-07-13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KR20200007708A (ko) 2018-07-13 2020-01-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전해수 생성 장치
JP7289077B2 (ja) * 2018-07-13 2023-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7122558B2 (ja) * 2018-07-13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6937476B2 (ja) * 2018-07-13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022918B2 (ja) * 2018-07-13 2022-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1634008S (ko) 2018-07-31 2019-06-17
JP6796816B2 (ja) * 2019-10-17 2020-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水生成システム
CN112875809A (zh) * 2019-11-29 2021-06-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2875808A (zh) * 2019-11-29 2021-06-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JP7345112B2 (ja) 2020-02-14 2023-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228846B2 (ja) 2020-02-14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228847B2 (ja) 2020-02-14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7369974B2 (ja) * 2020-02-14 2023-10-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装置
JP2023038058A (ja) 2021-09-06 2023-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液体生成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
CN115350393A (zh) * 2022-08-23 2022-11-18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棱锥状载药微针阵列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323A (ja) * 2005-11-17 2007-06-07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8189968A (ja) * 2007-02-02 2008-08-21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8279341A (ja) * 2007-05-09 2008-11-20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268A (en) 1987-06-30 1989-01-11 Konishiroku Photo Ind Image processing device
JPH0532535Y2 (ko) * 1987-07-01 1993-08-19
JP3078570B2 (ja) * 1990-09-21 2000-08-21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気化学用電極
US5756874A (en) * 1995-10-10 1998-05-26 Eosystems, Inc. Electrochemical cell for processing organic wastes
NO20030763L (no) * 2002-02-20 2003-08-21 Chlorine Eng Corp Ltd Ionebyttemembranelektrolysator
JP2004307878A (ja) * 2003-04-02 2004-11-04 Hanshin Gijutsu Kenkyusho:Kk 水素酸素発生装置
JP3155148U (ja) * 2009-04-08 2009-11-12 哲也 鈴田 水の電気分解装置を用いた酸素又は水素溶解装置
JP5113891B2 (ja) * 2010-04-30 2013-01-09 アクアエコス株式会社 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殺菌方法及び廃水・廃液処理方法
JP5427129B2 (ja) * 2010-07-05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電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解水生成装置
JP5069383B1 (ja) 2012-04-27 2012-11-07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オゾン水生成装置
JP3183220U (ja) * 2013-02-19 2013-05-09 株式会社アイケイエス 電源装置
US20140251795A1 (en) * 2013-03-07 2014-09-11 Cashido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cathode catalyst and ozone-generating device
JP2014217820A (ja) 2013-05-10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6187861B2 (ja) * 2013-07-11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電極デバイスおよび当該電解電極デバイスを備える電解水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323A (ja) * 2005-11-17 2007-06-07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8189968A (ja) * 2007-02-02 2008-08-21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JP2008279341A (ja) * 2007-05-09 2008-11-20 Nikka Micron Kk オゾン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47831A (zh) 2023-03-07
KR20180118686A (ko) 2018-10-31
WO2017168475A1 (ja) 2017-10-05
EP3438057A4 (en) 2019-02-06
JP2017176993A (ja) 2017-10-05
US20190055144A1 (en) 2019-02-21
US10843943B2 (en) 2020-11-24
CN115571953A (zh) 2023-01-06
CN115627488A (zh) 2023-01-20
JP6587152B2 (ja) 2019-10-09
EP3438057A1 (en) 2019-02-06
CN108883951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475B1 (ko) 전해 액체 생성 장치
WO2016047055A1 (ja) 電解液体生成装置、電解液体生成装置を備える液体改質装置、および電解液体生成装置で生成された電解液体を用いる電気機器
JP6937475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37476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187861B2 (ja) 電解電極デバイスおよび当該電解電極デバイスを備える電解水生成装置
JP7253718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748982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982839B2 (ja) 電解液体生成装置
JP6037282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200007709A (ko) 전해 액체 생성 장치
JP6132234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23073296A (ja) 電解液体生成装置
CN115052841B (zh) 电解液体生成装置
CN115052843B (zh) 电解液体生成装置
JP6037285B2 (ja) 電解水生成装置
WO2021161600A1 (ja) 電解液体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