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53B1 -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53B1
KR102280953B1 KR1020210024048A KR20210024048A KR102280953B1 KR 102280953 B1 KR102280953 B1 KR 102280953B1 KR 1020210024048 A KR1020210024048 A KR 1020210024048A KR 20210024048 A KR20210024048 A KR 20210024048A KR 102280953 B1 KR102280953 B1 KR 10228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ydrogen
plate
oxyge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용
허기창
이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즈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즈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즈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02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53B1/ko
Priority to PCT/KR2022/002091 priority patent/WO20221820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25B15/083Separating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를 발생시키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구조를 보강하여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HYDROGEN AND OXYGEN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를 발생시키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구조를 보강하여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는 물에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물 분자가 전기 분해됨에 따라 양극 측에 산소 기체가 발생하고, 음극 측에 수소 기체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고, 케이스 내에 양극판 및 음극판이 배치되고, 양극판 및 음극판의 사이에 격막(이온막)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양극판 및 음극판을 기준으로 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물이 통과하면서 전기에너지에 의해 물 분자가 분해되어 수소 및 산소가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소 및 산소 발생 장치는, 음극판과 양극판을 밀착시키고 내부 압력에 의해 한 쌍의 케이스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티타늄 재질의 케이스는 가공이 어려워 공정 택타임(tact-time)이 증가할 뿐 아니라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8965호(2010.03.15)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가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케이스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산소를 생성하는 양극 플레이트 및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수소를 생성하는 음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분해 모듈;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상기 음극 플레이트가 밀착되도록,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극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상기 음극 플레이트가 밀착되도록, 상기 음극 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극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고정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양극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음극 플레이트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음극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수소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은, 중공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 또는 상기 음극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중앙부까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본체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모서리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내측에 상기 제1 보강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기 하우징 본체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생성된 산소 또는 수소가 배출되는 배출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보강부를 가압하는 지지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플레이트의 음극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를 발생시키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에 있어서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가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케이스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의 구조를 보강하여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는 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조(미도시)에 침지되어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소 및 산소를 발생시킨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는 전기 분해 모듈(110), 제1 프레임(120), 제2 프레임(130), 제1 하우징(140) 및 제2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분해 모듈(110)은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플레이트(111)는 판상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 전극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양극 단자(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음극 플레이트(115)는 양극 플레이트(111)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판상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 전극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음극 단자(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는 은,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 격자를 가지는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쉬에는 전기 전도성 및 플레이트의 부식 방지를 위해 백금이 도금될 수 있다.
한편, (+) 전극과 연결되는 양극 플레이트(111)는 산소를 생성하고 (-) 전극과 연결되는 음극 플레이트(115)는 수소를 생성하며,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 사이에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투과를 위한 다공성의 격막(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 분해 모듈(110)의 (+)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플레이트(111)에서는 2H2O → O2 + 4H+ + 4e- 의 반응이 일어나고, 음극 플레이트(115)에서는 4H2O + 4e- → 2H2 + 4OH-의 반응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양극 플레이트(111)에서는 산소가, 음극 플레이트(115)에서는 수소가 생성된다.
한편,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은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20)은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가 밀착되도록 양극 플레이트(1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양극 플레이트(111)를 가압하며, 제2 프레임(130)은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가 밀착되도록 음극 플레이트(115)의 외측에 구비되어 음극 플레이트(115)를 가압한다.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은 중공의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은 종래의 티타늄 재질에 비해 가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생산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은, 프레임 본체(121, 131), 커버 플레이트(123, 133) 및 제1 보강부(125, 1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21, 131)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의 내부 공간을 통해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가 노출되어 후술할 유입부(143, 15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와 반응한다.
커버 플레이트(123, 133)는 프레임 본체(121, 131)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커버하며,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23, 133)는 프레임 본체(121, 131)의 단부로부터 내부 공간 방향으로 일정 넓이로 절곡 형성되며,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의 외측과 접촉한다. 커버 플레이트(123, 133)는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의 외측을 가압하여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를 밀착시키며,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와 면접촉하여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를 고정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123, 133)에는 양극 단자(113) 및 음극 단자(117)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125, 135)는 프레임 본체(121, 131)의 단부로부터 프레임 본체(121, 131)의 중앙부까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121, 131)의 강도를 보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강부(125, 135)는 프레임 본체(121, 131)의 모서리부에서 일정길이로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된 길이를 따라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의 외주와 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커버 플레이트(123, 133)의 면접촉에 의해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의 외주를 밀착시키고, 제1 보강부(125, 135)에 의해 제1 프레임(120) 또는 제2 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할 뿐 아니라 제1 보강부(125, 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를 가압하여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가 밀착되지 않고 공극이 생겨 서로 이격되는 경우 수소 및 산소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양극 플레이트(111)와 음극 플레이트(115)를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수소 및 산소 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 보강부(125, 13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의 프레임 본체(121, 131)의 모서리로부터 내부 공간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사각형의 어느 한 변의 중심으로부터 내부 공간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강부(125, 135)는 단면이'x',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 'x'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는 제2 보강부(127, 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강부(127, 137)는 프레임 본체(121, 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본체(121, 131)로부터 내측에 제1 보강부(125, 135)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121, 13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강부(127, 137)는 사각형의 프레임 본체(121, 131)와 대응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본체(121, 131)와 내측으로 이격되어 내부 공간에 제1 보강부(125, 135)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보강부(127, 137)는 제1 프레임(120) 또는 제2 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할 뿐 아니라 제2 보강부(127, 137)의 둘레 방향을 따라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를 가압하여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더욱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수소 및 산소 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는 제1 하우징(140) 및 제2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0)은 제1 프레임(1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양극 플레이트(111)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43) 및 양극 플레이트(111)에 의해 생성된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 배출부(145)가 형성되는 산소 배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50)은 제2 프레임(1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음극 플레이트(115)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53) 및 음극 플레이트(115)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수소 배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0) 또는 제2 하우징(150)은 각각 제1 프레임(120) 또는 제2 프레임(13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을 고정한다. 이때, 제1 하우징(140), 제2 하우징(150)과 제1 프레임(120), 제2 프레임(130)의 고정은 볼트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40) 또는 제2 하우징(150)은 하우징 본체(141, 151), 유입부(143, 153) 및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41, 151)는 프레임 본체(121, 131)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121, 131)와 결합된다.
유입부(143, 153)는 하우징 본체(141, 151)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수조(미도시)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유입부(143, 153)는 하우징 본체(141, 151)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부(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43, 15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프레임 본체(121, 131)의 내부 공간에 의해 노출되는 양극 플레이트(111) 또는 음극 플레이트(115)와 접촉되어 전기 분해되어 산소 또는 수소를 생성한다.
배출부(145, 155)는 하우징 본체(141, 1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생성되는 산소 또는 수소가 배출된다. 이때, 배출부(145, 155)는 하우징 본체(141, 151)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부(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의 중앙부에는 생성되는 산소 또는 수소를 분기하여 배출하기 위한 분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 배출부(145)는 제1 하우징(140)에 형성되어 양극 플레이트(111)에 의해 생선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며, 수소 배출부(155)는 제2 하우징(150)에 형성되어 음극 플레이트(115)에 의해 생선된 수소를 외부로 배출한다. 산소 배출부(145) 또는 수소 배출부(155)는 생성된 산소 또는 수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최소화하여 빠른 배출을 위해 하우징 본체(141, 15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본체(141, 151)의 중앙부에는 지지 돌부 (147, 157)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부 (147, 157)는 하우징 본체(141, 15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121, 13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보강부(125, 135)를 가압하며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의 중앙부를 서로 밀착시킨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는 지지 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6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120), 제2 프레임(130), 제1 하우징(140) 및 제2 하우징(150)의 하부를 지지하며, 양극 플레이트(111)의 양극 단자(113) 및 음극 플레이트(115)의 음극 단자(117)가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60)는 제1 프레임(120), 제2 프레임(130), 제1 하우징(140) 및 제2 하우징(150)을 고정하고 지지하여 수조(미도시) 등의 외부 장치에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를 고정하며, 삽입홀(161)을 통해 양극 단자(113) 및 음극 단자(117)가 수조(미도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전극과 (-)전극에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가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케이스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보강부(125, 135) 및 제2 보강부(127, 137)를 포함하여 제1 프레임(120) 및 제2 프레임(130)의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양극 플레이트(111) 및 음극 플레이트(115)를 공극 없이 밀착시킴으로써 수소 및 산소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110: 전기 분해 모듈
111: 양극 플레이트
113: 양극 단자
115: 음극 플레이트
117: 음극 단자
120: 제1 프레임
121: 프레임 본체
123: 커버 플레이트
125: 제1 보강부
127: 제2 보강부
130: 제2 프레임
131: 프레임 본체
133: 커버 플레이트
135: 제1 보강부
137: 제2 보강부
140: 제1 하우징
141: 하우징 본체
143: 유입부
145: 산소 배출부
147: 지지 돌부
150: 제2 하우징
151: 하우징 본체
153: 유입부
155: 수소 배출부
157: 지지 돌부
160: 지지 플레이트
161: 삽입홀

Claims (7)

  1. 산소를 생성하는 양극 플레이트 및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수소를 생성하는 음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분해 모듈;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상기 음극 플레이트가 밀착되도록,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극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상기 음극 플레이트가 밀착되도록, 상기 음극 플레이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극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고정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양극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음극 플레이트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음극 플레이트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배출하기 위한 수소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은,
    중공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 또는 상기 음극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중앙부까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모서리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내측에 상기 제1 보강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생성된 산소 또는 수소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보강부를 가압하는 지지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플레이트의 음극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KR1020210024048A 2021-02-23 2021-02-23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KR10228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48A KR102280953B1 (ko) 2021-02-23 2021-02-23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PCT/KR2022/002091 WO2022182028A1 (ko) 2021-02-23 2022-02-11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48A KR102280953B1 (ko) 2021-02-23 2021-02-23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53B1 true KR102280953B1 (ko) 2021-07-23

Family

ID=7715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48A KR102280953B1 (ko) 2021-02-23 2021-02-23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0953B1 (ko)
WO (1) WO20221820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78B1 (ko) 2022-03-29 2022-10-28 주식회사 헤즈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965A (ko) 2008-09-05 2010-03-15 박동혁 물의 전기분해 수소, 산소발생기
KR20110047676A (ko) * 2009-10-30 2011-05-09 (주)엘켐텍 막-전극-급전체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165B1 (ko) * 2015-02-12 2016-06-14 주식회사 웨스피 캐소드 피딩형 수소발생장치
KR101735766B1 (ko) * 2016-03-02 2017-05-15 서원준 산소 및 수소 공급장치
KR101795735B1 (ko) * 2016-12-16 2017-11-13 주식회사 토리 수소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72A (ko) * 2020-09-04 2020-10-21 주식회사 패러데이오투 전기화학적 산소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965A (ko) 2008-09-05 2010-03-15 박동혁 물의 전기분해 수소, 산소발생기
KR20110047676A (ko) * 2009-10-30 2011-05-09 (주)엘켐텍 막-전극-급전체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165B1 (ko) * 2015-02-12 2016-06-14 주식회사 웨스피 캐소드 피딩형 수소발생장치
KR101735766B1 (ko) * 2016-03-02 2017-05-15 서원준 산소 및 수소 공급장치
KR101795735B1 (ko) * 2016-12-16 2017-11-13 주식회사 토리 수소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78B1 (ko) 2022-03-29 2022-10-28 주식회사 헤즈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2028A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784B2 (en) Differential pressure water electrolysis system
US9487871B2 (en) High-pressure water electolysis apparatus
TW200846502A (en) Ozone water generator
JP5232271B2 (ja) 高圧水電解装置
CN101818357A (zh) 电化学装置
KR101944730B1 (ko) 간편한 전극 체결 구조와 전해액 유동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 전기분해장치
KR102280949B1 (ko)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
FI79145C (fi) Bipolaer elektrolysanordning med gasdiffusionskatod.
JP2006291329A (ja) 固体高分子膜型水電気分解装置
KR102280953B1 (ko) 수소 및 산소 생성 장치
US9828682B2 (en) Differential pressure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CN103620090B (zh) 电化学电池及其应用
KR100843404B1 (ko) 다공성 전극판을 갖는 수소발생장치
JP4852157B2 (ja) 水電解装置
JP2006328527A (ja) 水素製造装置
KR102400469B1 (ko) 전해셀 및 전해셀용 전극판
KR102525245B1 (ko)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
KR102460278B1 (ko)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
JP6306879B2 (ja) マニホールドユニット及び電解槽
KR20180117418A (ko)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
JP2010255029A (ja) 電解装置
JP3217309U (ja) 水素発生用電解セル装置
JP6499151B2 (ja) 電解槽
KR100964862B1 (ko) 전극 카트리지, 이를 구비한 수소 발생 장치 및 연료 전지발전 시스템
KR102622001B1 (ko) 수소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