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840B1 -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840B1
KR101367840B1 KR1020107008138A KR20107008138A KR101367840B1 KR 101367840 B1 KR101367840 B1 KR 101367840B1 KR 1020107008138 A KR1020107008138 A KR 1020107008138A KR 20107008138 A KR20107008138 A KR 20107008138A KR 101367840 B1 KR101367840 B1 KR 10136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ok
airbag module
cas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732A (ko
Inventor
마사키 오시노
마사루 나리타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6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과제 에어백 모듈의 자원과 중량을 경감하는 것.
해결수단 패브릭 하우징 (11)에 지지된 에어백 (1)과 에어백(1)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5)를 에어백 케이스 (12)에 수납한 에어백 모듈이다. 패브릭 하우징 (11)을 에어백 (1)에 사용되는 쿠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패브릭에 의해, 천정이 오픈되고 바닥면에 인플레이터와의 접속용구멍 (11a)이 설치된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에어백 케이스 (12)는 패브릭 하우징 (11)에 삽입하는 개구 (12aa)를 구비하며, 이 개구 (12aa)의 한쪽 양측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용 훅 (12ab)를 설치한 결합 부재 (12a)와 이 결합 부재 (12a)에 브리지부재 (12b)를 개입시켜 결합되는 하면 판부재 (12c)로 구성한다.
효과 에어백 케이스의 측벽을 가능한한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자원과 중량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의 안전확보를 목적으로 자동차에는 몇 개 정도의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충돌 등의 긴급 시에는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킨 가스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모듈도 안전 장치의 하나이다.
이 에어백 모듈 가운데 조수석 용의 에어백 모듈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은 에어백 (1)을 띠 모양의 플랩 (3)으로 덮은 상태에서, 에어백 케이스 (2) 안에 수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7-62455호 공보.
이 에어백 모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4) 내측에 설치한 입벽 (4a)의 체결 구멍 (4aa)에, 에어백 케이스 (2의) 한쪽 측벽 (2a)의 개구에 근접 장착한 훅 (2b)를 결합시켜 장착하고 있다. 또한 도 8 중의 5는 인플레이터이다.
하지만 상기 에어백 모듈은 차량 탑재 시 에어백의 접는 형상의 지지와, 전개 시 전개 방향의 규제 때문에 천정면이 오픈된 (opened) 상자 모양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 에어백 케이스에 의해 에어백의 전 둘레를 덮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에어백 케이스는 중량이 무거우므로, 최근 수년의 경량화 경향에 위배된다. 또한 필요로 하는 자원도 많아져서 자원 절약의 경향에도 위배된다. 더욱이 에어백 모듈의 장착부 강도도 상기 에어백 케이스의 중량 증가에 따라 커져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상자 모양 에어백 케이스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자원이 증가하여 중량도 증가하므로 자원 절약, 경량화에 위배된다. 또한 에어백 모듈의 장착부도 상기의 중량 증가에 따라 큰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에어백을 덮는 플랩을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탑재 시 에어백의 접는 형상의 유지와 전개시 전개방향의 규제를 행하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인플레이터 및 에어백과,상기 에어백의 수납과 수납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의 장착을 행하는 에어백 케이스, 및 이 에어백 케이스에 에어백 수납 시에 에어백을 지지하는 패브릭 하우징 을 구비한 에어백 모듈이며, 상기 패브릭 하우징을 에어백에 사용되는 쿠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패브릭에 의해 천정이 오픈되고 바닥면에 인플레이터의 접속용 구멍을 설치한 바닥 있는상자 모양으로 형성함과 동시에,상기 에어백 케이스는,상기 패브릭 하우징을 삽입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이 개구의 한쪽 양측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체결용 훅을 설치한 결합 부재와,이 결합 부재에 브리지부재를 개입시켜 체결된 하면 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브릭 하우징을 에어백에 사용된 쿠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패브릭에 의해, 천정이 오픈된 바닥 있는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패브릭 하우징에 에어백 케이스의 성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개구의 한쪽 양측에 훅을 설치한 것 뿐인 결합 부재와, 이 결합 부재에 브리지부재를 개입시켜 체결된 하면 판부재만으로, 에어백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측벽을 가능한 생략할 수 있으며, 자원과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리지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를 브리지처럼 중개하여 서로 체결하는 것이다. 이 브리지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가 패브릭 하우징을 지지하는 플레임(frame)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 브리지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상기 결합 부재 또는 상기 하면 판부재로부터 접는 에어백의 두께 방향으로 늘어난 판상의 부재가 상호 상기 에어백 두께 방향의 중간부위에서 결합되어 형성된 것.
b)상기 결합 부재나 상기 하면 판부재와는 다른 제 3의 판상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 각각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
c)상기 결합 부재 또는 상기 하면 판부재의 한쪽으로부터 접힌 에어백의 두께방향에 다른 한쪽까지 늘어진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를 다른 부재로 구성한 경우는, 어느 쪽이든 한쪽의 부재를 변경하는 것만으로서, 상이한 차량에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 강도 면에서 문제가 없는 하면 판부재의 두께를 결합 부재의 두께보다도 얇게 했을 경우는 한층 더 중량 경감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개구의 주위에 입벽을 설치한 경우는, 결합 부재의 강성이 증가하며, 에어백 전개 시에 있어서 전개방향의 규제가 더욱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때 입벽의 코너부가 되는 런오프(runoff) 부를 설치한다면, 입벽을 프레스성형 또는 드로잉(Drawing) 성형하는 경우의 가공 변형 (deformation)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에서의 상기 훅의 적어도 상기 개구와 수평한 평면부분에 상기 훅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비드를 형성한 경우는, 훅부의 강성이 증가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 장착부의 강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을 지지하는 패브릭 하우징에, 차량 탑재 시 에어백의 접힌 형상의 지지와 전개 시 전개방향의 규제를 행하므로 에어백 케이스의 측벽을 가능한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의 감소와 중량의 경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조수석에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의 조립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에어백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도에서의 입벽과 그 코너부에 설치된 런오프(runoff) 부를 설명하는 도, (c)~(e)는 훅에 설치된 비드를 설명하는 도이며, (c)는 사시도, (d)는 정면도, (e)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에어백 케이스의 훅의 인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도.
도 5(a)는 에어백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b)는 결합 부재와 하면 판부재의 결합부를 측면에서 본 도.
도 6은 에어백 케이스의 하면 판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
도 7은 플랩에 덮힌 상태에서 에어백 케이스에 수납된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
종래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상자 모양 에어백 케이스의 경우, 필요로 하는 자원이 증가하여 중량도 증가하므로 자원 절약, 경량화에 위배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의 장착부도 상기의 중량증가에 따라 큰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에어백을 덮는 플랩을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차량 탑재 시에서의 에어백의 접는 형상의 지지와, 전개 시 전개방향의 규제를 실시하면서 에어백 케이스의 측벽을 가능한 생략하여 자원과 중량의 경감을 실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도 1~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조수석에 구비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의 조립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에어백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에어백 케이스의 훅의 인장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도, 도 5는 에어백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에어백 케이스의 하면 판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11 은 에어백 케이스 (12)에 에어백 (1) 수납 시, 에어백 (10을 지지하는 패브릭 하우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패브릭 하우징 (11)을, 예를 들어 에어백 (1)과 동일한 패브릭을 사용하여 접은 상태의 에어백 (1)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에어백 (1)과 대략 같은 형상의, 천정이 오픈된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봉제하고 있다.
이 패브릭 하우징 (11)에는 바닥면에 인플레이터( 5)와의 접속용구멍 (11a)와 장착용구멍 (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3의 예에서는 상기 개구의 한쪽 양측에 후술하는 에어백 케이스 (12)의 훅 (12ab)에 체결 하는 절구(切口) (11c)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패브릭 하우징 (11)을 구비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에서는 에어백 (1)이 바닥면 및 전측면에 걸쳐서 패브릭 하우징 (11)에 덮히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케이스 (12)에 에어백 (1)을 넣을 때, 에어백 케이스 (12)의 마찰로부터 에어백 (1)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탑재 시 패브릭 하우징 (11)에 의해 에어백 (1)의 접은 형태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에어백 (1)의 전개 시에는 패브릭 하우징 (11)이 에어백 (1)을 에어백 케이스 (12)의 내부에 지지하며 더욱이 브리지부재 (12b), 결합 부재 (12a) 및 하면 판부재 (12c)가 패브릭 하우징 (11)의 탄성 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에어백 1의 전개방향을 바르게 규제하면서 탑승자 구속에 충분한 에어백 (1)의 전개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패브릭 하우징 (11)을 채용함으로써, 에어백 케이스 (12)의 측벽을 가능한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백 케이스 (12)를 제작하기 위한 자원을 감소할 수 있으며, 에어백 케이스 (120 자체의 중량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약 200g 중량을 저감시켰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개구 (12aa)의 한쪽 양측에 계합 용 훅 (12ab)만 설치한 결합 부재 (12a)와 이 결합 부재 (12a)에 브리지부재 (12b)를 개입시켜 체결된 하면 판부재 (12c)만으로 에어백 케이스 (12)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도 3에서는 결합 부재 (12a)와 하면 판부재 (12c)를 별도 부재로 구성하고 이 결합 부재 (12a)와 하면 판부재 (12c)의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각 2개의 브리지부재 (12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 (12a)와 하면 판부재 (12c)를 별도 부재로 구성하면, 어느 쪽이든 한쪽의 부재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이한 차량에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인플레이터 (5)를 지지하는 하면 판부재 (12c)는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그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문제가 없으므로 결합 부재 (12a)의 두께보다 얇게 하여 중량을 더욱 경감해도 좋다. 더욱이 별도 부재로 구성한 브리지부재 (12b) 사이는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또 도 1~도 3의 예에서는 결합 부재 (12a)의 개구 (12aa)의 전 둘레에 입벽 (12ac)를 프레스 성형하는 것으로 결합 부재 (12a)의 강성을 증가시켜 전개 시 에어백 (1) 전개방향의 규제를 더욱 확실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때 입벽 (12ac)의 코너부로 되는 곳에 런오프(runoff) 부 (12ad)를 설치하여 입벽 (12ac)를 프레스 성형 또는 드로잉 성형하는 경우의 가공 변형을 분산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훅 (12ab)의 상기 개구 (12aa)와 수평한 평면부분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와, 상기 훅 (12ab)가 돌출한 입벽 (12ac)부에, 훅 (12ab)의 강성 증가와 인스트루멘트 패널 장착부의 강도 증가를 위한 비드 (12ae)를 형성하고 있다.
나아가, 훅 (12ab)부와 입벽 (12ac)부에 도 3과 같은 상기 비드 (12ae)를 형성한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mm의 두께에서도 2.0mm의 두께 상당의 10mm-4 이상의 단면 이차 모멘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훅 (12ab)부와 입벽 (12ac)부에 비드 (12ae)를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결합 부재 (12a)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한층 더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 중의 12ca는 하면 판부재 (12c)에 설치한 인플레이터 (5)의 감합용구멍, 도 2 중의 6은 에어백 (1)과 인플레이터 (5)를 에어백 케이스 (12)에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닝링(RETAINING RING)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에서는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 패브릭 하우징 (11)에 의해 차량 탑재 시 에어백 (1)의 접은 형상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긴급 시에 에어백 (1)이 펼쳐진 경우는 전개방향의 규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구성의 패브릭 하우징 (11)을 채용함으로써 에어백 케이스 (12) 측벽을 가능한 생략 할 수 있도록 되어 자원 절약 및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에어백 케이스 (12)의 브리지부재 (12ba)는 도 5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한쪽 측면과 타방 측면에 각 1개씩 장착하여, 타방 측면의 브리지부재 (12b)를 결합 부재 (12a) 방향으로 돌출시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직접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브리지부재 (12b)를 결합 부재 (12a) 방향으로 돌출시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직접 부착하도록 한 경우는 에어백 (1)의 전개 시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굴곡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라면 적당히 실시의 형태를 변경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즉 이상에서 진술한 에어백 모듈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며 이 이상의 실시양태도 각종의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이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이 첨부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태, 크기 및 구성배치 등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 주지가 없는 한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 (12a), 브리지부재 (12b), 하면 판부재 (12c)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브리지부재 (12b)를 결합 부재 (12a) 또는 하면 판부재 (12c)의 어느 한쪽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인플레이터 5도 원반형 타입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원주형 타입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원주형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하면 판부재 (12c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형의 요면부 (12츄)를 설치한 형태를 사용한다.
더욱이 에어백 (1)의 저부와 패브릭 하우징 (11)의 바닥면을 봉제하여 일체화하면, 에어백 (1)의 저면부분의 강도가 증가한다. 동일한 정도의 강도에서도 좋은 경우는 에어백 (10의 저면을 구성하는 패브릭을 1장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상기 비드 (12ae)는 훅 (12ab)의 개구 (12aa)와 수평한 평면부분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에서만 형성하며, 훅 (12ab)가 돌출한 입벽 (12ac)부에 형성 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되지만, 차량 이외에 항공기나 선박 등의 탑승물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1 :에어백
5 :인플레이터
11 :패브릭 하우징
11a : 구멍
12 :에어백 케이스
12a :결합 부재
12aa :개구
12ab :훅
12ac :입벽
12ad :런오프(runoff) 부
12ae : 비드
12b :브리지부재
12c : 하면 판부재

Claims (8)

  1. 인플레이터 (inflator) 및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수납과 수납한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의 장착을 행하는 에어백 케이스 및
    상기 에어백 케이스에 에어백의 수납 시에 에어백을 지지하는 패브릭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로서,
    상기 패브릭 하우징을 에어백에 사용하는 쿠션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패브릭에 의해, 천정이 오픈되고 바닥면에 인플레이터와의 접속용 구멍을 설치한 바닥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케이스는
    상기 패브릭 하우징을 삽입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의 한쪽 양측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체결 용 훅을 설치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브리지 부재를 개입시켜 체결되는 하면 판부재
    로 이루어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하면 판부재는 각각 별도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하는 에어백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판부재의 두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개구의 주위에 입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벽의 코너부에는 런오프(runoff) 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서의 상기 훅의 적어도 상기 개구와 수평한 평면부분에는 상기 훅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 있어서 상기 훅의 적어도 상기 개구와 수평한 평면부분에는 상기 훅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서의 상기 훅의 적어도 상기 개구와 수평한 평면부분에는 상기 훅의 긴쪽방향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KR1020107008138A 2007-10-15 2008-10-07 에어백 모듈 KR101367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8062 2007-10-15
JPJP-P-2007-268062 2007-10-15
PCT/JP2008/068224 WO2009051038A1 (ja) 2007-10-15 2008-10-07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32A KR20100061732A (ko) 2010-06-08
KR101367840B1 true KR101367840B1 (ko) 2014-02-25

Family

ID=4056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138A KR101367840B1 (ko) 2007-10-15 2008-10-07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33567B2 (ko)
EP (1) EP2202119B1 (ko)
JP (1) JP5430402B2 (ko)
KR (1) KR101367840B1 (ko)
CN (1) CN101821136B (ko)
WO (1) WO2009051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0402B2 (ja) 2007-10-15 2014-02-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9262697A (ja) * 2008-04-23 2009-11-1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EP2221224B1 (de) * 2009-02-24 2015-07-15 Autoliv Development AB Gehäusebaugruppe für ein Luftsackmodul
KR101091693B1 (ko) * 2009-08-25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11073498A (ja) * 2009-09-29 2011-04-14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JP5749431B2 (ja) * 2009-11-11 2015-07-15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131687A (ja) * 2009-12-24 2011-07-07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のハウジング構造
JP2011136608A (ja) * 2009-12-25 2011-07-14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のハウジング構造
BR112012015649B1 (pt) * 2009-12-25 2019-11-05 Autoliv Dev dispositivo de airbag
JP2012035747A (ja) * 2010-08-06 2012-02-23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ケース
JP5926633B2 (ja) * 2012-06-28 2016-05-2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プロテクタクロス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150115580A1 (en) * 2013-10-29 2015-04-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ombination passenger air bag and knee air bag
CN105083199B (zh) * 2014-05-12 2018-11-20 奥托立夫开发公司 一种汽车安全气囊外壳
CN104015684B (zh) * 2014-06-08 2016-08-17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安全气囊壳体结构
DE102015006128A1 (de) * 2015-05-09 2016-11-10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sowie Baugruppe
JP2017114441A (ja) * 2015-12-25 2017-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5922964B (zh) * 2016-06-22 2018-11-30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装置
EP3360733B1 (en) * 2017-02-09 2019-10-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odule with a container and a flexible cover
US11447091B2 (en) 2020-05-11 2022-09-20 Honda Motor Co., Ltd. Vehicle air bag structura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291A (ko) * 2004-06-22 2005-1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6001640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07245876A (ja) 2006-03-15 2007-09-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76A (ja) 1992-11-30 1994-06-03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393090A (en) * 1993-06-02 1995-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abric housing for air bag inflator
JP2785676B2 (ja) 1994-02-18 1998-08-13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8282426A (ja) * 1995-04-07 1996-10-29 Nippon Seiko Kk エアバッグ装置
JP2973912B2 (ja) * 1996-02-09 1999-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バッグ折り畳み方法
US6126191A (en) * 1998-03-16 2000-10-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assembly
JP2001018741A (ja) * 1999-07-06 2001-01-2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306103B2 (ja) * 1999-08-20 2009-07-2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3165409A (ja) * 2001-12-03 2003-06-1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530599B2 (en) * 2005-07-05 2009-05-12 Autoliv Asp, Inc.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JP4347281B2 (ja) 2005-08-29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4753247B2 (ja) * 2005-12-21 2011-08-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0402B2 (ja) 2007-10-15 2014-02-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291A (ko) * 2004-06-22 2005-1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6001640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07245876A (ja) 2006-03-15 2007-09-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2119B1 (en) 2015-09-02
CN101821136B (zh) 2012-07-18
JP5430402B2 (ja) 2014-02-26
EP2202119A4 (en) 2010-10-27
US8033567B2 (en) 2011-10-11
CN101821136A (zh) 2010-09-01
US20120007347A1 (en) 2012-01-12
US20100253048A1 (en) 2010-10-07
US8459687B2 (en) 2013-06-11
JPWO2009051038A1 (ja) 2011-03-03
KR20100061732A (ko) 2010-06-08
EP2202119A1 (en) 2010-06-30
WO2009051038A1 (ja)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840B1 (ko) 에어백 모듈
JP55645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204993B2 (ja) 車両の内装部品の配設構造
JP377755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ク装着車両のピラートリム設置構造
WO2014208666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75025B2 (ja) 車両天井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レート
US8894092B2 (en) Airbag device
JP2007091199A (ja) エアバッグ収納部構造
JP2011073498A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90091104A1 (en) Air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for passenger seat of car
JP2006130945A (ja) 車両の後側面部構造
JP593734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18941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2035747A (ja) エアバッグケース
JP454818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24018285A (ja) 車両ルーフサイド構造
JP2023006038A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4176740B2 (ja) 車体上部構造
JP609665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車両取付構造
JP20110009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0301996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01871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015836A (ja) ペット収納ボックスの車両取り付け構造
JP2014043187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支持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0137842A (ja) 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