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404A - 조수석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404A
KR20060016404A KR1020040064826A KR20040064826A KR20060016404A KR 20060016404 A KR20060016404 A KR 20060016404A KR 1020040064826 A KR1020040064826 A KR 1020040064826A KR 20040064826 A KR20040064826 A KR 20040064826A KR 20060016404 A KR20060016404 A KR 2006001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housing
cushion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404A/ko
Publication of KR2006001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하우징에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이 하나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 인플레이터, 지지수단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모듈{Passenger Air-Bag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에어백 쿠션 70: 에어백 하우징
72: 쿠션 하우징 74: 캔 하우징
80: 인플레이터 82: 가스배출홀
90: 지지수단 92: 만곡부
94: 플랜지부 92a: 통기공
96: 볼트 98: 너트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하우징에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이 간편해져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은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Bag,DAB)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PAB)으로 구분된다. 운전자용 에어백은 필수사양이고 조수석 에어백은 선택사양이지만, 최근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을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조수석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에어백 하우징(1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고 충돌사고 발생시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0)과, 상기 에어백 쿠션(20)에 고압의 전개유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은 상기 에어백 쿠션(20)이 수납되는 쿠션 하우징(12)과,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가 수납되는 캔하우징(1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20)과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40)가 장착된다.
상기 리테이너(40)는 상기 인플레이터(30)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전개유체가 상기 에어백 쿠션(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40)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20)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2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을 관통하여 너트(46)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4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하우징(14)은 일측면에 상기 인플레이터(3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가능토록 삽입홀(14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볼트(32)가 관통되는 관통홀(14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32)는 상기 캔 하우징(14)의 관통홀(14b)에 관통된 후 너트(34)와 체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가 상기 캔하우징(14)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충돌시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인플레이터(30)로부터 고압의 전개유체 가 분출되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12)내의 상기 에어백 쿠션(20)에 고압의 전개유체가 충진되게 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20)이 충진되어 팽창되면, 상기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20)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어 승객이 보호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상기 에어백 쿠션(20)은 상기 쿠션 하우징(12)에 상기 리테이너(40)에 의해 볼트(44)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캔하우징(14)에 체결볼트(32)로 체결 고정됨으로써, 볼트 체결부위가 많기 때문에 조립 공수 및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하우징에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을 함께 장착되도록 하여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충돌사고 발생 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전개유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60)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70)과,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에어백 쿠션(60)에 전개유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80)와, 상기 인플레이터(80)의 외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80)가 상기 에어백 쿠션(60)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60)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은 상기 에어백 쿠션(60)이 수납되는 쿠션 하우징(72)과, 상기 쿠션 하우징(72)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80)가 수납되는 캔하우징(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90)은 상기 인플레이터(80)의 외둘레면에 용접에 의해00 상기 인플레이터(8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수단(90)은 상기 인플레이터(8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8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만곡부(92)와, 상기 만곡부(92)의 양측에서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플랜지부(94)로 이루어진다.
상기 만곡부(92)에는 상기 인플레이터(80)로부터 발생되는 전개유체가 상기 에어백 쿠션(6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공(9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수단(90)의 플랜지부(94)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6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을 관통하는 볼트(96)와, 상기 볼트(96)에 체결되는 너트(98)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에서 상기 플랜지부(94)와 맞대어지는 부분에 상기 볼트(96)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80)는 적어도 일부가 다른부분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만곡부(92)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바, 상기 인플레이터(80)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에 상기 인플레이터(8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홀(8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백 쿠션(60)의 개구부에 상기 지지수단(90)이 일체로 결합된 상기 인플레이터(80)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수단(90)의 볼트(96)가 상기 에어백 쿠션 (6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을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볼트(96)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을 관통한 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의 외측에서 상기 볼트(96)에 너트(98)를 나사체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인플레이터(80)와 에어백 쿠션(60)이 상기 지지수단(90)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60)의 전개시 상기 에어백 쿠션(60)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7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하우징에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이 하나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부품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전개유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함께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둘레면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양측에서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20040064826A 2004-08-17 2004-08-17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60016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6A KR20060016404A (ko) 2004-08-17 2004-08-17 조수석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6A KR20060016404A (ko) 2004-08-17 2004-08-17 조수석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4A true KR20060016404A (ko) 2006-02-22

Family

ID=3712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26A KR20060016404A (ko) 2004-08-17 2004-08-17 조수석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4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97B1 (ko) * 2008-07-25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KR101367840B1 (ko) * 2007-10-15 2014-02-25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에어백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40B1 (ko) * 2007-10-15 2014-02-25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에어백 모듈
KR100989497B1 (ko) * 2008-07-25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690B2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US7845455B2 (en)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US7703797B2 (en) Mounting bracket for rail mounted airbag inflator
KR100547175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4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6364343B1 (en) Grab handle bracket/airbag igniter retainer
EP1431131B1 (en) Vehicle with occupant&#39;s leg protection system
US20080088120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curtain air bag for a vehicle
KR101052988B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20060016404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629635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KR100629337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JP4160892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03242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20090066391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KR100885380B1 (ko) 조수석용 에어백 모듈
KR10055732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698685B1 (ko) 에어백장치
KR20030073752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060053722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29495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