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97B1 -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97B1
KR100989497B1 KR1020080072764A KR20080072764A KR100989497B1 KR 100989497 B1 KR100989497 B1 KR 100989497B1 KR 1020080072764 A KR1020080072764 A KR 1020080072764A KR 20080072764 A KR20080072764 A KR 20080072764A KR 100989497 B1 KR100989497 B1 KR 10098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housing
inflator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12A (ko
Inventor
천정현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8007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홀더 없이도 에어백 쿠션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은 물론 쿠션 홀더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조수석 에어백의 중량을 줄이게 됨은 물론 조수석 에어백의 제조 비용을 줄이는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바깥쪽에 다수의 체결부재가 고정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주입되는 팽창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재질이 여러 겹으로 겹쳐지고 그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구멍이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에 쿠션 홀더가 조립되지 않으므로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공수가 감소되어 조립 효율을 높이며, 쿠션 홀더의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쿠션 홀더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불필요하여 조수석 에어백의 제조 비용을 줄이게 되고, 조수석 에어백의 중량을 감소시키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72764
조수석 에어백, 에어백 쿠션, 인플레이터, 고정 브래킷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Passenger Air Bag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수석과 대향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운전자 포함)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상기 에어백으로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는 무릎 에어백 등이 있다.
아울러 이들 에어백에는 수납공간을 갖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 징 내부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주입되는 팽창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구비된다.
이들 에어백 중 조수석 에어백은 조수석과 대향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딪히는 조수석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6797호에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 및 도2에 도시하였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100), 상기 에어백 쿠션(100) 내부에 팽창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200), 상기 인플레이터(200) 및 에어백 쿠션(100)을 수용하는 에어백 하우징(300), 상기 에어백 하우징(300) 상부에 배치된 에어백 도어(도면상 미도시됨) 및 상기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상 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인플레이터(200)는 에어백 하우징(300)의 하단부에 수용되어 인플레이터 너트(220)로 고정되고, 일측에는 커넥터(440)가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440)를 통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에어백 쿠션(100)은 저면 테두리부에 볼트(422)가 형성된 쿠션 홀더(420)와 결합되고, 상기 쿠션 홀더(420)는 에어백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상기 볼트(422)에 너트(424)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조수석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 정하기 위해 쿠션 홀더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쿠션 홀더는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조수석 에어백의 중량을 가중시킴은 물론 쿠션 홀더의 제조에 따른 금형 비용 등이 증가되어 조수석 에어백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 내에 쿠션 홀더를 하우징에 끼워 볼트와 너트를 체결한 후 에어백 쿠션을 접게 되므로 쿠션 홀더의 조립이 번거로움은 물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쿠션 홀더가 하우징에 조립된 후 에어백 쿠션을 접어야 하므로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6797호(2005. 1. 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 홀더 없이도 에어백 쿠션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쿠션 홀더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조수석 에어백의 중량을 줄이게 됨은 물론 조수석 에어백의 제조 비용을 줄이는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이 에어백 하우징에 간편하게 조립됨은 물론 조립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는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은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바깥쪽에 다수의 체결부재가 고정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주입되는 팽창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재질이 여러 겹으로 겹쳐지고 그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구멍이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고 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개방된 상면과 직각으로 고정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저면에서 상기 수직판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홈부에 안착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이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너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 조립방법은 경사진 경사판에 홈부와 체결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홈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홈부에 안착되는 인플레이터, 상기 고정부재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고정부재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구멍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넣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끼움구멍을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 넣는 단계, 상기 홈부에 인플레이터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을 끼운 후 너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이 조립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 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에 쿠션 홀더가 조립되지 않으므로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공수가 감소되어 조립 효율을 높이며, 쿠션 홀더의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쿠션 홀더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불필요하여 조수석 에어백의 제조 비용을 줄이게 되고, 조수석 에어백의 중량을 감소시키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은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10), 상기 에어백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20),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인플레이터(30), 상기 에어백 쿠션(20) 및 인플레이터(30)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에는 개방된 상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11)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판(12)이 일체로 형성되 며, 이들 수직판(11)과 경사판(12) 양측면에는 각각 측면판(13)이 고정된다.
또 개방된 상면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된 에어백 쿠션(20)을 덮는 쿠션 커버(14)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 커버(14)는 부직포 등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에어백 하우징(10)에 각각 부착된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10)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도면상 미도시됨)에 고정되도록 수직판(11), 경사판(12) 및 이들 수직판(11)과 경사판(12) 사이의 측면판에 각각 브래킷(15)이 고정되고, 수직판(12) 하부에도 브래킷(15)이 고정된다.
아울러 경사판(12)에는 반원 형상의 홈부(16)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6)에는 팽창가스가 지나는 구멍(17)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17) 외측에는 체결부재(18)가 다수개 돌출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20)에는 체결부재(18)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1)가 형성되며, 고정부재(21)에는 체결부재(18)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구멍(22)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중앙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1)는 에어백 쿠션(2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고, 여러 겹으로 겹쳐져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될 때 체결부재(18)로부터 파단되거나 이탈되지 않는 강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인플레이터(30)는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간에는 팽창가스가 분출되는 분출구멍(3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40)에는 체결부재(18)에 끼워지는 고정구멍(4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홈부(16)와 대칭되는 홈부(42)가 형성되며, 체결부재(18)에 체결되는 너트(4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수석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20)의 고정부재(21)를 에어백 하우징(10)의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고정부재(21)는 에어백 쿠션(2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그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된다.
즉, 에어백 쿠션(20)의 고정부재(21)는 변형이 자유로우므로, 에어백 하우징(10)의 구멍(17) 내측에서 외측으로 빼낸 다음 고정부재(21)의 끼움구멍(22)을 체결부재(18)에 끼워 넣는다.
이렇게 고정부재(21)가 체결부재(18)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에어백 하우징(10)의 홈부(16)에 인플레이터(30)를 안착시키고, 고정 브래킷(40)의 고정구멍(41)을 체결부재(18)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고정 브래킷(40)의 고정구멍(41)이 체결부재(18)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 너트(43)가 체결된다.
상기 인플레이터(30)와 고정 브래킷(40)이 고정된 다음 에어백 하우징(10)에 고정된 에어백 쿠션(20)을 접어 에어백 하우징(10) 내에 수납시키며, 이때 에어백 쿠션(20)은 개방된 상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접힘부(24)와 수직판(11)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접힘부(25)로 접어져 에어백 하우징(10)에 수납되며, 에어백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쿠션 커버(14)가 부착된다.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에 별도의 쿠션 홀더를 조립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조립되며, 조수석 에어백의 구성 부품을 줄이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백 하우징 11: 수직판
12: 경사판 13: 측면판
14: 쿠션 커버 15: 브래킷
16: 홈부 17: 구멍
18: 체결부재 20: 에어백 쿠션
21: 고정부재 22: 끼움구멍
23: 중앙구멍 30: 인플레이터
31: 분출구멍 40: 고정 브래킷
41: 고정구멍 42: 홈부
43: 너트

Claims (6)

  1.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바깥쪽에 다수의 체결부재가 고정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주입되는 팽창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재질이 여러 겹으로 겹쳐지고 그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구멍이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고정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개방된 상면과 직각으로 고정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저면에서 상기 수직판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팽창가스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홈부에 안착된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이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너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5. 경사진 경사판에 홈부와 체결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홈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홈부에 안착되는 인플레이터, 상기 고정부재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고정부재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구멍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넣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끼움구멍을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 넣는 단계,
    상기 홈부에 인플레이터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 및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을 끼운 후 너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이 조립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방법.
KR1020080072764A 2008-07-25 2008-07-25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KR10098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4A KR100989497B1 (ko) 2008-07-25 2008-07-25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64A KR100989497B1 (ko) 2008-07-25 2008-07-25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12A KR20100011512A (ko) 2010-02-03
KR100989497B1 true KR100989497B1 (ko) 2010-10-22

Family

ID=4208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64A KR100989497B1 (ko) 2008-07-25 2008-07-25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334B2 (ja) * 2020-03-27 2023-08-16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44A (ko) * 2004-01-16 2005-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10413B1 (ko) 2003-05-12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6001640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413B1 (ko) 2003-05-12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50075244A (ko) * 2004-01-16 2005-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6001640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12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690B2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JP549536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JP4907175B2 (ja) 座席シート装置
KR101091693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265687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이것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US8814204B2 (en) Automobile seat in which side airbag device is installed
KR102409213B1 (ko) 승차인 보호 장치
US7896388B2 (en) Seat airbag
KR101637207B1 (ko) 차량의 안전장치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JP5508816B2 (ja) ルーフエアバッグの装着構造
EP1481857B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JP382107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ク装置
KR100989497B1 (ko)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조립방법
JP2010235043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2533797A (zh) 侧面安全气囊装置
CN109955823B (zh) 用于帘式气囊装置的安装结构
CN210882010U (zh) B柱总成和具有它的车辆
JP703218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2292291A (zh) 具有安全气囊模块的车辆乘员保护系统
JP718057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637206B1 (ko) 에어백 장치
JP7096996B2 (ja) 車両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720350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510413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