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397B1 - 내복용 액제 - Google Patents

내복용 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397B1
KR101326397B1 KR1020087012896A KR20087012896A KR101326397B1 KR 101326397 B1 KR101326397 B1 KR 101326397B1 KR 1020087012896 A KR1020087012896 A KR 1020087012896A KR 20087012896 A KR20087012896 A KR 20087012896A KR 101326397 B1 KR101326397 B1 KR 10132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lucuronolactone
liquid
sodium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644A (ko
Inventor
야스토모 호두미
타케노리 미야모리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2Amines having two or more amino groups, e.g. spermidine, putres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루쿠로노락톤 및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복용 액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복용 액제의 제제 pH는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글루쿠로노락톤과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배합비는, 3:1 내지 340:1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내복용 액제{LIQUID MEDICINE FOR INTERNAL USE}
본 발명은, 글루쿠로노락톤 및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한 내복용 액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肝) 기능의 개선 작용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12월 2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376804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로부터, 글루쿠로노락톤은 간(肝)기능의 개선, 두드러기, 습진, 중독진(中毒疹), 임신 입덧(惡阻), 임신중독증 등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알코올이나 지방의 다량 섭취에 기인하는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제로서의 효과가 알려지고 있는 유용한 약물이다.
이러한 글루쿠로노락톤을 함유하는 내복용 액제에서, 더욱 간 기능 개선 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그를 위한 시책(施策)으로서는, 글루쿠로노락톤의 증량, 및 다른 유효 성분과의 조합이 고려된다.
글루쿠로노락톤은 산성측에서 안정한 것이 알려지고 있는데, 이러한 글루쿠 로노락톤과 안정적으로 공존하여 간 기능 개선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에 관해,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감초, 구기자라는 생약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10-298093호 공보
그러나, 글루쿠로노락톤을 증량하는 것은, 글루쿠로노락톤 원료 자체의 떫은맛이 강하기 때문에 곤란하다.
한편, 다른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생약을 배합하면 액제의 풍미가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글루쿠로노락톤을 함유하는 내복용 액제에 있어서, 글루쿠로노락톤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액제의 풍미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특정한 배합비율로 간 기능 개선 작용 및 피로 회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액제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성분으로서, 산성측에서 안정한 글루쿠로노락톤과 안정적으로 공존할 수 있고 간 기능 개선 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첨가함으로써, 글루쿠로노락톤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액제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장의 기능 개선 작용 및 피로 회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글루쿠로노락톤 및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복용 액제를 제공한다.
상기 내복용 액제의 제제 pH가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루쿠로노락톤과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배합비(질량비)가 3:1 내지 340:1(글루쿠로노락톤/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3 내지 3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제 pH란, 최종 제품으로서, 보관되고, 복용에 제공되는 내복용 액제의 pH를 의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글루쿠로노락톤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액제의 풍미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간 기능 개선 작용 및 피로 회복 효과가 더욱 향상된 내복용 액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는, (A)글루쿠로노락톤(glucuronolactone) 및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dichloro acetic acid diisopropylamine)을 함유한다.
<(A)글루쿠로노락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글루쿠로노락톤」은, 글루쿠로노락톤 및 글루쿠론산 또는 그 염류의 총칭으로서 사용된다.
(A)글루쿠로노락톤은, 간장의 작용을 좋게 하는 성분이고, 구체적으로는, 간장의 혈류를 늘리고, 해독 능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부작용이 거의 없다. 드드러기, 습진, 임신중독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A)글루쿠로노락톤의 성상은, 백색 내지 미황백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의 분말이다.
(A)글루쿠로노락톤은, 시판품이라도 좋고, 적절히 합성한 것이라도 좋다. (A)글루쿠로노락톤을 합성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서의 (A)글루쿠로노락톤의 함유량은,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질량% 단위로는, 예를 들면, 0.01 내지 10.0질량%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 단위로는, 예를 들면, 10㎎/100㎖ 내지 2,000㎎/20㎖이 바람직하고, 100㎎/100㎖ 내지 1,000㎎/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의 하한치 이상이면, 글루쿠로노락톤에 의한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의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글루쿠로노락톤 특유의 불쾌한 맛(苦味)이 현저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액제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은, 간장의 작용을 좋게 하는 성분이고, 구체적으로는, 간장의 세포의 신생(新生)을 촉진시킨다.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성상은, 백색의 결정성의 분말이다.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은, 시판품이라도 좋고, 적절히 합성한 것이라도 좋다.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합성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서의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함유량은,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질량% 단위로는, 예를 들면, 0.003 내지 0.5질량%가 바람직하고, 0.003 내지 0.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 단위로는, 예를 들면, 3㎎/100㎖ 내지 100㎎/20㎖가 바람직하고, 3㎎/100㎖ 내지 30㎎/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의 하한치 이상이면,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에 의한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의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간장에의 부담을 경감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간장의 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 있어서, (A)글루쿠로노락톤과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은, 그 배합비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각각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글루쿠로노락톤과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바람직한 배합비>
상기 (A)글루쿠로노락톤과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내복용 액제에서의 바람직한 배합비(글루쿠로노락톤(A):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B))로서는, 질량% 단위로, 3:1 내지 340:1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 내지 34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피로 회복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pH 조제제(調製劑)>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의 제제 pH(25℃)는 1.5 내지 3.0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pH 조제제가 첨가된다.
상기 제제 pH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 내지 3.0이고,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2.2 내지 2.8이다.
제제 pH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신맛이 너무 강하지 않고 액제의 풍미가 손상되지 않는다. 제제 pH를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A)글루쿠로노락톤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의 제제 pH에서,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안정성은 양호하다.
pH 조정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염산, 묽은 염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글리신, 굴루코노-δ-락톤, 호박산, 아세트산, 주석산, D-주석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마그네슘, 젖산, 젖산 칼슘, 빙초산, 푸마르산-나트륨, 말레인산, 무수 구연산, DL-사과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디핀산, 글루콘산, 푸마르산,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PH 조정제를 들 수 있다. 상기한 pH 조정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는, 상기에서 든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임의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타민류, 감미제, 보존제(방부제), 안정화제, 방부제, 가용화제, 용제, 용해 보조제, 현탁제, 산화방지제, 착향제·항료, 청량화제, 착색제, 완충제, 생약, 카페인, 로열젤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임의 성분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량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타민 A, 질산치아민 등의 비타민 B1, 인산 리보플라빈나트륨 등의 비타민 B2, 니코틴산 아미드, 염산 피리독신 등의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D, 비타민 E, 아스코르빈산 등의 비타민 C, 판토텐산 칼슘 등의 비타민류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비타민류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설탕(cane sugar), 액당, 과당, 과당포도당액, 포도당과당액당, 흑설탕, 고과당액당, 포도당, 유당, 백설탕, 정제 백설탕, 정제 백설탕 구상(球狀)과립, 꿀(蜂蜜), 정제 꿀, 당(糖)시럽 등의 당,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D-소르비톨, D-소르비톨액, 말티톨, 말티톨액, 말토스, D-만니톨 등의 당알코올, 아스파탐, 아 세술팜칼륨, 감차(甘茶) 추출물, 감초 추출물,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추출물, 네오테임, 타우마틴, 글리신, 글리세린, 글리시리진산 2칼륨, 글리시리진산 2나트륨, 글리시리진산 3나트륨,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감초 등의 감미제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감미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방부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 에탄올, 에데트산 나트륨, 건조 아황산 나트륨, 한천, dl-캠퍼(campher),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글리세린, 살리실산, 살리실산 나트륨, 살리실산 페닐,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D-소르비톨,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디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백설탕, 꿀, 파라옥시안식향산 이소브틸, 파라옥시안식향산 이소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프로필렌글리콜, 1-멘톨, 유칼리기름 등의 보존제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보존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디핀산, 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 나트륨, L-아스파라긴산, L-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아미노에틸술폰산, DL-알라닌, 아황산 수소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L-아르기닌,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알부민, 안식향산, 에탄올, 에데트산 칼슘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카카오 지방, 과당,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르멜로스 칼슘, 카르멜로스 나트륨, 건조 탄산나트륨, 크산탄검, 크실리톨, 글리신, 글리세린,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시리진산 나트륨, 글루코노-δ-락톤, 글루콘산 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나트륨, 살리실산 나트륨, 살리실산 페닐, β-시클로덱스트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주석산,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수산화 칼슘,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마그네슘, 정제 젤라틴, 정제 대두 레시틴, 정제 백설탕, 세스퀴오레인산 소르비탄, 세탄올, 젤라틴,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D-소르비톨, D-소르비톨액, 대두유 불검화물, 덱스트란, 천연 비타민 E, 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니코틴산 아미드, 유당, 진한 글리세린, 백설탕, 미결정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빙초산, 피로아황산 나트륨, 부틸히드록시아니솔, 포도당, 푸마르산, 푸마르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벤토나이트, 붕산, 몰식자산 프로필, 포비돈, 폴리아크릴산 부분중화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소르비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디부틸에테르 혼합물, 매크로골, 말토스, 말레인산, 말론산, D-만니톨, 무수 구연산, 무수 구연산 나트륨, 무수 피로인산 나트륨, 무수 말레인산, 메타인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l-멘톨, 모노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라우릴황산 나트륨, 난백 알부민, DL-사과산 등의 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안정화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를 조제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약국법 제제 총칙 「액제」의 항에 준 하여 제조하고, 여과, 멸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는, 액체의 내복제로서 경구 섭취된다. 섭취량은,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성인인 경우에는, (A)글루쿠로노락톤의 1회당의 섭취량이 30 내지 10000㎎(0.03 내지 10g), 또한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1회당의 섭취량이 3 내지 500㎎(0.003 내지 0.5g)의 범위에서, 1일에 1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는, 간장의 작용을 좋게 하는 성분이고, 산성 영역에서 안정성이 높은 (A)글루쿠로노락톤에 더하여, 간장의 작용을 좋게 하는 성분이고, 산성 조건하에서 안정성이 높은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효 성분의 안정성이 높고, 우수한 간장 기능 개선 효과 및 피로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첨가에 의해 풍미가 현저하게 나빠지는 일이 없고, (B)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상기한 바람직한 첨가량의 범위에서 첨가하여도 풍미는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제제 pH1.5 내지 3.0의 범위에서, 유효 성분의 양호한 안정성, 및 우수한 간장 기능 개선 효과가 얻어지고, 글루쿠로노락톤 및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배합비가 3:1 내지 340:1에서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7 및 비교예 1 내지 3)
<내복용 액제의 조제>
하기 표에 표시하는 조성 및 제제 pH가 되도록 100㎖의 내복용 액제를 일상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얻어진 내복용 액제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안정성 및 간 기능 개선 작용(피로 회복 효과로서, 7단계 관능 평가) 및 피로 회복 효과(플리커 값)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에 표시한다.
<안정성의 평가>
갈색의 유리병에 내복용 액제를 충전하고 60℃에서 3주간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글루쿠로노락톤의 함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보존 전(조제 직후)에서의 함유량의 값(초기값)에 대한, 보존 후의 함유량의 비(질량 기준)를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 이상의 평가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판단한다.
[평가 기준]
◎ : 매우 안정(초기치에 대해, 잔존률이 95% 이상 100% 이하).
○ : 안정(초기치에 대해, 잔존률이 90% 이상 95% 미만).
× : 불안정(초기치에 대해, 잔존률이 90% 미만).
<간 기능 개선 작용(피로 회복 효과로서)의 평가>
우선, 간 기능 개선 작용(피로 회복 효과)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갈색의 유리병에 내복용 액제를 충전하고, 이것을 패널러 10명이 음용(飮用) 하고, 다음날의 피로 회복 정도를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관능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또한, 평균치 5.0점 이상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판단한다.
[평가 기준]
7 : 피로 회복의 효과를 매우 느꼈다.
6 : 피로 회복의 효과를 꽤 느꼈다.
5 : 피로 회복의 효과를 약간 느꼈다.
4 : 어느 쪽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3 : 피로 회복의 효과를 그다지 느끼지 않았다.
2 : 피로 회복의 효과를 거의 느끼지 않았다.
1 : 피로 회복의 효과를 전혀 느끼지 않았다.
<피로 회복 효과(플리커 값)의 평가>
간 기능 개선 작용(피로 회복 효과)을 섬광 측정 기기(다케이 기기공업(주)제, 상품명 : 디지털 플리커 T.K.K.502)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초기의 플리커 값을 측정(반복 5회로 평균 산출).
(2) 갈색 유리병에 내복용 액제를 충전한 것을 음용.
(3) 음용 5시간 후의 플리커 값을 측정(반복 5회로 평균 산출).
(음용 후부터 측정을 행하기까지의 5시간은 통상의 데스크 워크를 실시.)
(4) 초기치에 대한 변화율을 산출.
상기 플리커 값의 변화율이 85% 이상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판단한다. 플리커 값이란, 점멸하는 광을 단속광으로서가 아니라 연속광으로서 인식하게 되는 경계를, 광의 주파수(Hz)로 나타낸 것이다. 이 값이 클수록, 시각 피로가 작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정상치는 35Hz이고, 본 측정에서의 초기값은 약 35Hz 이었다.
[표 1]
Figure 112008038406913-pct00001
[표 2]
Figure 112008038406913-pct00002
[표 3]
Figure 112008038406913-pct00003
[표 4]
Figure 112013048713157-pct00006
상기 표 1 내지 4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 내지 17은, 모두 안정성이 양호하고, 간 기능 개선 작용도 양호하였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액제도 풍미에 문제는 없고, 저항 없이 음용할 수 있었다.
특히, 글루쿠로노락톤을 포함하고,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에서는, 간 기능 개선 작용의 평가가 4.8이였음에 대해, 이 비교예 2와 글루쿠로노락톤의 함유량 및 pH의 값이 같고, 또한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30㎎/100㎖ 첨가한 실시예 7에서는 간 기능 개선 작용의 평가가 6.2로 향상하고 있고, 안정성은 비교예 2와 동등하게 우수하였다.
또한 글루쿠로노락톤을 함유하지 않고,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하는 비교예 1 및 3에서는, 간 기능 개선 작용의 평가가 4.2 및 4.6으로 낮았다. 또한, 비교예 1 및 3에서는, 글루쿠로노락톤을 배합하지 않기 때문 안정성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실시예 18 내지 22)
<내복용 액제의 조제>
내복용 액제의 처방예로서, 하기 표 4에 표시하는 조성 및 제제 pH가 되도록 100㎖의 내복용 액제를 일상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8 내지 22는, 모두 안정성이 양호하고, 간 기능 개선 작용 및 피로 회복 효과도 양호하였었다.
[표 5]
Figure 112008038406913-pct00005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는, 의료업 등의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의약품, 의약 부외품, 음료 등으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글루쿠로노락톤 및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함유하고, 글루쿠로노락톤: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질량비가 20:1 내지 34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용 내복용 액제.
  2. 제 1항에 있어서,
    글루쿠로노락톤의 함유량이 100㎎/100㎖ 내지 10,000㎎/100㎖, 또한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함유량이 3㎎/100㎖ 내지 50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용 내복용 액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 있어서,
    글루쿠로노락톤의 1회당의 섭취량이 100 내지 10,000㎎, 또한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의 1회당의 섭취량이 3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용 내복용 액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 있어서,
    제제 pH가 1.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용 내복용 액제.
KR1020087012896A 2005-12-28 2006-09-28 내복용 액제 KR101326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6804 2005-12-28
JP2005376804 2005-12-28
PCT/JP2006/319315 WO2007077656A1 (ja) 2005-12-28 2006-09-28 内服用液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44A KR20080079644A (ko) 2008-09-01
KR101326397B1 true KR101326397B1 (ko) 2013-11-11

Family

ID=382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96A KR101326397B1 (ko) 2005-12-28 2006-09-28 내복용 액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95571B2 (ko)
KR (1) KR101326397B1 (ko)
CN (1) CN101330920B (ko)
WO (1) WO2007077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2370B2 (ja) * 2009-12-24 2014-02-19 ライオン株式会社 経口用液体組成物
JP5461984B2 (ja) * 2009-12-28 2014-04-02 ライオン株式会社 経口用液体組成物
JP5734134B2 (ja) * 2010-08-31 2015-06-10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抗疲労用医薬組成物
US20150343009A1 (en) * 2012-12-05 2015-12-03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Orally administered liquid formulation
CN105796485A (zh) * 2016-03-14 2016-07-27 张光泉 一种用于治疗血栓的药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010602A (zh) * 2021-10-29 2022-02-08 河南金大众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兽用葡醛内酯可溶性粉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40A (ja) * 1998-04-03 2000-06-06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浮腫治療剤
JP2003304848A (ja) * 2002-04-11 2003-10-28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ドリンク剤
JP2005104960A (ja) * 2003-09-12 2005-04-21 Eisai Co Ltd 内服用液剤、及びグルクロノラクトン含有溶液の味質変化防止液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520A (ja) * 1996-06-03 1998-02-24 Takeda Chem Ind Ltd 抗疲労剤
JPH10298093A (ja) * 1997-04-24 1998-11-10 Chugai Pharmaceut Co Ltd 内用液剤
JP4123565B2 (ja) * 1998-04-27 2008-07-23 大正製薬株式会社 抗精神疲労活性物質の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40A (ja) * 1998-04-03 2000-06-06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浮腫治療剤
JP2003304848A (ja) * 2002-04-11 2003-10-28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ドリンク剤
JP2005104960A (ja) * 2003-09-12 2005-04-21 Eisai Co Ltd 内服用液剤、及びグルクロノラクトン含有溶液の味質変化防止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0920A (zh) 2008-12-24
JP5295571B2 (ja) 2013-09-18
CN101330920B (zh) 2011-08-10
WO2007077656A1 (ja) 2007-07-12
KR20080079644A (ko) 2008-09-01
JPWO2007077656A1 (ja)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9013A (en) Chewable calcium carbonate antacid tablet compositions
KR101326397B1 (ko) 내복용 액제
JP4955287B2 (ja) ペオニフロリン含有ゼリー製剤
JP4694132B2 (ja) 内服用液剤、及びグルクロノラクトン含有溶液の味質変化防止液剤
JP3805646B2 (ja) 医薬液剤
JP2006045216A (ja) 亜鉛含有経口投与用組成物
JP2004161679A (ja) 内服用液剤
JP2007269786A (ja) パンテチン含有経口液剤
JP5083492B2 (ja) 内服用液剤
TW201912155A (zh) 血清尿酸值降低用組合物
JP4959864B2 (ja) グルタミン酸塩含有液剤
JP2007153833A (ja) 経口用組成物
US20220016114A1 (en) Heart Rate Decreasing Agent
JP5422370B2 (ja) 経口用液体組成物
JP5070669B2 (ja) 防腐性を向上した経口用ゲル製剤
JP4206506B2 (ja) ビタミンb1類を配合した液剤
JP2000239153A (ja) 鉄化合物含有内服液剤組成物
JP4932253B2 (ja) 経口用液体組成物
JP2000226327A (ja) 経口用液剤
KR100907201B1 (ko) 내복용 액제
JP5412708B2 (ja) 内服用液剤組成物
JP5298526B2 (ja) 内服用組成物
JP5461984B2 (ja) 経口用液体組成物
JP4831540B2 (ja) 経口催眠剤及び催眠性飲食物
JP2000239154A (ja) 鉄化合物含有内服液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