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201B1 - 내복용 액제 - Google Patents

내복용 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201B1
KR100907201B1 KR1020020009624A KR20020009624A KR100907201B1 KR 100907201 B1 KR100907201 B1 KR 100907201B1 KR 1020020009624 A KR1020020009624 A KR 1020020009624A KR 20020009624 A KR20020009624 A KR 20020009624A KR 100907201 B1 KR100907201 B1 KR 10090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cid
vitamin
derivatives
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71A (ko
Inventor
가따오까마스미
야스다사다오
기무라노리오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도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도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액제의 풍미, 특히 쓴맛을 개선하는 것으로,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 내복용 액제에 있어서, 액당을 첨가함으로써 쓴맛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내복용 액제{LIQUID MEDICINE FOR INTERNAL USE}
본 발명은 풍미가 개선된 복합 비타민 내복용 액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의 내복용 액제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는 쓴맛이 있어 복용하기 어려운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비타민 B 함유 내복용 액제에는 자당 (백당), 벌꿀을 배합하여도 복용후에 쓴맛이 남기 때문에, 아미노산과 사과계 향료를 배합하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4921호), 정유 또는 정유성분을 배합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55126호). 또, 비타민 B1 유도체에 감초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28429호), 티아민 또는 그 염을 배합한 액제에 생강계 향료를 첨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09266호), 쓴맛을 저감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액제의 풍미개선을 목적으 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전화형(轉化型) 액당이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의 쓴맛을 특이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 액제에 있어서, 전화형 액당을 배합함으로써 쓴맛이 저감된 내복용 액제,
(2)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가, 티아민 및 그 유도체, 리보플라빈 및 그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및 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인 상기 (1) 에 기재된 내복용 액제,
(3)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가 티아민, 그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 상기 (1) 에 기재된 내복용 액제,
(4) 푸르설티아민 (fursultiamine) 을 함유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내복용 액제,
(5) 전화형 액당의 배합비율이 액제 전체량에 대하여 5 ∼ 30 중량% 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복용 액제,
(6) 액제의 pH 가 2 ∼ 7 의 범위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 재된 내복용 액제 및,
(7) 추가로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배합한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복용 액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서 사용되는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는, 이런 종류의 액제에 통상 사용되는 것은 어느 것이나 상관없고, 예컨대 티아민, 티아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 티아민염산염, 티아민질산염 등), 티아민유도체 (예, 프로설티아민 (prosultiamine), 푸르설티아민, 옥토티아민, 알리티아민, 티아민디술파이드, O-벤조일티아민디술파이드, 티아민모노포스페이트디술파이드, O,S-디벤조일티아민, S-벤조일티아민, 벤포티아민, 디세티아민, 디크로카르보티아민 등), 티아민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 염산염, 질산염, 인산, 황산염 등의 산부가염),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 유도체 (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등), 피리독신, 피리독신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 피리독신염산염 등), 피리독신 유도체 (예, 피리독살인산, 피리독사민인산 등), 비타민 B12 (예, 시아노코발아민, 히드록소코발아민, 아세트산히드록시코발아민, 메틸코발아민 등)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화형 액당은, 사탕수수나 비트의 즙을 짜 농축시키고, 자당분을 결정시켜 추출한 원료 조당 (粗糖) 으로 제조된다. 이 조당을 용해시키고, 활성탄 (골탄) 이나 이온교환수지로 정제하여 매우 순도가 높은 자당액 으로 한 후, 다시 이온교환수지로 처리하여 자당을 가수분해시켜 얻어진다. 얻은 전화형 액당의 일반성분은 순당율이 30.0 ∼ 46.2%, 환원당분이 30.0 ∼ 46.2%, 전화율이 40.0 ∼ 60%, 당도가 74.2 ∼ 76.2%, 바람직하게는 순당율이 35.7 ∼ 40.3%, 환원당분이 35.7 ∼ 40.3%, 전화율이 46.0 ∼ 55.0%, 당도가 74.7 ∼ 75.7% 으로, 일반적으로, 액제 전체량에 대하여 5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 의 배합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화형 액당의 자당, 포도당, 과당의 혼합액의 비율이,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의 쓴맛을 가리는 것에 관계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자당, 포도당, 과당의 비율은, 자당 30 ∼ 60%, 포도당 15 ∼ 30%, 과당 15 ∼ 30%, 바람직하게는 자당 40 ∼ 60%, 포도당 20 ∼ 30%, 과당 20 ∼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전화하여 전화당 (자당을 분해하여 얻어지는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물) 과 자당의 등량조성 액당이 바람직하다. 또, 자당:과당:포도당의 비율은 1.3∼3.1:1:1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당:과당:포도당의 비율이 대략 2:1:1 인 액당이다.
이와 같은 전화형 액당은 시판되는 것을 입수할 수 있고, 예컨대 다이또가부시키가이샤의 전화형 액당 DLI 로 시판되고 있는 액당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쓴맛을 갖는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는 전화형 액당만으로 쓴맛을 가릴 수 있으나, 전화형 액당 이외의 감미제를 병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감미제로는 설탕, 과당, 포도당, 맥아당, 액당, 과당 포도당 액당, 포도당 과당 액당,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말티톨,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소마틴, 슈크라로스, 스테비아 추출정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에 있어서의, 쓴맛을 갖는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전화형 액당 1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 0.00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 ∼ 0.001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액제는, 풍미 면에서 pH 2 ∼ 7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pH 2.5 ∼ 6.5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pH 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성에 영향이 있다.
본 발명의 액제는 추가로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배합에 의해 쓴맛을 저감시킬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시트르산, DL-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시트르산, DL-말산 또는 인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제에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 액제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 예컨대 아미노에틸술폰산,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리진,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A 혹은 그 유도체, 비타민 E 혹은 그 유도체, 염화카르니틴, 콘드로이틴황산, 카페인, 생약 (인삼, 두충, 녹용, 계피, 가라나 (guarana), 작약, 대조, 상황, 감초, 해마, 육종용, 파극천, 황기, 당귀, 복령, 백출, 로얄제리 등), 프로필렌글리콜, 보존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원하는 성분을 혼합, 용해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식품,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으로서의 내복용 액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염산푸르설티아민 5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3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2.54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4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1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5
염산푸르설티아민 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2.54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
염산푸르설티아민 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1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여과한 후, 80℃ 에서 30초 멸균시켜 시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7
염산푸르설티아민 1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 액을 얻었다.
실시예 8
염산푸르설티아민 3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전화형 액당 1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2
염산푸르설티아민 5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3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2.54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4
염산푸르설티아민 2.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1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5
염산푸르설티아민 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2.54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6
염산푸르설티아민 5 ㎎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1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7
염산푸르설티아민 1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8
염산푸르설티아민 1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9
염산푸르설티아민 1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정제 백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0
염산푸르설티아민 3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과당 포도당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1
염산푸르설티아민 3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액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2
염산푸르설티아민 37 ㎎
리보플라빈 2 ㎎
염산피리독신 10 ㎎
니코틴산아미드 25 ㎎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125 ㎎
아미노에틸술폰산 1000 ㎎
무수카페인 50 ㎎
시트르산 350 ㎎
DL-말산 180 ㎎
정제백당 21.5 g
벤조산나트륨 60 ㎎
파라옥시벤조산에틸 6 ㎎
향료 미량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
상기 각 성분을 혼합 용해하고 0.45 ㎛ 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얻었다.
쓴맛에 관한 관능조사
건강한 성인 10명을 선택하여 쓴맛에 관한 관능검사를 실행하였다. 관능검사는 각 검체의 쓴맛을 「매우 쓰다」, 「쓰다」, 「약간 쓰다」, 「쓰지 않다」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각 피험자가 시험하는 검체의 순서는 전부 랜덤으로 실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쓴맛에 관한 관능검사결과 (단위:명)
검체 아주 쓰다 쓰다 약간 쓰다 쓰지 않다
실시예1 0 0 0 10
실시예2 0 0 0 10
실시예3 0 0 0 10
실시예4 0 0 0 10
실시예5 0 0 0 10
실시예6 0 0 0 10
실시예7 0 0 1 9
실시예8 0 0 9 1
비교예1 0 2 8 0
비교예2 0 4 6 0
비교예3 0 2 8 0
비교예4 0 4 6 0
비교예5 0 3 7 0
비교예6 0 4 6 0
비교예7 1 8 1 0
비교예8 0 1 9 0
비교예9 0 2 8 0
비교예10 4 6 0 0
비교예11 1 9 0 0
비교예12 3 7 0 0
표 1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매우 쓰다」, 「쓰다」, 「약간 쓰다」로 평가된 비율이 많은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간 쓰다」, 「쓰지 않다」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내복용 액제는 쓴맛을 갖는 비타민 B군의 교미제에 전화형 액당을 배합함으로써, 그 쓴맛을 저감시켜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으로 경구적으로 복용하기 쉽게 하였다.

Claims (7)

  1.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 액제에 있어서, 전화형 (轉化型) 액당을 배합함으로써 쓴맛이 저감된 내복용 액제로서,
    상기 전화형 액당의 자당, 포도당 및 과당의 비율이 자당 40 ∼ 60%, 포도당 15 ∼ 30% 및 과당 15 ∼ 30%인 내복용 액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가, 티아민 및 그 유도체, 리보플라빈 및 그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및 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것인 내복용 액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 또는 그 유도체가 티아민, 그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 내복용 액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푸르설티아민을 함유하는 내복용 액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화형 액당의 배합비율이 액제 전체량에 대하여 5 ∼ 30 중량% 인 내복용 액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제의 pH 가 2 ∼ 7 의 범위인 내복용 액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배합한 내복용 액제.
KR1020020009624A 2001-02-23 2002-02-22 내복용 액제 KR100907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8258 2001-02-23
JP2001048258 200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71A KR20020069171A (ko) 2002-08-29
KR100907201B1 true KR100907201B1 (ko) 2009-07-10

Family

ID=3748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624A KR100907201B1 (ko) 2001-02-23 2002-02-22 내복용 액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48795B2 (ko)
KR (1) KR100907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4043B4 (de) * 2005-07-18 2019-12-12 Sü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Gemisch, enthaltend L-Carnitin und Trehalulose, sowie Produkt enthaltend das Gemisch
JP5794900B2 (ja) * 2010-11-26 2015-10-14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医薬液剤組成物
EP3858359B1 (en) * 2018-09-28 2024-03-06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thiamine derivativ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cortisolemia
US20220240558A1 (en) * 2019-05-31 2022-08-04 Ivo Rischbieter High-energy food supplement based on inverted sugars and ergogenic products for use in physical a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751A (en) * 1988-04-14 1990-12-18 Roussel-Ulcaf Low-calorie sweeteners of fructosyl oligosaccharides and the food or dietetic products or drinks containing them
JPH054921A (ja) * 1990-11-19 1993-01-14 Kanebo Ltd ビタミンb含有経口液剤
US5415885A (en) * 1994-03-25 1995-05-16 The Sweetenbetter Company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a nutritious malt containing soft drin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751A (en) * 1988-04-14 1990-12-18 Roussel-Ulcaf Low-calorie sweeteners of fructosyl oligosaccharides and the food or dietetic products or drinks containing them
JPH054921A (ja) * 1990-11-19 1993-01-14 Kanebo Ltd ビタミンb含有経口液剤
US5415885A (en) * 1994-03-25 1995-05-16 The Sweetenbetter Company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a nutritious malt containing soft dr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71A (ko) 2002-08-29
JP2002322062A (ja) 2002-11-08
JP4248795B2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6269B2 (ja) 内服液剤
EP1524911A1 (de) Isomaltulose-haltige instant-getr nkepulver
KR100472590B1 (ko) 내복용 액제
JP2009522382A (ja) リキリチゲニンを含む肝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WO2016099043A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US7514104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US9056055B2 (en) Flavoured clay-based therapeutic composition
KR101356330B1 (ko) 간기능 개선제
KR101326397B1 (ko) 내복용 액제
JP4889948B2 (ja) 服用感に優れた内服液剤
JP4190769B2 (ja) 内服液組成物
KR100907201B1 (ko) 내복용 액제
KR100704092B1 (ko) 혈류개선용 음료수 및 음식
JP3805646B2 (ja) 医薬液剤
JP4422685B2 (ja) 肝保護のためのピニトールまたはカイロイノシトールの使用
KR20020042678A (ko) 근 위축 억제 조성물
JP2789069B2 (ja) 腸内腐敗産物生成抑制飲料組成物
JP2004161679A (ja) 内服用液剤
JP4990515B2 (ja) 味質の改善されたイソソルビド製剤
JP2004175672A (ja) グリチルリチン酸含有経口用液剤
KR100254107B1 (ko) 안정한 복합비타민 내복액제
US7001894B2 (en) Blood flow improvers and thrombosis preventives or remedies
JPH09328429A (ja) ビタミンb1誘導体配合液剤組成物
JP2002212085A (ja) 尿酸値低下剤
KR101568044B1 (ko) 불안 및 스트레스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