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393B1 - 흡반 - Google Patents

흡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393B1
KR101300393B1 KR1020070038233A KR20070038233A KR101300393B1 KR 101300393 B1 KR101300393 B1 KR 101300393B1 KR 1020070038233 A KR1020070038233 A KR 1020070038233A KR 20070038233 A KR20070038233 A KR 20070038233A KR 101300393 B1 KR101300393 B1 KR 10130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ker
adsorption
thickness
suction
g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58A (ko
Inventor
다까유끼 아까이
마꼬또 가와바따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0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Abstract

흡반의 흡착성을 높이는 면에서 유리한 흡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흡반(22)은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에 흡착면(32)이 형성되어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이 배면(34)이 되어 있다. 배면(34)과 반대로 위치하는 흡반(22)의 면에 오목 형상의 설치면(2210)이 형성되고, 설치면(2210)에 상기 설치면(2210)을 피복하도록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48)이 접합되어 있다. 흡착면(32)은 이 겔층(48)의 표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반(22)의 겔층(48)은, 흡착면(32)의 중앙을 구성하는 중앙부(50)와 흡착면(32)의 외주를 구성하는 외주부(54)에서는, 외주부(54)의 두께가 중앙부(50)의 두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70038233
흡반, 흡착면, 설치면, 겔층, 중앙부, 외주부

Description

흡반 {SUCTION CUP}
도1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가 본 발명에 관한 흡반을 이용한 흡반 장치에 의해 대시보드나 전방 유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흡반 장치(20)가 피흡착면(2)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4는 흡반 장치(20)가 피흡착면(2)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흡반(22)의 평면도.
도6은 흡반(22)의 단면도.
도7은 균일한 두께의 겔층(48)을 갖는 흡반(22)을 피흡착면에 흡착시킨 상태의 흡착면(32)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경도 분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흡반
2210 : 설치면
32 : 흡착면
36 : 흡반 본체
48 : 겔층
50 : 중앙부
52 : 경사부
54 : 외주부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9-166015호 공보
본 발명은 흡반에 관한 것이다.
흡반은 여러 가지의 물품을 피흡착면에 설치할 때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흡반의 흡착면을 피흡착면에 흡착시킨 경우, 예를 들어 피흡착면이 자동차의 대시보드로 간주된 작은 요철면 혹은 까칠까칠한 면이면, 흡착면과 피흡착면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없어 흡착면과 피흡착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버린다. 그 결과, 이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흡착면에 침입하여 흡반에 의한 흡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경질 고무나 경질 합성 수지제의 경질재에 의해 형성한 흡반 본체의 내주면에 연질 고무 혹은 연질 합성 수지제의 연질재를 중합 배치하고, 그 연질재를 흡착면으로 한 흡반이 제안되어 있다(문헌 1 참조).
그러나, 상술의 연질재를 이용한 흡반에서도 피흡착면이 작은 요철면 혹은 까칠까칠한 면이면, 흡착면과 피흡착면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없어 흡반의 흡착성을 확보하는 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흡착면이 작은 요철면 혹은 까칠까칠한 면 등인 경우라도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흡착성을 확보하는 면에서 유리한 흡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착면을 갖는 흡반이며, 상기 흡반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설치면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흡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설치면을 피복하도록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이 접합되고, 상기 흡착면은 상기 겔층의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겔층은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구성하는 중앙부와, 상기 흡착면의 외주를 구성하는 외주부에서는 상기 외주부의 두께가 상기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량 탑재 기기인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가, 본 발명에 관한 흡반(22)을 이용한 흡반 장치(20)에 의해 대시보드나 전방 유리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가 흡반 장치(20)에 의해 대쉬 보드나 전방 유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10)의 프레임(12)의 배면에 홀더(14)가 돌출 설치되고, 홀더(14)의 후방부에 흡반 장치(20)가 마련되고, 흡반 장치(20)는 대시보드나 전방 유리 등의 피흡착면(2)에 장착되어 있다.
피흡착면(2)은 대시보드인 경우에는, 수평면이 아니라 차실측에 기울어져 있고, 또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은 주름면으로 형성되고, 작은 요철면 혹은 까칠까칠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 유리인 경우에는 원활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3은 흡반 장치(20)가 피흡착면(2)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4는 흡반 장치(20)가 피흡착면(2)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흡반(22)의 평면도, 도6은 흡반(22)의 단면도이다.
흡반 장치(20)는, 본 발명에 관한 흡반(22)과, 축 형상 부재(24)와, 프레임(26)과, 탄성체(28)와, 쿠션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22)은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에 흡착면(32)이 형성되고,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이 배면(34)으로 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형상 부재(24)는 흡반(22)의 배면(34)의 중앙에 연결되어 배면(34)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다.
축 형상 부재(24)는 흡반(22)의 배면(34) 중앙에 연결되는 기초부(2402)와, 기초부(2402)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기초부(2402)로부터 돌출하는 축부(2404)와, 축부(2404)의 선단부에 축부(2404)보다도 큰 외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면 벽부(2406)와, 단부면 벽부(2406)의 외주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단부면 벽부(2406) 주 위의 축부 부분을 향하는 내통부(2408)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면 벽부(2406)와 내통부(2408)는 일체로 형성되어 그들 단부면 벽부(2406)와 내통부(2408)에 의해 캡(40)이 구성되고, 캡(40)은 나사(42) 및 나사 구멍(44)을 통해 축부(240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 형상 부재(24)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다.
프레임(26)은 축 형상 부재(24)에 축 형상 부재(2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품 설치용의 설치부(46)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26)은 내통부(2408)의 외주면에 내통부(2408)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외통부(2602)와, 기초부(2402)와 내통부(2408) 사이에 있어서의 축부(2404) 부분을 향하도록 외통부(2602)의 내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설치되고 그 중심에 축부(2404)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내통부(2408)의 내주면보다도 작은 내부 직경의 구멍(2604)이 형성된 플랜지부(2606)와, 외통부(260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환형판형으로 확대되고 흡반 본체(36)의 배면(34)을 피복하는 환형판부(2608)와, 외통부(2602)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설치편(261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편(2610)에 의해 설치부(46)가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6)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4)와 프레임(26)은 설치편(2610)에 삽입 관통한 축(2612)에 의해 상기 축(2612)의 주위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홀더(14)가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부분과, 설치편(2610)에 결합된 부분 은 볼 조인트(2614)를 통해 회전 가능하면서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부(46)에 설치되는 물품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10)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28)는 축 형상 부재(24)와 프레임(26) 사이에 마련되어 프레임(26)을 흡착면(32)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탄성체(28)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28)는 프레임(26)을 흡착면(32)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면 좋고, 고무나 솔리드인 댐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28)는 축부(2404)의 외측 또한 내통부(2408)의 내측에서 단부면 벽부(2406)와 플랜지부(2606)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30)는 프레임(26)에 마련되어 흡반(22)의 배면(34) 혹은 흡착면(32)이 흡착되는 피흡착면(2)에 접촉하고 피흡착면(2)에 대해 이격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프레임(2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쿠션재(30)는 환형판부(2608)가 흡반(22)의 배면(34)을 향하는 면에 환형의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흡반(22)의 배면(34)의 외주 주위의 개소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쿠션재(30)는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 예를 들어 우레탄폼이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아크코포레이션의 상품명「PORON」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흡반 장치(20)의 피흡착면(2)으로의 흡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 장치(20)의 흡반(22)의 흡착면(32)을 피흡착면(2)으로 향하고, 흡착면(32)의 외주부를 피흡착면(2)에 맞댄다. 이 상태에서, 흡착면(32)과 피흡착면(2) 사이에는 공기가 개재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축 형상 부재(24)의 단부면 벽부(2406)를 피흡착면(2) 방향으로 압박하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22)의 중앙 부분이 피흡착면(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흡착면(32)의 전역이 피흡착면(2)에 밀착하고, 상기 공간에 개재된 공기가 흡착면(32)과 피흡착면(2) 사이로부터 배출되고, 흡착면(32)과 피흡착면(2) 사이가 거의 진공 상태로 되어 흡반(22)이 피흡착면(2)에 흡착되고, 이에 의해 흡반 장치(20)가 비흡착면(2)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체(28)에 의해 피흡착면(2)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프레임(26)의 환형판부(2608)가 쿠션재(30)에 접촉함으로써 프레임(26)은 피흡착면(2)에 대해 이격 접근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결정되고, 그 상태에서 프레임(26)의 플랜지부(2604)와, 축 형상 부재(24)의 내통부(2408)가 거리(ΔL)만큼 이격되어 있다. 즉,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프레임(26)과 축 형상 부재(24)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해도 거리(ΔL)만큼 여유가 확보되어 있다.
흡반 장치(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흡반 장치(20)가 피흡착면(2)에 설치됨으로써, 피흡착면(2)에 전달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은 흡반(22), 축 형상 부재(24), 탄성체(28), 프레임(26), 설치부(46)라는 제1 경로로 홀더(14) 및 디스플레이(10)에 전달되고, 또한 흡반(22), 쿠션재(30), 프레임(26), 설치부(46)라는 제2 경로로 홀더(14) 및 디스플레이(10)에 전달된다.
그때, 상기 진동이나 충격은 어느 하나의 경로에 있어서도 탄성체(28)나 쿠션재(30)에 의해 흡수 및 완화되므로, 디스플레이(10)에 전달되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0)의 진동이나 충격이 억제됨으로써 디스플레이(10)의 내구성을 높이는 면에서 유리해지고, 또한 화면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0)를 시인하기 쉽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10)가 터치 패널 스위치를 갖고 있을 경우에는 화면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들 스위치의 조작성을 확보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특히, 흡반 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이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10)와 같이 정밀한 전자 부품을 이용한 전자 기기인 경우에는, 그들 전자 부품의 수명 열화를 억제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 장치(20)에 있어서, 쿠션재(30)가 흡반(22)의 배면(34)의 외주 주위의 개소에 접촉함으로써 그들 외주 주위의 개소가 피흡착면(2)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흡착면(2)이 완만한 곡면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 쿠션재(30)에 의해 흡반(22)의 배면(34)의 외주 주위의 개소가 피흡착면(2)의 곡면에 추종하여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면(32)의 피흡착면(2)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따라서, 흡반(22)을 완만한 곡면을 나타내는 피흡착면(2)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고, 흡반 장치(20)에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10)와 같은 물품을 피흡착면(2)에 확실하게 설치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다음에, 흡반(2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22)은 흡착면(32)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흡반 본체(36)를 구비하고 있고, 흡반 본체(36)의 배면(34)의 중앙으로부터 흡반 축부(38)가 돌출 설치되고, 이 흡반 축부(38)에는 축 형상 부재(24)의 기초부(240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흡반 본체(36)의 외측 모서리에 제거 조작용의 조각 부재(3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흡반 본체(36)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 등, 예를 들어 우레탄계나 스틸렌계, 실리콘 수지계 등 종래의 흡반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34)과 반대로 위치하는 흡반(22)의 면에 오목 형상의 설치면(2210)이 형성되고, 설치면(2210)에 상기 설치면(2210)을 피복하도록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48)이 접합되고, 흡착면(32)은 이 겔층(48)의 표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겔로서, 폴리에틸렌계, 스틸렌계, 실리콘 수지계 등의 합성 수지계의 겔이 사용 가능하고, 폴리에틸렌계의 겔로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코스모 계량기의 상품명 「코스모 겔」을 사용할 수 있다. 스틸렌계의 겔로 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아크코포레이션의 상품명 「NAGFLEX」를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의 겔로서, 예를 들어 시판품인 가부시끼가이샤 젤 테크니컬의 상품명 「αGEL」(알파 겔)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설치면(2210)으로의 겔층(48)의 접합은 2색 성형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의 방법이 채용 가능하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반(22)의 겔층(48)은 흡착면(32)의 중앙을 구성하는 중앙부(50)와, 흡착면(32)의 외주를 구성하는 외주부(54)에서는 외주부(54)의 두께가 중앙부(50)의 두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50)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외주부(54)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균일한 두께라 함은, 성형상의 오차나 정밀도 오차 등으로부터 다소의 변동을 포함한 거의 균일한 두께이며,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부(50)와 외주부(54) 사이는 중앙부(50)의 외주에 계속하여 외주부(54)에 근접함에 따라 그 두께가 점차로 커지는 환형판형의 경사부(52)로 접속되어 있다.
중앙부(50)는 경사부(52)의 내주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고, 외주부(54)는 경사부(52)의 외주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중앙부(50)의 직경(D1)이 10 ㎜, 외주부(54)의 직경(D2)이 70 ㎜, 중앙부(50)의 겔층(48)의 두께(d1)가 1 ㎜, 외주부(54)의 겔층(48)의 두께(d2)가 2 ㎜이다.
이와 같은 흡반(22)에 따르면, 흡반(22)의 흡착면(32)이 겔층(48)으로 형성 되어 있으므로, 피흡착면(2)이 표면 주름면으로 형성되고, 작은 요철면 혹은 까칠까칠한 면이라도 흡착면(32)은 요철에 추종하여 변형하고, 요철면 사이에 간극을 개재시키지 않고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흡착면(32)을 밀착할 수 있어 흡반(22)을 요철면이나 까칠까칠한 면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10)와 같은 물품을 대시보드 패널의 표면 주름면 등의 피흡착면(2)에 확실하게 설치하는 면에서 유리해지는 것은 물론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도7에 균일한 두께의 겔층(48)을 갖는 흡반(22)을 피흡착면에 흡착시킨 상태의 흡착면(32)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경도 분포를 도시한다.
흡착면(32)을 피흡착면(2)에 밀착시키면, 겔층(48)은 외주로 갈수록 크게 인장되고, 따라서 외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고, 그 결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로 갈수록 겔층(48)의 경도가 높아져 흡착면(32)의 피흡착면(2)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된다.
한편, 흡반 장치(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0)와 같은 물품을 피흡착면(2)에 설치할 경우,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겔층(48)의 두께를 균일한 값으로 크게 확보한 것으로는 흡반(22)의 흡착면(32) 부분의 두께가 커져 흡반 장치(20)의 미관이 나쁘고, 또한 겔을 많이 사용하므로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부(50)의 겔층(48)의 두께보다도 외주부(54)의 겔층(48)의 두께가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착면(32)을 피흡착면(2)에 흡착시킨 경우, 외주부(54)의 겔층(48)이 중앙부(50)의 겔층(48)보다도 크게 인장되어 그 두께가 감소하였다고 해도, 외주부(54)의 겔층(48)의 경도는 낮은 값으로 유지되고, 예를 들어 중앙부(50)의 겔층(48)과 같은 정도로 유지된다.
그로 인해, 흡반(22)의 흡착면(32) 부분의 두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또한 필요 최저한의 양의 겔을 이용함으로써 피흡착면(2)에 대한 흡착면(32)의 흡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흡반 장치(20)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흡착면(32)의 흡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부(50)와 외주부(54)가 외주부(54)에 근접함에 따라 그 두께가 점차로 커지는 환형판형의 경사부(52)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부(52)의 겔층(48)에 있어서의 경도의 저하도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따라서 경사부(52)의 겔층(48)에 의한 피흡착면(2)에 대한 밀착성의 저하도 방지되므로, 흡반(22)의 흡착면(32)의 피흡착면(2)에 대한 흡착성을 확보하는 면에서 보다 유리해지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흡반(22)과, 겔층(48)의 두께가 중앙부(50)의 두께로 동일한 값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비교예의 흡반의 흡착성을 비교한 실험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흡반의 흡착성은 흡반에 의한 비흡착면에 대한 흡착이 유지되어 있는 시간에 의해 평가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흡반(22)과 비교예의 흡반을 각각 10개씩 준비하고, 흡반을 동일한 피흡착면인 표면 주름면에 흡착시킨 후, 흡반이 표면 주름면으로부터 탈락되기까지 경과한 시간을 흡착 유지 시간(T)으로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흡반(20)에서는 흡착 유지 시간(T)이 60일 이상이었다.
비교예의 흡반에서는 흡착 유지 시간(T)이 15일 내지 30일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흡반(22)에 따르면, 비교예에 대해 흡착성의 향상이 현저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반(22)을, 차량 탑재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흡반 장치(2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흡반 장치(20)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고, 흡반(22)의 용도는 차량 탑재 기기의 부착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물품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의 겔층의 두께보다도 외주부의 겔층의 두께가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착면을 피흡착면에 흡착시킨 경우, 외주부의 겔층이 중앙부의 겔층보다도 크게 인장되어 그 두께가 감소하였다고 해도, 외주부의 겔층의 경도는 낮은 값으로 유지되고, 예를 들어 중앙부의 겔층과 같은 정도로 유지되어 흡착면과 피흡착면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그로 인해, 겔층의 두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또한 필요 최저한의 양의 겔을 이용함으로써 흡반의 흡착면의 피흡착면에 대한 흡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흡착면을 갖는 흡반으로서,
    상기 흡반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설치면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흡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설치면을 피복하도록 겔로 이루어지는 겔층이 접합되고,
    상기 흡착면은 상기 겔층의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겔층은, 상기 흡착면의 중앙을 구성하는 중앙부와 상기 흡착면의 외주를 구성하는 외주부에서는, 상기 외주부의 두께가 상기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외주부 사이는, 상기 중앙부의 외주에 계속하여 상기 외주부에 근접함에 따라 그 두께가 점차로 커지는 환형판형의 경사부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부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경사부의 내주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부는 상기 경사부의 외주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은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반 본체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은 배면이 되고, 상기 흡반 본체의 배면 중앙에 흡반 축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 본체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면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KR1020070038233A 2006-04-20 2007-04-19 흡반 KR101300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6359 2006-04-20
JP2006116359A JP4305670B2 (ja) 2006-04-20 2006-04-20 吸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58A KR20070104258A (ko) 2007-10-25
KR101300393B1 true KR101300393B1 (ko) 2013-08-26

Family

ID=3829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33A KR101300393B1 (ko) 2006-04-20 2007-04-19 흡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90609B2 (ko)
EP (1) EP1847723B1 (ko)
JP (1) JP4305670B2 (ko)
KR (1) KR101300393B1 (ko)
CN (1) CN100585197C (ko)
DE (1) DE602007001359D1 (ko)
TW (1) TW2008091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2289B2 (ja) * 2005-06-2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及び車載機器
DE102005047809A1 (de) * 2005-10-05 2007-04-12 Harald Richter Saugfuß für Geräteträger oder dergleichen
JP2007253249A (ja) * 2006-03-20 2007-10-04 Honda Motor Co Ltd 吸着装置及びこの吸着装置を用いた吸着方法
JP4862559B2 (ja) * 2006-08-28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
US20090000457A1 (en) * 2006-10-24 2009-01-01 Jim Dunlop Universal, portable item support
JP4941032B2 (ja) * 2007-03-1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73262B2 (ja) 2007-03-20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吸盤装置
DE202007006607U1 (de) * 2007-05-09 2007-07-19 Chen, Lung-Chih, Tanzih Verbesserte Struktur eines Saugnapfes
US20100272300A1 (en) * 2007-07-10 2010-10-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Device for holding vehicle sensors
US20100140437A1 (en) * 2007-08-28 2010-06-10 John Orban Suction cup
US20090127411A1 (en) * 2007-11-20 2009-05-21 Antonio Aguilar Structure and mechanism of windshield mount and pedestal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
JP2009216111A (ja) * 2008-03-07 2009-09-24 Sony Corp 吸盤装置および物品取り付け装置
JP5125687B2 (ja) * 2008-03-28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吸盤装置
TWI347408B (en) 2008-07-16 2011-08-21 Wistron Neweb Corp Suction cup structure
CN101363569B (zh) * 2008-09-28 2010-06-02 广东铁将军防盗设备有限公司 平面粘固式支架
JP4818347B2 (ja) * 2008-12-06 2011-11-1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吸盤装置
TWI401383B (zh) * 2009-05-05 2013-07-11 Htc Corp 支架及其吸盤
US20110226922A1 (en) * 2010-03-22 2011-09-22 Murakami Corporation Suction cup device
CN101881367B (zh) * 2010-07-13 2013-05-22 广东铁将军防盗设备有限公司 支架协调结构
US20120067911A1 (en) * 2010-09-20 2012-03-22 Michael Norment Detachable basket with vacuum attachments
US20120085879A1 (en) * 2010-10-07 2012-04-12 Yang Hao Dual-layer sucking disc
US8584997B2 (en) * 2010-10-21 2013-11-19 Zoya, Inc. Suction cu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porous and nonporous surfaces
US8348216B2 (en) * 2010-10-21 2013-01-08 Zoya, Inc. Suction cu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porous and nonporous surfaces
CN102011788B (zh) * 2010-11-19 2012-10-10 黄明达 弹性复位吸盘
CN102478142A (zh) * 2010-11-30 2012-05-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及采用该支撑机构的显示装置
JP5797472B2 (ja) * 2011-06-14 2015-10-21 伊藤超短波株式会社 医療用吸引装置
JP2015503459A (ja) 2011-12-30 2015-02-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真空エフェクタ及び使用方法
CN103628758A (zh) * 2012-08-20 2014-03-12 邹剑平 低碳环保软胶门吸
TWI479102B (zh) * 2012-10-19 2015-04-01 Wistron Corp 電子裝置及其固定模組
US9746022B2 (en) * 2012-11-19 2017-08-29 Zhongshan Taili Household Products Manufacturing Co., Ltd. Suction cup with flat framework
TWM462082U (zh) * 2013-05-13 2013-09-21 Ching-Ho Lai 具吸盤的蓮蓬頭
CN104453498A (zh) * 2013-09-24 2015-03-25 邹剑平 一种新型免孔柔性门吸
DE102015009998B4 (de) 2014-08-01 2021-09-16 J. Schmalz Gmbh Sauggreifer für Objekte mit glatten Oberflächen sowie dazugehöriges Verfahren und Verwendung desselben
CN104329358B (zh) * 2014-08-28 2017-04-19 科斯特(厦门)节水设备有限公司 一种高负压复合硬质吸盘
US10518155B2 (en) * 2014-12-10 2019-12-31 Darin Portnoff Pool game device, system, and method
US9181974B1 (en) 2015-01-26 2015-11-10 Avery Aerospace Corporation Suction cup attachment device
US9488214B2 (en) 2015-03-06 2016-11-08 John Orban Armature-based suction device
WO2017088142A1 (zh) * 2015-11-26 2017-06-01 江门市安豪贸易有限公司 吸附盘及具有该吸附盘的真空吸盘
TWI604134B (zh) * 2016-08-11 2017-11-01 Ten Sheng Assorted Houseware Co Ltd Suction cup device
US9651084B1 (en) * 2016-10-20 2017-05-16 Sparrow Product Development, Inc. Suction cup covers
CN107352106A (zh) * 2017-08-24 2017-11-17 浙江行雨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适应不同表面rfid标签粘贴的柔性吸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014A (ja) * 1992-09-29 1994-04-19 Takubo Kogyosho:Kk 吸盤の粘着層形成方法
JPH0684018U (ja) * 1993-05-19 1994-12-02 孝三 並木 吸着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7403A (en) * 1929-11-15 1932-03-01 William F Loughman Advertising device
US2557434A (en) * 1949-07-25 1951-06-19 Wallace P Hoverder Supporting fixture
US3180604A (en) * 1963-08-02 1965-04-27 Boyd F Hammer Adjustable support means for a cassette and like devices
US3310267A (en) * 1966-08-01 1967-03-21 Koehler Sandra Sue Wig support
US3833230A (en) 1973-09-13 1974-09-03 Corning Glass Works Vacuum chuck
US4421288A (en) * 1981-01-19 1983-12-20 Henry Blaszkowski Suction cup
JPS59166015A (ja) 1983-03-09 1984-09-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速度の制御装置
US4822656A (en) * 1985-09-04 1989-04-18 Physical Systems, Inc. Fixture for securing an adhesive attachment to a substrate
JPH0659621A (ja) 1992-08-13 199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声訓練装置
JPH0684018A (ja) 1992-09-04 1994-03-25 Canon Inc 文字認識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登録方法
US5318262A (en) 1992-11-27 1994-06-07 Adams Mfg. Corp. Multiple layer suction holder
JP3098169B2 (ja) 1995-03-31 2000-10-16 原頭工業株式会社 溶接継手用部材
JPH08326736A (ja) 1995-05-27 1996-12-10 Michimasa Hatana 凹凸面に吸盤を取り付ける補助材及び方法
US5631426A (en) * 1995-08-28 1997-05-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nsors for vibration detection
AUPN720295A0 (en) * 1995-12-18 1996-01-18 Goj, Jozef Apparatus for attaching objects to walls and the like
JP3053372B2 (ja) 1997-04-07 2000-06-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弾性体ローラ
US5964437A (en) * 1997-10-27 1999-10-12 Belokin; Paul Mounting support
JPH11230149A (ja) 1998-02-17 1999-08-27 Masayuki Inami ゲルシート製パッキン付吸盤
US6143391A (en) * 1998-12-11 2000-11-07 Apogee Designs, Ltd. One-piece, dual-material suction cup
US6234435B1 (en) * 1999-10-13 2001-05-22 Ta Kuang Yeh Sucking disk support
EP1338808B1 (en) * 2002-02-21 2004-10-27 Free- Free Industrial Corp. Mounting sucker
US6733438B1 (en) * 2002-12-23 2004-05-11 Jeffrey Dann Female stimulation device
JP4862289B2 (ja) * 2005-06-2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及び車載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014A (ja) * 1992-09-29 1994-04-19 Takubo Kogyosho:Kk 吸盤の粘着層形成方法
JPH0684018U (ja) * 1993-05-19 1994-12-02 孝三 並木 吸着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9147A (zh) 2007-10-24
TW200809106A (en) 2008-02-16
US7690609B2 (en) 2010-04-06
KR20070104258A (ko) 2007-10-25
CN100585197C (zh) 2010-01-27
JP4305670B2 (ja) 2009-07-29
JP2007285494A (ja) 2007-11-01
EP1847723A1 (en) 2007-10-24
DE602007001359D1 (de) 2009-08-06
TWI336752B (ko) 2011-02-01
US20070246621A1 (en) 2007-10-25
EP1847723B1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393B1 (ko) 흡반
JP4254846B2 (ja) 吸盤装置
JP4862289B2 (ja) 吸盤及び車載機器
JP4816331B2 (ja) 吸盤装置
US7628362B2 (en) Adhesion device by holding low pressure
JP4802938B2 (ja) 吸盤装置
US20120292466A1 (en) Adhesive supporter
JP4887884B2 (ja) 吸盤装置
US6199613B1 (en) Apparatus for applying padding, especially acoustically active padding
KR20080019558A (ko) 흡반
GB2418256A (en) Vehicle contact-less switch panel
JP2008064264A (ja) 吸盤装置
JP4840430B2 (ja) 吸盤装置
CN218805565U (zh) 一种汽车雷达安装装置
JPH0641857Y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5167506B2 (ja) 車載機器取り付け用ダミーカバー付き台座
JP3758137B2 (ja) バウンドストッパ
KR20180085245A (ko) 흡착구
JP3560755B2 (ja) 取付位置表示器とこれを使用した製品取付方法
JPH06199188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4985605B2 (ja) 吸盤装置
JPH1038003A (ja) 防振ゴム
CN112262060A (zh) 杯架
KR20080084683A (ko) 흡착 기구
JPH0789358A (ja) ラジエータサポート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